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184Y1 - 표시램프 - Google Patents

표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184Y1
KR200418184Y1 KR2020060007178U KR20060007178U KR200418184Y1 KR 200418184 Y1 KR200418184 Y1 KR 200418184Y1 KR 2020060007178 U KR2020060007178 U KR 2020060007178U KR 20060007178 U KR20060007178 U KR 20060007178U KR 200418184 Y1 KR200418184 Y1 KR 200418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display lamp
cell set
mounting means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 시.알. 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알. 씨스템 filed Critical (주) 시.알. 씨스템
Priority to KR2020060007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시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동작전원을 태양전지 및 축전지와 상용전원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무선통신을 통해 램프를 점멸, 점등하는 등의 폭넓고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처에 따라 분리 또는 일체로 탈, 부착이 가능한 표시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면에 장착되는 표시램프에 있어서, 상기 도로면에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과 연결되는 바닥판(42)과, 상기 바닥판(4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에 안착되고 내부에 태양전지세트(20)가 안착되는 커버체(10)와, 차량의 운전자 시야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체(10)의 양측면에는 투명체의 투명커버(35)와, 상기 태양전지세트(20)로부터 생성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커버체(10)의 상부면에 차량이 상부면을 지나갈 경우에 상기 태양전지세트(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파손방지턱(11, 12, 13, 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램프, 도로표지병, 유도등,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 축전지

