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831A -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831A
KR20120075831A KR1020100137702A KR20100137702A KR20120075831A KR 20120075831 A KR20120075831 A KR 20120075831A KR 1020100137702 A KR1020100137702 A KR 1020100137702A KR 20100137702 A KR20100137702 A KR 20100137702A KR 20120075831 A KR20120075831 A KR 20120075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light emitting
light
roa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영
Original Assignee
양홍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홍영 filed Critical 양홍영
Priority to KR102010013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831A/ko
Publication of KR2012007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24Ground spi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 설치되어 식별을 위해 발광하는 앵커로서, 태양광을 수광하는 집진판과; 상기 집진판에 집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소자가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기 집진판과,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감싸도록 성형된 외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집진판에서 태양광을 수광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 후, 야간 등 발광이 필요한 시기에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체를 발광함으로써, 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반 영구적으로 자체 발광을 함에 따라, 일정한 광량으로 야간에 명확한 식별력을 갖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LUMINOUS ANCHOR USING SOLAR ENERGY AND ROAD SIGNAL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에너지를 태양광 기판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시킨 후 예정된 시기에 일정한 광량으로 표시함으로써, 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야간에 식별이 보다 용이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선부, 차량추돌방지용시설물, 안전주행용시설물 등에 단순반사의 원리를 이용한 반사 앵커 또는 전원을 이용한 조명등 등을 사용하여 빛을 밝혀 왔다. 그러나 반사 앵커의 경우 빛의 입사각이 반사각도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나서 효율적이지 못하고, 전원을 이용하는 조명의 경우에는 빈번하게 누진현상이 일어나고, 전기보수공사 등을 필요로 하므로 에너지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반사 앵커 등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구멍을 뚫은 후에 반사 앵커를 삽입하고 반사 앵커와 구멍 사이의 공간을 충전재로 채우는 공정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도로에 수 많은 반사 앵커를 설치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반 영구적으로 자체 발광을 함에 따라, 일정한 광량으로 야간에 명확한 식별력을 갖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에 발광 앵커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구멍을 천공한 후 앵커와 구멍의 사이에 충전재로 채워넣는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발광 앵커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되어 식별을 위해 발광하는 앵커로서, 태양광을 수광하는 집진판과; 상기 집진판에 집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소자가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기 집진판과,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감싸도록 성형된 외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를 제공한다.
이는, 집진판에서 태양광을 수광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 후, 야간 등 발광이 필요한 시기에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체를 발광함으로써, 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반 영구적으로 자체 발광을 함에 따라, 일정한 광량으로 야간에 명확한 식별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는, 외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발광체의 발광 시점과 발광 패턴이 외부에서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는 2개 이상의 색깔을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여러가지 색깔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단순히 경계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넘어서, 발광되는 색깔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을 나타내거나 심미감을 나타내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발광 앵커에 외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발광체의 발광색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형체는 투명한 가요성 소재로 몰딩 성형됨으로써, 외형체의 외경보다 더 작게 도로에 구멍을 천공한 후, 천공된 구멍에 상기 발광 앵커를 단지 끼워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발광 앵커를 도로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외형체의 외주면에는 걸림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일단 구멍에 삽입된 발광 앵커는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위치 고정되므로, 일단 도로에 삽입 설치된 발광 앵커는 제자리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외측'이라는 용어는 반경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발광 앵커를 도로에 설치하는 장치로서, 지면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과; 상기 지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구멍의 위치에 상기 발광 앵커를 삽입하는 앵커 발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의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상기 횡단 보도에 설치된 상기 발광 앵커들과; 상기 신호등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앵커의 상기 발광체에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발광 앵커는 2개 이상의 색깔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발광함으로써, 신호등의 신호 상태에 따라 횡단 보도의 색깔을 달리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보행자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의 신호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도시의 미관을 보다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식별을 위해 발광하는 앵커로서, 태양광을 수광하는 집진판과; 상기 집진판에 집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소자가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기 