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31B1 -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31B1
KR102099031B1 KR1020187019965A KR20187019965A KR102099031B1 KR 102099031 B1 KR102099031 B1 KR 102099031B1 KR 1020187019965 A KR1020187019965 A KR 1020187019965A KR 20187019965 A KR20187019965 A KR 20187019965A KR 102099031 B1 KR102099031 B1 KR 10209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device
moving body
moves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239A (ko
Inventor
아츠시 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11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또 승객에 대해서 고급스런 인상을 주는 컵 홀더를 실현할 수 있는 로크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로크장치는, 제 1 평면부(65)와,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감속시키는 감속 경사면부(66)가 형성된 로크부재(60); 미사용위치(Y1)에 있어서 제 1 평면부(65)와 맞닿는 맞닿음부(31)가 형성된 해제부재(25); 제 2 부재(20)가 이동하는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로크부재(60)가 회전하는 방향에 있어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68);이 구비되며, 해제부재(65)가 하강하여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로크부재(60)가 토션 스프링(68)에 저항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가 슬라이드 이동한 후, 맞닿음부(31)가 통과홈부(61)를 통과하여 제 2 부재(20)가 미사용위치(Y2)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로크장치
본 발명은 이동체를 특정 위치에서 로크하고, 또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로크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콘솔에 구비된 컵 홀더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하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 홀더는 원형 형상의 컵 트레이와 원환 형상의 규제체가 래크ㆍ피니언을 통해서 연결된 구성이다. 컵 홀더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컵 트레이 및 규제체가 콘솔의 내측에 수납되어 로크되어 있다. 승객에 의해서 조작 버튼이 눌려져서 로크가 해제되면, 자중(自重)에 의해서 컵 트레이가 하강함과 동시에 규제체가 상승하여 음료 등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컵 트레이가 하강하는 동작은 에어 댐퍼에 의해서 완충된다. 한편, 규제체가 눌려 내려가면, 컵 트레이가 밀어 올려져서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13-107456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컵 홀더는 로크가 해제됨과 동시에 컵 트레이가 하강하는 것이어서 급작스럽게 동작하기 때문에, 승객에 대해서 저급한 인상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 컵 트레이가 하강하는 동작을 완충하기 위해서 에어 댐퍼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고 또한 에어 댐퍼의 배치위치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다. 즉,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또 승객에 대해서 고급스러운 인상을 주는 컵 홀더를 실현할 수 있는 로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부재가 구비된 로크장치로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감속시키는 감속부가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감속부에 의해서 감속되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와 상기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가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로크부재에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감속부와 상기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와,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맞닿음부보다도 상기 로크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맞닿음부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와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 상기 제 2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가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로크부재에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감속부와 상기 제 1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감속부와 상기 제 2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감속부가 경사면부이고, 상기 경사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평면부와 통과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평면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위치에 로크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부가 상기 맞닿음부로 이동하여 상기 맞닿음부와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통과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 감속부는 슬라이드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 이동체는 수용물이 놓여지는 시트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크부재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가 끼워지고, 상기 로크부재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체가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체가 상기 로크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상기한 구성이다. 즉, 이동체가 감속부에 의해서 감속되기 때문에, 이동체가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어, 승객에 대해서 고급스러운 인상을 주는 컵 홀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동체의 동작을 완충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제 1 위치에 있어서 로크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가 이동체에 구비되고,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감속부와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가 이동체 또는 로크부재에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이동체와 로크부재가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감속부와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동체가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즉, 감속부와 맞닿음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저항이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제 1 탄지부재의 반발력이 로크부재에 작용함으로써, 이동체가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와,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맞닿음부보다도 로크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맞닿음부가 이동체에 구비되고,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감속부와 제 1 맞닿음부 및 제 2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가 이동체 또는 로크부재에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이동체와 로크부재가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감속부와 제 1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한 후,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감속부와 제 2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동체가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즉, 감속부와 제 1 맞닿음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저항 및 제 1 탄지부재의 반발력이 로크부재에 작용하는 것에 의한 저항에 더하여, 감속부와 제 2 맞닿음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저항이 작용함으로써, 이동체가 더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에 의하면, 로크부재는, 감속부가 경사면부이고, 이 경사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평면부와 통과홈부가 구비되고, 평면부에 맞닿음부가 맞닿음으로써 이동체가 제 1 위치에 로크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로크부재가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면부가 맞닿음부로 이동하여 맞닿음부와 슬라이드 이동한 후, 맞닿음부가 통과홈부를 통과하여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즉, 이동체는 맞닿음부가 경사면부를 따라서 서서히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에 의하면, 감속부는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부재이다. 