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965B1 -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965B1
KR102101965B1 KR1020180079507A KR20180079507A KR102101965B1 KR 102101965 B1 KR102101965 B1 KR 102101965B1 KR 1020180079507 A KR1020180079507 A KR 1020180079507A KR 20180079507 A KR20180079507 A KR 20180079507A KR 102101965 B1 KR102101965 B1 KR 10210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storage unit
security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914A (ko
Inventor
김순진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유원솔루텍 주식회사
엠피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솔루텍 주식회사, 엠피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 지역으로 진입한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는 외부로부터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촬영 모드를 보안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에서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한다.

Description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 지역으로 진입한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black box)는 본래 항공기용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해당 항공기의 고도, 항로, 속도, 엔진 상황 등의 상태 및 교신 내용 등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항공기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를 회수하여 분석하면 해당 항공기의 사고 경위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오늘날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블랙박스가 설치되곤 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EDR(Event Data Recorder)'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주로 카메라 형식의 제품이 많다. 차량 내부의 룸미러 근처나 대시 보드 위에 주로 설치하며,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교통사고 발생 시 시시비비를 가리는 데 주로 사용한다.
제품에 따라서는 2대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전면뿐 아니라 후면, 측면도 동시에 촬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택시나 버스 같은 차량의 경우에는 음성을 녹음하면서 차량 내부까지 촬영하는 블랙박스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충돌에 관계없이 주행 중에 상시 촬영을 하는 제품, 차량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감지하여 충돌 순간만을 촬영하는 제품, 혹은 주차 시에만 작동하는 제품 등이 있으며 위와 같은 기능 중 여러 가지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도 내비게이션이나 하이패스 기능을 함께 가진 일체형 블랙박스도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운전자가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 외에 자동차 제조사에서 최초부터 블랙박스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때는 페달(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이나 스티어링 휠(핸들)의 조작 여부, 차량의 속도, 안전벨트의 상태 등이 기록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사고 경위 조사가 가능하다. 차량용 블랙박스의 보급률이 높은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러한 형식의 블랙박스가 많이 쓰인다.
그러나 차량용 블랙박스를 소지한 차량이 군사 보안시설이나 산업 보안시설에 출입하는 경우, 기밀정보나 군사 보안 유지가 필요한 구역에서 카메라가 내장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소지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매번 출입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을 확인하거나 회수 또는 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5582호(발명의 명칭: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234347호(발명의 명칭: 워터마킹 기술에 기초한 보안이 강화된 차량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보안 지역으로 진입한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보안 지역에서 블랙박스에 내장된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저장을 제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충격 발생 위치에 따라 영상의 저장 방안을 차별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영상 촬영 및 저장된 영상을 삭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는 외부로부터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촬영 모드를 보안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에서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이 요구되는 보안지역에서는 보안모드로 설정하여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되는 영상 중 필요한 영상만을 저장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보안을 위해서는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거나, 메모리를 강제가 제거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차량용 블랙박스를 보안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대비하여 간편하게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간편하게 기존 차량용 블랙박스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만 설치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보안지역에서 카메라 센서의 동작의 강제로 차단하거나, 최소한의 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여, 보안 등급에 따라 차별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영상 정보 생성부(110),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 속도 산출부(130), 동작 모드 판단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해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차량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 센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 센서, 그리고 차량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을 각각 촬영하는 측방카메라 센서로부터 차량 모든 방향에 대한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 센서는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전방카메라 센서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카메라 센서와 더불어 케이블로 연결된 후방카메라 센서가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카메라 센서와 후방카메라 센서와 더불어 케이블로 연결된 측방카메라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램(RAM), 이이피롬 (EEPROM), SD메모리, NAND 메모리, SSD, 하드디스크 및 플래시메모리를 포함하는 재기록이 가능한(rewritable)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은 촬영된 영상 정보를 설정된 해상도 및 크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고, 해당 차량의 촬영위치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메모리 모듈은 제어부(150)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일정 시간동안의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이벤트 발생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생성부(110)는 레이더(RADAR), 라이더(LIDAR)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기의 종류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의 정보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용 블랙박스(100)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가속도 센서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차량을 기준으로 X, Y, Z축의 가속도를 모두 산출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X, Y, Z축에 가속도를 모두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 및 횡방향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9축 센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한다.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속도의 변화에 의거하여 차량의 가속도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변화율에 근거하여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며, 속도를 나타내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 산출부(130)는 차량의 기울기 정보가 포함된 가속도 정보를 적분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샘플링하여 가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차량의 가속도 변화율의 표준편차(A) 및 현재 가속도 정보와 바로 이전 가속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이전 가속도 정보 대비 현재 가속도 정보의 편차가 크면 가속, 작으면 감속, 같으면 등속으로 차량의 속도를 판단함으로써, 차량의 속도의 가속, 감속 및 등속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속도 산출부(130)는 측정된 가속도 변화율의 표준편차(A)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 문턱치보다 작은 지를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가속도 문턱치보다 작으면, 차량의 속도를 정지모드, 즉 차량의 속도 및 진행방향의 가속도를 모두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산출부(130)는 미리 설정된 가속도 문턱치보다 작지 않으면, 현재 가속도 정보와, 바로 이전의 가속도 정보와의 절대치(J)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 차이값의 문턱치(JTH)보다 큰 지를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가속도 차이값의 문턱치(JTH)보다 크면, 차량의 가속도 변화율로부터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가속도 차이값의 문턱치(JTH)란, 차량의 서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속도 산출부(130)는 기존에 서행으로 지정된 일정 속도와 차량의 현재 가속도 정보 및 바로 이전의 가속도 정보의 가속도 절대치(J)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서행 이상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속도 산출부(130)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의 제1 가속도 센서와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종가속도와 제2 종가속도의 차이 값과, 제1 가속도 센서와 제2 가속도 센서 사이의 거리 값으로부터 차량의 회전각도를 유추할 수 있으며, 유추된 차량의 회전각도와 측정된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가속도 변화율을 기초하여 정확도가 높은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 판단부(140)는 산출된 속도 정보와 생성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 판단부(140)는 산출된 속도 정보와 생성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긴급제동, 차선이탈, 전방추돌 및 선행 차량 출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임시 저장부와 영구 저장부로 구분되며, 임시 저장부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며, 영구 저장부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은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에서 측정한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이 설정된 문턱치 이상인 경우, 해당 시점 전후로 설정된 시간 기간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보안모드에서 영상을 저장하는 보안모드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보안모드로 진입하며, 진입한 보안모드에서 촬영된 영상은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다.