집진판과,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감싸도록 성형된 외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집진판에서 태양광을 수광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 후, 야간 등 발광이 필요한 시기에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체를 발광함으로써, 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반 영구적으로 자체 발광을 함에 따라, 일정한 광량으로 야간에 명확한 식별력을 갖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가요성 소재로 몰딩 성형된 외형체로 발광 앵커의 외형을 형성함으로써, 외형체의 외경보다 더 작게 도로에 구멍을 천공한 후, 천공된 구멍에 상기 발광 앵커를 단지 끼워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발광 앵커를 도로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외형체의 외주면에는 걸림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일단 구멍에 삽입된 발광 앵커는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위치 고정되므로, 일단 도로에 삽입 설치된 발광 앵커는 제자리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의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횡단 보도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색깔을 발광하고 외부와 통신 수단을 구비한 발광 앵커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 앵커의 점등 색깔이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점멸됨으로써, 보행자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의 신호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도시의 미관을 보다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를 도로에 설치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a 내지 도4c는 도3을 이용하여 발광 앵커를 지면에 삽입 고정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의 발광 앵커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100)는, 낮시간에 태양광을 수광하는 집진판(110)과, 집진판(110)에 집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130)와, 배터리(130)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체(140)와, 발광체(140)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소자가 실장되고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22)가 구비된 회로 기판(120)과, 이들(110-140)을 감싸는 투명한 소재의 외형체(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2)에는 RF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2)는 회로 기판(120)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회로 기판(120)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집진판(110)은 솔라셀(solar cell)로 형성되어 낮시간 동안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리드선(121)을 통해 배터리(130)에 에너지를 저장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100)는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반영구적으로 일정한 광량으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광체(140)는 엘이디(LED) 또는 유기이엘(O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체(140)는 하나의 색깔로 발광할 수도 있지만 여러가지 색깔로 발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여러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색깔로 발광하는 소자를 여러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 기판(120)은 발광체(140)의 발광 시점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회로 기판(120)에 내장된 통신부(122)를 통해 외부의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그 신호에 따라 발광체(140)의 발광 색깔, 발광 시점 및 발광 패턴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외부로부터 제2신호가 수신되면 적색으로 점등되며, 외부로부터 제3신호가 수신되면 황색으로 점등되다가, 외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제4신호가 수신되면 소광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스로 점등하는 발광 앵커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앵커(100)가 도로의 차선이나 횡단 보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개가 짙게 끼거나 눈, 비가 오는 악천우의 날씨 중에는 보다 밝은 광량으로 점등되고, 날씨가 맑은 날씨 중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광량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보다 확실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12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발광체(140)는 깜박이는 점등을 할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점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한 다른 발광 앵커(100)들과 함께 순차적으로 점등과 점멸이 반복되도록 발광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외형체(150)는 경도가 높지만 외력에 의하여 약간의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이나 탄소나노튜브 등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몰딩 성형된다. 이에 따라, 발광체(140)가 발광하면, 발광체(150)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형체(150)의 전체에 확산되어, 발광 앵커(100)의 미관이 보다 세련되게 발광하는 잇점이 얻어진다.
그리고, 외측으로 걸림 돌기(152)가 돌출 형성되어,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했던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체(150)의 상단부는 둥근 구형(150a)으로 형성되고, 외형체(150)의 하단부는 수나사산(150b)이 형성되어 뾰족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천공되는 구멍이 외형체(150)의 외경(152D)보다 더 작게 형성되더라도, 발광 앵커(100)가 회전하면서 구멍에 삽입되면, 수나사산(150b)에 의하여 구멍 내에 원활하게 삽입 안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발광 앵커(100')의 상단부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대신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면(15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 앵커(100, 100')의 외형체(150)는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표시용 발광 앵커(100, 100')는 도로의 차선이나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야간에도 일정한 광량으로 인식되도록 점등됨으로써, 자동차의 운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 앵커(100, 100')는 각종 표지판, 유도등, 주차등, 공사 표지판, 중앙분리대 등의 안전 시설물에 활용될 수도 있으며, 건물 외부 마감재, 간판, 동상 및 구조물, 행사 홍보물 등의 인테리어 소품에 활용될 수도 있고, 자동차 및 자전거 악세사리나 개인 휴대폰 등의 악세사리 용품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광 앵커(100)를 도로 등에 설치하는 장치(200)를 상술한다.
