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189B1 -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189B1
KR101921189B1 KR1020170111939A KR20170111939A KR101921189B1 KR 101921189 B1 KR101921189 B1 KR 101921189B1 KR 1020170111939 A KR1020170111939 A KR 1020170111939A KR 20170111939 A KR20170111939 A KR 20170111939A KR 101921189 B1 KR101921189 B1 KR 10192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unit
magnetic force
base
clamp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기
Original Assignee
(주)엔지온
한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지온, 한윤기 filed Critical (주)엔지온
Priority to KR102017011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51/003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H01L2251/5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31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작업 효율이 개선된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는 베이스, 클램프유닛, 가압유닛, 이송유닛 그리고 스위칭유닛을 포함한다. 베이스에는 테스트 기판이 마련되고, 피검사 패널이 공급된다. 클램프유닛은 베이스에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블록과, 자기력 발생부가 구비되는 클램핑 블록을 가지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회전된다. 가압유닛은 클램프유닛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복수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클램핑 블록을 상향 회전시킨다. 이송유닛은 클램핑 블록이 상향 회전 시에, 각각의 클램프유닛에 대응되도록 콘택터가 안착되는 콘택터 바스켓을 이동시켜 콘택터가 해당되는 클램핑 블록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스위칭유닛은 콘택터가 클램핑 블록의 하측에 공급 완료 시에, 자기력 발생부에서 자기력이 발생되어 콘택터가 클램핑 블록에 부착되도록 자기력 발생부를 온/오프 시킨다.

Description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APPARATUS FOR REPLACING CONTACTOR FOR PANEL AGING DEVICE}
본 발명은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효율이 개선된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화소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OLED 패널은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테블릿 PC, 휴대형 음향 장치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소형 표시 패널의 제작 공정 중에는 표시 패널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되며,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프로브 스테이션(Probe Station)이다. 이러한, 프로브 스테이션은 표시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전지 접점(Pad)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콘택터(Contactor)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테스트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소형 표시 패널은 생산 특성상 다량의 표시 패널을 빠른 시간에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빠른 검사가 요구되며, 특히, 적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 및 성능의 표시 패널이 생산되므로 검사 대상표시 패널의 변경에 따른 측정 장비의 모델 교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반면, 기존의 프로브 스테이션은 한번에 한 종류의 표시 패널만 검사할 수 있어서 대량 생산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표시 패널의 생산 업체들은 저마다 검사 대상물에 대한 에이징(Aging) 작업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콘택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브 스테이션은 고가의 장비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한 종류의 콘택터만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콘택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택터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효율도 개선할 수 있는 콘택터 교체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9888호(2017.06.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 효율이 개선된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테스트 기판이 마련되고, 피검사 패널이 공급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블록과, 자기력 발생부가 구비되는 클램핑 블록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회전되는 복수의 클램프유닛; 상기 클램프유닛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클램핑 블록을 상향 회전시키는 가압유닛; 상기 클램핑 블록이 상향 회전 시에, 각각의 상기 클램프유닛에 대응되도록 콘택터가 안착되는 콘택터 바스켓을 이동시켜 상기 콘택터가 해당되는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송유닛; 그리고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측에 공급 완료 시에, 상기 자기력 발생부에서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에 부착되도록 상기 자기력 발생부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유닛을 포함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연결블록을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가지고, 상기 가압유닛이 상향 이동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 블록은 하향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1동력발생부와, 상기 제1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수직이동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수직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로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동력발생부와, 상기 제2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평이동부에 구비되는 제3동력발생부와, 상기 제3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수직이동부와, 상기 제2수직이동부에 각각 구비되고,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콘택터 바스켓을 이송시키는 홀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발생부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과 일체로 회전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는 중심돌기를 가지는 회전구와, 상기 제1하우징부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회전구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스위치 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대칭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반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스위치 레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제1플랜지와,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되, 상기 자석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한 쌍의 적층 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1플랜지와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및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구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적층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중간블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레버 및 제2스위치 레버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중심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회전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4동력발생부와, 상기 제4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수직이동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3수직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의 하부에 상기 제1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위치 레버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레버를 동시에 가압하는 제1가압구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5동력발생부와, 