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653B1 -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 Google Patents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653B1
KR102099653B1 KR1020180137956A KR20180137956A KR102099653B1 KR 102099653 B1 KR102099653 B1 KR 102099653B1 KR 1020180137956 A KR1020180137956 A KR 1020180137956A KR 20180137956 A KR20180137956 A KR 20180137956A KR 102099653 B1 KR102099653 B1 KR 10209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nel
coupled
clamping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시회사 머신앤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회사 머신앤피플 filed Critical 주시회사 머신앤피플
Priority to KR102018013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51/003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01L2251/5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31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콘택터 및 피검사 패널이 균일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은 고정블록, 연결블록, 탄성부재, 클램핑 블록 그리고 운동변환부를 포함한다. 고정블록은 테스트 기판이 마련되고, 피검사 패널이 공급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힌지축이 결합된다. 연결블록은 힌지축에 결합된다. 탄성부재는 연결블록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여 연결블록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클램핑 블록은 연결블록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연결블록의 후단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 회전 시에 하향 회전하여 하부에 마련되는 콘택터를 피검사 패널에 밀착시킨다. 운동변환부는 연결블록 및 클램핑 블록의 사이에 구비되고, 클램핑 블록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콘택터가 피검사 패널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CLAMPING UNIT FOR PANEL AGING DEVICE}
본 발명은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터 및 피검사 패널이 균일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화소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OLED 패널은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테블릿 PC, 휴대형 음향 장치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소형 표시 패널의 제작 공정 중에는 표시 패널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되며,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프로브 스테이션(Probe Station)이다. 이러한, 프로브 스테이션은 표시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전지 접점(Pad)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콘택터(Contactor)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테스트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소형 표시 패널은 생산 특성상 다량의 표시 패널을 빠른 시간에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빠른 검사가 요구되며, 특히, 적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 및 성능의 표시 패널이 생산되므로 검사 대상표시 패널의 변경에 따른 측정 장비의 모델 교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브 스테이션은 한번에 한 종류의 표시 패널만 검사할 수 있어서 대량 생산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표시 패널의 생산 업체들은 저마다 검사 대상물에 대한 에이징(Aging) 작업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콘택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브 스테이션은 고가의 장비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한 종류의 콘택터만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피검사 패널은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콘택터는 각각의 전극에 연결되도록 복수의 접촉핀을 가진다. 그런데, 피검사 패널이 콘택터를 균일한 힘으로 밀착되지 못하게 되면,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특히, 콘택터에서 어느 한 쪽에서 누르는 힘이 강한 경우, 접촉핀과 전극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피검사 패널이 플렉시블 패널인 경우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9888호(2017.06.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택터 및 피검사 패널이 균일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테스트 기판이 마련되고, 피검사 패널이 공급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힌지축이 결합되는 고정블록;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여 상기 연결블록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블록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후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 회전 시에 하향 회전하여 하부에 마련되는 콘택터를 상기 피검사 패널에 밀착시키는 클램핑 블록;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 및 상기 클램핑 블록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 블록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콘택터가 상기 피검사 패널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는 상기 고정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클램핑 블록을 연결하는 스테이지 블록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블록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스테이지 블록에 구면 조인트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 시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스테이지 블록이 상하 이동되도록 힘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록의 후단부에는 레벨기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지 블록은 상기 레벨기준돌기의 상부에 마련되고, 양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레벨조정공을 가지며, 상기 레벨조정공에 결합되는 레벨조정용 핀이 상기 레벨기준돌기의 상부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클램핑 블록의 수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블록은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조인트 홀을 가지고, 상기 스테이지 블록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조인트 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콘택터가 하부에 부착되도록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과 일체로 회전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는 중심돌기를 가지는 회전구와, 상기 제1하우징부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회전구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스위치 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대칭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반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스위치 레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제1플랜지와,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되, 상기 자석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한 쌍의 적층 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1플랜지와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및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구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적층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중간블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레버 및 제2스위치 레버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중심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회전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택터는 상기 자기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금속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피검사 패널이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하측에 구비되는 영상장비가 상기 콘택터 및 상기 피검사 패널을 촬영하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변환부는 클램핑 블록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콘택터는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피검사 패널 및 테스트 기판에 밀착될 수 있고, 밀착되는 힘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은 힌지축의 양쪽에서 힌지축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기 때문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탄성부재의 힘의 불균형이 있는 경우에도 연결블록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치우침이 없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클램핑 블록에 의해 콘택터 피검사 패널 및 테스트 기판에 밀착될 때, 밀착되는 힘이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지 블록의 레벨조정공에 결합되는 레벨조정용 핀이 레벨기준돌기의 상부를 가압하는 정도를 조정하여 클램핑 블록의 수평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의 베이스와 함께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의 자기력 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의 자기력 발생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의 베이스와 함께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100)은 고정블록(110), 연결블록(120), 탄성부재(130), 클램핑 블록(140) 그리고 운동변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에이징 장치는 베이스(10)를 가질 수 있으며, 클램핑 유닛(100)은 베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00)을 기준으로 베이스(10)의 일측에는 테스트 기판(20)이 마련될 수 있다. 테스트 기판(20)은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으며, 패널 에이징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유닛(100)을 기준으로 베이스(10)의 타측에는 커버(5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50)의 상측으로 해서 클램핑 유닛(100) 방향으로는 피검사 패널(60)이 공급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00)의 하부에는 콘택터(40)가 부착될 수 있으며, 클램핑 유닛(100)은 작동하면서 콘택터(40)로 피검사 패널(60)과 테스트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피검사 패널(60)이 검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부/상측 및 하부/하측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클램핑 유닛(100)을 기준으로 커버(50) 방향을 전방/전단/전단부로, 테스트 기판(20) 방향을 후방/후단/후단부로 한다.
