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620B1 -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9620B1 KR102099620B1 KR1020190116660A KR20190116660A KR102099620B1 KR 102099620 B1 KR102099620 B1 KR 102099620B1 KR 1020190116660 A KR1020190116660 A KR 1020190116660A KR 20190116660 A KR20190116660 A KR 20190116660A KR 102099620 B1 KR102099620 B1 KR 102099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ion product
- rim
- semi
- support
- scr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23J3/02—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03—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for supplying chemicals to fumes, e.g. using injection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1—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탑의 운전을 중지시킬 필요 없이 반응탑의 바닥면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을 반응탑의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으며, 장기간 운전에도 구성요소들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는 수평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 일측에서 둘레 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구를 형성하는 바닥면 측에 장착되어 바닥면에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한다.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는,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와,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가 바닥면 상부 측으로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배출구 측으로 긁어서 밀어내도록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 및 반건식 반응탑의 외벽면 상에 장착되며,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을 선회 작동할 수 있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지지체로 전달하는 원동기어 및 아이들러 기어를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건식 반응탑(Semi Dry Reactor; SD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탑의 운전을 중지함이 없이 반응탑의 바닥면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을 반응탑의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소각시설 등에서 연소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 내의 염화수소(HCl)나 황산화물(SOx) 또는 불화수소(HF) 등의 유해물질은 인체에 매우 해로움은 물론 대기오염의 원인물질로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거되고 있다.
일례로 배기가스 내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배기가스를 반응탑의 내부로 유도하여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유해물질 포집방법은 크게 건식법, 습식법 및 반건식법으로 분류된다.
건식법은 배기가스를 분말이나 펠릿(Pellet) 형태의 촉매층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습식법에 비해 용수사용이 거의 없고 유해물질 제거 후 배기가스의 온도 변화가 거의 없어 재가열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반응영역 확장에 따른 대형장치가 필연적이며 유해물질 제거율이 낮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습식법은 물, 알칼리 용액 등으로 배기가스를 세정하여 흡수하는 방법으로 1차 생성물이 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로 되고 유해물질과 물, 알칼리 용액과의 혼합이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 유해물질 제거율이 높고 부속장치가 작아 부지 확보가 용이하지만, 공정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 연돌에서의 상승력을 위해서는 재가열이 필요하고 공정에 따라 다량의 폐수가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반건식법은 알칼리성(수산화나트륨, 소석회, Ca(OH)2 등) 용액이나 슬러리 등의 약품을 분사하여 고온의 배기가스가 알칼리성 약품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가스 내의 유해물질을 알칼리성 약품으로 흡수 및 중화시키는 방식으로 유해물질의 높은 제거효율 뿐만 아니라 폐수의 발생이 없고 장치의 부식 및 백연현상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반건식법은 배기가스 내 유해물질과 알칼리성 약품이 접촉해 반응하면서 염(CaCl2, CaCO3) 형태의 반응 생성물을 생성시키고, 반응 생성물이 반응탑의 내벽면에 고착되어 반응탑의 내부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기 때문에 반응탑의 내벽면에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반응탑의 바닥으로 떨어트려 제거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반응탑의 내벽면에 고착된 반응 생성물은 반응탑의 외벽면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터(Vibrator)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0763호"에 개시된 '반응탑 내벽의 고착물 박리장치" 등에 의해 반응탑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반응탑의 바닥으로 떨어져 쌓인 반응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소각시설의 운전을 중단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반건식 반응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827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1663호"에는 소각시설의 운전을 중단할 필요 없이 반응탑의 바닥으로 떨어진 반응 생성물을 자동으로 반응탑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특허 및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장치들은 그 실시여부가 불명확하며, 설사 실시된다 하더라도 반응 생성물을 쓸어 내는 회전날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827호 참조)들 및 반응 생성물을 파쇄하는 파쇄봉(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1663호)들이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과 연결된 고정단 측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문제점은 반응탑의 연속적인 운전을 저해하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량 및 스팀 생산량이 감소하게 되고, 유지보수로 인한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탑의 운전을 중지시킬 필요 없이 반응탑의 바닥면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을 반응탑의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으며, 장기간 운전에도 구성요소들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평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 일측에서 둘레 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구를 형성하는 바닥면 측에 장착되어 바닥면에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는,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와,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가 바닥면 상부 측으로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배출구 측으로 긁어서 밀어내도록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 및 반건식 반응탑의 외벽면 상에 장착되며,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을 선회 작동할 수 있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지지체로 전달하는 원동기어 및 아이들러 기어를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는, 바닥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닥면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바닥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림;을 포함하되, 회전축과 림은 일단이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림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암을 매개로 연결되며, 림의 외주면 