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25B1 -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 Google Patents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25B1
KR102650625B1 KR1020210069850A KR20210069850A KR102650625B1 KR 102650625 B1 KR102650625 B1 KR 102650625B1 KR 1020210069850 A KR1020210069850 A KR 1020210069850A KR 20210069850 A KR20210069850 A KR 20210069850A KR 102650625 B1 KR102650625 B1 KR 10265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ole
rope
communication
tele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065A (ko
Inventor
김대정
Original Assignee
김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정 filed Critical 김대정
Publication of KR2022013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주 안전 캡은 통신주 상단에 결합되는 캡 본체, 상기 캡 본체로부터 설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며,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적어도 하나의 줄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줄 걸이 몸체, 및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통신주 주변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SAFETY CAP FOR COMMUNICATION POLE WITH STREET LIGHT FUNCTION}
본 발명은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신주는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가설된 폴(pole)형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주는 통신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외부 요인으로 손상을 입거나 파손된 통신케이블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타고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등주 작업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등주 시작 전에 등, 하주용 줄을 설치하고, 등주 시작 전에 전주 작업용 사다리를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작업자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는 주상안전대와 보조죔줄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달리 작업자가 등, 하주 시에는 주상안전대 및 보조죔줄이 제거된 상태여서, 언제든지 작업자의 추락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추락방지용 줄을 걸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추가적인 편의 기능, 예를 들어 야간에 통신주 주변에 조명을 발광시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안전 확보는 물론, 통신주 주변을 밝히는 가로등의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87186호(이하, 선행문헌)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전주용 안전로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871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주 상부에 고정된 후 작업자가 360도 중 임의의 방향에서 줄을 걸어 위치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면서도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 캡의 기본적인 기능에 추가적으로 편의 기능, 예를 들어 야간에 통신주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어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주 안전 캡은 통신주 상단에 결합되는 캡 본체; 상기 캡 본체로부터 설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며,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적어도 하나의 줄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줄 걸이 몸체; 및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통신주 주변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신주 상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 홈을 가지며, 상기 캡 본체의 결합 시 상기 결합 홈으로 상기 통신주 상단이 삽입되어 착탈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신주 상단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캡 상단 몸체; 및 상기 원형의 캡 상단 몸체의 테두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제1 설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캡 하단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캡 하단 몸체의 내경 사이즈는, 상기 통신주 상단의 외경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 걸이 몸체는, 상기 캡 상단 몸체의 외곽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와 상기 캡 상단 몸체는 동일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내측과 상기 캡 상단 몸체의 외측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마련된 소정 크기의 줄 걸이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링 형상 줄 걸이 몸체와 상기 캡 상단 몸체 사이로 등주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줄이 통과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상부로 설정 높이를 두고 이격 배치하여 수평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면에 배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발광부재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줄 걸이 몸체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 몸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몸체는 상부 플레이트가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서 설정 높이를 두고 배치되도록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 몸체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 가장자리와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상부 사이로 직립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몸체는 4개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는 서로 90도의 중심각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과 줄 걸이 몸체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의 상단은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의 하단은 줄 걸이 몸체와 연결 몸체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재 등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는 복수의 지지 몸체 및 줄 걸이 몸체와 연결 몸체에 의해 캡 본체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 번 설치하면 반 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발광부재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배치되며 발광 시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외관 상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재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 셀을 말한다.