상기 제5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수직이동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4수직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의 하부에 상기 제2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스위치 레버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레버를 동시에 가압하는 제2가압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택터는 상기 자기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금속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유닛이 콘택터가 안착되는 콘택터 바스켓이 삽입 및 배출되도록 복수의 클램프유닛을 동시에 회전시키고, 이송유닛은 콘택터 바스켓을 클램프유닛으로 삽입 이동 및 배출 이동시키며, 스위칭유닛은 자기력 발생부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콘택터가 교체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베이스 및 클램프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클램프유닛 및 콘택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클램프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자기력 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자기력 발생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클램프유닛과 콘택터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가압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이송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스위칭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베이스 및 클램프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클램프유닛 및 콘택터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클램프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는 베이스(100), 클램프유닛(200), 가압유닛(300), 이송유닛(400) 그리고 스위칭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테스트 기판(110)이 마련될 수 있다. 테스트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으며, 패널 에이징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테스트 기판(110)에는 후술할 콘택터(10, 도 9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피검사 패널(20, 도 9 참조)이 공급될 수 있으며, 피검사 패널(20)은 콘택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사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클램프 서포트(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클램프 서포트(120)는 베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부/상측 및 하부/하측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클램프 서포트(120)를 기준으로 후술할 클램핑 블록(220) 방향을 전방/전단으로, 연결블록(210) 방향을 후방/후단으로 한다.
테스트 기판(110)은 클램프 서포트(120)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테스트 기판(110)의 전단부는 클램프 서포트(120)의 하부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콘택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유닛(200)은 클램프 서포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유닛(200)은 연결블록(210), 클램핑 블록(220) 그리고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연결블록(210)은 클램프 서포트(120)에 구비되는 고정블록(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 서포트(1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결합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240)에는 클램프 서포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공(241)에는 베어링(242)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240)의 하면에는 제1결합공(121)에 대응되는 제1결합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공(121) 및 제1결합홀(243)에는 제1체결부재(24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블록(240)은 클램프 서포트(1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블록(210)의 중앙에는 두께 방향으로 설치홀(2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홀(211)을 관통하도록 연결블록(210)의 폭 방향으로는 제2결합공(2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211)에 고정블록(24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제2결합공(212) 및 제1관통공(241)으로는 회전축(245)이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245)은 베어링(24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블록(210)은 회전축(245)을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회전될 수 있다.
클램핑 블록(220)은 연결블록(210)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블록(210)의 전방에는 제2결합홀(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핑 블록(220)에는 제2결합홀(213)에 대응되는 제3결합공(2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결합공(221) 및 제2결합홀(213)로 제2체결부재(222)가 결합됨으로써 클램핑 블록(220)은 연결블록(210)과 결합될 수 있다.
클램핑 블록(220)의 하면에는 가압돌기(2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223)는 클램핑 블록(2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돌기(223)는 클램핑 블록(2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콘택터(10)가 피검사 패널(20, 도 9 참조)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택터(10)의 제1접촉핀(11, 도 9 참조) 및 피검사 패널(20)의 제1전극(21, 도 9 참조) 간의 밀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223)는 콘택터(10)가 테스트 기판(110)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고, 콘택터(10)의 제2접촉핀(12, 도 9 참조) 및 테스트 기판(110)의 제2전극(111, 도 9 참조)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도록 하여 밀착력이 커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검사 패널(20)과 테스트 기판(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핑 블록(220)의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핀(224)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핀(224)은 클램핑 블록(22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콘택터(10)에는 가이드 핀(224)에 대응되도록 핀 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핀 홀(13)에 가이드 핀(224)이 삽입됨으로써 클램핑 블록(220)에 대한 콘택터(10)의 결합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피검사 패널(20)의 정위치 여부 확인은 베이스(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영상장비(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영상장비는 피검사 패널(20)의 제1전극(21)의 얼라인 포인트를 촬영할 수 있으며, 피검사 패널(20)의 제1전극(21)이 정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얼라인을 맞추기 위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연결블록(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의 하단부는 클램프 서포트(1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단부는 연결블록(2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클램프 서포트(120)의 상부에는 탄성부재(23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제1홈(122)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블록(21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230)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제2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14)은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연결블록(2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제1홈(122) 및 제2홈(214)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연결블록(210)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클램핑 블록(220)에 결합되는 콘택터(10)는 피검사 패널(20)의 제1전극(21)을 가압하여 밀착될 수 있다.
