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55B1 -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55B1
KR102100555B1 KR1020180056706A KR20180056706A KR102100555B1 KR 102100555 B1 KR102100555 B1 KR 102100555B1 KR 1020180056706 A KR1020180056706 A KR 1020180056706A KR 20180056706 A KR20180056706 A KR 20180056706A KR 102100555 B1 KR102100555 B1 KR 10210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guide rib
blind device
screen uni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820A (ko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문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배 filed Critical 문종배
Priority to KR102018005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리브가 스크린유닛의 측단부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롤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Appartus for roll-blind including blind guide rib}
본 발명은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가이드리브가 스크린유닛의 측단부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롤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 사무실 등 창문이 설치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롤블라인드장치들이 설치된다. 롤블라인드장치는 유리창을 통해 건물 내부로 입사하는 직사광선을 막고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롤블라인드장치 중에서도 특히 실린더에 감겨 기계적인 방식으로 승하강하는 스크린방식의 롤블라인드장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크린방식의 롤블라인드장치는 구동 중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스크린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스크린의 흔들림을 초래하고, 흔들리는 스크린은 창문 또는 블라인드 자체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으며 롤블라인드장치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기 위해 스크린를 위로 올려 롤프레임에 권취시킬 때 주름 등의 유격이 생겨 롤블라인드장치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고, 잦은 사용으로 인해 스크린의 측단부가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롤블라인드장치의 기능을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0126(2016.11.2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유닛의 측단부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롤프레임유닛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는 롤프레임 유닛; 및 상기 롤프레임유닛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롤프레임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롤프레임유닛의 일면으로부터 상향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일측 단부가 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일측 단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의 절곡된 부위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롤프레임유닛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유닛은 메쉬 형상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유닛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는, 실리콘, 부타디엔, 이소프렌의 동종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는 효과적으로 스크린유닛의 측단부을 지지함으로써 롤블라인드장치 구동 시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일반적인 롤블라인드장치에도 적용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필름부는 상기 스크린유닛의 측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유닛의 장기간 사용 시 발생되는 스크린유닛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롤블라인드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리브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가능한 가이드리브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롤블라인드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롤블라인드장치(1)는 유리창, 유리문 등에 설치되어 직사광선을 막을 수 있다. 롤프레임유닛은(2) 유리창이 가까운 천장에 롤브라인드장치(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크린유닛(3)은 롤프레임유닛(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롤프레임유닛(2)에 스크린유닛(3)이 권취되도록 연결하여 롤블라인드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유닛(3)은 롤프레임유닛(2)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권취될 수 있는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스크린유닛(3)을 아래로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유닛(3)을 위로 권취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린유닛(3)이 이동되면서 불균일한 장력에 의해 뒤틀리면서 유리창에 부딪혀서 유리창 및 스크린유닛(3)의 표면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롤블라인드장치(1)의 장기간 이용 시 성능이 저하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리브(50)가 스크린유닛(30)의 측단부을 지지함으로써 롤블라인드장치(10) 구동 시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필름부(32)가 스크린유닛(30)의 측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리브(50)의 장기간 사용 시 발생되는 스크린유닛(30)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리브(50)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1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장치(10)는 롤프레임유닛(20), 스크린유닛(30), 및 롤프레임유닛(2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프레임유닛(20)은 유리창이 가까운 천장에 롤브라인드장치(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크린유닛(30)은 