배터리는 상부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배터리는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며, 배터리의 상부에는 태양전지모듈이 위치하고, 배터리의 하부에는 발광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와 발광부재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는 상부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제1 배터리와 함께, 배터리 성능 강화를 위한 제2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제2 배터리는 삽입 몸체의 내부 홈을 통해 삽입 장착되는 원통형 배터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2 배터리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야간에 발광장치의 조명 동작 시 전원 공급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가로등 기능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발광장치는 광 확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확산 가이드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서 발광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는 구조로 전등갓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는 보호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 플레이트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위치하는 발광부재의 외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플레이트는 투명한 재질의 강화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줄 걸이 공간부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분할되어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로 분할된 줄 걸이 공간부 사이마다 연결 몸체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 걸이 공간부가 4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결 몸체는 상기 4개의 줄 걸이 공간부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어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는,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위치를 고정한다. 연결 몸체가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줄 걸이 공간부의 면적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어, 줄이 걸어지는 허용 범위를 더욱 넓혀 작업 범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몸체가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캡 본체와 줄 걸이 몸체 사이를 전 방향(예: 전, 후, 좌, 우 등)에서 견고하게 지지하여 줄 걸이 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줄 걸이 방향이 상기 캡 본체를 중심으로 360도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여 등주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 몸체는, 상기 캡 하단 몸체의 외주 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반대 편에 위치하며, 상기 줄 걸이 몸체의 내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몸체는, 상기 캡 하단 몸체의 길이 하단 지점, 상기 캡 하단 몸체의 길이 상단 지점,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형성 지점을 연결하는 직각 삼각형 플레이트 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는, 상기 캡 하단 몸체의 길이 하단 지점과 상기 제2 연결부의 형성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캡 하단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주 상단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홈일 수 있다.
상기 캡 하단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 홈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이 구비되고, 상기 캡 본체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체결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캡 본체와 상기 통신주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의 내부에서 상기 캡 하단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삽입 몸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 몸체는, 일단부는 상기 캡 상단 몸체의 하부 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캡 하단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통신주 상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캡 본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의 둘레 면과 상기 캡 하단 몸체의 내부 면 사이로 상기 통신주 상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는 상기 캡 하단 몸체보다 1.8 내지 2.2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 몸체는 통신주 상단의 내부로 삽입되고, 캡 하단 몸체는 통신주 상단의 외부에 덮어 결합됨으로써 캡 본체의 결합 시 캡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고, 캡 본체의 일정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캡 하단 몸체와 삽입 몸체로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는 복수의 줄 걸이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줄 걸이 위치고정부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에 걸린 줄의 원주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줄 걸이 위치고정부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중심각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줄 걸이 위치고정부 각각은 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 구속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줄 걸이 위치고정부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등주 작업을 위해 통신주 안전 캡에 걸어 둔 줄의 원주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줄 걸이 위치고정부 각각은 줄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상향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서 소정의 중심각을 두고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는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단면 방향으로 수평 형성된 제1 보강부재와, 상기 제1 보강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형성된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돌기는 삽입부를 이용하여 교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에 삽입되는 개수 및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손상 또는 파손 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돌기의 외주 면에는 슬립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립 방지부는 고정돌기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줄의 위치 고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의 원주 방향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주 전주 작업 시 추락방지를 위한 줄을 걸 수 있어 통신주 등, 하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캡 본체가 통신주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작업자는 원형의 캡 본체에 대해 360도 중 임의의 방향에서 줄을 걸어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함은 물론, 줄을 거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 및 조절 가능하여 작업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작업 위치의 정확성 및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 후 캡 본체와 통신주가 서로 틈새 없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어 캡 본체와 통신주 간의 유격이 방지되고, 줄을 걸어 위치 고정한 다음에는 줄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어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자의 안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 캡의 기본적인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이에 더하여 가로등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주 안전 캡의 줄 걸이 몸체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지지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발광부재를 배치시키고,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면에 태양전지모듈을 위치시키며, 상부 플레이트의 내측 또는 안전 캡 내부에 배터리 모듈을 내장 또는 탑재할 수 있다. 이로써, 주간에 태양광을 통해 충전시킨 전원을 이용하여 야간에 통신주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는 가로등 기능을 구현해 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들.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저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 걸이 위치 고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이용한 등주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및 정면 작업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이용한 등주 작업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및 정면 작업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통신주는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가설된 구조물을 말한다. 통신주는 통신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외부 요인으로 손상을 입거나 파손된 통신케이블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타고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등주 작업이라 한다. 작업자는 등주 전에 등, 하주용 생명 줄(이하, 간략히 줄이라 함)(10, 도 10 참조)을 설치하고, 등주 전에 작업용 사다리(20)를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는 주상안전대와 보조죔줄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등, 하주 시에는 주상안전대 및 보조죔줄이 제거된 상태여서, 작업자의 추락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줄을 걸 수 있는 통신주 안전 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 캡의 기본적인 기능에 추가적으로 편의 기능, 예를 들어 야간에 통신주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어 야간에 통행자의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의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그리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저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100)은 캡 본체(110), 줄 걸이 몸체(120), 연결 몸체(130), 및 발광장치(300)를 포함한다.