클램핑 블록(220)의 중앙에는 장착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225)은 클램핑 블록(220)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자기력 발생부(250)는 장착홀(225)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블록(220)에는 제2관통공(226a,226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226a,226b)은 클램핑 블록(22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관통공(226a,226b)은 장착홀(225)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관통공(226a,226b)에는 자기력 발생부(250)의 제1스위치 레버(281) 및 제2스위치 레버(285)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281) 및 제2스위치 레버(285)는 제2관통공(226a,226b)을 통해 클램핑 블록(22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클램핑 블록(22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자기력 발생부(250)는 내부에 자석을 가질 수 있다. 자석은 제1스위치 레버(281) 및 제2스위치 레버(285)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램핑 블록(220)의 하측으로 자기력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콘택터(10)는 상부에 금속플레이트(14)를 가질 수 있다. 금속플레이트(14)는 철을 포함하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력 발생부(250)에 의해 클램핑 블록(220)의 하측으로 자기력이 발생되는 경우, 금속플레이트(14)는 자기력에 의해 자기력 발생부(250)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고, 콘택터(10)는 클램핑 블록(22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금속플레이트(14)는 자기력 발생부(25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기력 발생부(250)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가압유닛(300)은 클램프유닛(200)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압유닛(300)은 하향 이동 시에 복수의 연결블록(210)을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클램핑 블록(220)을 상향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가압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압유닛(300)은 제1동력발생부(310), 제1수직이동부(320) 및 가압로드(330)를 가질 수 있다.
제1동력발생부(310)는 베이스(10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동력발생부(310)는 상하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동력발생부(310)로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수직이동부(320)는 제1동력발생부(310)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수직이동부(320)는 제1동력발생부(31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로드(330)는 양단부가 각각 제1수직이동부(3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로드(330)는 연결블록(2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로드(330)는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연결블록(210)의 후방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가압로드(330)는 제1수직이동부(320)가 하향 이동 시에 연동하여 하향 이동되면서 복수의 연결블록(21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가압로드(330)가 연결블록(210)을 가압하면, 연결블록(210)의 후단이 하향으로 회전되면서 클램핑 블록(220)은 상향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로드(330)는 제1수직이동부(320)가 상향 이동 시에 연동하여 상향 이동되며, 이 경우, 탄성부재(230)의 탄발력에 의해 연결블록(210)의 후단이 상향 회전되면서 클램핑 블록(220)은 하향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유닛(400)은 클램핑 블록(220)이 상향 회전 시에 각각의 클램프유닛(200)에 대응되도록 콘택터(10)가 안착되는 콘택터 바스켓(30)을 이동시켜 콘택터(10)가 해당되는 클램핑 블록(220)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이송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더 포함하여 설명한다.
이송유닛(400)은 제2동력발생부(410), 수평이동부(420), 제3동력발생부(430), 제2수직이동부(440) 및 홀더(450)를 가질 수 있다.