상에는 구동수단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 1 기어 이가 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림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바닥면의 상부에는 림에 대응하는 환형의 트랙이 고정 장착되며, 림의 하부면 상에는 트랙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부재는, 림의 하부면 상에 상부가 고정 장착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드;를 포함하되, 패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볼트를 매개로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각각 에이치 빔 형상을 가지는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을 매개로 지지체의 회전축 및 림 사이에 배치되되,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은 지지체의 암들에 간섭되지 않게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일단은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림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상부에는 반응 생성물이 쌓이지 않도록 "∧"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사 플레이트가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제 1 메인 스크레이퍼는 제 1 지지 빔의 타단 측에 고정 장착되고, 제 2 메인 스크레이퍼는 제 2 지지 빔의 중앙 측에 고정 장착되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제 3 지지 빔의 일단 측에 고정 장착되고, 선회 작동 시 회전축에 근접한 제 1 메인 스크레이퍼의 일단 측과 회전축에서 먼 제 2 메인 스크레이퍼 타단 측은 안내되는 영역이 서로 겹치며, 회전축에 근접한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일단 측과 회전축에서 먼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타단 측은 안내되는 영역이 서로 겹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메인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바닥면의 둘레 측의 반응 생성물을 바닥면의 중심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에서 먼 타단은 제 1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1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3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축에 근접한 일단은 제 1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1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 2 메인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바닥면의 둘레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에 먼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타단은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2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제 3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축에 근접한 일단은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2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1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바닥면의 둘레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에 먼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타단은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3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축에 근접한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일단은 제 3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은, 림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어 림의 하부와 트랙 및 림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떨어져 쌓이는 반응 생성물 및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는 보조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며, 보조 스크레이퍼는 평면에서 봤을 때 바닥면의 둘레 측에서 바닥면의 중심부 측으로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부는 수평한 판 형상의 보조브라켓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보조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제 1 메인 스크레이퍼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보조 스크레이퍼의 일단 측은 림의 외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타단 측은 림의 내주면을 지나 연장되되, 보조 스크레이퍼는 림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림의 회전방향 측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접선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제 2, 제 3 메인 스크레이퍼 및 보조 스크레이퍼는 반응 생성물을 밀어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 분리 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볼록한 부분이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는 외벽면에 고정 장착된 기어박스에 탑재되며, 구동모터에서 연장된 구동축은 기어박스 내부에 한정되되 구동축에는 원동기어가 장착되고, 아이들러 기어는 기어박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지지체의 림과 원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아이들러 기어에는 림에 형성된 제 1 기어 이와 원동기어에 형성된 제 2 기어 이에 맞물리는 제 3 기어 이가 형성되고, 반건식 반응탑의 벽면에는 아이들러 기어의 제 3 기어 이가 림의 제 1 기어 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절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건식 반응탑의 내벽면에는 절개공을 통해 반건식 반응탑의 내부로 삽입된 아이들러 기어와 림의 상부 측으로 반응 생성물이 떨어지거나 고착되지 않도록 경사브라켓이 부착되되, 경사브라켓은 림의 상부보다 높은 반건식 반응탑의 상기 내벽면에서 림의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 작동하면서 반건식 반응탑의 바닥면 상부 측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 및 바닥면에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 배출구 측으로 쓸어서 밀어내는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 및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을 선회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반건식 반응탑의 운전을 중지시킬 필요 없이 반응 생성물을 반건식 반응탑의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수단의 회전 구동력이 지지체의 외주면 측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장기간 운전에도 구성요소들의 변형 및 파손, 특히 제 1, 제 2,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를 지지하는 제 1, 제 2,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폐기물 처리량 및 스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로 인한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가 장착된 반건식 반응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반건식 반응탑을 절개하여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선 B-B를 따라 도시된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 선회 작동 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가 지나는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반건식 반응탑을 절개하여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선 B-B를 따라 도시된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 선회 작동 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가 지나는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가 장착된 반건식 반응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는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의 상부 측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 상에 장착된다.