롤프레임유닛(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롤프레임유닛(20)에 스크린유닛(30)이 권취되도록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유닛(30)은 롤프레임유닛(20)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권취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스크린유닛(30)을 아래로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유닛(30)을 위로 권취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유닛(30)의 일측단부에는 필름부(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측단부에 필름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필름부(32)는 실리콘, 부타디엔, 이소프렌의 동종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탄성력이 강화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충격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방수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나 반드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필름부(32)의 탄성력을 강화할 수 있는 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유닛(30)은 메쉬형상(34)으로 구비될 수 있다. 메쉬형상(34)는 그물망구조로 형성되며 메쉬형상(34)를 포함하는 스크린유닛(30)은 강한 내구성 및 회복력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메쉬형상(34)의 스크린유닛(30)의 오염시 세척 후 재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이 부드럽고 탄력이 있어 일정한 사이즈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필름부(32)는 메쉬형상(34)의 스크린유닛의 적어도 일측단부에 고정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측단부에 고정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정상태는 오버로크된 고정부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롤블라인드장치(10)의 장기간 사용 시 필름부(32)의 마모에 의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나 반드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핀, 침 등 고정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리브(50)는 베이스부(52) 및 리브부(54)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52)는 롤프레임유닛(20)과 리브부(54)사이에 배치되되, 일측이 롤프레임유닛(20)과 연결되고, 타측이 리브부(54)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52)는 가이드리브(50)와 리브부(54) 사이에서 롤프레임유닛(20)과 리브부(54)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브부(54)는 일측이 베이스부(52)에 연결되며, 타측이 스크린유닛(30)의 필름부(3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해 롤블라인드장치의 외부에서 보이는 가이드리브(50)를 도시하였으나,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롤프레임유닛(20)의 내측면부에서 가이드리브(50)가 바로 형성되어, 상향 돌출되는 형상으로 스크린유닛(30)의 필름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부(54)를 포함하는 가이드리브(50)의 구성 및 변형예는 도 5 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유닛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50)는 베이스부(52)와 리브부(54)로 구성된다. 리브부(54)는 롤프레임유닛(20)의 베이스부(52)로부터 상향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54)는 두 개(54a, 5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리브부(54)가 필름부(32)를 필름부(32)의 양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리브부(54)를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롤블라인드장치(10)의 사용환경에 맞게 리브부(54)의 수량을 가감하여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50)의 리브부(54)는 베이스부(52)에서부터 스크린필름부(32)로 향할수록 경사도가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경사도가 감소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리브부(54)는 필름부(32)의 양측면에서 보다 적은 반경 내로 움직임 제한시키고, 스크린유닛(30)의 이동을 제한시킴으로써 스크린유닛(3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부(54)가 베이스부(52)에서부터 필름부(32)를 향할수록 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브부(54)를 호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스크린유닛(30)의 흔들림에 의한 충돌을 완충할 수 있으며 스크린유닛(30)의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부(54)의 리브부(54)의 선단부가 라운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리브부(54)의 선단부가 라운드됨으로써 스크린유닛(30)의 흔들림에 의한 충돌을 완충하며, 스크린유닛(30)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부(54)는 단부가 절곡된 형상인 제1 리브부(54a)와 제2 리브부(54b)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부(54a) 및 제2 리브부(54b)의 절곡부위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마찰 혹은 부딪침을 이중으로 완충하는 효과가 있으며, 탄성소재로 리브부(54) 절곡부를 (54a', 54b')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에 강한 리브부(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브부(54)의 지지에 의한 필름부(32)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예를 가진 가이드리브(50)는 롤블라인드장치(10)의 양측단부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유닛(30)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상향돌출 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50)가 롤블라인드장치(10)의 양 측단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스크린유닛(30)의 승하강시 상기 스크린유닛(30)의 양측단부에서 동시에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린유닛(20)의 흔들림을 양측단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50)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탈착가능한 