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870B1 - 도로안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안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870B1
KR101243870B1 KR1020100108609A KR20100108609A KR101243870B1 KR 101243870 B1 KR101243870 B1 KR 101243870B1 KR 1020100108609 A KR1020100108609 A KR 1020100108609A KR 20100108609 A KR20100108609 A KR 20100108609A KR 101243870 B1 KR101243870 B1 KR 10124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base bar
insertion channe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998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10010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8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광원을 이용하여 표시판넬(40)의 표시부(41)를 발광시키는 도로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중심을 둘러 다수개의 삽입채널(H2)이 형성되는 베이스바(30)와, 선택적으로 발광가능한 표시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채널(H2)에 대응되는 체결부(42)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상기 삽입채널(H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표시판넬(40)과, 상기 베이스바(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집광하고 상기 LED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41)를 발광시키는 태양열집광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판넬(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표시판넬(40)은 상기 하나의 베이스바(30)에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연장되는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바(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H1)이 형성되는 중심부(31)와, 상기 중심부(31)의 외곽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그 사이에 삽입채널(H2)의 개구부(H2')가 형성되는 결합레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안내 표시장치{A sign device for showing road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로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표시판넬을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고, 동시에 표시판넬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로안내 표시판은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에 수직기둥이 설치되고, 그 수직기둥의 상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지지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수평지지대에는 도로의 방향표시 안내나 공지사항 등이 표시된 표지판이 고정밴드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설치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로 안내표시판은 알루미늄 소재 또는 철재로 된 판재에고휘도의 반사테이프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새겨서 부착시켜 사용되는데, 고휘도 반사테이프가 차량 조명에 의해 야간에 반사되어 도로 방향표시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단 도로에 설치된 도로 안내표시판은 도로변경이나 건물의 추가나 제거와 같은 주변지형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를 새로 설치해야 한다. 이는 표지판이 기둥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어 표지판의 지시각도 변경이나 표지판 자체의 추가나 삭제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로 안내표시판의 유지보수 비용이 늘어나고, 주변지형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일몰 후 어두운 장소에서의 이용을 위해, 일반적인 도로안내 표시판에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해 반사되는 고휘도의 반사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문자나 기호 등을 표시할 수 있으나, 자동차 운전자가 아닌 보행자를 위한 도로안내 표지판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해 반사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판에 발광체,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LED에 전기공급이 별도로 필요하고 이를 위한 전선 등의 구조가 추가되므로 도로 안내표시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그 자체하중과 바람과 같은 지속적인 외력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 휘어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표시판넬(표지판)의 교체 또는 고정각도 및 고정높이의 임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표시판넬의 사인이 발광되고, 전선 등의 장치가 도로안내 표시장치 내부에 정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LED광원을 이용하여 표시판넬의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도로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중심을 둘러 다수개의 삽입채널이 형성되는 베이스바와, 선택적으로 발광가능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채널에 대응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상기 삽입채널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표시판넬과, 상기 베이스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집광하고 상기 LED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태양열집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판넬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표시판넬은 상기 하나의 베이스바에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연장되는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곽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그 사이에 삽입채널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결합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채널에 삽입되는 상기 표시판넬의 체결부에는 상기 삽입채널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삽입채널 내에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바에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채널 중 상기 표시판넬의 체결부가 삽입된 삽입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삽입채널에는 더미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삽입채널 공간 및 삽입채널의 개구부를 차폐한다.
상기 더미플레이트는 상기 삽입채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상기 삽입채널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차폐리브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더미플레이트가 삽입되면 상기 베이스바의 외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바의 중심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바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개의 결합레그는 상기 중심부와 동심을 갖는 원형을 이룬다.