Description

표시램프{INDICATION LAMP}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버체 11, 12, 13, 14: 파손방지턱
20: 태양전지세트 25: 태양전지 안착홈
30: 발광다이오드 32: 발광다이오드 안착홈
35: 투명커버 40: 프레임
42: 바닥판 44: 앙카스크류
50: 기판 55: 축전지
57: 외부전원연결구 60: 햄머드릴
62: 압착슬리브(Sleeve)
본 고안은 표시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동작전원을 태양전지 및 축전지와 상용전원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무선통신을 통해 램프를 점멸, 점등하는 등의 폭넓고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처에 따라 분리 또는 일체로 탈, 부착이 가능한 표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램프는 보안등, 건물/철탑/각종구조물 등의 층고표시, 도로중앙선 구분, 각종 시설, 토목, 건축공사 경계선 구분, 선박 좌우 지시등, 공항 활주로유도등, 선박항만 유도등에 설치되어지는 시설물이다.
특히, 도로중앙선 구분을 위한 표시램프는 양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빛 반사에 의해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경사면에 반사체가 설치된다.
그러나 차량 전조등이 조사되어 반사체에 의해 빛 반사가 이루어져 표시램프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은 차량에서 전조등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는 표시램프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조등을 켜기 애매한 시간대 또는 날씨에는 빛의 반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운전자가 도로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서, 본 고안은 지면 삽입형 구조의 경우에는 도로표지병의 역할로 일반도로, 산악지역도로, 군사용 도로, 외곽도로 등의 차선을 구분하기 위해 황색표지선, 이중황색선, 중앙분리선과 도로변선, 제한선 등이 표시되고, 이러한 차선의 야간 식별을 위해 상기 차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표시램프가 설치되어 야간운전 시 또는 우천 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설물이 될 수 있는 표시램프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붙임형은 하부의 구조에 있어 나사, 양면테잎, 접착제, 영구자석체, 찍찍이 등의 3-5가지 접합방안 중에 단일 접합방법만으로 하여 목재 또는 금속, 비금속 기둥상부와 건물, 구조물, 철탑 등의 표면 또는 상부, 선박의 경우 중앙 돛대 좌우 표면 또는 상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용 전원연결과 태양전지와 축전지를 활용한 단일체로써, 특정 용도에 맞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램프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로면에 장착되는 표시램프에 있어서, 상기 도로면에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과 연결되는 바닥판(42)과, 상기 바닥판(4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에 안착되고 내부에 태양전지세트(20)가 안착되는 커버체(10)와, 차량의 운전자 시야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체(10)의 양측면에는 투명체의 투명커버(35)와, 상기 태양전지세트(20)로부터 생성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커버체(10)의 상부면에 차량이 상부면을 지나갈 경우에 상기 태양전지세트(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파손방지턱(11, 12, 13, 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장착수단은, 나사, 양면테잎, 접착제, 영구자석체, 밸크로 파스너 중에서 선택되거나, 장착위치에 형성된 초벌구멍에 삽입되는 압착슬리브(62)와, 상기 압착슬리브(62)에 삽입되어 상기 압착슬리브(62)를 확장시키는 앙카스크류(4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표시램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표시램프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면에 장착되는 앙카스크류(44)와, 상기 앙카스크류(44)에 연결되는 바닥판(42)과, 상기 바닥판(4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에 안착되고 내부에 태양전지세트(20)가 안착되는 커버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앙카스크류(44)가 없이 바닥판(42)에 나사, 양면테잎, 접착제, 영구자석체, 찍찍이 등의 3-5가지 접합방안 중에 단일 접합방법만으로 하여 목재 또는 금속, 비금속 기둥상부와 건물, 구조물, 철탑 등의 표면 또는 상부, 선박의 경 우 중앙 돛대 좌우 표면 또는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특정 용도에 맞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 시야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체(10)의 양측면에는 투명체의 투명커버(35)가 장착되어 상기 태양전지세트(20)로부터 생성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3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커버체(10)의 상부면에는 차량이 상부면을 지나갈 경우에 상기 태양전지세트(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파손방지턱(11, 12, 13, 1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커버(35)에는 반사지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42)의 상부에는 상기 태양전지세트(20)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축전지(55)와, 외부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기판(50)이 장착되며, 상기 태양전지세트(20)와 연결되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30)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해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전원연결구(57)가 상기 바닥판(42)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앙카스크류(44)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햄머드릴을 이용하여 초벌구멍을 형성한다. 그 후 초벌구멍에 압착슬리브(62)를 삽입시키고, 상기 앙카스크류(44)를 해머드릴(60)을 이용하여 장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앙카스크류(44)를 이용한 지면삽입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위치에 초벌구멍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압착슬리브(62)를 초벌구멍에 끼워 넣고, 상기 바닥판(42)에 기판(50) 과 축전지(55)를 장착하고, 중앙부에 앙카스크류(44)를 해머드릴(60)을 이용하여 장착한다. 그 후 프레임(40)을 접착하고, 태양전지세트(20) 및 커버체(10)를 장착한다.
한편, 붙임형은 하부의 바닥판(42)에 나사, 양면테잎, 접착제, 영구자석체, 찍찍이 등을 이용하여 목재 또는 금속, 비금속 기둥상부와 건물, 구조물, 철탑 등의 표면 또는 상부, 선박의 경우 중앙 돛대 좌우 표면 또는 상부에 장착한다.
그 후 상기 태양전지세트(20) 및 커버체(10)를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에 일정 간격을 설치하며, 외부의 조도를 상기 기판(50) 상에 장착되어 있는 조도센서에 의해 센싱하여 일정 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30)가 발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축전지(55)는 상기 태양전지세트(20)에서 생성된 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0)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전원연결구(57)를 통해 간편하게 시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판(50)에는 무선수신회로가 장착되어 특별한 상황에서는 무선으로 발광다이오드(30)를 발광시킬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면 삽입형의 경우는 지주의 이중방사 조립형구조로 기존의 시멘트 모르타르 매입공정이 없이 핸드 브레이커 또는 해머 드릴로 천공용 드릴날을 장착하여 원추형 구멍을 뚫어주고, 그 후 다시 천공용 드 릴날을 제거한 후, 착탈지그를 장착 사용하므로 기존의 모르타르 공정을 이용한 시공법보다는 시공생산성 증대와 함께 인건비 등의 시공비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지면 삽입형에 있어 모래 및 흙먼지 등의 도로 이물질이 발광부위 또는 반사체 부위를 가리므로 인한 반사 또는 발광효과를 반감시켰으나 그 반사체 및 외곽표면부의 광촉매코팅으로 인한 친수, 방오 작용과 입방 삼각산 구조로 인해 그 이물질이 흡착 또는 쌓이지 않고 바람 또는 차량 등의 공기와류현상에 의해 비산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그 발광기능과 반사기능을 유지가능하다.
한편, 지면 삽입형의 경우 반사체 또는 렌즈부의 내부에 광 산란 효과를 위한 삼각 또는 다각형의 돌기 구조를 만들어줌으로 인한 빛의 확산이 용이하여 전반적으로 고른 광도를 보이며, 각 램프(LED, 형광등, 전구 등)의 동력원으로 일반 사용전원 및 태양전지를 선택 사용하여 그 응용성을 확장하고, 또한 각 센서(마그네틱, 초음파, 적외선, 조도센서 등)을 사용하여 원격 유무선 제어가 가능하다 .
또한 붙임형의 지주형 폴대를 활용한 보안등, 건물 층고표시램프, 선박의 좌우지시램프, 차량지붕 외부표시램프, 항만유도등, 공항유도등, 경고등, 방범등 등에 사용할 수 있게끔 찍찍이, 양면 테잎 또는 나사와 초강력 전자석 또는 자성체를 사용하는 고정방법으로 그 응용성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로면에 장착되는 표시램프에 있어서,
    상기 도로면에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과 연결되는 바닥판(42)과, 상기 바닥판(4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에 안착되고 내부에 태양전지세트(20)가 안착되는 커버체(10)와, 차량의 운전자 시야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체(10)의 양측면에는 투명체의 투명커버(35)와, 상기 태양전지세트(20)로부터 생성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커버체(10)의 상부면에 차량이 상부면을 지나갈 경우에 상기 태양전지세트(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파손방지턱(11, 12, 13, 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나사, 양면테잎, 접착제, 영구자석체, 밸크로 파스너 중에서 선택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장착위치에 형성된 초벌구멍에 삽입되는 압착슬리브(62) 와, 상기 압착슬리브(62)에 삽입되어 상기 압착슬리브(62)를 확장시키는 앙카스크류(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램프.
KR2020060007178U 2006-03-17 2006-03-17 표시램프 KR200418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78U KR200418184Y1 (ko) 2006-03-17 2006-03-17 표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78U KR200418184Y1 (ko) 2006-03-17 2006-03-17 표시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184Y1 true KR200418184Y1 (ko) 2006-06-07

