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400B1 -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 Google Patents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400B1
KR101381400B1 KR1020120082634A KR20120082634A KR101381400B1 KR 101381400 B1 KR101381400 B1 KR 101381400B1 KR 1020120082634 A KR1020120082634 A KR 1020120082634A KR 20120082634 A KR20120082634 A KR 20120082634A KR 101381400 B1 KR101381400 B1 KR 10138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ver
housing
evacuation
fitting groov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018A (ko
Inventor
이인형
Original Assignee
일신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신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4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에 관한 것으로,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일측면에 결합되는 박스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LED가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안치부에 설치되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위로 확산시키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내부가 중공된 표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원기둥의 형태를 갖는 집광 렌즈가 적용되어 LED에서 조사된 빛을 균일한 휘도로 확산시켜 표시커버로 조사할 수 있으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표시커버의 테두리를 투과하여 대피자가 어느 방향에서든 표시커버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EMERGENCY EXIT LAMP AND SIGN COVER}
본 발명은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기둥의 형태를 갖는 집광 렌즈가 적용되어 LED에서 조사된 빛을 모아 직진방향으로 표시커버에 조사시켜 규범에 정해진 휘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표시커버를 투과되도록 하여 대피자가 전후, 좌우, 저면의 어느 방향에서든 표시커버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시 사람을 대비시키기 위한 유도등은 피난 유도등과 통로 유도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피난 유도등은 비상시 탈출 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통로 유도등은 사람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도통로, 거실통로 등에 설치되어 비상시 대피 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도등은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대피자에게 방향과 대피장소를 용이하게 알려주고 대피자를 그 방향으로 유도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유도등은 대피자가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높은 시인성이 요구되며 위급상황 발생시 비상용 배터리에 의해 장시간 동안 점등될 수 있도록 저전력 소모성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유도등은 벽면에 설치되는 것과, 바닥에 설치되는 것 및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있으며, 건물, 지하철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비상시에 사람들이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특히, 천장에 설치되는 유도등은 일정간격을 두고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통행에 방해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행하는 또는 대피시에 우수한 시인성을 갖기 때문에 효과적인 유도 역할을 수행하기는 하나 천장에 설치하기 위해 홀더와 표시부 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도등 중 표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도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유도등은 제 1 표시커버(112a)와 제 2 표시커버(112b)의 내부에는 제 1 도광판(114a), 반사판(115), 제 2 도광판(114b)이 중첩된 상태로 삽입되는 한편, 상부에는 LED(119a)가 내삽 되는 LED홀더(119)가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표시커버(112a)(112b)의 좌, 우측면에는 걸림구(116a)를 갖는 측면틀(116)이, 하부면에는 저면틀(118)이 에워 쌓으며 결합되는 표시부(110)와, 저면 중앙에 상기 표시부(11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끼움홈(122)이 형성되고, 그 양쪽에 상기 측면틀(116)의 걸림구(116a)가 걸림 될 수 있게 하는 텐션걸림구(124)가 형성되는 홀더(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도등은 도광판(114a)(114b)과 반사판(115)이 삽입되는 표시커버(112a)(112b)의 둘레가 측면틀(116)과 저면틀(118)에 지지되어 표시부(110)의 조립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도등은 LED(119)에서 발산되는 빛이 측면틀(116)과 저면틀(118)에 차단되어 표시부(112)의 측면과 저면으로 조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건물 화재시와 같은 자욱한 연기에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종래의 유도등은 표시부(112)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서 LED(119)의 발광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하지만 표시부(112)의 측면과 저면에서는 LED(119)의 발광을 볼 수 없어 대피자의 신속한 피난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유도등은 표시부(112)의 내부에 고가의 도광판(114)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도등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도광판(114)은 LED(119)에서 발산된 빛을 제 1 및 제 2 표시커버(112a)(112b)의 전면으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도광판(114)은 제조가 까다로워 부품가격이 비싸 유도등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며, 도광판(114)의 설치시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흠집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요구하기 때문에 유도등의 신속한 조립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도광판(114a)(114b) 사이에 