상기 베이스바의 중심부 및 상기 결합레그에 의해 둘러싸이는 결합채널은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채널에 삽입되는 체결플레이트 및 더미플레이트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시판넬은 아크릴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판넬에 음각되어 표현되며, 상기 표시판넬의 일측에는 LED광원이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LED광원과 동일한 색상의 형광물질이 도포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안내표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표시판넬이 교체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표시판넬의 고정각도 및 고정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도로 안내표시장치의 설치자유도 및 활용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몰 후에는 표시판넬의 표시부가 낮시간 동안 태양열을 이용하여 집적된 에너지를 통해 발광하게 되므로 에너지절약의 효과가 있고, 또한 태양열집광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 등 내부구조가 베이스바의 중심에 형성된 빈 공간에 정리되므로 도로 안내표시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중심부와 이를 둘러싸는 다수개의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바의 구조로 인해 단순보 형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휨강도가 커지므로 안내 표시장치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표시판넬을 적층하거나 또는 같은 높이로 각도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주변 시설의 변화나 도로의 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바에 표시판넬 및 더미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표시판넬 및 이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바에 표시판넬이 설치되는 예를 각각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바에 표시판넬 및 더미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모습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표시판넬 및 이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로안내 표시장치의 골격은 베이스바(30)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바(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가 빈 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이나, 반드시 원통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베이스바(30)는, 도 2에서 보듯이, 그 양단에 각각 제1연결바(10) 및 제2연결바(6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연결바(10)는 지반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제2연결바(60)는 아래에서 설명될 태양열집광부(70)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바(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바(30)는 크게 중심부(31)와 결합레그(35)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부(31)는 베이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되는 것으로 그 중심에는 중공(H1)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H1)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선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3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레그(3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레그(35)는 상기 중심부(31)의 외면을 일정간격으로 둘러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레그(35)의 외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결합레그(35)와 함께 원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31)와 상기 결합레그(35)는 대략 동심을 갖는 두 개의 원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결합레그(35)는 아래에서 설명될 표시판넬(40)의 체결부(42) 및 더미플레이트(5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인접한 결합레그(35)와의 사이에 일종의 빈 공간인 삽입채널(H2)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채널(H2)은 상기 중심부(31)의 중공(H1)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레그(35)가 상기 중심부(31)를 둘러 다수개 구비됨에 따라 역시 다수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채널(H2)의 일측에는 개구부(H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H2')는 표시판넬(40)의 체결부(42)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역시 상기 삽입채널(H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H2')는 표시판넬(40)이 결합되면 체결부(42)에 의해 메워지거나 또는 더미플레이트(50)의 차폐리브(55)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바(30)는 대략 동심의 원을 갖는 원형상의 중심부(31)와 이를 둘러싸는 결합레그(35)의 구조로 인하여 단순한 보 형상에 비해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단순한 보와 같은 단면적을 갖더라도 그 단면 형상이 다르므로 단면2차모멘트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바(30)에 작용하는 굽힘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변형에 저항하는 힘, 즉 휨강도가 커지므로, 결과적으로 도로안내 표시장치 전체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바(30)의 양단에는 각각 제1연결바(10) 및 제2연결바(6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바(10)는 지반에 실질적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부분이고, 제2연결바(60)는 태양열집광부(70)가 연결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30)와 상기 제1연결바(10) 및 제2연결바(60) 사이에는 각각 연결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제1연결바(10)와 제2연결바(60)를 각각 베이스바(30)에 연결하는 것으로, 몸체(21)와 헤드부(25)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는 상기 베이스바(30)의 중공(H1)에 삽입되고, 헤드부(25)는 상기 제1연결바(10) 및 제2연결바(6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5)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바(10)와 제2연결바(60)에 나사체결되거나 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20)가 생략되거나, 연결부재(20)가 상기 제1연결바(10) 또는 제2연결바(6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바(30)에는 표시판넬(40)이 결합된다. 