상세히, 베이스(10)의 상부에는 클램프 서포트(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클램프 서포트(30)는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테스트 기판(20)은 클램프 서포트(30)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테스트 기판(20)의 전단부는 클램프 서포트(30)의 하부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00)은 클램프 서포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블록(110)은 클램프 서포트(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 서포트(3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결합공(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블록(110)의 하면에는 제1결합공(31)에 대응되는 제1결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공(31) 및 제1결합홀(112)에는 제1체결부재(11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블록(110)은 클램프 서포트(3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블록(110)에는 클램프 서포트(30)의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공(111)에는 힌지축(115)이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116)은 고정블록(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힌지축(115)은 복수의 베어링(116)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연결블록(120)은 중앙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홀(121)을 가질 수 있고, 폭 방향으로는 설치홀(121)을 가로지르도록 제2결합공(1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에는 한 쌍의 제2결합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홀(121)에는 고정블록(110)이 삽입될 수 있다.
설치홀(121)에 고정블록(11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제2결합공(122) 및 제1관통공(111)으로는 힌지축(115)이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축(115)은 베어링(11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블록(120)은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회전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연결블록(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의 하단부는 클램프 서포트(3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단부는 연결블록(1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클램프 서포트(30)의 상부에는 탄성부재(13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제1홈(32)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블록(12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130)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제2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24)은 힌지축(115)을 기준으로 연결블록(12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제1홈(32) 및 제2홈(124)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연결블록(120)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연결블록(120)의 전단부는 하향 회전될 수 있다.
클램핑 블록(140)은 연결블록(120)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블록(120) 및 클램핑 블록(140)의 사이에는 운동변환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클램핑 블록(140)은 운동변환부(150)에 의해 연결블록(120)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운동변환부(150)는 레일(151), 슬라이더(152), 스테이지 블록(154) 및 커넥터(159)를 가질 수 있다.
레일(151)은 고정블록(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일(151)과 고정블록(110)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152)는 레일(151)과 결합되는 레일홈(153)을 가질 수 있으며, 레일(15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지 블록(154)은 슬라이더(152)와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지 블록(154)은 슬라이더(152)와 끼움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152)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지 블록(154)는 조인트 홀(155), 레벨조정공(156) 및 제3결합공(157)을 가질 수 있다.
조인트 홀(155)은 연결블록(120)의 제2결합홀(123)에 대응되도록 스테이지 블록(154)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벨조정공(156)은 스테이지 블록(154)의 양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벨조정공(156)에는 레벨조정용 핀(158)이 결합될 수 있다.
제3결합공(157)은 스테이지 블록(154)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지 블록(154)에는 클램핑 블록(140)이 결합될 수 있다.
클램핑 블록(140)은 제4결합공(141), 가압돌기(143), 장착홀(145) 및 레벨기준돌기(147)를 가질 수 있다.
제4결합공(141)은 제2결합홀(12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핑 블록(14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결합공(141) 및 제2결합홀(123)로 제2체결부재(142)가 결합됨으로써 클램핑 블록(140)은 스테이지 블록(154)과 결합될 수 있다.
