KR200489234Y1 -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 Google Patents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34Y1
KR200489234Y1 KR2020180005887U KR20180005887U KR200489234Y1 KR 200489234 Y1 KR200489234 Y1 KR 200489234Y1 KR 2020180005887 U KR2020180005887 U KR 2020180005887U KR 20180005887 U KR20180005887 U KR 20180005887U KR 200489234 Y1 KR200489234 Y1 KR 200489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member
roof
turnbuckle
canopy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훈
Original Assignee
금강웰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웰텍(주) filed Critical 금강웰텍(주)
Priority to KR2020180005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78Traffic orientation, street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풍이나 폭설로 인한 외력에 대항하여 저항력을 갖는 외부에 설치되는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이나 지하의 주차장 입구나 출구에 설치되는 캐노피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구조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루프를 형성하는 지붕부재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조명을 조사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는 조명부 및 하중이나 풍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붕부재의 원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파손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손방지부재는 양단이 상기 지붕부재의 양단과 결합하거나 일단이 상기 지붕부재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Canopy structure installed on parking lot}
본 고안은 태풍이나 폭설로 인한 외력에 대항하여 저항력을 갖는 외부에 설치되는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노피(canopy)는 소정 면적을 갖는 루프를 다수의 기둥으로 받쳐 사용하는 일종의 건축구조물로, 이러한 캐노피는 지상/지하주차장이나 놀이공원, 공원 등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특히,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캐노피는 해당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이동도로로 빗물이나 눈 등이 유입되지 않게 지붕구조물로 병행되어 사용되는데, 근래에는 디자인적인 측면은 물론, 그 캐노피의 하중을 최대한 줄여 시공의 용이성을 창출하고, 이에 비례하여 시공단가를 낮추어 시장성을 확보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캐노피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사계절의 특색이 뚜렷한 국내의 경우에는 태풍이나 폭설로 인한 캐노피의 파손이 이루어질 수 있어 현재는 이러한 캐노피의 경량화와 함께 외부환경에도 내구성이 우수한 캐노피를 제공하고자 하지만 이에 대한 제안이 용이하지 않아 잦은 유지보수를 대안으로 삼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57240호(공고일:2014.02.12.) 국내등록실용 제20-0463885호(공고일:2012.12.05.)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기술로 외부에 설치되는 캐노피에 대하여 태풍으로 인한 바람의 영향이나 폭설로 인한 하중의 증가로 파손의 위험성에 저항할 수 있는 캐노피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는 지상이나 지하의 주차장 입구나 출구에 설치되는 캐노피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구조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루프를 형성하는 지붕부재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조명을 조사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조명부 및 하중이나 풍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붕부재의 원형(原形)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파손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손방지부재는 양단이 상기 지붕부재의 양단과 결합하거나 일단이 상기 지붕부재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붕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조명부의 조명이 투과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판넬과, 상기 조명판넬에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명판넬을 지지하는 보 및 외부에서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식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판넬과 상기 보와 이어지게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된 간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손방지부재는 내부에는 제1길이조절공이 형성되되 양측에는 상기 제1길이조절공과 연통되게 제1조임공이 형성된 제1턴버클과, 소정길이를 갖되 일측이나 양측에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지붕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리부가 형성된 환봉체와, 일측이 상기 제1조임공 내면과 나사 결합하되 타단은 상기 고리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환형(環形)의 연결링이 형성된 길이조절체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붕부재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리부와 체결되는 체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파손방지부재은 하중으로 인한 상기 지붕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붕부재의 원형을 유지하도록 사용되며, 풍력에 의해 전/후방 방향이나 좌/우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붕부재의 결합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파손방지부재는 상기 제1턴버클에 천공형성된 결합공과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는 제2턴버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턴버클의 내부에는 제2길이조절공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2길이조절공과 연통되는 제2조임공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체와 나사 결합하며, 타측에는 상기 결합공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턴버클은 상기 제1턴버클과 'T'자, 'X'자 및 '十'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파손방지부재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기둥체에 'ㅡ'자로 적어도 하나 이상 캐노피에 연결하여 조명판넬에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한 쌍의 상기 파손방지부재를 서로 교차되게 일단은 지지부재에 연결하되 타단은 상기 기둥체에 연결될 수 있게 복수로 상기 캐노피에 설치하여 그 저항력에 의해 태풍으로 인한 바람이나 폭설로 인한 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캐노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의 파손방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파손방지부재가 'X'자 형태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대한 체결편과 환봉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의 파손방지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에 대한 사용상태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이하, 간략하게 '캐노피'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캐노피(1)는 그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지하주차장의 입구나 출구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상주차장 등의 입구나 출구에 설치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노피(1)는 크게 지지부재(100), 지붕부재(200), 조명부(300) 및 파손방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100)는 후술하는 지붕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구조물(110) 및 기둥체(120)를 포함한다.