반사판(115)이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의 추가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판(114a)(114b)과 반사판(115)이 제 1 및 제 2 표시커버(112a)(112b)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 시중에 유통되는 유도등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2개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1개의 도광판을 사용하되 도광판 양면에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부를 형성하고 도광판을 지지하기 위해 "U"자형 지지틀에 끼워 설치하게 됨으로 빛이 하향의 수직방향으로 조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틀에 끼워 도광판을 설치할 경우 유도등의 빛이 지지틀에 가려져 통로의 바닥을 비추지 못하고 양면으로 빛이 확산됨으로 바닥에 원하는 조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등의 조도는 2m 높이의 천장에 유도등을 설치한 후 바닥에 비춰지는 빛의 중점으로부터 반경 50㎝ 범위의 밝기를 측정한 값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테두리가 지지틀에 고정되도록 도광판이 설치된 유도등은 양면의 휘도는 밝으나, 천장에서 바닥으로 비추는 밝기는 어둡기 때문에 통로 유도 등으로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541호(2009.3.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LED에서 발산되는 빛이 측면틀과 저면틀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표시부의 전방위에 걸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집광 렌즈를 구성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가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광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LED에서 발산되는 빛이 집광 렌즈에 모아진 후 표시부의 양면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빛을 바닥까지 멀리 전달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등에 설치되어 비상구의 위치나 대피 동선이 표시되는 표시커버를 결합되는 한짝 중 어느 일면의 표시커버만 제조하여 반쪽으로 이루어진 2개의 표시커버를 결합하면 하나의 유도등 표시커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표시커버 제조를 위한 금형비용 절감과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표시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일측면에 결합되는 박스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LED가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안치부에 설치되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위로 확산시키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내부가 중공된 표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광 렌즈는 상기 LED와 밀착되도록 상기 안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 렌즈는 기둥의 형상을 갖되 그 단면이 원형, 반원형, 사다리꼴, 내측에 동심원을 갖는 홈이 형성된 반원형, 내측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된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과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연부에 후크의 형상을 갖는 제 1 탄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지편과 대응하는 제 1 체결 홀이 고정판의 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탄지편이 제 1 체결 홀에 삽입되어 고정판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표시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끼움홈에 제 2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 홀에 삽입되는 후크의 형상을 갖는 제 2 탄지편이 표시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커버가 끼움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움홈의 길이에 비해 작은 길이를 갖는 제 2 표시커버가 마련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끼움홈에는, 상기 제 2 표시커버가 하우징의 끼움홈에 끼워졌을 때 상기 끼움홈과 제 2 표시커버 사이를 채우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부에 LED가 설치되고 천장에 고정된 하우징의 끼움홈에 끼워져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켜 재난 발생 시 대피자에게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표시커버에 있어서, 표시커버는 좌우 반체로 이루어져 반체가 마주하여 결합될 때 마주하는 부분이 중공되어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정면 커버와 배면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정면 커버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후크 형상을 갖는 제 3 탄지편과 제 3 체결 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 커버는 정면 커버와 점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피난 유도등은,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표시커버의 정면과 배면뿐만 아니라 표시커버의 측면 둘레로 투과되기 때문에 대피자가 표시커버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에서 보든 표시커버가 밝게 빛나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대피자를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소방용 피난 유도등은 LED에서 조사되는 빛이 표시커버의 직하부에 위치한 바닥 부근을 환하게 비추기 때문에 통로를 찾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은 기둥의 형태를 갖는 집광 렌즈가 LED와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도광판이 차지하는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유도등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도록 조도를 높일 수 있어 유도등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은 고정판과 하우징 및 표시커버를 결합시키는 탄지편과 체결 홀이 고정판과 하우징 및 표시커버 각각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표시커버는 정면 커버 또는 배면 커버 중 어느 하나만을 사출 성형한 뒤 마주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표시커버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설계 및 제조가 간단하고 이로부터 표시커버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도등 