반건식 반응탑(10)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의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반건식 반응탑(10)의 구성, 구성 간의 연결 관계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가 장착되는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은 수평한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바닥면(12) 상에는 반응 생성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구(14; 도 2 참조)가 형성되되 배출구(14)는 바닥면(12)의 중심부 일측에서 바닥면(12)의 둘레 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면(12)의 하부에는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하는 호퍼(16)가 장착된다.
일례로,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 상에 고정되어 지지되거나 또는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 및 호퍼(16)는 별도로 제공되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이 지면(G) 상에 고정될 경우 호퍼(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으로 마련된 지하 구조물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배출구(14) 및 호퍼(16)를 통해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은 통상의 톤백 마대(도시되지 않음)에 담겨지며, 반응 생성물이 담긴 톤백 마대는 대차(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해 후속공정으로 넘겨진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는 선회 작동하면서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 상부 측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 및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배출구(14) 측으로 쓸어서 밀어내는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 및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을 선회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반응 생성물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반건식 반응탑(10)의 내벽면(18a) 상에 고착된 후 바닥면(12)의 상부 측으로 떨어져 쌓이는 반응 생성물 뿐만 아니라 직접 바닥면(12)의 상부 측으로 떨어져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의미한다.
먼저,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건식 반응탑(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반건식 반응탑(10)의 내부에 한정된 바닥면(12) 상부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은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b)와,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112)를 포함한다.
지지체(112)는 원판 형상의 바닥면(12)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닥면(12)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113)과, 회전축(113)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바닥면(12)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림(116; rim)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축(112)과 림(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암(114; arm)을 매개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암(114)의 일단은 회전축(112)의 외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림(116)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된다. 도 2에는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3개의 암(114)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림(116)의 외주면 상에는 구동수단(150)으로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 1 기어 이(118; gear tooth)가 림(11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림(116)은 가공이 용이하도록 분할되어 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 림(116)은 평면에서 봤을 때 그 직경이 상당히 크고 측면에서 봤을 때 그 높이가 높기 때문에 원호의 형상을 가지면서 얇은 다수의 섹션으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그 섹션들을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시킨 후 각 섹션들을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시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림(116)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바닥면(12)의 상부에는 림(116)에 대응하는 환형의 트랙(120)이 고정 장착되며, 림(116)의 하부면 상에는 트랙(120)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122)가 장착된다.
슬라이딩 부재(122)는 림(116)의 하부면 상에 상부가 고정 장착되는 지지부(124)와, 지지부(124)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드(126)를 포함하는데, 패드(126)는 통상의 볼트(128; bolt) 등을 매개로 지지부(124)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의 장기간 운전으로 인해 마모된 패드(126)는 새로운 패드(126)로 교환되며, 바람직하게는 패드(126)는 강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통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등으로 제조된다.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각각 바닥면(12)으로 떨어진 반응 생성물 또는 바닥면(12)에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면서 배출구(14) 측으로 쓸어서 밀어내는 것으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각각 통상의 에이치(H) 빔 형상을 가지는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을 매개로 회전축(112)과 림(116)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14)들에 간섭되지 않게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은 암(114)들과 마찬가지로 일단은 회전축(112)의 외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림(116)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암(114)과 어느 하나의 지지 빔(136a, 136b, 136c)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11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상부에는 각각 반응 생성물이 쌓이지 않도록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사 플레이트(138a, 138b, 138c)가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고정 장착된다.
한편,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의 상부는 각각 수평한 판 형상의 제 1, 제 2 및 제 3지지브라켓(132a, 132b, 132c)에 의해 마감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볼트(bolt) 및 너트(nut)를 매개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즉,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의 제 1, 제 2 및 제 3 지지브라켓(132a, 132b, 132c)을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하부에 밀착시킨 상태 하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지지브라켓(132a, 132b, 132c) 및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bolt)에 너트(nut)를 체결시킴으로서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에 고정된다.