제2동력발생부(410)는 베이스(10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동력발생부(410)는 수평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동력발생부(410)로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수평이동부(420)는 제2동력발생부(410)와 연결되고 베이스(10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수평이동부(420)는 제2동력발생부(41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베이스(10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3동력발생부(430)는 수평이동부(4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3동력발생부(430)는 상하 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3동력발생부(430)로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수직이동부(440)는 제3동력발생부(430)와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수직이동부(440)는 제3동력발생부(4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홀더(450)는 제2수직이동부(44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450)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홀더(450)에는 콘택터 바스켓(3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택터 바스켓(30)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콘택터 바스켓(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31)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홈(31)에는 콘택터(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콘택터(10)는 금속플레이트(14)가 상측을 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피검사 패널(20)의 검사를 위해 콘택터 바스켓(30)을 클램프유닛(2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콘택터가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교체될 콘택터가 안착된 콘택터 바스켓(30)을 클램프유닛(200)으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 및 수직 이동을 통해 이송유닛(400)은 콘택터 바스켓(30)을 클램프유닛(200)의 상부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콘택터 바스켓(30)이 클램프유닛(200)의 상부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유닛(300)의 가압로드(330)가 하향 이동되어 클램프유닛(200)의 연결블록(210)을 누르면, 클램핑 블록(220)은 상향 회전하게 된다. 이송유닛(400)은 클램프유닛(200)에 부착시킬 콘택터가 안착된 콘택터 바스켓(30)을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후 하향 이동시킨 후,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콘택터가 클램핑 블록(2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유닛(300)의 가압로드(330)가 상향 이동되면, 탄성부재(230)의 탄발력에 의해 클램핑 블록(220)은 하향 회전되고, 자기력 발생부(25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금속플레이트(14)가 클램핑 블록(220)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콘택터(10)는 클램프유닛(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테스트 기판(110) 및 피검사 패널이 공급되어 콘택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피검사 패널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기력 발생부(250) 및 스위칭유닛(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자기력 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자기력 발생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클램프유닛과 콘택터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력 발생부(250)는 제1하우징부(251), 자석(255), 회전구(261), 제2하우징부(271), 제1스위치 레버(281) 및 제2스위치 레버(285)를 가질 수 있다.
제1하우징부(251)의 내측에는 설치공간(2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251)는 제1플랜지(253) 및 적층 플레이트(254)를 가질 수 있다.
적층 플레이트(254)는 제1플랜지(253)에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적층 플레이트(254)는 철을 포함하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 플레이트(254)는 얇은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자석(255)의 높이에 따라 플레이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층 플레이트(25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자석(255)이 위치될 설치공간(252)은 적층 플레이트(25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석(255)은 적층 플레이트(254)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2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자석(255)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255)의 후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결합홈(256)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구(261)는 자석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구(261)는 전단부에 결합홈(25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262)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돌기(262)가 결합홈(256)에 결합되어 회전구(261)는 자석(255)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구(261)는 후단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심돌기(263)를 가질 수 있다. 중심돌기(263)에는 지름 방향으로 제4결합공(26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4결합공(264)에는 회전레버(265)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레버(265)의 양단부는 중심돌기(26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271)는 제1하우징부(25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에 회전구(261)를 수용할 수 있다.
제2하우징부(271)는 제2플랜지(272) 및 중간블록(273)을 가질 수 있다.
제2플랜지(272)는 제1플랜지(253)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1플랜지(253)애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블록(273)은 몸체부(274) 및 삽입부(275)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274)는 제2플랜지(272) 및 적층 플레이트(254)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274)의 일측면에는 수용홀(27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홀(276)에는 회전구(261)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홀(276)은 회전구(261)의 외측지름보다 큰 내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구(261)는 수용홀(27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삽입부(275)는 몸체부(274)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75)는 적층 플레이트(254)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적층 플레이트(254)와 함께 설치공간(252)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블록(273)은 비철금속(Non-ferrous metal),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 및 구리를 포함하는 반자성체(Diamagnetic Substanc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74)의 타측면에는 가이드홈(277)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77)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274)에는 몸체부(274)를 관통하여 삽입공(27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278)에는 중심돌기(26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중심돌기(263)는 삽입공(278)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74)의 타측면에는 회전홈(279)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홈(279)은 가이드홈(277)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홈(279)에서는 회전레버(265)가 회전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281) 및 제2스위치 레버(285)는 각각 가이드홈(277)에 위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28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푸셔(282,283)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 레버(281)의 상부는 클램핑 블록(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226a,226b) 중 어느 하나의 제2관통공(226a)을 통해 클램핑 블록(22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제1푸셔(282,283)는 각각 회전레버(265)의 일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스위치 레버(281)가 상향 이동되면, 하측의 제1푸셔(283)가 회전레버(265)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석(255)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스위치 레버(285)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푸셔(286,287)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스위치 레버(285)의 상부는 클램핑 블록(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226a,226b) 중 나머지 하나의 제2관통공(226b)을 통해 클램핑 블록(22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제2푸셔(286,287)는 각각 회전레버(265)의 타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스위치 레버(285)가 상향 이동되면, 하측의 제2푸셔(287)가 회전레버(265)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석(255)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회전되는 회전레버(265)에 의해 하측의 제1푸셔(283)가 눌리게 되면서 제1스위치 레버(281)는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자석(255)의 N극(N) 및 S극(S)이 삽입부(275)에 위치되는 경우, 자석은 Off 위치가 되며, 자기력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도 8의 (a) 참조).