캡 본체
캡 본체(110)는 통신주(1, 도 10 참조)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본체(110)는 상기 통신주(1) 상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 홈(15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캡 본체(110)의 결합 시 상기 결합 홈(150)으로 상기 통신주(1) 상단이 삽입되어 착탈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 본체(110)는 캡 상단 몸체(111)와 캡 하단 몸체(113)를 포함한다. 캡 상단 몸체(111)는 상기 통신주(1, 도 10 참조) 상단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 하단 몸체(113)는 상기 원형의 캡 상단 몸체(111)의 테두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제1 설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캡 하단 몸체(113)의 내경 사이즈는 상기 통신주(1, 도 10 참조) 상단의 외경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 하단 몸체(113)는 통신주(1, 도 10 참조)의 상단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끼워 조립될 수 있다.
줄 걸이 몸체
줄 걸이 몸체(120)는 통신주(1, 도 10 참조)의 등주 작업 시 적어도 하나의 줄(10)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줄 걸이 몸체(120)는 캡 본체(110)로부터 설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 걸이 몸체(120)는 상기 캡 상단 몸체(111)의 외곽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줄 걸이 몸체(120)가 링 형상을 가짐에 따라, 등주 작업 시 작업자는 줄(10, 도 10 참조)을 거는 방향을 전 방향, 즉 360도 방향 중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의 향상 및 방향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와 상기 캡 상단 몸체(111)는 동일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줄 걸이 몸체(120)와 캡 본체(110) 간의 연결 구조가 안정적이며, 지지 강도가 향상되어 작업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내측과 상기 캡 상단 몸체(111)의 외측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마련된 소정 크기의 줄 걸이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링 형상 줄 걸이 몸체(120)와 캡 상단 몸체(111) 사이로 생명 줄(10)이 통과되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이 실제로 통과하는 줄 걸이 공간부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360도 방향 중 임의의 방향으로 줄을 걸어 등주 작업 시 이용할 수 있다.
발광장치
발광장치(300)는 상기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통신주(1) 주변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장치를 말한다.
