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284B1 -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284B1
KR101275284B1 KR1020110114236A KR20110114236A KR101275284B1 KR 101275284 B1 KR101275284 B1 KR 101275284B1 KR 1020110114236 A KR1020110114236 A KR 1020110114236A KR 20110114236 A KR20110114236 A KR 20110114236A KR 101275284 B1 KR101275284 B1 KR 10127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optical fiber
evacuation
rotar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303A (ko
Inventor
김진호
이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주식회사 동서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주식회사 동서기연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1011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2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94Fibers, ligh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어느 한쪽 끝단부는 광원의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가 되고, 다른 쪽 끝단부는 수광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가 되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에 형성된 발광부는 대피장소를 지시하도록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감전의 우려가 없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EMERGENCY GUIDE USING OPTICAL FIBER}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장소(비상구나 안전룸 등)를 빠르게 인지시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 빛이 유입되기 어려운 지하시설물이나 대형 쇼핑센터와 같은 시설에는 필수적으로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여야 한다.
이것은 비상구를 통한 빠른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인명 피해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용 조명 장치와는 별도로 비상 대피 유도용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027686호에는 대피유도용 조명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비상 대피 유도용 조명 장치는 일반용 조명 장치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비상상황에서 점등되는데, 화재 또는 자연재해로 인해 연기 및 매연이 건축물 내부에 가득차는 상황에서 그 기능을 온전히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 장치도 안출되었다.
엘이디 조명은 밝은 빛을 발광하는 장점이 있으나 그 특성상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또, 대형 시설물의 경우에 설치해야 할 비상 대피 유도용 조명 장치의 수도 많아지므로 설치 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유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지하시설물이나 쇼핑센터와 같은 건축물에는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었지만 차량의 소통 등을 위한 터널에는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었다.
최근 길이가 수킬로미터에 이르는 대형 터널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에서 터널에서의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조명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은 대형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02768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하여 경제적일 뿐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안전성이 우수하고, 터널 내에 설치되어 평소 터널 내의 구조를 인지시키는 조명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빛이 점멸과 점등을 반복하여 깜빡이거나 발광되는 빛의 색상 변화를 주어 대피장소를 신속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쪽이 끝단부가 광원의 빛을 받아들이도록 설치되고 다른 한쪽 끝단부가 수광된 빛을 발산하도록 된 광섬유를 복수 개 구비하되 각각의 광섬유가 갖는 발광부가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하여 경제적일 뿐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안전성이 우수하고, 터널 내에 설치하여 평소 터널 내의 구조를 인지시키는 조명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장치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어느 한쪽 끝단부는 광원의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가 되고, 다른 쪽 끝단부는 수광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가 되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에 형성된 발광부는 터널 내에서 대피장소를 지시하도록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별도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한 개의 광원으로부터 복수 개의 광섬유가 빛을 받아 발광하고, 이러한 발광을 통해 대피장소를 인지시키는 것이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감전의 우려가 없는 광섬유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것이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 광섬유는 반영구적이라고 할 정도로 수명이 매우 길어 본 발명의 장치는 그 수명이 매우 긴 특징이 있다.
또, 광섬유는 비교적 가늘고 길이가 길어도 빛을 발산이 원활하며, 누전이나 감전의 우려가 없으므로 터널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터널 내에 설치하여 평소 터널 내의 구조를 인지시키는 조명으로 사용되다가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과 광섬유의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베이스판의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의 폭으로 빛을 차단하는 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변환부를 갖는 회전필터를 회전시켜 광섬유의 발광부가 낌빡이도록 할 수 있는 경우 대피장소를 더욱 신속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과 광섬유의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베이스판의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의 폭으로 베이스판과 색상이 다르면서 빛이 투과되는 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변환부를 갖는 회전필터를 회전시켜 광섬유의 발광부가 발산하는 빛의 색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경우 대피장소를 더욱 신속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의 개략도
도 2는 터널 내에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광섬유의 발광부가 벽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광섬유의 발광부가 바닥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회전필터를 갖는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전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변환부가 일측에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수광부가 원주를 그리면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장소로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비상상황 발생시에 빛을 발산하여 대피장소를 인지시키고, 이를 통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장치인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안전성이 우수하고, 터널 내에 설치되어 평소 터널 내의 구조를 인지시키는 조명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비상대피 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광섬유가 일측 단부를 통해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고, 타측 단부가 빛을 발산하여 대피장소를 인지시키도록 한다.