상기 표시판넬(40)은 도로 안내표시를 위한 부분으로, 그 외면에 다양한 안내문자가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판넬(40)은 상기 베이스바(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표시판넬(40)에는 표시부(41)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41)는 길안내 등을 위한 문자나 도형이 실질적으로 표현되는 부분으로,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표시부(41)는 태양열집광부(70, 태양전지 셀)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원의 발광에 의해 밝혀짐으로써, 식별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1)의 광원은 LED로 구성된다. 상기 LED광원은 태양열집광부(70)에 의해 집광된 태양에너지가 축전지에 집적되면 이를 이용하여 발광하게 되는 것으로, 다수의 태양열집광부(70)가 주간에 전력을 생산하여 축전지에 저장하게 되며, 다수의 LED 소자들은 이와 같이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발광작동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표시판넬(40)은 아크릴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표시부(41)는 표시판넬(40)의 외면에 음각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판넬(40)의 일측에는 LED광원을 포함하는 회로기판(미도시)이 장착되어 전선에 의해 축전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이 공급되면 LED광원에 의해 상기 음각으로 표시된 표시부(41)만이 발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각된 표시부(41)에 상기 LED광원과 동일한 색상의 형광페인트가 도포되면 표시부(41)가 보다 효과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전지와 LED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 소자들을 점등시키는 광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광센서는 상기 표시부(41) 주위의 광량을 검출하여 광량이 많은 주간에는 상기 LED 소자들을 off 상태로 유지시키고, 광량이 적은 야간에는 상기 LED 소자들을 on 시켜서 표시판넬(40)의 내부를 밝게 유지시킴으로써 표시판넬(40)에 표시된 각종 도로 정보들을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판넬(40)의 체결부(42)에는 체결플레이트(43)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43)는, 도 2 내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판넬(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바(30)의 삽입채널(H2)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43)가 삽입채널(H2)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43)는 상기 삽입채널(H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플레이트(43)에는 한 쌍의 밀착리브(45)가 상기 삽입채널(H2) 내부로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착리브(45)는 상기 체결플레이트(43)가 상기 삽입채널(H2)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삽입채널(H2)의 내면에 밀착되어 체결플레이트(43)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밀착리브(45)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채널(H2)의 형상, 즉 대략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채널(H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체결플레이트(43)와 표시판넬(40)은 별도의 체결수단(도면부호 부여 않음)에 의해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플레이트(43)와 표시판넬(40)은 별개물로 구성되고 각각 체결구(40',43')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결합된다. 물론, 상기 체결플레이트(43)와 표시판넬(40)은 별개물이 아닌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판넬(40)은 도 3에서 보듯이 상방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바(30)에 삽입되는데, 상기 표시판넬(40)의 높이는 베이스바(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표시판넬(40)이 적층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베이스바(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30)에는 다수개의 삽입채널(H2)이 베이스바(30)를 둘러 형성되므로, 상기 표시판넬(40)은 베이스바(30)에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동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바(30)에는 더미플레이트(50)가 결합된다. 상기 더미플레이트(50)는 상기 베이스바(30)의 삽입채널(H2) 중에서 상기 표시판넬(40)의 체결부(42)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삽입채널(H2)에 결합되어, 이를 메움으로써 이물질이나 수분이 베이스바(3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의 통일성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더미플레이트(50) 역시 상기 표시판넬(40)의 체결플레이트(43)와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채널(H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더미플레이트(50)에는 상기 삽입채널(H2)의 개구부(H2')를 차폐하는 차폐리브(55)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리브(55)는 상기 더미플레이트(50)의 외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H2')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개구부(H2')를 형성하는 결합레그(35)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더미플레이트(50)가 상기 삽입채널(H2)에 삽이되면 상기 차폐리브(55)는 상기 개구부(H2')에 위치되어 개구부(H2')를 차폐하게 되고, 상기 차폐리브(55)의 외면은 상기 결합레그(35)의 외면과 연속된 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제2연결바(60)에는 태양전지 셀인 태양열집광부(70)가 결합된다. 상기 태양열집광부(70)는 태양열을 집광하여 이를 축전지에 전기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가 가능하다. 도면부호 75는 연결플렌지로 상기 태양열집광부(70)와 제2연결바(60)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 표시장치는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표시판넬(40)이 상기 베이스바(30)에 다수개가 이미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일부만이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표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표시장치는 도로변이나 산책로 등에 설치되어 도로안내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표시판넬(40)의 표시부(41)가 도로의 방향이나 건물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표시판넬(40)의 표시부(41)는 낮시간 동안에는 태양광을 반사하여 문자나 도형이 식별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태양열집광부(70)에 의해 태양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에 저장된다.