발광장치(300)는 상기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로 설정 높이를 두고 이격 배치하여 수평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재(330)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장치(3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의 상부 면에 배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340)과, 상기 태양전지모듈(34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며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발광부재(330)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배터리(35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310)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310)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10)와 줄 걸이 몸체(120)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 몸체(32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몸체(320)는 상부 플레이트(310)가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서 설정 높이를 두고 배치되도록 상부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 몸체(320)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 가장자리와 상기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 사이로 직립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310)의 설치 자세를 유지시키며 상부 플레이트(310)의 결합 상태를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지지 몸체(320)는 4개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320)는 서로 90도의 중심각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과 줄 걸이 몸체(12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320)의 상단은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막대 형상 지지 몸체(320)의 하단은 줄 걸이 몸체(120)와 연결 몸체(130)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재(330) 등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310)는 복수의 지지 몸체(320) 및 줄 걸이 몸체(120)와 연결 몸체(130)에 의해 캡 본체(110)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며, 기상 및 외부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발광부재(330)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 배치되며 발광 시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외관 상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33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일반 전구 등이 이용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으며, 발광부재(330)의 배치 구조는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되어 이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34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 셀을 말한다. 태양전지 모듈(340)은 관용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셀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상기 태양전지모듈(34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발광부재(330)의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이하, 제1 배터리)(350)는 상부 플레이트(310)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배터리(350)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배터리(35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모듈(340)이 위치하고, 배터리(350)의 하부에는 발광부재(3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배터리(350)와 발광부재(330)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방향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착탈을 위한 개폐 도어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350)의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되거나 신품 배터리로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배터리(350)의 분리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재(330)와 배터리(350)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교체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터리(350)와 함께 안정적인 가로등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 성능 강화용으로서 추가 배터리(이하, 제2 배터리라 함)(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터리(360)는 삽입 몸체(170)의 내부 홈(180)을 통해 원통형 배터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제1, 2 배터리(350, 360)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야간에 발광장치(300)의 조명 동작 시 전원 공급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가로등 기능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확산 가이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광 확산 가이드(미도시)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서 발광부재(330)의 외곽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확산 가이드는 관용적으로 알려진 전등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확산 가이드는 발광부재(330)에서 방출된 광을 통신주(1)의 주변으로 광을 집중적으로 확산시켜 가로등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는 보호 플레이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 플레이트(미도시)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 위치하는 발광부재(330)의 외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투명한 재질의 강화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결 몸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100)은 연결 몸체(130)를 더 포함한다.
연결 몸체(130)는 상기 캡 본체(110)와 상기 줄 걸이 몸체(1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가로질러 캡 본체(110)와 줄 걸이 몸체(120)를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지지해주는 구성을 말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줄 걸이 공간부가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분할되어 마련되는 경우, 연결 몸체(130)는 상기 복수 개로 분할된 줄 걸이 공간부 사이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줄 걸이 공간부가 4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결 몸체(130)는 상기 4개의 줄 걸이 공간부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어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몸체(130)는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캡 본체(110)와 상기 줄 걸이 몸체(120)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줄 걸이 몸체(120)의 위치를 고정한다.
연결 몸체(130)가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캡 본체(110)와 상기 줄 걸이 몸체(120)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줄 걸이 공간부의 면적이 최대한 확장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줄 걸이 몸체(120)를 통해 줄(10, 도 10 참조)이 걸리는 허용 범위가 대폭 확장되어 줄 걸이 작업의 범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360도 방향 중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줄을 걸어 작업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수의 줄을 서로 다른 위치에 동시에 걸어 등주 작업에 사용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몸체(130)가 상기 줄 걸이 공간부를 통해 상기 캡 본체(110)와 상기 줄 걸이 몸체(120)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캡 본체(110)와 줄 걸이 몸체(120) 사이를 전 방향(예: 전, 후, 좌, 우 등)에서 견고하게 지지하여 줄 걸이 몸체(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줄 걸이 방향이 상기 캡 본체(110)를 중심으로 360도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여 등주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몸체(130)는 제1 연결부(131)와 제2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31)는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외주 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3)는 상기 제1 연결부(131)의 반대 편에 위치하며, 상기 줄 걸이 몸체(120)의 내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몸체(130)는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길이 하단 지점(또는 중간 지점)과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길이 상단 지점, 및 상기 제2 연결부(133)의 형성 지점을 연결하는 직각 삼각형 플레이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연결 몸체(130)는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길이 하단 지점(또는 중간 지점)과 상기 제2 연결부(133)의 형성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위치에 경사 연결된 경사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 걸이 몸체(120)에 걸린 줄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연결 몸체(130)는 줄 걸이 몸체(120)와 캡 본체(110) 사이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여 줄 걸이 몸체(120)의 굽힘 변형 또는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홈(150)은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주(1) 상단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홈일 수 있다.