중 표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도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하우징과 LED 및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제 2 표시커버와 스페이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제 2 표시커버와 스페이서가 끼움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집광 렌즈의 다양한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은 크게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이 일측면에 결합되는 박스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LED(20)가 안치되는 안치부(42)가 형성되며 상기 LED(20)를 발광시키기 위한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안치부(42)에 설치되어 LED(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위로 확산시키는 집광 렌즈(50) 및 상기 집광 렌즈(50)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에 끼워지는 내부가 중공된 표시커버(6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고정판(10)은 대략 평판의 형상을 갖고 유도등이 설치될 천장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10)은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천장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천장과 대면하는 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의 연부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하우징(40)에 형성된 제 1 탄지편(46)이 끼워지는 제 1 체결 홀(12)이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체결 홀(12)이 형성된 고정판(10)의 일측면에는 박스의 형태를 갖는 하우징(40)이 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40)은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상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상면으로 고정판(1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0)은 고정판(10)에 형성된 제 1 체결 홀(12)과 대응하는 다수의 제 1 탄지편(46)이 하우징(40)의 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탄지편(46)이 제 1 체결 홀(12)에 삽입되어 고정판(10)과 하우징(40)이 결합됨으로써,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판(10)과 하우징(40)을 결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천장에 설치할 때 먼저 고정판(10)을 천장에 고정한 후 천장에 고정된 고정판(10)의 제 1 체결 홀(12)에 하우징(40)의 제 1 탄지편(46)을 삽입시켜 하우징(40)을 고정판(10)에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판(10)과 결합되는 하우징(40)의 내부에는 LED(20)가 안치되는 안치부(42)가 형성된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하우징과 LED 및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치부(42)는 하우징(40)의 내측 바닥면에서 고정판(10)을 향해 돌출되며 돌출된 안치부(42)의 상면이 관통된 관통 홀(44a)이 형성되어 안치부(42)의 상면에 LED(20)가 안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LED(20)의 발광시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안치부(42)의 하부로 조사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안치부(42)에 안치된 LED(20)를 발광시키기 위한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LED(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LED(20)가 안치되는 안치부(42)에는 LED(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모아 멀리 보내는 집광 렌즈(50)가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집광 렌즈(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형태를 갖고 LED와 평행한 상태로 안치부(42)에 설치된 LED(20)와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집광 렌즈(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0의 a)와 같이 반원형이 될 수 있으며, b)와 같이 내측에 동심원을 갖는 홈이 형성된 반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사다리꼴이 될 수 있으며, d)와 같이 내측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된 사다리꼴이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안치부(42)의 상면에 LED(20)과 설치되고, 상기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은 안치부(42)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 홀(44a)을 통해 안치부(42)의 하부로 조사되며, 상기 집광 렌즈(50)는 안치부(42)의 관통 홀(44a)을 통해 삽입 고정되어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집광 렌즈(50)로 입사된 후 LED(2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출사된다.
이때, 상기 집광 렌즈(50)는 앞서 설명한, 원형, 반원형, 내측에 동심원을 갖는 홈이 형성된 반원형, 사다리꼴, 내측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된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LED(20)에서 조사된 빛은 집광 렌즈(50)를 통과하는 중에 멀리 조사되도록 모아지게 되며, 집광 렌즈(50)를 통과한 빛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표시커버(60)를 투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집광 렌즈(50)가 설치되는 안치부(42)는 바람직하게 집광 렌즈(50)의 양 끝단을 받치는 아치형태의 렌즈 홀더(44b)가 형성되어 상기 집광 렌즈(50)가 안치부(42)의 관통 홀(44a)을 통해 렌즈 홀더(44b)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치부(42)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 홀(44a)을 중심으로 상부에 LED(20)가 설치되고 하부에 집광 렌즈(5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LED(20)와 집광 렌즈(50)가 밀착되어 LED(20)의 발광에 따른 빛이 집광 렌즈(50)로 최대한 많이 입사된다.
한편, 상기 안치부(42)와 대향하는 하우징(40)의 저면에는 하우징(40)의 내측으로 함몰된 끼움홈(44)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44)에는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표시커버(60)가 삽입된다.