그런데, 회전레버(265)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자석(255)이 회전되어 N극(N) 및 S극(S)이 적층 플레이트(254)에 위치되는 경우, 자석은 On 위치가 된다. 이 경우, 적층 플레이트(254)는 확장된 자석으로 기능될 수 있으며, 자기력 발생부(250)의 하측에 콘택터(10)의 금속플레이트(14)가 위치되면 자기력(M)은 금속플레이트(14)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콘택터 바스켓(30)에는 보조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자석은 자석(255)보다 작은 자기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콘택터(10)는 콘택터 바스켓(30)에 부착될 수 있다. 콘택터 바스켓(30)에 콘택터(10)가 부착된 상태에서 자기력 발생부(250)에서 자기력이 발생되면 금속플레이트(14)는 더 큰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력 발생부(250)에 부착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한편, 자석(255)이 반대로 회전되어 다시 자석(255)의 N극(N) 및 S극(S)이 삽입부(275)에 위치되는 경우, 자석은 Off 위치가 되며, 자기력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금속플레이트(14)는 자기력 발생부(250)에서 떨어지고 콘택터(10)는 콘택터 바스켓(3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255)의 회전을 통해 자기력 발생부(250)에서 자기력이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콘택터(10)의 교체 작업 시에는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용이하게 콘택터(1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의 스위칭유닛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칭유닛(500)은 제4동력발생부(510), 제3수직이동부(520), 제1수평바(530), 제1가압구(531), 제5동력발생부(540), 제4수직이동부(550), 제2수평바(560) 및 제2가압구(561)를 가질 수 있다.
제4동력발생부(510)는 베이스(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4동력발생부(510)는 상하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4동력발생부(510)로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제3수직이동부(520)는 제4동력발생부(510)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수직이동부(520)는 제4동력발생부(51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수평바(530)는 양단부가 각각 제3수직이동부(5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바(530)는 자기력 발생부(2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가압구(531)는 제1수평바(5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수평바(5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스위치 레버(281)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압구(531)는 제1수평바(530)가 하향 이동 시에 복수의 제1스위치 레버(281)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제5동력발생부(540)는 베이스(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5동력발생부(540)는 상하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5동력발생부(540)로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제4수직이동부(550)는 제5동력발생부(540)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4수직이동부(550)는 제5동력발생부(54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수평바(560)는 양단부가 각각 제4수직이동부(5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수평바(560)는 자기력 발생부(2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수평바(560)는 제1수평바(530)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압구(561)는 제2수평바(56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수평바(5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스위치 레버(285)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가압구(561)는 제2수평바(560)가 하향 이동 시에 복수의 제2스위치 레버(285)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스위칭유닛(500)은 이송유닛(400)에 의해 콘택터 바스켓(30)이 클램프유닛(200)으로 이동되면, 예를 들어, 제1수평바(530)가 하향 이동되도록 하여 제1가압구(531)가 제1스위치 레버(281)를 눌러 자석(255)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콘택터를 교체하는 경우, 제1수평바(530)는 상향 이동되도록 하고, 제2수평바(560)가 하향 이동되도록 하여 제2가압구(561)가 제2스위치 레버(285)를 눌러 자석(255)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콘택터
14: 금속플레이트
20: 피검사 패널
30: 콘택터 바스켓
100: 베이스
110: 테스트 기판
120: 클램프 서포트
200: 클램프유닛
210: 연결블록
220: 클램핑 블록
250: 자기력 발생부
281: 제1스위치 레버
285: 제2스위치 레버
300: 가압유닛
400: 이송유닛
500: 스위칭유닛
531: 제1가압구
561: 제2가압구

Claims (10)

  1. 테스트 기판이 마련되고, 피검사 패널이 공급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연결블록과, 자기력 발생부가 구비되는 클램핑 블록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회전되는 복수의 클램프유닛;
    상기 클램프유닛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클램핑 블록을 상향 회전시키는 가압유닛;
    상기 클램핑 블록이 상향 회전 시에, 각각의 상기 클램프유닛에 대응되도록 콘택터가 안착되는 콘택터 바스켓을 이동시켜 상기 콘택터가 해당되는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송유닛; 그리고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측에 공급 완료 시에, 상기 자기력 발생부에서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에 부착되도록 상기 자기력 발생부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유닛을 포함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연결블록을 상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가지고, 상기 가압유닛이 상향 이동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 블록은 하향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1동력발생부와,
    상기 제1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수직이동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수직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연결블록을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로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동력발생부와,