그리고 캡 하단 몸체(113)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 홈(150)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14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홀(140)은, 캡 본체(110)가 통신주의 상단에 결합되는 경우, 체결 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멍으로서, 캡 본체(110)와 통신주 상단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삽입 몸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100)은 삽입 몸체(17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몸체(170, 도 3 참조)는 상기 결합 홈(150)의 내부에서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원형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몸체(170, 도 3 참조)는 일단부는 상기 캡 상단 몸체(111)의 하부 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캡 하단 몸체(113)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원형 관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삽입 몸체(170)는 상기 통신주(1) 상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캡 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170)는 원형 관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부는 캡 상단 몸체(111)의 하부 면에 연결됨에 따라,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내부 홈(180)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몸체(170)의 내부 홈(180)을 통해 원통형 배터리 형태를 갖는 제2 배터리(36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삽입 몸체(170)의 내부에는 캡 상단 몸체(111)와 평행을 이루어 단면 방향으로 연결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몸체(170)에 가해진 하중을 분산시켜 구조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 몸체(170)의 둘레 면과 캡 하단 몸체(113)의 내부 면 사이로 상기 통신주(1) 상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몸체(170)는 캡 하단 몸체(113)의 길이(L1, 도 3 참조)보다 1.8 내지 2.2배 긴 길이(L2, 도 3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몸체(170)는 통신주(1) 상단의 내부로 더 깊이 삽입되고, 캡 하단 몸체(113)는 통신주(1) 상단의 외부를 둘러 감싸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캡 본체(110)의 결합 시 캡 본체(110)의 유동을 방지하고, 캡 본체(110)의 일정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캡 하단 몸체(113)와 삽입 몸체(170)로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의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 걸이 위치 고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100)은 전술한 캡 본체(110), 줄 걸이 몸체(120), 연결 몸체(130), 및 발광장치(30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줄 걸이 위치 고정부(200)를 더 포함한다.
줄 걸이 위치 고정부
줄 걸이 위치 고정부(200)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줄 걸이 위치 고정부(200)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에 걸린 줄(10)의 원주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가 등주 작업 시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360도 방향 중 임의의 위치에 줄(10, 도 10 참조)를 걸어 연결하는 경우, 연결된 위치에서 줄(10, 도 10 참조)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줄(10, 도 10 참)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줄 걸이 위치 고정부(200)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중심각(aㅀ, 도 8 참조)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줄 걸이 위치고정부(200) 각각은 줄(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 구속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줄 걸이 위치 고정부(200)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어,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등주 작업을 위해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100)에 걸어 둔 줄의 원주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줄 걸이 위치고정부(200) 각각은 줄(10)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상향 돌출되는 고정돌기(20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201)는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의 상부에서 소정의 중심각을 두고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고정돌기(201)의 하부에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에 삽입되는 삽입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201)와 상기 삽입부(202) 사이에는 보강부(2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203)는 상기 고정돌기(201)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돌기(201)의 단면 방향으로 수평 형성된 제1 보강부재(2031)와, 상기 제1 보강부재(2031)의 중심에서 상기 삽입부(202)의 내부로 상기 삽입부(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형성된 제2 보강부재(20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돌기(201)는 삽입부(202)를 이용하여 교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120)에 삽입되는 개수 및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손상 또는 파손 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돌기(201)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고정돌기(201)의 외주 면에는 슬립 방지 코팅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립 방지 코팅부(204)는 고정돌기(201)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줄(10)의 위치 고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10)의 원주 방향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이용한 등주 작업 과정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이용한 등주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작업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이용한 등주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 작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주(10)는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가설된 구조물을 말한다. 통신주(10)는 하단은 지면(3)에 고정되고 상단은 소정 높이만큼 지면(3)에서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통신주(10)는 통신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그 밖의 수리 교체 등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통신주(10)의 상단까지 올라가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를 등주 작업이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100)은 통신주(10) 상단에 결합된다.