지지구조물(110)은 콘크리트, 시멘트는 물론, 벽돌 등과 같은 돌이나 금속재질로 지하주차장의 입구나 출구의 벽면에 소정높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기둥체(120)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는 지지구조물(110) 상면과 볼트나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그 상부는 후술하는 지붕부재(200)의 프레임(210)이나 보(230) 등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하여 상기 지붕부재(2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기둥체(120)는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구조물(11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설치되어 지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부재(200)는 상술한 기둥체(120) 상부에 소정면적을 갖도록 고정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입구나 출구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210), 조명판넬(220), 보(230) 및 표시수단(240)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각각 다수의 가로프레임(211) 및 세로프레임(213)에 결합으로 형성되되 그 형상은 소정면적을 갖는 조명판넬(220)이 루프를 형성하기 용이하게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다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가로프레임(211)과 세로프레임(213)에 결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10)은 용접이나 체결수단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게 설치되며, 기둥체(120) 상부와 고정결합하여 상기 기둥체(120)에 의해 지붕부재(200) 전체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를 갖게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기둥체(120)는 필요에 따라 프레임(210) 이외에 격자형상을 갖는 보(230)와 고정설치되어 상기 기둥체(120)에 의해 지붕부재(2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211)이나 세로프레임(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호 형상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하여 본 고안인 캐노피(1)가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띠 형상을 갖는 프레임(210) 전방(차량이 출입하는 방향)에는 판 형상을 갖는 간판플레이트(21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간판플레이트(215) 외면에는 표시수단(240)이 형성되어 지하주차장으로 출입하는 운전자에게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240)은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간판플레이트(215) 자체에 음각이나 양각으로 색상을 가미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조명부(30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여 차량의 진입방향은 물론, 주차장의 존재 여부를 외부에 알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표시수단(240)은 간판플레이트(215)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210) 등에 형성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판넬(220)은 소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술한 띠 형상의 프레임(210)의 형상과 대응되게 그 내부에 판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어 지하주차장 입/출구의 루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명판넬(220) 끝단은 프레임(210)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며, 그 외면은 후술하는 격자형상의 보(230)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의 조명판넬(220)은 후술하는 조명부(300)가 그 외면이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300)를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의 아크릴이나 유리재질이 사용된다.
보(2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보(230)들이 전체적으로 격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프레임(210)에 설치된 조명판넬(2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진 보(230) 각각의 끝단은 프레임(210) 외면과 용접이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조명판넬(220)에서 조사되는 조명에 최대한 간섭을 주지않도록 상기 보(230)의 개수나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상기 조명판넬(2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보(230)는 부식 등이 손상방지를 위해 프레임(210)과 동종의 금속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등)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 하중을 최소화하여 본 고안인 캐노피(1)의 설치단가의 이득이나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성 재질인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300)는 조명판넬(220) 내부에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발광하여 특히, 야간에 지하주창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해당 지하주차장 주변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조명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램프나 엘이디(LED)를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조명부(300)가 발광하기 위한 시간, 위치, 순서, 색상 등이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이때, 조명부(300)는 외부환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조명판넬(2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명판넬(220)은 적은 개수의 조명부(300)로 그 조사되는 빛의 양은 극대화할 수 있게 조사되는 빛이 확산될 수 있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파손방지부재(4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설로 인해 조명판넬(220) 상부에 쌓여진 눈의 하중이나 태풍으로 인한 바람의 세기(풍력)에 본 고안인 캐노피(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본 고안의 요지가 되는 구성으로 제1턴버클(410), 환봉체(420), 길이조절체(430) 및 체결편(440)을 포함한다.
제1턴버클(410)은 내부에 제1길이조절공(411)이 형성된 금속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양측에는 상기 제1길이조절공(411)과 연통되는 제1조임공(413)이 형성되어 길이조절체(43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길이조절체(430)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환봉체(420)의 팽팽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환봉체(420)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다수의 철선이 서로 꼬여 하나의 상기 몸체를 형성하거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기둥형상을 형성하여 몸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환봉체(420) 양단에는 길이조절체(430)와 탈착 가능하게 후크(HOOK) 형상이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리부(423)가 상기 환봉체(420)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고리부(423)를 통해 상기 환봉체(420)가 제1턴버클(410)과 체결편(440)을 연결하여 그 팽팽함에 의해 본 고안인 캐노피(1)가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한다.