이때,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는 제 1 지지 빔(136a)의 타단 측에 고정 장착되고,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는 제 2 지지 빔(136b)의 중앙 측에 고정 장착되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c)는 제 3 지지 빔(136c)의 일단 측에 고정 장착되는데, 선회 작동 시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가 안내되는 영역(S1)과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가 안내되는 영역(S2)은 일부가 겹쳐지고, 마찬가지로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가 안내되는 영역(S2)과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c)가 안내되는 영역(S3)은 일부 겹쳐진다(도 4 참조).
즉,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선회 작동 시 회전축(112)에 근접한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의 일단 측과 회전축(112)에서 먼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의 타단 측은 서로 겹치며, 회전축(112)에 근접한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의 일단 측과 회전축(112)에서 먼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c)의 타단 측은 서로 겹치도록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는 선회 작동 시 바닥면(12)의 둘레 측의 반응 생성물을 바닥면(12)의 중심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회전축(112)에서 먼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의 타단은 제 1 지지브라켓(132a)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3 지지 빔(132c)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축(112)에 근접한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의 일단은 제 1 지지브라켓(132a)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지지 빔(132b)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b, 130c)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바닥면(12)의 둘레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우선 회전축(112)에 먼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의 타단은 제 2 지지브라켓(132b)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제 3 지지 빔(132c)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축(112)에 근접한 제 2 메인 스크레이퍼(130b)의 일단은 제 2 지지브라켓(132b)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1 지지 빔(132a)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회전축(112)에 먼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c)의 타단은 제 3 지지브라켓(132c)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지지 빔(132a)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회전축(112)에 근접한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c)의 일단은 제 3 지지브라켓(132c)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지지 빔(132b)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는 반응 생성물을 밀어내거나 바닥면(12)에 고착된 반응 생성물 분리 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볼록한 부분이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한편,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은 림(116)의 하부와 트랙(120) 및 바닥면(12) 사이에 떨어져 쌓이는 반응 생성물 및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는 보조 스크레이퍼(14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평면에서 봤을 때 바닥면(12)의 둘레 측에서 바닥면(12)의 중심부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부는 수평한 판 형상의 보조브라켓(142)에 의해 마감된다.
이렇게 형성된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볼트(bolt) 및 너트(nut)를 매개로 림(116)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즉,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보조브라켓(142)을 림(116)의 하부에 밀착시킨 상태 하에서 보조브라켓(142) 및 림(116)을 관통하는 볼트(bolt)에 너트(nut)를 체결시킴으로서 림(116)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일단 측은 림(116)의 외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보조 스크레이퍼(140)의 타단 측은 림(116)의 내주면을 지나 연장되되,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림(116)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림(116)의 회전방향 측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접선(T; 도 2 참조)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와 마찬가지로 반응 생성물을 밀어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 분리 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볼록한 부분이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구동수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건식 반응탑(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에 인접한 반건식 반응탑(10)의 외벽면(18b)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50)은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2)와, 구동모터(152)의 회전 구동력을 지지체(112)의 림(116)에 전달하는 아이들러 기어(162; idler gear)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건식 반응탑(10)의 외벽면(18b)에 고정 장착된 기어박스(160)에 탑재되며, 구동모터(152)에서 연장된 구동축(154)은 기어박스(160) 내부에 한정된다.
이때, 구동축(154)에는 통상의 스퍼어 기어 형태의 원동기어(156)가 장착되는데, 원동기어(156)에는 림(1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기어 이(118)와 동일한 형태의 제 2 기어 이(158)가 형성된다.
아이들러 기어(162)는 원동기어(156)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스퍼어 기어로 제공되며, 지지체(112)가 회전하도록 원동기어(158)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를 위해서 아이들러 기어(162)는 기어박스(16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지지체(112)의 림(116)과 원동기어(156)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아이들러 기어(162)에는 림(116)에 형성된 제 1 기어 이(118)와 원동기어(156)에 형성된 제 2 기어 이(118)에 맞물리는 제 3 기어 이(164)가 형성되는데, 반건식 반응탑(10)에는 벽면(18)에는 아이들러 기어(162)의 제 3 기어 이(164)와 림(1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기어 이(118)가 맞물릴 수 있도록 절개공(20)이 형성된다.