Family

ID=4176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178U KR200418184Y1 (ko) 2006-03-17 2006-03-17 표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184Y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8B1 (ko) 2007-06-20 2007-11-23 주식회사 한라엠에스 발광부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
KR100977656B1 (ko) * 2009-06-08 2010-08-24 (주)티디엔지니어링 도로용 차선등
KR100996945B1 (ko) 2010-07-26 2010-11-29 고상준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09918B1 (ko) * 2010-08-02 2011-01-20 (주)한동알앤씨 태양 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025552B1 (ko) 2010-04-15 2011-03-28 박중원 발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이동을 표시하는 방법
KR101035738B1 (ko) 2011-02-24 2011-05-20 주식회사 문라이트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용 조명기구
KR101102065B1 (ko) * 2011-02-17 2012-01-04 (주)로드스톤 상측면이 평평한 표지병
KR200458221Y1 (ko) * 2009-09-08 2012-01-30 (주)성림중공업 태양전지를 이용한 데크 조명장치
KR101112997B1 (ko) 2010-01-22 2012-02-29 정종석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KR101161671B1 (ko) 2010-03-25 2012-07-03 금창준 충돌보호장치가 구비된 도로 표지병
KR101214403B1 (ko) 2010-06-22 2012-12-27 성호근 태양광 보도블록 장치
KR101754724B1 (ko) * 2016-11-01 2017-07-19 (주)엠파이브 태양광 도로표지병의 제어시스템
KR20200063674A (ko) * 2018-11-28 2020-06-05 손석영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KR20220115384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나루테크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8B1 (ko) 2007-06-20 2007-11-23 주식회사 한라엠에스 발광부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
KR100977656B1 (ko) * 2009-06-08 2010-08-24 (주)티디엔지니어링 도로용 차선등
KR200458221Y1 (ko) * 2009-09-08 2012-01-30 (주)성림중공업 태양전지를 이용한 데크 조명장치
KR101112997B1 (ko) 2010-01-22 2012-02-29 정종석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KR101161671B1 (ko) 2010-03-25 2012-07-03 금창준 충돌보호장치가 구비된 도로 표지병
KR101025552B1 (ko) 2010-04-15 2011-03-28 박중원 발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이동을 표시하는 방법
KR101214403B1 (ko) 2010-06-22 2012-12-27 성호근 태양광 보도블록 장치
KR100996945B1 (ko) 2010-07-26 2010-11-29 고상준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09918B1 (ko) * 2010-08-02 2011-01-20 (주)한동알앤씨 태양 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102065B1 (ko) * 2011-02-17 2012-01-04 (주)로드스톤 상측면이 평평한 표지병
KR101035738B1 (ko) 2011-02-24 2011-05-20 주식회사 문라이트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용 조명기구
KR101754724B1 (ko) * 2016-11-01 2017-07-19 (주)엠파이브 태양광 도로표지병의 제어시스템
KR20200063674A (ko) * 2018-11-28 2020-06-05 손석영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KR102200051B1 (ko) * 2018-11-28 2021-01-07 손석영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KR20220115384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나루테크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KR102459272B1 (ko) * 2021-02-10 2022-10-26 주식회사 나루테크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184Y1 (ko) 표시램프
US11227492B2 (en)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US20100098488A1 (en) Solar Powered Road Marker Light
JP6340537B2 (ja) 通行体の通行・移動区域に適した照明システム、照明灯及び照明方法
WO2008116949A1 (es) Dispositivo para la iluminación y/o delimitación de pasos de peatones
KR100813301B1 (ko) 가로등 기초 덮개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CN204611616U (zh) 一种节能发光装置
KR101017867B1 (ko) 돌출형 솔라 led 도로 표지병
KR101503035B1 (ko)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KR101564902B1 (ko)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435080Y1 (ko)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
KR200391900Y1 (ko) 태양광을 이용한 표지등
KR101251850B1 (ko) 도로 표지병 및 그 시공방법
KR102200051B1 (ko)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KR102019666B1 (ko) 엘이디 전구를 이용한 광시스템
KR200465502Y1 (ko) 압전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안개 유도등 시스템
KR101963896B1 (ko) 시선 유도등
KR200281822Y1 (ko) 볼라드
KR200272030Y1 (ko) 도로 안전표지 및 가로등 조명장치
KR20090035304A (ko) 자전거 표시판이 구비된 신호등
JPH11222824A (ja) 自発光式道路標識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