등주 시작 전에는, 줄(즉, 생명 줄)(10)을 설치한다. 줄(10)은 복수의 고정고리(11, 13)를 이용하여 설치 가능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줄 걸이 몸체(120)를 이용하여 360도 방향 중 작업에 필요한 방향으로 줄(10)을 걸어 하나의 고정고리(13)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주(10)와 지면(3) 사이로 경사지게 사다리(20)가 설치될 수 있다. 사다리(20)와 통신주(10) 사이로는 복수의 로프(31, 33, 35)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프(31)는 사다리(20)의 제1 위치의 양단에 고정되어 사다리(20)의 제1 위치와 통신주(10)의 제1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사다리(20)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3 로프(33, 35)는 사다리(20)의 제1 위치 일단 및 타단에 고정되고, 통신주(10)의 제1 위치보다 상부를 감은 후 사다리(20)의 제1 위치보다 상부인 사다리(20)의 제2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로프(31)와 줄(10)을 하부 고정고리(13)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줄(10)을 줄 걸이 몸체(120)와 하부 고정고리(13) 사이에서 수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을 이용한 등주 작업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및 정면 작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고정고리(13)를 사다리(20)에 직접 연결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편의에 따라, 하부 고정고리(13)를 사다리(20)에 직접 묶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주 안전 캡(100)에는 발광장치(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야간에는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통신주 주변을 밝게 광을 조사함으로써 가로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통신주 전주 작업 시 추락방지를 위한 줄을 걸 수 있어 통신주 등, 하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캡 본체가 통신주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작업자는 원형의 캡 본체에 대해 360도 중 임의의 방향에서 줄을 걸어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함은 물론, 줄을 거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 및 조절 가능하여 작업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작업 위치의 정확성 및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 후 캡 본체와 통신주가 서로 틈새 없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어 캡 본체와 통신주 간의 유격이 방지되고, 줄을 걸어 위치 고정한 다음에는 줄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어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자의 안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 캡의 기본적인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이에 더하여 가로등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의 줄 걸이 몸체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지지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발광부재를 배치시키고,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면에 태양전지모듈을 위치시키며, 상부 플레이트의 내측 또는 안전 캡 내부에 배터리 모듈을 내장 또는 탑재할 수 있다. 이로써, 주간에 태양광을 통해 충전시킨 전원을 이용하여 야간에 통신주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는 가로등 기능을 구현해 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통신주
3: 지면
10: 줄(또는 생명 줄)
11: 상부 고정고리
13: 하부 고정고리
20: 사다리
31: 제1 로프
33: 제2 로프
35: 제3 로프
100: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110: 캡 본체
111: 캡 상단 몸체
113: 캡 하단 몸체
120: 줄 걸이 몸체
130: 연결 몸체
131: 제1 연결부
133: 제2 연결부
135: 경사부
140: 체결 홀
150: 결합 홈
170: 삽입 몸체
180: 내부 홈
200: 줄 걸이 위치고정부
201: 고정돌기
202: 삽입부
203: 보강부
204: 슬립 방지부
300: 발광장치
310: 상부 플레이트
320: 지지 몸체
330: 발광부재
340: 태양전지모듈
350: 제1 배터리
360: 제2 배터리

Claims (10)

  1. 통신주 상단에 결합되는 캡 본체;
    상기 캡 본체로부터 설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며, 통신주 등주 작업 시 적어도 하나의 줄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줄 걸이 몸체; 및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통신주 주변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신주 상단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캡 상단 몸체; 및 상기 원형의 캡 상단 몸체에 연장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캡 하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줄 걸이 몸체는, 상기 캡 상단 몸체의 외곽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내측과 상기 캡 상단 몸체의 외측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크기의 줄 걸이 공간부가 마련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통신주 상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 홈을 가지며,
    상기 캡 본체의 결합 시 상기 결합 홈으로 상기 통신주 상단이 삽입되어 착탈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관 형상의 캡 하단 몸체는, 상기 원형의 캡 상단 몸체의 테두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제1 설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줄 걸이 몸체의 상부로 설정 높이를 두고 이격 배치하여 수평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재;