즉, 구동모터(152)의 회전 구동력은 원동기어(156) 및 아이들러 기어(162)를 통해 림(116)으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림(116)은 회전축(113)과 함께 선회 작동하게 된다.
한편, 반건식 반응탑(10)의 내벽면(18a)에는 절개공(20)을 통해 반건식 반응탑(10)의 내부로 삽입된 아이들러 기어(162)와 림(116)의 상부 측으로 반응 생성물이 떨어지거나 고착되지 않도록 경사브라켓(22)이 부착된다. 이때 경사브라켓(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림(116)의 상부보다 높은 반응탑(10)의 내벽면(18a)에서 림(116)의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도 2에는 3개의 구동수단(150)이 도시되어 있지만 구동수단(150)을 3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구동수단(150)은 가감될 수 있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가 장착된 반건식 반응탑(10)이 운전을 시작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는 반건식 반응탑(10)과 같이 운전을 시작한다.
즉, 반건식 반응탑(10)이 운전을 시작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는 구동수단(150)의 구동모터(152)에 전원을 인가해 구동모터(152)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152)가 작동하면, 구동모터(152)는 회전 구동력은 원동기어(156) 및 아이들러 기어(162)를 거쳐 림(116)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지지체(112)는 바닥면(12)을 따라 선회 작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체(112)에 고정된 보조 스크레이퍼(140) 및 제 1, 제 2,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도 지지체(112)를 따라 선회 작동하면서 바닥면(12)으로 떨어져 쌓인 반응 생성물 및 바닥면(12)에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면서 배출구(14)로 밀어 배출시킨다.
즉, 보조 스크레이퍼(140)는 지지체(112)을 따라 선회 하면서 림(116)의 하부와 트랙(120) 및 바닥면(12) 사이에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면서 제 1 메인 스크레이퍼(130a) 측으로 유도하며, 제 1, 제 2,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들도 지지체(112)를 따라 선회 하면서 바닥면(12) 사이에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면서 배출구(14) 측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은 호퍼(16)에 일시적으로 저장 된 후 톤백 마대(도시되지 않음)에 담겨지며, 반응 생성물이 담긴 톤백 마대는 대차(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해 후속공정으로 넘겨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100)는 선회 작동하면서 반건식 반응탑(10)의 바닥면(12) 상부 측으로 쌓이는 반응 생성물 및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배출구(14) 측으로 쓸어서 밀어내는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 및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110)을 선회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50)을 포함하기 때문에 반건식 반응탑(10)의 운전을 중지시킬 필요 없이 반응 생성물을 반건식 반응탑(10)의 외부로 자동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150)의 회전 구동력이 지지체(112)의 외주면 측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장기간 운전에도 구성요소들의 변형 및 파손, 특히 제 1, 제 2, 제 3 메인 스크레이퍼(130a, 130b, 130c)를 지지하는 제 1, 제 2, 제 3 지지 빔(136a, 136b, 136c)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폐기물 처리량 및 스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로 인한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반건식 반응탑 12 : 바닥면
14 : 배출구 18 : 벽면
18a : 내벽면 18b : 외벽면
20 : 절개공 22 : 경사브라켓
100 :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110 :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
112 : 지지체 113 : 회전축
116 : 림 120 : 트랙
122 : 슬라이딩 부재 130a : 제 1 메인 스크레이퍼
130b : 제 2 메인 스크레이퍼 130c : 제 3 메인 스크레이퍼
136a : 제 1 지지 빔 136b : 제 2 지지 빔
136c : 제 3 지지 빔 140 : 보조 스크레이퍼
150 : 구동수단 152 : 구동모터
156 : 원동기어 162 : 아이들러 기어
14 : 배출구 18 : 벽면
18a : 내벽면 18b : 외벽면
20 : 절개공 22 : 경사브라켓
100 :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110 :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
112 : 지지체 113 : 회전축
116 : 림 120 : 트랙
122 : 슬라이딩 부재 130a : 제 1 메인 스크레이퍼
130b : 제 2 메인 스크레이퍼 130c : 제 3 메인 스크레이퍼
136a : 제 1 지지 빔 136b : 제 2 지지 빔
136c : 제 3 지지 빔 140 : 보조 스크레이퍼
150 : 구동수단 152 : 구동모터
156 : 원동기어 162 : 아이들러 기어
Claims (13)
- 수평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 일측에서 둘레 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구를 형성하는 바닥면 측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면에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는,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가 상기 바닥면 상부 측으로 쌓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긁어서 밀어내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 및