가압돌기(143)는 클램핑 블록(14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압돌기(143)는 클램핑 블록(140)의 하면 전단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143)는 클램핑 블록(1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콘택터(40)가 피검사 패널(60)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택터(40)의 제1접촉핀(41) 및 피검사 패널(60)의 제1전극(61) 간의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택터(40)가 피검사 패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콘택터(40)의 제2접촉핀(42) 및 테스트 기판(20)의 제2전극(21)도 밀착될 수 있으며, 피검사 패널(60)은 콘택터(40)에 의해 테스트 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하여, 클램핑 블록(140)의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핀(144)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핀(144)은 클램핑 블록(14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콘택터(40)에는 가이드 핀(144)에 대응되도록 핀 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핀 홀(43)에 가이드 핀(144)이 삽입됨으로써 클램핑 블록(140)에 대한 콘택터(40)의 결합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피검사 패널(60)의 정위치 여부 확인은 베이스(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영상장비(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상장비는 피검사 패널(60)의 제1전극(61)의 얼라인 포인트를 촬영할 수 있으며, 피검사 패널(60)의 제1전극(61)이 정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얼라인을 맞추기 위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유닛(100)은 지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피검사 패널(60)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하측에 구비되는 영상장비가 콘택터(40) 및 피검사 패널(60)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석영유리, 붕규산 유리 등이 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커버(50)와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홀(145)은 클램핑 블록(140)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00)은 자기력 발생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기력 발생부(160)는 장착홀(145)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블록(140)에는 제2관통공(146a,146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146a,146b)은 클램핑 블록(14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146a,146b)은 장착홀(145)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관통공(146a,146b)에는 자기력 발생부(160)의 제1스위치 레버(191) 및 제2스위치 레버(195)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191) 및 제2스위치 레버(195)는 제2관통공(146a,146b)을 통해 클램핑 블록(14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클램핑 블록(14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자기력 발생부(160)는 내부에 자석을 가질 수 있다. 자석은 제1스위치 레버(191) 및 제2스위치 레버(195)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램핑 블록(140)의 하측으로 자기력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콘택터(40)는 상부에 금속플레이트(44)를 가질 수 있으며, 금속플레이트(44)는 철을 포함하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력 발생부(160)에 의해 클램핑 블록(140)의 하측으로 자기력이 발생되는 경우, 금속플레이트(44)는 자기력에 의해 자기력 발생부(160)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고, 콘택터(40)는 클램핑 블록(14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금속플레이트(44)는 자기력 발생부(16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벨기준돌기(147)는 클램핑 블록(140)의 후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핑 블록(140)과 스테이지 블록(154)이 결합 시에, 스테이지 블록(154)은 레벨기준돌기(147)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클램핑 블록(140)과 스테이지 블록(154)이 결합된 상태에서, 레벨조정공(156)에 결합되는 레벨조정용 핀(158)이 레벨기준돌기(147)의 상부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클램핑 블록(140)의 수평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2체결부재(142)가 제4결합공(141)을 통해 제3결합공(157)에 가 결합된 상태에서, 레벨조정공(156)에 결합된 레벨조정용 핀(158)의 하단부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여 클램핑 블록(140)의 수평이 조절되도록 한 후, 제2체결부재(142)를 조여 클램핑 블록(140)이 스테이지 블록(154)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159)는 일단부는 연결블록(120)의 제2결합홀(12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스테이지 블록(154)의 조인트 홀(15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59)의 타단부는 조인트 홀(155)에 구면 조인트(Spherical joint)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블록(120)의 후단부에 하측방향의 외력(F)이 가해지면, 탄성부재(130)가 압축되고 연결블록(120)의 전단부는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커넥터(159)는 연결블록(120)의 회전력을 스테이지 블록(154)에 전달하여 슬라이더(152)는 레일(151)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고 스테이지 블록(154)과 연결된 클램핑 블록(140)도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159)는 스테이지 블록(154)에 구면 조인트 결합되기 때문에, 클램핑 블록(140)은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상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즉, 운동변환부(150)는 클램핑 블록(140)이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그러다가,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상부에 피검사 패널(60)이 공급되고, 외력(F)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결블록(120)의 후단부가 상향으로 밀어 올려지면서 연결블록(120)의 전단부는 하향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도, 클램핑 블록(140)은 운동변환부(150)에 의해 하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클램핑 블록(1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콘택터(40)는 피검사 패널(60)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콘택터(40)가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피검사 패널(60) 및 테스트 기판(20)에 밀착됨에 따라, 밀착되는 힘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베어링(116)은 힌지축(115)의 양쪽에서 힌지축(115)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기 때문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탄성부재(130)의 힘의 불균형이 있는 경우에도 연결블록(120)이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치우침이 없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클램핑 블록(140)에 의해 콘택터(40)가 피검사 패널(60) 및 테스트 기판(20)에 밀착될 때, 밀착되는 힘이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지 블록(154)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159)는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커넥터(159)의 타단부는 조인트 홀(155)에서 분리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의 자기력 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의 자기력 발생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력 발생부(160)는 제1하우징부(161), 자석(165), 회전구(171), 제2하우징부(181), 제1스위치 레버(191) 및 제2스위치 레버(195)를 가질 수 있다.