그리고, 일몰 후가 되면 상기 광센서가 작동하여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판넬(40)에 구비된 LED를 발광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판넬(40)의 표시부(41)는 LED광원에 의해 발광하면서 표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판넬(40)의 유지보수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자는 상기 표시판넬(40)이 손상되거나 또는 표시방향이나 건물명이나 도로면이 변경되는 등의 경우에는 표시판넬(40)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표시판넬(40)만을 분리하여 재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이 경우 표시판넬(40)의 방향이나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태양열집광부(70)와 제2연결부를 제거한 후에 연결부재(20)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표시판넬(40)을 상기 삽입채널(H2)로부터 꺼내어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표시판넬(40)을 교체하고 역순으로 조립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만약, 상기 표시판넬(40)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삽입채널(H2)에 삽입된 더미플레이트(50)를 분리하고, 상기 표시판넬(40)을 그 위치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표시판넬(40)의 원래 위치에는 상기 더미플레이트(50)를 삽입함으로써 삽입채널(H2)의 개구부(H2')가 차폐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표시판넬(40)의 높이도 변경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표시판넬(40)(이하 '판넬1')을 분리한 후에, 그 아래 층에 해당하는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표시판넬(40)(이하 '판넬2')을 연속하여 분리한 후에 상기 판넬1을 판넬2가 있던 위치에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표시판넬(40)의 개수 자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표시판넬(40)의 추가를 원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의 더미플레이트(50)를 제거하고 그 위치에 표시판넬(40)을 추가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 표시장치는 표시판넬(40)의 교체 및 방향 높이 설정이 자유로워 보다 다양한 안내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바(30)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판넬(40)의 체결부(42)에 결합되는 체결플레이트(43)는 별개물이 아닌, 상기 체결부(4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10: 제1연결바 20: 연결부재
30: 베이스바 31: 중심부
35: 결합레그 40: 표시판넬
41: 표시부 42: 체결부
43: 체결플레이트 45: 밀착리브
50: 더미플레이트 55: 차례리브
70: 태양열집광부 H1: 중공
H2: 삽입채널 H2': 개구부

Claims (8)

  1. LED광원을 이용하여 표시판넬의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도로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중심을 둘러 다수개의 삽입채널이 형성되는 베이스바와,
    선택적으로 발광가능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채널에 대응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상기 삽입채널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표시판넬과,
    상기 베이스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집광하고 상기 LED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태양열집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판넬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표시판넬은 상기 하나의 베이스바에 적층되어 높이를 달리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채널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연장되는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곽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그 사이에 삽입채널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결합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채널에 삽입되는 상기 표시판넬의 체결부에는 상기 삽입채널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삽입채널 내에 안착되고,
    상기 표시판넬은 아크릴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판넬에 음각되어 표현되며, 상기 표시판넬의 일측에는 LED광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108609A 2010-11-03 2010-11-03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124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609A KR101243870B1 (ko) 2010-11-03 2010-11-03 도로안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609A KR101243870B1 (ko) 2010-11-03 2010-11-03 도로안내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98A KR20120046998A (ko) 2012-05-11
KR101243870B1 true KR101243870B1 (ko) 2013-04-01

Family

ID=4626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609A KR101243870B1 (ko) 2010-11-03 2010-11-03 도로안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03B1 (ko) * 2015-05-14 2017-03-31 류원식 안내 표지판
CN115369790B (zh) * 2022-08-12 2023-09-26 山东旭天标识工程有限公司 一种带电发光的多向指示标识牌及其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73B1 (ko) * 2006-12-15 2007-04-0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표지장치
KR100851532B1 (ko) * 2007-06-13 2008-08-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73B1 (ko) * 2006-12-15 2007-04-0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표지장치
KR100851532B1 (ko) * 2007-06-13 2008-08-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98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532B1 (ko) 도로 표시장치
US8210719B2 (en) Solar LED indicator for road railings
KR20080099221A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다기능 가로등
KR101243870B1 (ko)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0972598B1 (ko) 방음 펜스
KR100977589B1 (ko) 바닥에 설치되는 전광판
KR101502616B1 (ko) 발광표지판
KR101722203B1 (ko) 안내 표지판
KR20110004639U (ko) 통합형 도로교통 시설물
KR200414133Y1 (ko) 태양 전지를 갖는 led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광판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KR200412723Y1 (ko) 태양전지가 내장된 발광기능을 갖는 도로 표시판
KR101026560B1 (ko) 펜스 구조물
KR101676659B1 (ko) 디스플레이용 전광판을 이용한 가로등 지주용 광고장치
CN212809675U (zh) 一种带灯多项指示牌
JP3239591U (ja) 電柱広告装置
KR20200001358U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JP4829266B2 (ja) 自発光装置
KR100920258B1 (ko) 태양광을 통해 구동되는 led 램프를 구비한 난간
KR20110001936U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다기능 가로등
KR200416791Y1 (ko) 지주 부착용 광고 설치대
CN207687759U (zh) 一种嵌入式异型led线条灯
CN217149947U (zh) 一种太阳能自发光道钉
KR200446611Y1 (ko) 다목적설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