광섬유는 그 특성상 일측 단부로 유입된 빛을 타측 단부를 통해 발산하는 특성이 있으며, 그 과정에 별도의 에너지원이 요구되지 않는 특성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광섬유(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광섬유(10)의 어느 한쪽 끝단부는 광원의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1)가 되고, 다른 쪽 끝단부는 수광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가 된다.
또, 복수 개의 광섬유(10)에 형성된 발광부(12)는 터널 내에서 대피장소를 지시하도록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지점마다 복수 개의 발광부(12)가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광섬유다발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임)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섬유(10)는 플라스틱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는데, 플라스틱 광섬유는 고순도 아크릴 레진(PMMA : poly methylmethacrylate)으로 된 코어(core)와 특수 불소 폴리머(F-PMMA : fluorinated poly methylmethacrylate)로 만들어진 얇은 클래드(clad) 층으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얇은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광섬유(10)는 발광부(12)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그 길이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한 개의 광원에 광섬유(10)가 13가닥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인데 발광부(12)의 위치가 광원에서 가까운 지점에 놓일수록 광섬유(10)의 길이가 짧은 형태이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광원을 사용하며, 광섬유(10)의 수광부(11)는 광원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발광부(12)는 대피유도를 위해 빛을 발산하려는 지점에 위치시키며, 광원이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것 외에 별도의 전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감전의 우려가 없다.
즉,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하여 전선의 연결이 길게 요구되는 구조에 비하여 구성이 단순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하며, 설치도 용이하고, 감전의 우려도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광섬유(10)의 발광부(12)는 터널이나 건축물 등의 설치장소 바닥, 벽, 천장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광섬유(10)의 발광부(12)는 터널이나 건축물 내부에 구비된 시설물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섬유(10)의 발광부(12)는 몸체(21), 고정수단(22), 커버(23)로 이루어진 발광부설치수단(23)에 의해 바닥, 벽, 천장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21)는 터널의 바닥, 벽, 천장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내부에 광섬유(10)의 발광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다.
고정수단(22)은 몸체(21)와 결합되어 광섬유(10)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광섬유(10)가 억지끼워맞춤되는 홈이나 홀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커버(23)는 몸체(21)에 삽입된 발광부(12)의 전방에 위치되어 발광부(12)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현된다.
이러한 커버(23)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발광부(12)를 보호하여 비상 상황에서도 발광부(12)에 의한 조명 장치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발광부설치수단(20)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반구형의 커버(23)를 가지며 벽체에 설치되는 예이고, 도 4는 평형한 형태의 커버(23)를 가지며 바닥에 설치되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몸체(21) 중 커버(23)의 하부 지점에는 발광부(12)에 의해 발산된 빛이 반사되도록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빛반사면이 형성되어 있거나(도 4 참조), 빛을 반사하는 물질이 내벽에 위치되어 빛반사면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긴급상황이 아닐 경우에도 빛을 발산하여 내부 구조물의 형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를 터널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즉, 터널의 내부는 어두우므로 발광부(12)를 통해 터널 내의 형태 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 비상상황이 아닐 경우에는 발광부(12)의 빛 발산 형태에 변화가 없도록 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발광부(12)의 빛 발산 형태가 변하여 대피장소의 인지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상상황에서 대피장소의 인지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발광부(12)의 빛 발산 형태에는 발광부(10)가 깜빡이는 형태와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변하는 형태가 있다.
발광부(12)가 깜박이는 형태에 있어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광부(12) 중 대피장소에 가까운 발광부(12)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면서 깜빡이는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
또, 발광되는 빛의 색상 변화를 주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발광부(12) 중 대피장소에 가까운 발광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
즉, 특정 색상의 빛이 대피장소로 이동되면서 발산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비상상황 발생시 특히, 화재 발생시에는 발광부(12)의 기본 발광 색상과 다른 색상이 발광되도록 하는데 이때 기본 발광색상과 다른 발광색상은 초록색 계열의 색이 되도록 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12)의 빛 발산 형태의 변화를 주기 위한 구조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변환부(32)를 갖는 회전필터(30)와 필터회전수단(40)이 구비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회전필터(30)는 도 6과 같이 광원(1)과 광섬유(10)의 수광부(11)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베이스판의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의 폭으로 빛을 차단하는 물질 또는 베이스판과 색상이 다르면서 빛이 투과되는 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변환부(32)를 갖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 필터회전수단(40)은 회전필터(30)를 회전시키는 감속기 등을 갖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즉, 변환부(32)가 빛을 차단하는 물질(페인트나 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일 때 광섬유(10)의 수광부(11)와 광원(1) 사이에 회전필터(30)의 변환부(32)가 아닌 부분이 위치될 때는 광섬유(10)로 빛이 수광되어 발광부(12)를 통한 빛이 발산된다.