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보안모드 설정 신호 및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한다. 보안모드 설정 신호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모드를 보안모드로 설정 요청하는 신호이며, 보안모드 해제 신호는 설정된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신호이다. 보안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보안모드 설정 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모드를 보안모드로 설정하며,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표시부와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거나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모드가 보안모드 상태인지 보안모드 해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며, 운전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는 보안모드 상태에서는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부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부는 외부의 별도의 구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내장될 수 있다. 전원부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원부는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보안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센서로 제공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20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구동을 수행한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일시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영구 저장부에 필요한 영상을 영구 저장한다.
S205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안모드 설정 신호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별도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S21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표시부를 통해 보안모드 상태임을 Display, LED,..등으로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임을 음성 출력(또는 외부장치로 보안 상태임을 전송할 수 있게 구현)한다.
S215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로 진입한다. 이하에서는 보안모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에서 보안상태에 따라 2가지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 센서의 동작을 차단한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영상 촬영을 차단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 센서의 영상 촬영을 차단한다.
두 번째는 최소한의 영상만을 저장하는 방안이다. 보안모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이 강제로 차단되었는지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전원이 강제로 차단,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변화가 있었다면 이를 외부의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통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특정 영역 메모리 값 또는 보안모드 프로그램 동작상태에서 전원 오프 이전 동작 상태가 보안모드 상태 값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 아니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모드로 진입한 후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임의로 전원을 제거, 또는 외부 저장장치 변화가 있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블랙박스 보안알림동작 상태로 진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모드에서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였거나 외부 저장장치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음성 경보 메시지, 진동 또는 영상을 출력하거나, 외부의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통보한다.
앞서 설명한 두 가지 보안모드 구동 방식 중에서 두 번째 구동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특정 영역 메모리 값 또는 보안모드 프로그램 동작상태에서 전원 오프 이전 동작 상태가 보안모드 상태에서의 시작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임의로 전원을 제거한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강제로 삭제(폐기)한다.
이외에도 보안모드 설정 신호는 보안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보안보드 설정 신호를 수신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지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특정 영역 메모리 값 또는 보안모드 프로그램 동작상태에서 전원 오프 이전 동작 상태가 보안모드 상태 값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보안모드 상태값이라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임의로 전원을 제거한 것으로 판단하며, 따라서 현재 위치가 보안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위치가 보안지역이면 저장된 영상을 폐기하지 않으며, 보안지역이 아니라면 저장된 영상을 폐기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지역에 촬영한 영상을 보안지역 이외 지역으로의 반출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지역에서 별도의 영상 촬영을 하지 않지만, 차량 이동이 많은 지역의 경우, 의도하지 않은 차량 추돌/충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보안모드에서는 영상을 기존 영구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대신, 보안모드에서 별도로 관리되는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한다. 물론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별도의 보안모드 해제키를 갖는 정보 또는 장치에서 해제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 확인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보안모드 해제키 없이 강제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된 영상은 강제로 폐기된다.
이외에도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강제로 폐기된다. 따라서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보안영역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추가로,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외부 충격에 의해 저장된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은 강제로 폐기할 수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저장된 영상(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강제로 폐기되거나,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가 해제되더라도 폐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보안모드가 해제되면 강제로 폐기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은 워터마크를 추가하여 영상 이력정보를 확인하거나, 보안 영상으로 저장하여 패스워드화된 특정 앱에서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이 되면, 자동으로 블랙박스의 전원이 오프되었으나, 본 발명은 보안모드에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임을 외부로 출력한 이후 블랙박스의 전원을 오프한다.
S22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안모드 해제 신호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거나, 별도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보안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S225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표시부를 통해 보안모드 해제 상태임을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보안모드 해제 상태임을 음성 출력한다.
S230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모드로 진입한다. 일반모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랙박스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의 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로 충격이 감지된 경우,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후방에서 충격(추돌)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속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전방에서 충격(충돌)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으로 가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좌측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우측 방향으로 가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우측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격이 가해진 방향에 따라 해당 부분을 촬영한 영상만을 저장한다. 즉, 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은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며,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은 저장하지 않는다. 물론 저장되는 영상은 일시 저장된 영상 중 충격이 가해진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동안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과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의 저장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일예로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의 저장 시간이 5초라고 한다면,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방향을 촬영하는 영상의 저장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판단하고, 해당 방향을 촬영한 영상만을 저장하거나,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을 촬영한 영상을 상대적으로 짧게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안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최소한의 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하면, 외부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한 영상이라고 판단될 경우이거나, 측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고 판단되면 촬영된 영상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판독하게 하여 외부에서 블랙박스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다는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독될 경우에만 임시 저장된 영상을 영구 저장하게 하여 임의로 보안지역 내 시설 등이 촬영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안지역으로 이동시에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얼굴, ID 카드 등 출입에 필요한 것을 촬영 등록하게 하여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상태에서 보안지역 출입문에서 보안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탑승(사진) 정보를 출입관제소(서버)로 전송하고, 출입관제소(서버)에서는 기 등록된 인원인지를 확인하여 출입허가 신호를 차량용 블랙박스와 출입통제 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출입통제관은 출입통제 관리장치 혹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출입허가알림을 확인하고 출입문을 개방한다. 미리 설정된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아닌 경우에는 확인필요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수신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외부 출입통제관은 외부통제 관리장치로 미리 설정된 운전자가 아님을 통보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안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 혹은 탑승자들의 출입을 보다 원활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차량용 블랙박스 110: 영상 정보 생성부
120: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130: 속도 산출부
140: 동작모드 판단부 150: 제어부
160: 저장부 170: 통신부