이때, 환봉체(420) 양단에는 고리부(423) 일단이 나사 결합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4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체(430)는 일단이 제1조임공(413)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조임공(41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단은 환형의 연결링(431)이 형성되어 고리부(42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체(430)는 나사 결합하는 제1조임공(413)의 조임정도에 따라 고리부(423)와 연결된 환봉체(420)를 제1턴버클(410) 방향으로 당기거나 풀어 상기 환봉체(420)의 팽팽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편(440)은 상술한 기둥체(120)는 물론, 프레임(210)이나 보(230) 등에 구비되어 제1턴버클(410) 양단에 연결된 환봉체(420)의 고리부(423)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편(44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나 하부는 체결수단으로 기둥체(120), 프레임(210) 및 보(230)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면에는 고리부(423)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장공의 형상을 갖는 체결공(441)이 천공형성된다.
아울러 체결편(4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체(120)와 이어지게 복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지지구조물(110)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손방지부재(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기둥체(120)를 'ㅡ'자 형태로 서로 연결하여 폭설로 인한 조명판넬(220) 상부에 쌓인 눈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조명판넬(220)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기둥체(120)가 좌/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려 하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저항력이 생겨 지붕부재(200)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손방지부재(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파손방지부재(400)가 'X'자 형상 등으로 서로 교차되게 각각의 일단은 보(230)나 프레임(210)에 구비된 체결편(440)과 연결하며, 각각의 타단은 기둥체(120)에 구비된 체결편(440)과 연결될 수 있게 본 고안인 캐노피(1)의 측면이나 후면 등에 설치하여 태풍으로 인한 외력에 의해 전/후방 방향은 물론, 좌/우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풍력에 대항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파손방지부재(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풍력에 대항하여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경우, 한 쌍의 제1턴버클(410)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환봉체(4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제작자는 일일이 상기 환봉체(420)의 길이를 유념하여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보완 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파손방지부재(400)는 다른 실시예로 제1턴버클(4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턴버클(410)이 'T'자, 'X'자 및 '十'자 등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턴버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턴버클(410)은 제1길이조절공(411)과 근접하게 제2턴버클(4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공(415)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턴버클(450)은 금속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제2길이조절공(451)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술한 제1조임공(413)과 동일 형상을 갖는 제2조임공(453)이 형성되어 길이조절체(430)와 나사 결합가능하게 하고, 타단에는 결합공(415)과 연결되기 위한 체결고리(45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턴버클(45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턴버클(410)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연결되어 굳이 환봉체(420)의 길이를 일일이 유념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캐노피(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파손방지부재(400)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기둥체(120)에 'ㅡ'자로 적어도 하나 이상 캐노피(1)에 연결하여 조명판넬(220)에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한 쌍의 상기 파손방지부재(400)를 서로 교차되게 일단은 지지부재(100)에 연결하되 타단은 상기 기둥체(120)에 연결될 수 있게 복수로 상기 캐노피(1)에 설치하여 그 저항력에 의해 태풍으로 인한 바람이나 폭설로 인한 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캐노피(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100: 지지부재 110: 지지구조물
120: 기둥체 200: 지붕부재
210: 프레임 211: 가로프레임
213: 세로프레임 215: 간판플레이트
220: 조명판넬 230: 보
240: 표시수단 300: 조명부
400: 파손방지부재 410: 제1턴버클
411: 제1길이조절공 413: 제1조임공
415: 결합공 420: 환봉체
421: 나사공 423: 고리부
430: 길이조절체 431: 연결링
440: 체결편 441: 체결공
450: 제2턴버클 451: 제2길이조절공
453: 제2조임공 455: 체결고리

Claims (4)

  1. 지상이나 지하의 주차장 입구나 출구에 설치되는 캐노피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구조물(1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부재(100) 상부에 루프(roof)를 형성하는 지붕부재(200);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조명을 조사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는 조명부(300); 및
    하중이나 풍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붕부재(200)의 원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파손방지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손방지부재(400)는,
    양단이 상기 지붕부재(200)의 양단과 결합하거나, 일단이 상기 지붕부재(200)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하며,
    상기 파손방지부재(400)는,