상기 표시커버(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광 렌즈(50)를 통과한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커버(6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측 표면에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문자, 기호, 도형의 형태로 나타내어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대피자에게 방향과 대피장소를 알려주고 대피자를 그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표시커버(60)에 형성되는 문자, 기호, 도형은 필름의 형태로 제작된 후 표시커버(60)의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에 부착되거나 표시커버(60)의 표면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커버(60)는 대략 기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박스의 형상을 갖게 되며, 상기 표시커버(60)가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에 끼워졌을 때 표시커버(60)의 개방된 기단을 통해 집광 렌즈(50)가 표시커버(6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44)에 끼워진 표시커버(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끼움홈(44)에 제 2 체결 홀(48)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표시커버(60)의 기단에 후크의 형상을 갖는 제 2 탄지편(62)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표시커버(60)가 끼움홈(44)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설치되는 표시커버(60)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제 2 표시커버와 스페이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 중 제 2 표시커버와 스페이서가 끼움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져 LED(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하여 화재와 같은 재난 시 대비자에게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표시커버(60)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표시커버(60)는 그 너비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과 꼭맞는 크기를 갖거나 또는 끼움홈(44)보다 작게 형성되어도 하나의 하우징(40)에 다양한 크기의 표시커버(60)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40)과 표시커버(60)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지는 표시커버(60)는 끼움홈(44)에 꼭맞는 크기를 갖는 표시커버(60)가 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끼움홈의 크기에 비해 작은 제 2 표시커버(60b)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표시커버(60b)에 비해 작은 제 3 표시커버 내지 제 4 표시커버 등이 마련되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표시커버 중 어느 하나가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커버(60)의 다양한 크기라 함은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의 폭(t1)과 표시커버(60)의 두께(t2)는 동일 또는 표시커버(60)가 끼움홈(44)에 끼워질 때 꼭맞는 정도의 크기이고 다만, 끼움홈(44)의 길이(L1)와 표시커버(L2)의 길이를 달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에 다양한 크기의 표시커버(60)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해서는 하우징(40)의 끼움홈(44) 길이에 비해 표시커버(60)의 길이가 짧은 크기를 갖는 표시커버가 그 대상이 된다.
이러한, 다양한 크기를 갖는 표시커버(60)는 그 기단에 제 2 탄지편(62)이 형성되어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형성된 제 2 체결 홀(48)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40)의 끼움홈(44)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표시커버(60)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질 때 집광 렌즈(5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표시커버(60)의 기단 측면이 집광 렌즈(50)를 감쌀 수 있게 아치형태로 이루어진 에지부(61)가 형성된다.
특히, 하우징(40)의 끼움홈(44)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표시커버(60),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표시커버(60b)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져 고정될 때 집광 렌즈(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제 2 표시커버(60b)가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스페이서(70)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70)는 하우징(40)의 끼움홈(44) 폭에 꼭맞는 폭을 갖고, 상기 끼움홈(44)과 제 2 표시커버(60b)의 길이에 대한 차이만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표시커버(60b)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졌을 때 제 2 표시커버(60b)의 양측에서 끼움홈(44)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제 2 표시커버(60b)의 양측으로 스페이서(70)가 마련되어 끼움홈(44)에 끼워지게 되면 LED(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표시커버(60)를 제외한 부분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LED(20) 발광시 표시커버(60)가 시각적으로 집중된다.