    를 포함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면에 배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발광부재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줄 걸이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
    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의 상부에는 복수의 줄 걸이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줄 걸이 위치고정부는,
    상기 링 형상의 줄 걸이 몸체에 걸린 줄의 원주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캡 하단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주 상단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홈이며,
    상기 캡 하단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 홈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이 구비되고,
    상기 캡 본체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체결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캡 본체와 상기 통신주 상단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의 내부에서 상기 캡 하단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삽입 몸체;
    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KR1020210069850A 2021-03-24 2021-05-31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KR102650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7666 2021-03-24
KR1020210037666 2021-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65A KR20220133065A (ko) 2022-10-04
KR102650625B1 true KR102650625B1 (ko) 2024-03-22

Family

ID=836001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805A KR20220133059A (ko) 2021-03-24 2021-04-21 통신주 안전 캡
KR1020210055719A KR102619124B1 (ko) 2021-03-24 2021-04-29 통신주 등주 작업 방법
KR1020210069850A KR102650625B1 (ko) 2021-03-24 2021-05-31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805A KR20220133059A (ko) 2021-03-24 2021-04-21 통신주 안전 캡
KR1020210055719A KR102619124B1 (ko) 2021-03-24 2021-04-29 통신주 등주 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2013305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186B1 (ko) * 2012-05-07 2012-10-02 (주)협신통신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CN205287306U (zh) * 2015-12-29 2016-06-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清市供电公司 一种新型变电检修安全带悬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5095B1 (en) * 2002-07-09 2004-02-24 Gary J. Franke Fall protection restraint apparatus
KR200468885Y1 (ko) * 2011-08-29 2013-09-06 주식회사 페코에너지코리아 하이브리드 가로등
KR102296321B1 (ko) * 2019-07-24 2021-09-01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186B1 (ko) * 2012-05-07 2012-10-02 (주)협신통신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CN205287306U (zh) * 2015-12-29 2016-06-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清市供电公司 一种新型变电检修安全带悬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59A (ko) 2022-10-04
KR102619124B1 (ko) 2023-12-29
KR20220133065A (ko) 2022-10-04
KR20220133060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315B2 (en) Landscape lighting assembly having a cylindrical gobo
KR100920757B1 (ko) 등명기에 사용되는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등명기
US11525225B2 (en) Structural cable having an inner housing
US20090002978A1 (en) Linear lighting system having a spinal structure and an optical system separately installable thereon
KR102650625B1 (ko)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EP2796774A1 (en) Mast equipped with photovoltaic cells
KR101180049B1 (ko) 교량용 엘이디 경관조명장치
CN110130223A (zh) 一种景观照明拉索
KR101163597B1 (ko) 안전 난간 기둥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CN212273837U (zh) 一种简易安装的led路灯
CN107883300A (zh) 一种高杆灯结构
ITRM20000172A1 (it) Torre faro dotata di stazione radio base per telefonia mobile.
US20170030563A1 (en) Retrofitting system for pole mounted light fixtures
CN107525047A (zh) 一种led筒灯的组装结构
JP4226631B2 (ja) 屋外用照明器具、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灯
KR20200001358U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CN215636922U (zh) 市政道路用安全路灯
CN214745560U (zh) 一种路灯灯杆固定装置
CN218820227U (zh) 一种具有避雷功能的节能led路灯
GB2411684A (en) Collar member for road furniture
KR20210039254A (ko) 견고성을 향상 시킨 안전 난간
WO2019061003A1 (es) Poste para antena de transmisión inalámbrica y método para su colocación
CN209165145U (zh) 一种带有防护壳体的景观照明灯
CN218762889U (zh) 一种鸟类友好的户外景观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