제1하우징부(161)의 내측에는 설치공간(1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161)는 제1플랜지(163) 및 적층 플레이트(164)를 가질 수 있다.
적층 플레이트(164)는 제1플랜지(163)에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적층 플레이트(164)는 철을 포함하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 플레이트(164)는 얇은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자석(165)의 높이에 따라 플레이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층 플레이트(16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자석(165)이 위치될 설치공간(162)은 적층 플레이트(16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석(165)은 적층 플레이트(164)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16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자석(165)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165)의 후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결합홈(166)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구(171)는 자석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구(171)는 전단부에 결합홈(16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172)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돌기(172)가 결합홈(166)에 결합되어 회전구(171)는 자석(165)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구(171)는 후단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심돌기(173)를 가질 수 있다. 중심돌기(173)에는 지름 방향으로 제5결합공(17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5결합공(174)에는 회전레버(175)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레버(175)의 양단부는 중심돌기(17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181)는 제1하우징부(16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에 회전구(171)를 수용할 수 있다.
제2하우징부(181)는 제2플랜지(182) 및 중간블록(183)을 가질 수 있다.
제2플랜지(182)는 제1플랜지(163)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1플랜지(163)애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블록(183)은 몸체부(184) 및 삽입부(185)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84)는 제2플랜지(182) 및 적층 플레이트(164)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84)의 일측면에는 수용홀(18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홀(186)에는 회전구(171)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홀(186)은 회전구(171)의 외측지름보다 큰 내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구(171)는 수용홀(18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삽입부(185)는 몸체부(184)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85)는 적층 플레이트(164)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적층 플레이트(164)와 함께 설치공간(162)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블록(183)은 비철금속(Non-ferrous metal),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 및 구리를 포함하는 반자성체(Diamagnetic Substanc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84)의 타측면에는 가이드홈(187)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87)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84)에는 몸체부(184)를 관통하여 삽입공(18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188)에는 중심돌기(17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중심돌기(173)는 삽입공(188)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84)의 타측면에는 회전홈(189)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홈(189)은 가이드홈(187)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홈(189)에서는 회전레버(175)가 회전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191) 및 제2스위치 레버(195)는 각각 가이드홈(187)에 위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19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푸셔(192,193)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 레버(191)의 상부는 클램핑 블록(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146a,146b) 중 어느 하나의 제2관통공(146a)을 통해 클램핑 블록(14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제1푸셔(192,193)는 각각 회전레버(175)의 일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191)가 상향 이동되면, 하측의 제1푸셔(193)가 회전레버(175)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석(165)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스위치 레버(195)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푸셔(196,197)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스위치 레버(195)의 상부는 클램핑 블록(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146a,146b) 중 나머지 하나의 제2관통공(146b)을 통해 클램핑 블록(14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제2푸셔(196,197)는 각각 회전레버(175)의 타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스위치 레버(195)가 상향 이동되면, 하측의 제2푸셔(197)가 회전레버(175)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석(165)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회전되는 회전레버(175)에 의해 하측의 제1푸셔(193)가 눌리게 되면서 제1스위치 레버(191)는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자석(165)의 N극(N) 및 S극(S)이 삽입부(185)에 위치되는 경우, 자석은 Off 위치가 되며, 자기력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도 8의 (a) 참조).