상기 반건식 반응탑의 외벽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을 선회 작동할 수 있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지지체로 전달하는 원동기어 및 아이들러 기어를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바닥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림;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과 상기 림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림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암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림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구동수단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 1 기어 이가 상기 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는 상기 림에 대응하는 환형의 트랙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림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트랙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가 장착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림의 하부면 상에 상부가 고정 장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볼트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각각 에이치 빔 형상을 가지는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을 매개로 상기 지지체의 회전축 및 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은 상기 지지체의 암들에 간섭되지 않게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림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상부에는 반응 생성물이 쌓이지 않도록 "∧"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사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고정 장착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제 1 메인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 1 지지 빔의 타단 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 2 메인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 2 지지 빔의 중앙 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 3 지지 빔의 일단 측에 고정 장착되고,
선회 작동 시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상기 제 1 메인 스크레이퍼의 일단 측과 상기 회전축에서 먼 상기 제 2 메인 스크레이퍼 타단 측은 안내되는 영역이 서로 겹치며,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상기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일단 측과 상기 회전축에서 먼 상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타단 측은 안내되는 영역이 서로 겹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상기 바닥면의 둘레 측의 반응 생성물을 바닥면의 중심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회전축에서 먼 타단은 상기 제 1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1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3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일단은 상기 제 1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 2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상기 바닥면의 둘레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회전축에 먼 상기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타단은 상기 제 2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2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 3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일단은 상기 제 2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 1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상기 바닥면의 둘레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회전축에 먼 상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타단은 상기 제 3 메인 스크레이퍼의 상부를 마감하는 제 3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 1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근접한 상기 제 3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지지 빔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응 생성물 배출수단은,
상기 림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림의 하부와 상기 트랙 및 상기 림의 하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떨어져 쌓이는 반응 생성물 및 고착된 반응 생성물을 긁어내는 보조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크레이퍼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바닥면의 둘레 측에서 상기 바닥면의 중심부 측으로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부는 수평한 판 형상의 보조브라켓에 의해 마감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크레이퍼는 선회 작동 시 반응 생성물을 상기 제 1 메인 스크레이퍼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보조 스크레이퍼의 일단 측은 상기 림의 외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타단 측은 상기 림의 내주면을 지나 연장되되, 상기 보조 