    상기 제2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평이동부에 구비되는 제3동력발생부와,
    상기 제3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수직이동부와,
    상기 제2수직이동부에 각각 구비되고,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콘택터 바스켓을 이송시키는 홀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발생부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과 일체로 회전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는 중심돌기를 가지는 회전구와,
    상기 제1하우징부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회전구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스위치 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대칭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스위치 레버와 반대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스위치 레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제1플랜지와,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되, 상기 자석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한 쌍의 적층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1플랜지와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및 상기 적층 플레이트의 사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구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적층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중간블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레버 및 제2스위치 레버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중심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회전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4동력발생부와,
    상기 제4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수직이동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3수직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의 하부에 상기 제1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위치 레버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레버를 동시에 가압하는 제1가압구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5동력발생부와,
    상기 제5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수직이동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4수직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의 하부에 상기 제2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스위치 레버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하향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레버를 동시에 가압하는 제2가압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터는 상기 자기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콘택터가 상기 클램핑 블록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금속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KR1020170111939A 2017-09-01 2017-09-01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KR10192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39A KR101921189B1 (ko) 2017-09-01 2017-09-01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39A KR101921189B1 (ko) 2017-09-01 2017-09-01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189B1 true KR101921189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939A KR101921189B1 (ko) 2017-09-01 2017-09-01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30B1 (ko) * 2019-02-22 2020-07-24 주식회사 제다온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용 콘택터 마운트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888B1 (ko) 2015-12-24 2017-06-23 주식회사 하우토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888B1 (ko) 2015-12-24 2017-06-23 주식회사 하우토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30B1 (ko) * 2019-02-22 2020-07-24 주식회사 제다온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용 콘택터 마운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462B2 (en) Electrical device testing fixture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WO2012108066A1 (ja) 検査治具
KR20180126824A (ko)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KR102157780B1 (ko) 지그
KR101616391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CN109551433B (zh) 可快速更换且可自动识别的载具
KR101921189B1 (ko) 패널 에이징 장치용 콘택터 교체 장치
JP4570930B2 (ja) パネルの検査装置に用いられ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6133099A (ja) 表示用パネルの検査装置
KR102099653B1 (ko) 패널 에이징 장치용 클램핑 유닛
KR101346895B1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모델 교체 방법
US8111073B2 (en) Testing device
CN212301637U (zh) 一种pcba测试治具
CN212749146U (zh) 一体式性能测试装置
CN216209778U (zh) 一种断短路测试设备
CN110174535B (zh) 一种压头
JP2008151551A (ja) 半導体デバイス検査用の接触治具、および検査治具装置、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検査方法
KR102021599B1 (ko)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용 콘택터 마운트 조립체
KR101947454B1 (ko) 디스플레이패널 팔레트용 콘택터 클램핑장치
CN218331839U (zh) 测试设备
CN217135698U (zh) 一种可快速更换的耳机测试治具
CN116359717B (zh) 一种oled面板驱动ic的连续测试装置
CN213780224U (zh) 一种测试治具及显示面板老化测试装置
CN220271373U (zh) 一种led灯条测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