도3은 도1의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를 도로에 설치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a 내지 도4c는 도3을 이용하여 발광 앵커를 지면에 삽입 고정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설치 장치(200)는, 이동 가능한 몸체와, 이 몸체에 장착된 발광앵커 저장부(210)와, 발광앵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 드릴(220)과, 천공 드릴(220)에 의해 천공된 구멍(51)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면을 촬영하는 카메라(230)와,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50)와, 디스플레이(250)에 표시되고 있는 구멍(51)의 위치에 발광 앵커(100)를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발광 앵커(100)를 천공된 구멍에 삽입하도록 발사하는 앵커 발사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앵커 저장부(210)는 지면에 설치될 발광 앵커(100)를 다수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부로부터 지령을 받으면 앵커 발사기(240)에 발광 앵커(100)를 하나씩 장전시킨다.
상기 천공 드릴(220)은 발광 앵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구멍을 천공한다. 이 때, 발광 앵커(100)가 삽입되면 외주면이 살짝 끼워지는 상태가 되도록 천공되는 구멍의 내경(51D)은 발광 앵커(100)의 외경(152D)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정해진다.
상기 카메라(230)는 천공 드릴(220)이 구멍(51)을 뚫는 공정과, 발광앵커 발사기(240)와 구멍(51)을 정렬시키는 공정과, 발광 앵커(100)를 구멍(51)에 삽입하는 공정을 실시간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25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발광 앵커(100)를 원격으로 지면(50)에 설치하는 모든 공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앵커 발사기(240)는 발광앵커 저장부(210)로부터 장전된 발광 앵커(100)를 천공된 구멍(51)에 회전시키면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구멍(51)에 발광 앵커(100)를 삽입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설치 장치(200)를 이용하여 발광 앵커(100)를 설치하는 공정을 상술한다.
단계 1: 먼저, 발광 앵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천공 드릴(220)을 이용하여 소정의 깊이로 구멍(51)을 천공한다. 이 때, 천공되는 구멍(51)은 내경(51D)은 발광 앵커(100)의 외경(152D)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구멍(51)의 깊이는 발광 앵커(100)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단계 2: 그 다음,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설치 장치(200)를 이동시켜, 천공된 구멍(51)과 앵커 발사기(240)의 출구를 정렬시킨다. 이 때, 구멍(51)과 앵커 발사기(240)의 정렬은 카메라(230)로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50)로 확인하면서 원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앵커 발사기(240)에 장전되어 있던 발광 앵커(100)를 나사산(150b)의 방향(100r)으로 회전키면서 도면부호 100d로 표시된 방향으로 가압 발사한다. 천공된 구멍(51)의 내경(51D)이 발광 앵커(100)의 외경(152D)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재질의 외형체(150)로 둘러싸인 발광 앵커(100)는 가압력에 의하여 외형체(150)의 바깥부분이 약간 변형되면서 구멍(51)내에 끼여 들어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발광 앵커(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150b)은 구멍(51)의 기저부를 보다 파고들어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발광 앵커(100)의 외형체(15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 앵커(100)가 지면(50)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구멍(51)에 일단 삽입된 발광 앵커(100)는 몰탈 등의 충전재로 구멍(51) 내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발광 앵커(100)는 구멍(51) 내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단계 3: 단계 1과 단계 2를 반복하여 발광 앵커(100)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한 이후에, 발광 앵커(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60)을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한다. 다만, 단계 3에서 행하는 보호 필름(60)은 외형체(150)의 소재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발광 앵커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을 상술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시 시스템은 도로의 횡단 보도(77)에 다수의 발광 앵커들(770)이 설치되고, 횡단보도(77)의 전방에 위치한 정지선(71)에도 다수의 발광 앵커들(710)이 설치되며, 이들 발광 앵커들(710, 770)은 신호등(310)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앵커들(710, 770)은 적색, 녹색, 황색, 흰색으로 표시될 수 있는 발광체(140)를 구비하며, 신호등(310)의 신호에 따른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22)가 회로 기판(120)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신호등(310)이 녹색등으로 점등되면, 신호등(310)의 녹색 점등 신호를 발광 앵커(770, 710)들에게 전송하여, 횡단 보도(77)에 설치된 발광 앵커들(770)은 녹색으로 점등되고, 정지선(71)에 설치된 발광 앵커들(710)은 흰색으로 점등되어, 전방을 주시하며 운전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 보도(77)에 보행자가 횡단하는 신호 상태라는 것을 시각적으로 금방 인지시킬 수 있으며, 운행중인 차량이 정지해야 하는 정지선(71)의 위치도 흰색으로 점등됨으로써 야간에도 횡단 보도(77)와 구분된 정지선의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신호등(310)이 적색등으로 점등되면, 신호등(310)의 적색 점등 신호를 발광 앵커(770, 710)들에게 전송하여, 정지선(71)과 횡단 보도(77)에 설치된 발광 앵커들(710, 770)이 적색으로 점등되어, 전방을 주시하며 운전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 보도(77)에 보행자가 횡단하지 않는 신호 상태라는 것을 금방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신호등(310)이 