이와 같은 제 2 표시커버(60b)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질 때 함께 설치되는 스페이서(70)는 제 2 표시커버(60b)의 기단에 형성된 제 2 탄지편(62)과 같은 탄지편(72)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44)에 형성된 제 2 체결 홀(48)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의 설치 및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유도등이 필요한 장소의 천장에 고정판(10)이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0)이 설치된 후에는 LED(20), 인쇄회로기판(30), 집광 렌즈(50)가 설치된 하우징(40)을 고정판(10)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판(10)의 연부에 형성된 제 1 체결 홀(12)과 하우징(40)에 형성된 제 1 탄지편(46)이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하우징(40)을 고정판(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판(10)과 하우징(40)이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에 표시커버(6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표시커버(60)의 기단에 형성된 제 2 탄지편(62)과 끼움홈(44)에 형성된 제 2 체결 홀(48)이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표시커버(60)를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표시커버(60)가 결합된 상태에서 화재와 같은 재난 내지 주위의 불빛이 소등되었을 때 본 발명의 소방용 피난 유도등이 작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거나 주위를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어두워졌을 때 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0)은 하우징(40)의 안치부(42)에 설치된 LED(2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LED(20)를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LED(20)가 점등되면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은 집광 렌즈(50)를 통과하게 되면서 집광 렌즈(50) 내에서 굴절하여 LED에서 조사된 빛이 집광되어 표시커버를 투과하여 하부를 향하게 된다. 이렇게, 표시커버의 하부를 향하게 되는 빛은 소방용 피난 유도등의 하부를 밝게 비추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은 표시커버(60)의 내부에서 전방위로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커버(60)의 정면과 배면을 포함한 표시커버(60)의 테두리를 조명하게 됨으로써, 대피자가 표시커버(60)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에서 보든 표시커버(60)가 밝게 빛나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대피자를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은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이 멀리 갈 수 있도록 모으는 집광 렌즈(50)가 기둥의 형태를 갖고 LED와 평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감소된 만큼 소방용 피난 유도등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적용되는 집광 렌즈(50)는 기둥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조가 쉬워 제조비용이 낮으며, 이렇게 집광 렌즈(50)의 제조비용이 낮아지면 유도등의 전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60)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유도등의 제조비용을 더 낮출 수 있다. 이를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표시커버(60)는 좌우 반체로 이루어져 반체가 마주하여 결합될 때 마주하는 부분이 중공되어 LED(20)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정면 커버(60-1)와 배면 커버(60-2)를 포함하되, 상기 정면 커버(60-1)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후크 형상을 갖는 제 3 탄지편(64)과 제 3 체결 홀(66)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 커버(60-2)는 정면 커버(60-1)와 점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상기 정면 커버(60-1)는 평탄한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고 그 둘레 중 기단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측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 중 일측에 후크 형상을 갖는 제 3 탄지편(64)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3 체결 홀(66)이 형성되며, 측면부가 형성되지 않는 플레이트의 기단에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형성된 제 2 체결 홀(48)과 결합되는 제 2 탄지편(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 커버(60-2)는 앞서 설명한 정면 커버(60-1)와 마찬가지로 평탄한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고 그 둘레 중 기단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측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 중 일측에 후크 형상을 갖는 제 3 탄지편(64)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3 체결 홀(66)이 형성되며, 측면부가 형성되지 않는 플레이트의 기단에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형성된 제 2 체결 홀(48)과 결합되는 제 2 탄지편(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정면 커버(60-1)와 배면 커버(60-2)는 그 형상이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시커버(60)를 사출 성형할 때 정면 커버(60-1) 또는 배면 커버(60-2) 중 어느 하나만을 사출하여 사출된 정면 또는 배면 커버(60-1)(60-2)를 마주하여 결합시키면 표시커버(60)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금형 수를 줄일 수 있어 금형 설계 및 금형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고정판 12 : 제 1 체결 홀
20 : LED 30 : 인쇄회로기판
40 : 하우징 42 : 안치부
44 : 끼움홈 44a : 관통 홀
44b : 렌즈 홀더 46 : 제 1 탄지편
48 : 제 2 체결 홀 50 : 집광 렌즈
60 : 표시커버 60b : 제 2 표시커버
60-1 : 정면 커버 60-2 : 배면 커버
61 : 에지부 62 : 제 2 탄지편
64 : 제 3 탄지편 66 : 제 3 체결홀