Claims (6)

  1. 외부로부터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보안모드 설정 신호 또는 보안모드 해제 신호에 따라 촬영 모드를 보안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영구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을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센서로부터 차량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적인 힘을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및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에서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모드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보안모드에서 상기 임시 저장부와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을 폐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드는 보안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 센서 자체를 오프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거나,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중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이 요구되는 영상의 재생 길이를 변화시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온되면, 초기 부팅 모드에서 전원 오프 이전의 동작 모드가 보안모드였는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하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방향을 촬영한 영상은 상기 영구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충격이 가해진 방향을 촬영한 영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설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고 판단되면, 임시 저장된 영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판독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다고 판독되는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임시 저장된 영상을 영구 저장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180079507A 2018-07-09 2018-07-09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KR10210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07A KR102101965B1 (ko) 2018-07-09 2018-07-09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07A KR102101965B1 (ko) 2018-07-09 2018-07-09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14A KR20200005914A (ko) 2020-01-17
KR102101965B1 true KR102101965B1 (ko) 2020-04-17

Family

ID=6937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07A KR102101965B1 (ko) 2018-07-09 2018-07-09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858A (ja) * 2010-04-26 2011-11-17 Denso Corp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462900B1 (ko) * 2013-11-12 2014-11-19 (주)에스디시스템 사고기록장치용 촬영제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47B1 (ko) 2012-06-04 2013-02-15 주식회사 아이서티 워터마킹 기술에 기초한 보안이 강화된 차량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15582B1 (ko) 2014-04-03 2015-04-28 이계정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858A (ja) * 2010-04-26 2011-11-17 Denso Corp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462900B1 (ko) * 2013-11-12 2014-11-19 (주)에스디시스템 사고기록장치용 촬영제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14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9924B2 (en) Real time environment model generation system
KR101717080B1 (ko)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US6246933B1 (en) Traffic accident data recorder and traffic accident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JP4726586B2 (ja) 自動車用ドライブレコーダ
CN1332832C (zh) 车载应用程序选择系统和车载应用程序选择装置及方法
JP2009280109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CN108891419A (zh) 驾驶员监视装置及驾驶员监视方法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55847B1 (ko)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고기능 겸용 차량운행기록장치
JP5627369B2 (ja) 車載運行記録装置
KR100820310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및 방법
CN111615825B (zh) 车辆用记录控制装置、车辆用记录装置和方法以及存储介质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100794631B1 (ko) 네비게이션 일체형 교통사고 자동녹화 시스템
KR102101965B1 (ko)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KR100875302B1 (ko) 사고경위 자료를 저장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처리방법
CN10974761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04071824A1 (en) Automotive accident and incident record system
CN116057588A (zh) 车辆用记录控制装置以及车辆用记录控制方法
KR102101964B1 (ko)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 제어 장치
KR101636284B1 (ko)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JP6273811B2 (ja) 走行状況記録システム、走行状況記録装置
WO2019193830A1 (ja) 警告処理装置、警告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94625B1 (ko) 룸미러 일체형 교통사고 자동녹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