그러나 변환부(32)가 광원(1)과 광섬유(10)의 수광부(11) 사이에 위치될 경우 수광부(11)로의 빛이 유입되지 않아 발광부(12)를 통한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회전필터(30)의 회전은 발광부(12)의 깜빡임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변환부(32)가 베이스판과 색상이 다르면서 빛이 투과되는 물질(페인트나 셀로판 테잎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일 때 변환부(32)가 광원(1)과 특정 광섬유(10)의 수광부(11) 사이에 위치될 경우 변환부(32)의 앞쪽에 위치된 광섬유(10)의 수광부(11)는 변환부(32)의 앞쪽에 위치되지 않은 광섬유(10)의 수광부(11)와 다른 빛을 받아들인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회전필터(30)의 회전은 발광부(12)가 발산하는 빛의 색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데 발광부(12)의 빛이 단순히 깜빡거리는 것이 아니라 대피장소 방향으로 진행(예를 들면 도 5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깜빡이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대피장소를 인지시키는 효과가 더 우수하다.
또, 발광부(12)를 통해 발광되는 빛의 색상 변화를 주는 경우에도 대피장소 방향으로 특정 색상이 진행(예를 들면 도 5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가 되도록 변화를 주는 것이 대피장소를 인지시키는 효과가 더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깜빡임이나 색상의 변화가 두드러져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수광부(11)가 원주를 그리면서 배열되어 있되 수광부(11)와 연결된 발광부(12)가 대피장소에 가깝거나 먼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회전필터(30)의 회전에 의해 변환부(32)가 회전되면서 수광부(11)의 전방을 경유하도록 하되 수광부(11)의 배열 순서를 따라 경유하게 하는 것이다.
도 6은 변환부(32)가 회전필터(30)의 여러 지점에 복수 개 형성된 형태이고, 도 7은 변환부(32)가 회전필터(30)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 형태이다.
전술한 구조에서 회전필터(30)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수단(40)은 화재감지기(2)나 비상상황 알림부가 비상상황임을 알릴 때 구동되도록 연동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비상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빛의 깜빡임이나 색상의 변화 없이 단순히 빛을 발산하고 있는 상태이고,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회전필터(30)의 회전에 의해 빛의 깜빡임 또는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필터(30) 및 필터회전수단(40)이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일 경우 하우징은 투명한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는, 설치장소인 건물이나 터널 등의 주전원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되 주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도 필터회전수단(40) 등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광섬유(10)의 발광을 위한 광원(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에도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의 용량은 비상상황발생시 대피유도용 조명장치와 광원을 30분 이상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피유도용 조명장치가 터널 내에 설치되는 것일 때 광원은 터널의 내부를 밝히기 위해 설치된 조명이 되도록 할 수 있다.
1. 광원
2. 화재감지기
10. 광섬유
11. 수광부
12. 발광부
20. 발광부설치수단
21. 몸체
22. 고정수단
23. 커버
30. 회전필터
32. 변환부
40. 필터회전수단

Claims (7)

  1.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장소를 빠르게 인지시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쪽 끝단부는 광원(1)의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1)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1)가 되고, 다른 쪽 끝단부는 수광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가 되며, 상기 발광부(12)는 대피장소를 지시하도록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광섬유(10);
    상기 광원(1)과 광섬유(10)의 수광부(11)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베이스판의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의 폭으로 빛을 차단하는 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변환부(32)를 갖는 회전필터(30); 및
    상기 회전필터(30)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수단(40);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필터(30)를 회전시켜 광섬유(10)의 발광부(12)가 낌빡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설치장소의 바닥, 벽, 천장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광섬유(10)의 발광부(12)가 삽입되는 몸체(21);
    상기 몸체(21)와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2); 및
    상기 몸체(21)에 삽입된 발광부(12)의 전방에 위치되어 발광부(12)를 보호하는 커버(2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광부(11)가 원주를 그리면서 배열되어 있되 연결된 발광부(12)가 대피장소에 가깝거나 먼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4.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장소를 빠르게 인지시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쪽 끝단부는 광원(1)의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1)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1)가 되고, 다른 쪽 끝단부는 수광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가 되며, 상기 발광부(12)는 대피장소를 지시하도록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광섬유(10);
    상기 광원과 광섬유(10)의 수광부(11)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베이스판의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의 폭으로 베이스판과 색상이 다르면서 빛이 투과되는 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변환부(32)를 갖는 회전필터(30);
    상기 회전필터(30)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수단(40);