그런데, 회전레버(175)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자석(165)이 회전되어 N극(N) 및 S극(S)이 적층 플레이트(164)에 위치되는 경우, 자석은 On 위치가 된다. 이 경우, 적층 플레이트(164)는 확장된 자석으로 기능될 수 있으며, 자기력 발생부(160)의 하측에 콘택터(40)의 금속플레이트(44)가 위치되면 자기력(M)은 금속플레이트(44)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자기력 발생부(160)에서 자기력이 발생되면 금속플레이트(44)는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력 발생부(160)에 부착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한편, 자석(165)이 반대로 회전되어 다시 자석(165)의 N극(N) 및 S극(S)이 삽입부(185)에 위치되는 경우, 자석은 Off 위치가 되며, 자기력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금속플레이트(44)는 자기력 발생부(160)에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165)의 회전을 통해 자기력 발생부(160)에서 자기력이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콘택터(40)의 교체 작업 시에는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용이하게 콘택터(40)를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테스트 기판 40: 콘택터
60: 피검사 패널 100: 클램핑 유닛
120: 연결블록 130: 탄성부재
140: 클램핑 블록 147: 레벨기준돌기
150: 운동변환부 151: 레일
152: 슬라이더 154: 스테이지 블록
155: 조인트 홀 156: 레벨조정공
158: 레벨조정용 핀 159: 커넥터
160: 자기력 발생부 200: 지지부

Claims (10)

  1. 테스트 기판이 마련되고, 피검사 패널이 공급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힌지축이 결합되는 고정블록;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여 상기 연결블록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블록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후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 회전 시에 하향 회전하여 하부에 마련되는 콘택터를 상기 피검사 패널에 밀착시키는 클램핑 블록;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 및 상기 클램핑 블록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 블록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콘택터가 상기 피검사 패널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변환부는 상기 고정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클램핑 블록을 연결하는 스테이지 블록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블록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스테이지 블록에 구면 조인트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 시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스테이지 블록이 상하 이동되도록 힘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스테이지 블록은 상기 커넥터의 타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조인트 홀을 가지고, 상기 스테이지 블록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조인트 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록의 후단부에는 레벨기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지 블록은 상기 레벨기준돌기의 상부에 마련되고, 양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레벨조정공을 가지며, 상기 레벨조정공에 결합되는 레벨조정용 핀이 상기 레벨기준돌기의 상부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클램핑 블록의 수평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콘택터가 하부에 부착되도록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과 일체로 회전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는 중심돌기를 가지는 회전구와,
    상기 제1하우징부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회전구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스위치 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대칭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반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스위치 레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제1플랜지와,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되, 상기 자석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한 쌍의 적층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1플랜지와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및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구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적층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중간블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레버 및 제2스위치 레버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중심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회전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터는 상기 자기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금속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피검사 패널이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하측에 구비되는 영상장비가 상기 콘택터 및 상기 피검사 패널을 촬영하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KR1020180137956A 2018-11-12 2018-11-12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KR10209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56A KR102099653B1 (ko) 2018-11-12 2018-11-12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56A KR102099653B1 (ko) 2018-11-12 2018-11-12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653B1 true KR102099653B1 (ko) 2020-04-10

Family

ID=7029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956A KR102099653B1 (ko) 2018-11-12 2018-11-12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601B1 (ko) * 2022-02-17 2022-11-16 주식회사 프로이천 자석을 이용하는 프로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85Y1 (ko) * 2006-05-30 2006-08-08 김영주 프로브 조립체
KR20150066018A (ko) * 2013-12-05 2015-06-16 주식회사 이엘피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9888B1 (ko) 2015-12-24 2017-06-23 주식회사 하우토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80083731A (ko) *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이엘피 표시 패널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85Y1 (ko) * 2006-05-30 2006-08-08 김영주 프로브 조립체
KR20150066018A (ko) * 2013-12-05 2015-06-16 주식회사 이엘피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9888B1 (ko) 2015-12-24 2017-06-23 주식회사 하우토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80083731A (ko) *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이엘피 표시 패널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601B1 (ko) * 2022-02-17 2022-11-16 주식회사 프로이천 자석을 이용하는 프로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21867B (zh) 用于薄膜晶体管液晶显示器阵列测试的可配置式探测器
KR100295376B1 (ko) 수직평면에유지도킹된집적회로내장웨이퍼용소형인터페이스를갖춘프로버및테스터
KR101375097B1 (ko) 웨이퍼 트레이, 반도체 웨이퍼 시험 장치 및 반도체 웨이퍼의 시험 방법
KR102157780B1 (ko) 지그
KR20180126824A (ko)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CN102036464A (zh) 用于测试电子组件的系统
CN105706426A (zh) 用于测试手机的方法和设备
US11327111B2 (e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and chip testing system
KR102099653B1 (ko)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KR101346952B1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08253A (ko) 제품 검사용 소켓
CN108153088A (zh) 图像生成装置和图像投影装置
JP2015024490A (ja) ワーク支持装置
US8111073B2 (en) Testing device
TWI715515B (zh) 載具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KR101921189B1 (ko)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KR102025419B1 (ko)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조립장치
CN112400102B (zh) 具有枢转体并且能够向其上的附件提供电力的硬度测试仪
WO2019130949A1 (ja) 基板検査装置
KR102021599B1 (ko)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용 콘택터 마운트 조립체
SG124258A1 (en) Zero insertion force mount for fixing and making contact with circuit subassemblies on a substrate
KR102311432B1 (ko) 전기 검사 장치 및 보유 지지 유닛
JPH07294580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検査装置
KR20180056335A (ko) 프로브 카드의 전기적 특성 측정장치
CN110057540B (zh) 一种屏幕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