70 : 스페이서 72 : 탄지편

Claims (8)

  1.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이 일측면에 결합되는 박스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LED(20)가 안치되는 안치부(42)가 형성되며 상기 LED(20)를 발광시키기 위한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안치부(42)에 설치되어 LED(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위로 확산시키는 집광 렌즈(50), 및 상기 집광 렌즈(50)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여 비상구 또는 대피장소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리도록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에 끼워지는 내부가 중공된 표시커버(60)로 이루어진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과 하우징(40)은,
    상기 하우징(40)의 연부에 후크의 형상을 갖는 제 1 탄지편(4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지편(46)과 대응하는 제 1 체결 홀(12)이 고정판(10)의 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탄지편(46)이 제 1 체결 홀(12)에 삽입되어 고정판(10)과 하우징(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과 표시커버(60)는,
    상기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제 2 체결 홀(48)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 홀(48)에 삽입되는 후크의 형상을 갖는 제 2 탄지편(62)이 표시커버(60)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커버(60)가 끼움홈(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커버(60)는,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끼움홈(44)의 길이에 비해 작은 길이를 갖는 제 2 표시커버(60b)가 마련되어 상기 끼움홈(44)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는,
    상기 제 2 표시커버(60b)가 하우징(40)의 끼움홈(44)에 끼워졌을 때 상기 끼움홈(44)과 제 2 표시커버(60b) 사이를 채우는 스페이서(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피난 유도등.
  8. 삭제
KR1020120082634A 2012-07-27 2012-07-27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KR10138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634A KR101381400B1 (ko) 2012-07-27 2012-07-27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634A KR101381400B1 (ko) 2012-07-27 2012-07-27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018A KR20140015018A (ko) 2014-02-06
KR101381400B1 true KR101381400B1 (ko) 2014-04-04

Family

ID=5026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634A KR101381400B1 (ko) 2012-07-27 2012-07-27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778A (ko) 2022-10-18 2024-04-25 우용성 구조 개선형 비상 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619A (zh) * 2016-05-13 2016-07-27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逆作法现场应急引导系统
FR3130064B1 (fr) * 2021-12-08 2024-04-26 Legrand France Bloc autonome d’éclairage de sécurit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649A (ja) * 1993-12-28 1995-09-0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および誘導灯装置
KR200379815Y1 (ko) * 2005-01-04 2005-03-28 남북전기 주식회사 방폭형 피난구 유도등 구조
KR200416669Y1 (ko) * 2006-03-03 2006-05-19 이재봉 비상구 표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649A (ja) * 1993-12-28 1995-09-0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および誘導灯装置
KR200379815Y1 (ko) * 2005-01-04 2005-03-28 남북전기 주식회사 방폭형 피난구 유도등 구조
KR200416669Y1 (ko) * 2006-03-03 2006-05-19 이재봉 비상구 표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778A (ko) 2022-10-18 2024-04-25 우용성 구조 개선형 비상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018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7036B2 (ja) 発信機
CN101986004A (zh) 照明装置
HK1113401A1 (en) Multiple side illumination assembly
KR101604290B1 (ko) 엣지형 조명기구
KR101381400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이 소방용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는 표시커버
KR101402916B1 (ko) 공기순환 냉각형 엘이디 실내등
KR200416669Y1 (ko) 비상구 표시등
KR100908073B1 (ko) 피난문 손잡이 유도조명장치
US20190346089A1 (en) Light Fixture
KR101555091B1 (ko) 다방향 조사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JP663191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26452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170760B1 (ko) 표시면 일체형 피난구유도등
KR101886816B1 (ko) 다기능 유도등 시스템
KR101459273B1 (ko)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US20210122646A1 (en) Water purifier having light-emitting assembly
KR200303073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090065421A (ko) 하향지시등을 갖는 비상구 안내등
KR200476941Y1 (ko) 시인성이 증가된 방폭형 통로 유도등
KR20150004557U (ko) 엘이디 모듈 간판
KR102120027B1 (ko) 직하형과 엣지형 병합 실내 조명등
CN216353189U (zh) 一种室内消防应急灯
KR200379815Y1 (ko) 방폭형 피난구 유도등 구조
KR20190043904A (ko) Led 조명장치
JP4803111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