    내부에는 제1길이조절공(411)이 형성되되 양측에는 상기 제1길이조절공(411)과 연통되게 제1조임공(413)이 형성된 제1턴버클(410); 소정길이를 갖되 일측이나 양측에 상기 지지부재(100) 또는 상기 지붕부재(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리부(423)가 형성된 환봉체(420); 일측이 상기 제1조임공(413) 내면과 나사 결합하되 타단은 상기 고리부(42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환형의 연결링(431)이 형성된 길이조절체(430); 및 상기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붕부재(200)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리부(423)와 체결되는 체결편(440);을 포함하고, 하중으로 인한 상기 지붕부재(2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붕부재(200)의 원형을 유지하도록 사용되며, 풍력에 의해 전/후방 방향이나 좌/우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붕부재(200)의 결합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파손방지부재(400)는,
    상기 제1턴버클(410)에 천공형성된 결합공(415)과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는 제2턴버클(4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턴버클(450)의 내부에는 제2길이조절공(451)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2길이조절공(451)과 연통되는 제2조임공(453)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체(430)와 나사 결합하며, 타측에는 상기 결합공(415)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고리(455)를 포함하며,
    상기 제2턴버클(450)은 상기 제1턴버클(410)과 'T'자, 'X'자 및 '十'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재(200)는
    프레임(210);
    상기 조명부(300)의 조명이 투과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조명판넬(220);
    상기 조명판넬(220)에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명판넬(220)을 지지하는 보(230); 및
    외부에서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식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210)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판넬(220)과 상기 보(230)와 이어지게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표시수단(240)이 구비된 간판플레이트(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5887U 2018-12-18 2018-12-18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KR200489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87U KR200489234Y1 (ko) 2018-12-18 2018-12-18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87U KR200489234Y1 (ko) 2018-12-18 2018-12-18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34Y1 true KR200489234Y1 (ko) 2019-05-20

Family

ID=6665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87U KR200489234Y1 (ko) 2018-12-18 2018-12-18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28A (ko) 2020-07-20 2022-01-2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용 어닝 제어 시스템
KR102439544B1 (ko) 2022-02-18 2022-09-01 정장훈 지하주차장 설치용 엘이디 캐노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470A (ja) * 1999-02-08 2000-10-24 Nippon Light Metal Co Ltd 骨組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このユニットを用いた骨組構造体
JP2006125081A (ja) * 2004-10-29 2006-05-18 Shinsaku Kamikawa ブレース構造体
KR200463885Y1 (ko) 2010-04-23 2012-12-05 정만식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입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체
KR101357240B1 (ko) 2011-08-22 2014-02-12 (주)이디엠이엔씨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20170102652A (ko) * 2016-03-02 2017-09-12 최원규 조명 기능을 갖는 캐노피 패널 구조
KR101889684B1 (ko) * 2018-03-14 2018-08-17 차종원 철골 구조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470A (ja) * 1999-02-08 2000-10-24 Nippon Light Metal Co Ltd 骨組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このユニットを用いた骨組構造体
JP2006125081A (ja) * 2004-10-29 2006-05-18 Shinsaku Kamikawa ブレース構造体
KR200463885Y1 (ko) 2010-04-23 2012-12-05 정만식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입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체
KR101357240B1 (ko) 2011-08-22 2014-02-12 (주)이디엠이엔씨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20170102652A (ko) * 2016-03-02 2017-09-12 최원규 조명 기능을 갖는 캐노피 패널 구조
KR101889684B1 (ko) * 2018-03-14 2018-08-17 차종원 철골 구조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28A (ko) 2020-07-20 2022-01-2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용 어닝 제어 시스템
KR102439544B1 (ko) 2022-02-18 2022-09-01 정장훈 지하주차장 설치용 엘이디 캐노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34Y1 (ko)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KR101001043B1 (ko) 횡단보도
KR20080109432A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20120064350A (ko) 신호등 장치
KR100972598B1 (ko) 방음 펜스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20200122829A (ko) 신호등용 지주와 가로보의 어셈블리 구조
KR102102436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200388818Y1 (ko) 이동식 임시 신호등 및 제어장치
KR102365728B1 (ko) 도로용 가로등 장치
KR200373977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측방조명 수단을 갖는 보안등 지주구조
KR101243870B1 (ko)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KR100515387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190020568A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0934431B1 (ko) 건축용 보행자 유도등
CN217446058U (zh) 一种支撑装置
KR200407048Y1 (ko) 시선유도봉
JP4564518B2 (ja) 組立式標識灯
KR200268106Y1 (ko) 알루미늄을 이용한 도로의 안전 교명주 구조
KR20200084214A (ko) 엘이디로 이루어진 볼라드
KR200365422Y1 (ko) Led를 이용한 횡단보도 표지판
KR102648064B1 (ko)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CN207849227U (zh) 城市景观照明灯
KR100919996B1 (ko)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