가이드리브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50)은 롤프레임유닛(20)과 연결가능한 결합부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60)는 롤프레임유닛(20)과 결합 또는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리브(50)가 사용될 필요가 있을 때, 결합부재(60)를 이용하여 롤프레임유닛(20)에 결합부재(60)를 결합시켜 가이드리브(50)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50)가 사용될 필요가 없을 때, 결합부재(60)를 롤프레임유닛(20)으로부터 탈착시켜 가이드리브(50) 없는 롤블라인드장치(10)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60)를 사용하여 가이드리브(50)가 탈부착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에 따라 가이드리브(50)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결합부재(60)는 나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클립, 핀, 지퍼 등 결합 및 탈착가능한 결합부재의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가이브리드(50)를 탈착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롤블라인드장치에도 적용시킬 수 있어 호환성이 좋으며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10: 롤블라인드장치 2,20: 롤프레임유닛 3,30: 스크린유닛
32: 필름부 34: 메쉬형상 50: 가이드리브
52: 베이스부 54: 리브부 54a: 제1 가이드리브부
54b: 제2 가이드리브부 54a': 제1 리브절곡부 54b': 제2 리브절곡부 60: 결합부재

Claims (10)

  1. 롤프레임유닛; 및
    상기 롤프레임유닛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롤프레임유닛에는 상기 스크린유닛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리브가 양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일측단부에 절곡된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롤프레임유닛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된 형상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메쉬 형상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실리콘, 부타디엔, 이소프렌의 동종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KR1020180056706A 2018-05-17 2018-05-17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KR10210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706A KR102100555B1 (ko) 2018-05-17 2018-05-17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706A KR102100555B1 (ko) 2018-05-17 2018-05-17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820A KR20190131820A (ko) 2019-11-27
KR102100555B1 true KR102100555B1 (ko) 2020-04-13

Family

ID=6872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706A KR102100555B1 (ko) 2018-05-17 2018-05-17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800A (ko) 2021-01-12 2022-07-19 송경아 상향 개폐식 롤블라인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6816A1 (en) * 2000-04-14 2002-04-25 Ren Judkins Headrail for double shade
KR200325660Y1 (ko) * 2003-06-19 2003-09-03 김명우 롤러식 방충망의 걸림구
JP2005351006A (ja) * 2004-06-11 2005-12-22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KR200473595Y1 (ko) * 2013-03-15 2014-07-11 조영대 투명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7383B2 (ja) * 1994-03-31 2001-12-10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1680126B1 (ko) 2015-05-22 2016-11-28 안은로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6816A1 (en) * 2000-04-14 2002-04-25 Ren Judkins Headrail for double shade
KR200325660Y1 (ko) * 2003-06-19 2003-09-03 김명우 롤러식 방충망의 걸림구
JP2005351006A (ja) * 2004-06-11 2005-12-22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KR200473595Y1 (ko) * 2013-03-15 2014-07-11 조영대 투명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800A (ko) 2021-01-12 2022-07-19 송경아 상향 개폐식 롤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820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555B1 (ko)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US64021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flexible sheet material to a support structure
JP7042893B2 (ja) 遮蔽装置
CN108660628B (zh) 一种自动夹紧机构、夹布机构以及绣框
US20130240661A1 (en) Chain Guide for a Roller Blind or Roller Shade
WO2016031761A1 (ja) 遮蔽装置
CN112198748B (zh) 一种投影屏及投影设备
KR200422720Y1 (ko) 방충망 및 롤 스크린의 원단 지지구조
KR101606163B1 (ko) 경사진 창문용 롤블라인드장치
KR200474437Y1 (ko) 소음방지 롤 방충망
KR101217047B1 (ko) 블라인드 하단 바 충격 및 소음방지장치
KR20120041056A (ko) 태엽 스프링 구동형 방충망 장치 및 그의 롤 구동 유닛
JP575883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254427B1 (ko) 산업용 디스플레이 지지패드의 핸드장착구조
JP2018141342A (ja) 遮蔽装置および巻取装置
CA23714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heet material mounting device components
KR102310686B1 (ko) 블라인드용 권취봉 위치 조절장치
KR102051893B1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WO2020150602A1 (en) Screen installation improvements
KR101302354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장치
KR102659390B1 (ko)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JP5135105B2 (ja) テープ取付装置
KR20170003498U (ko) 미세 방충망
JP2690223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操作紐取り付け構造
KR101562776B1 (ko) 무소음 스크린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