    설치장소의 바닥, 벽, 천장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광섬유(10)의 발광부(12)가 삽입되는 몸체(21);
    상기 몸체(21)와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2); 및
    상기 몸체(21)에 삽입된 발광부(12)의 전방에 위치되어 발광부(12)를 보호하는 커버(2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필터(30)를 회전시켜 광섬유(10)의 발광부(12)가 발산하는 빛의 색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5.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장소를 빠르게 인지시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쪽 끝단부는 광원(1)의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1)에서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1)가 되고, 다른 쪽 끝단부는 수광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가 되며, 상기 발광부(12)는 대피장소를 지시하도록 대피장소를 향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광섬유(10);
    상기 광원과 광섬유(10)의 수광부(11) 사이에 위치되고,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되는 베이스판의 회전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의 폭으로 베이스판과 색상이 다르면서 빛이 투과되는 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변환부(32)를 갖는 회전필터(30); 및
    상기 회전필터(30)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필터(30)를 회전시켜 광섬유(10)의 발광부(12)가 발산하는 빛의 색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광부(11)가 원주를 그리면서 배열되어 있되 연결된 발광부(12)가 대피장소에 가깝거나 먼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전수단(40)은 화재감지기(2)에 의한 화재 감지시나 비상상황 알림부 작동시에 회전필터(3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KR1020110114236A 2011-11-04 2011-11-04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KR10127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36A KR101275284B1 (ko) 2011-11-04 2011-11-04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36A KR101275284B1 (ko) 2011-11-04 2011-11-04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03A KR20130049303A (ko) 2013-05-14
KR101275284B1 true KR101275284B1 (ko) 2013-06-17

Family

ID=4866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236A KR101275284B1 (ko) 2011-11-04 2011-11-04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134B1 (ko) 2013-05-31 2015-01-07 김진호 Led와 광섬유를 융합한 비상대피 유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96B1 (ko) * 2021-11-12 2022-10-12 주식회사 다온에디션 발광형 사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971A (ja) * 1991-09-06 1993-03-19 Fuji Seiki Kk 駆動機構、及び弁の開閉駆動機構
KR200397976Y1 (ko) * 2005-05-19 2005-10-12 주식회사 위너즈 광섬유 조명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드레일
KR20100025834A (ko) * 2008-08-28 2010-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장치
JP2010217361A (ja) * 2009-03-16 2010-09-30 Hochiki Corp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971A (ja) * 1991-09-06 1993-03-19 Fuji Seiki Kk 駆動機構、及び弁の開閉駆動機構
KR200397976Y1 (ko) * 2005-05-19 2005-10-12 주식회사 위너즈 광섬유 조명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드레일
KR20100025834A (ko) * 2008-08-28 2010-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장치
JP2010217361A (ja) * 2009-03-16 2010-09-30 Hochiki Corp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134B1 (ko) 2013-05-31 2015-01-07 김진호 Led와 광섬유를 융합한 비상대피 유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03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0840A1 (en) Integration of LED Lighting Control with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s
KR20120088371A (ko) 비상 피난 유도용 조명 장치
KR101275284B1 (ko)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KR101480134B1 (ko) Led와 광섬유를 융합한 비상대피 유도시스템
KR20110003107U (ko) 비상구 안내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0884394B1 (ko) 광도파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KR101216225B1 (ko) 복수개의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 대피 유도용 조명 장치
KR20140141036A (ko) Led와 광섬유를 융합한 비상 대피 유도용 조명제어 장치
KR200439100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KR101381400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KR101934387B1 (ko) 비상유도등 시스템
JP4740727B2 (ja) 照明器具
ITMI982207A1 (it) Apparecchio per illuminazione di sicurezza
CN105627175A (zh) 一种救生照明线
JP2011049076A (ja) 照明灯装置
KR101451077B1 (ko) 비상시 휴대가 용이한 조명기구
CN203907459U (zh) 带补光灯的漫射装置和导光管采光装置的辅助照明结构
JP7340844B2 (ja) 点検動作の自動的な開始が可能な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482744Y1 (ko)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KR20090009481U (ko) 가스시설 작업등
CN103672722B (zh) 一种建筑物照明及标识系统
KR100986855B1 (ko) 내부 발광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
CN211716355U (zh) 一种楼梯照明设备
CN106122790A (zh) 一种能增加照射距离的led灯具
RU54653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освет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