스크레이퍼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상기 림의 회전방향 측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접선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메인 스크레이퍼 및 상기 보조 스크레이퍼는 반응 생성물을 밀어내거나 고착된 반응 생성물 분리 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볼록한 부분이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외벽면에 고정 장착된 기어박스에 탑재되며, 상기 구동모터에서 연장된 구동축은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한정되되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원동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아이들러 기어는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지지체의 림과 상기 원동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아이들러 기어에는 상기 림에 형성된 제 1 기어 이와 상기 원동기어에 형성된 제 2 기어 이에 맞물리는 제 3 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기 반건식 반응탑의 벽면에는 상기 아이들러 기어의 상기 제 3 기어 이가 상기 림의 상기 제 1 기어 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절개공이 형성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반건식 반응탑의 내벽면에는 상기 절개공을 통해 상기 반건식 반응탑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아이들러 기어와 상기 림의 상부 측으로 반응 생성물이 떨어지거나 고착되지 않도록 경사브라켓이 부착되되,
상기 경사브라켓은 상기 림의 상부보다 높은 상기 반건식 반응탑의 상기 내벽면에서 상기 림의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6660A KR102099620B1 (ko) | 2019-09-23 | 2019-09-23 |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6660A KR102099620B1 (ko) | 2019-09-23 | 2019-09-23 |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9620B1 true KR102099620B1 (ko) | 2020-04-14 |
Family
ID=7029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6660A KR102099620B1 (ko) | 2019-09-23 | 2019-09-23 |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962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4541A (ja) * | 1996-08-12 | 1998-02-24 | Daido Steel Co Ltd | 排ガス冷却塔 |
KR200221663Y1 (ko) | 2000-11-24 | 2001-04-16 | 정현규 | 반건식 반응기의 소석회 슬러지 배출장치 |
KR20030053396A (ko) * | 2001-12-22 | 2003-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슬러지 배출장치 |
KR20040011169A (ko) * | 2002-07-29 | 2004-02-05 | 주식회사 포스코 | 반응탑 내벽의 고착물 박리장치 |
KR101392801B1 (ko) | 2013-03-07 | 2014-05-08 | 주식회사 해림엔지니어링 | 반건식 반응장치 |
KR101565827B1 (ko) | 2015-05-06 | 2015-11-09 | 동원이앤텍 주식회사 | 회전식 하부 배출장치를 갖는 반건식 반응탑 |
-
2019
- 2019-09-23 KR KR1020190116660A patent/KR1020996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4541A (ja) * | 1996-08-12 | 1998-02-24 | Daido Steel Co Ltd | 排ガス冷却塔 |
KR200221663Y1 (ko) | 2000-11-24 | 2001-04-16 | 정현규 | 반건식 반응기의 소석회 슬러지 배출장치 |
KR20030053396A (ko) * | 2001-12-22 | 2003-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슬러지 배출장치 |
KR20040011169A (ko) * | 2002-07-29 | 2004-02-05 | 주식회사 포스코 | 반응탑 내벽의 고착물 박리장치 |
KR100870763B1 (ko) | 2002-07-29 | 2008-11-26 | 주식회사 포스코 | 반응탑 내벽의 고착물 박리장치 |
KR101392801B1 (ko) | 2013-03-07 | 2014-05-08 | 주식회사 해림엔지니어링 | 반건식 반응장치 |
KR101565827B1 (ko) | 2015-05-06 | 2015-11-09 | 동원이앤텍 주식회사 | 회전식 하부 배출장치를 갖는 반건식 반응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61324B2 (en) | Pipe cleaning tool | |
CN209174033U (zh) | 一种建筑垃圾环保清理粉碎装置 | |
CN208008501U (zh) | 一种气浮池上的刮渣装置 | |
KR102099620B1 (ko) | 반건식 반응탑용 반응 생성물 배출장치 | |
KR101565827B1 (ko) | 회전식 하부 배출장치를 갖는 반건식 반응탑 | |
SU1376933A3 (ru) | Мельница | |
CN107094655A (zh) | 一种全自动清粪设备 | |
CN218048119U (zh) | 一种工地用可降尘建筑垃圾破碎装置 | |
CN217577421U (zh) | 一种石灰石取料机尾部自动清料装置 | |
CN117046292A (zh) | 一种用于煤化工废气处理的高效脱硫装置 | |
CN217868572U (zh) | 一种强制出灰装置 | |
CN110756005A (zh) | 一种地下工程施工用有害气体吸收净化装置 | |
CN217287712U (zh) | 一种可自动调节喷雾方向的微米级干雾抑尘装置 | |
CN215906962U (zh) | 一种采用半球型滚刀的隧道排水管堵塞体疏通装置 | |
CN214892671U (zh) | 一种密闭电石炉尾气净化除灰装置 | |
CN113509807A (zh) | 一种煤炭洗煤加工用除尘系统 | |
CN111012260B (zh) | 一种建筑工程用墙角泥块清理机 | |
CN114522944A (zh) | 一种脱硫塔底清灰装置 | |
CN209188238U (zh) | 一种脱水仓 | |
CN216548048U (zh) | 一种防止乙炔滑槽内电石渣结垢的装置 | |
CN208229656U (zh) | 一种用于湿式脱硫吸收塔的酸碱中和反应装置 | |
CN113244721A (zh) | 一种工业锅炉炉渣固废综合化环保处理方法 | |
CN112275112A (zh) | 一种垃圾焚烧发电烟气处理装置 | |
CN214020046U (zh) | 一种湿法脱硫除尘器 | |
CN109351019A (zh) | 一种脱水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