녹색에서 적색등으로 변경되는 시간 동안에는, 신호등(310)의 점등이 변경된다는 신호를 발광 앵커(770, 710)들에게 전송하여, 정지선(71)과 횡단 보도(77)에 설치된 발광 앵커들(710, 770)이 황색으로 깜빡이도록 점등되어, 횡단 보도(77)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서둘러 횡단하도록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표시용 발광 앵커는 집진판에서 태양광을 수광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 후, 야간 등 발광이 필요한 시기에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체를 발광함으로써, 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반 영구적으로 자체 발광을 할 수 있고, 기상 상태에 따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될 뿐만 아니라, 도로의 횡단보도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의 신호 상태를 시각적으로 곧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며 도시의 미관을 보다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110: 집진판
120: 회로 기판 122: 통신부
130: 배터리 140: 발광체
150: 외형체 200: 발광앵커 설치장치
210: 발광앵커 저장통 220: 천공 드릴
230: 카메라 240: 발광앵커 분사부
250: 제어부

Claims (9)

  1. 도로에 설치되어 식별을 위해 발광하는 앵커로서,
    태양광을 수광하는 집진판과;
    상기 집진판에 집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소자가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기 집진판과,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감싸는 외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발광체의 발광이 외부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2개 이상의 색깔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4. 제 3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발광체의 발광색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체는 투명한 가요성 소재로 몰딩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발광 앵커를 도로에 설치하는 장치로서,
    지면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과;
    상기 지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구멍의 위치에 상기 발광 앵커를 삽입하는 앵커 발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의 설치 장치.
  8. 도로의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상기 횡단 보도에 설치된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광 앵커들과;
    상기 신호등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앵커의 상기 발광체에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앵커는 2개 이상의 색깔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 시스템
KR1020100137702A 2010-12-29 2010-12-29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KR20120075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02A KR20120075831A (ko) 2010-12-29 2010-12-29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02A KR20120075831A (ko) 2010-12-29 2010-12-29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831A true KR20120075831A (ko) 2012-07-09

Family

ID=4670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702A KR20120075831A (ko) 2010-12-29 2010-12-29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8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68A (ko) * 2017-08-21 2019-03-04 황민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20190020567A (ko) * 2017-08-21 2019-03-04 황민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68A (ko) * 2017-08-21 2019-03-04 황민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20190020567A (ko) * 2017-08-21 2019-03-04 황민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138B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가드레일용 지주캡
CN201489672U (zh) 一种道路路口红绿灯装置
KR200418184Y1 (ko) 표시램프
US20080088477A1 (en) Omnidirectional universal mount hazard marker
EP3808900B1 (en)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KR20150110986A (ko) 차량 안전 삼각대
KR101258326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75831A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KR102072530B1 (ko) 회전교차로 차량 진행 방향 표시 시스템
KR101675377B1 (ko)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KR102106088B1 (ko) 차량용 사인보드 발광 제어 장치
KR101097001B1 (ko) 차량 사고 방지를 위한 횡단 보도용 가로등
KR102207109B1 (ko)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JP4176781B2 (ja) 車止め装置
KR100961522B1 (ko) 차량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도로 매립형 조명 장치
KR20050095754A (ko) 반사겸용 led 도로 표지병 시스템
KR102209431B1 (ko) 절개부가 구비된 엘이디모듈로 이루어진 볼라드
KR101637182B1 (ko) 지주형 경광장치
KR20100011303U (ko) 태양전지와 led조명 부착 석재 볼라드
JP6484692B1 (ja) 警告灯
KR101228191B1 (ko)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KR102152934B1 (ko) 교통안전 표시구
KR20120009304A (ko)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골프장용 홀컵의 조명장치 및 조명 제어방법
KR20140144409A (ko) 도로 표지병
CN217008412U (zh) 一种高速公路匝道口夜间引导标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