즉, 감속부와 맞닿음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해서 이동체가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에 의하면, 이동체는 수용물이 놓여지는 시트면부가 구비되고, 로크부재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체가 끼워지고, 로크부재가 지지됨과 동시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체가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로크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동체가 로크부재를 통과하여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즉, 로크부재가 이동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수용물을 시트면부에 얹어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이동체를 제 2 위치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체를 확실하게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작동전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작동후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지지체를 나타내며, (a)는 상방에서 본 평면도, (b)는 측방에서 본 A-A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의 로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의 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며, (a)는 내부의 사시도, (b)는 (c)에 있어서의 B-B부분 단면 시시도, (C)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중 상태를 나타내며, (a)는 내부의 사시도, (b)는 (c)에 있어서의 C-C부분 단면 시시도, (c)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며, (a)는 내부의 사시도, (b)는 (c)에 있어서의 D-D부분 단면 시시도, (c)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의 E-E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a)의 F-F 평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중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의 G-G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중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a)의 H-H 평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의 I-I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가 구비된 컵 홀더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a)의 J-J 평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의 변형예와 작동 상태를 나타내며, (a)는 로크장치의 일부 사시도, (b)는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략도, (c),(d)는 작동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는, 이동하는 이동체를 특정 위치에서 로크하고 또는 로크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기구에 이용된다. 그 일례인 본 실시형태는, 로크장치가 예를 들면 자동차(도시생략)의 콘솔에 구비된 컵 홀더에 조립된 경우의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를 컵 홀더와 함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로크장치가 조립된 컵 홀더(1)가 콘솔(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은 컵 홀더(1)가 사용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2는 컵 홀더(1)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3은 로크장치가 조립된 컵 홀더(1)의 구성 부재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컵 홀더(1)를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는 서로가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제 1 부재(10) 및 이동체로서의 제 2 부재(20)가 지지체(40)에 지지되고, 각 부재(10, 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컵 홀더(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사용의 경우, 각 부재(10, 20)가 콘솔(2)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평탄하게 배치되며, 콘솔(2)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중인 경우, 콘솔(2)의 표면에서 제 1 부재(10)가 돌출됨과 동시에 제 2 부재(20)가 콘솔(2)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부재(10, 20)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승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하고, 하강하는 방향을 '하방'이라 하고,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측방'이라 한다. 또,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10, 20)의 위치를 제 1 위치로서의 "미사용위치"라 하고{도 12(b)의 부호 Y1 참조}, 사용중인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10, 20)의 위치를 제 2 위치로서의 "사용위치"라 한다{도 16(b)의 부호 Y2 참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는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와, 각 부재(10, 20)를 미사용위치(Y1)와 사용위치(Y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40)와, 이 지지체(40)에 제 2 부재(20)와 함께 지지되어 제 2 부재(20)를 미사용위치(Y1)에서 로크하는 로크부재(60)와,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연동시키는 연동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체(40)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지지체(40)의 평면 및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지지체(40)>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통형상부(41)와, 이 하부 통형상부(41)의 상단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측방으로 향해서 확장된 원환 형상의 지지체 바닥부(44)와, 이 지지체 바닥부(44)의 상면에 형성되되 동심원상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외측 상부 통형상부(45) 및 내측 상부 통형상부(47)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바닥부(44)에는 상면에서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된 걸림봉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통형상부(41)는 그 상단의 둘레 가장자리의 내측에 저류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저류부(42)는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며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통형상부(41)의 내측인 수용구멍(43)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외측 상부 통형상부(45)는 지지체 바닥부(44)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향해서 세워지고, 상단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측방으로 향해서 연장된 복수의 장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46)는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서 사방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상부 통형상부(47)는 외측 상부 통형상부(45)보다도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 상부 통형상부(45)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하부 통형상부(41)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 바닥부(44)는 그 하면에 있어서 하부 통형상부(41)의 측방에 연동부재 수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동부재 수용부(49)는 1쌍이며,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또, 연동부재 수용부(49)는 하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며, 연동부 지지부(50)와 래크 수용구멍(52)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동부 지지부(50)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연동부 지지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래크 수용구멍(52)은 지지체 바닥부(44)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래크 수용구멍(52)은 내측 상부 통형상부(47)와 외측 상부 통형상부(45) 사이에 배치된 외측 수용구멍(53)과 내측 상부 통형상부(47)와 하부 통형상부(41) 사이에 배치된 내측 수용구멍(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를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부재(10)>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재(10)는 제 1 부재 본체부(11)와 수용물 지지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 본체부(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부재 바닥부(12)와, 이 제 1 부재 바닥부(12)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향해서 세워진 제 1 래크(13a, 1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 바닥부(12)는 중앙에 제 2 부재(20)가 통과하는 통과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래크(13a, 13b)는 1쌍이며,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제 1 래크(13a, 13b)는 서로 대면하며, 서로 대면하는 측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물 지지부(1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래크(13a, 13b)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수용물 지지부(15)는 예를 들면 음료의 용기 등의 수용물(도시생략)이 수용되는 크기이며, 용기의 측면이 지지된다.
<제 2 부재(20)>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는 제 2 부재 본체부(21)와 제 2 부재 구동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재 본체부(2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면부(22)와, 이 시트면부(22)의 중앙에 형성된 조작부(23)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작부(23)의 하면에 조작용 코일 스프링(24)(도 12 참조)을 통해서 연결된 해제부재(25)와, 시트면부(22)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향해서 연장된 제 2 래크(32a, 32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 구동부(33)는 해제부재(25)가 끼워지는 제 2 탄지부재로서의 구동용 코일 스프링(34)과, 이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의 하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해제부재(25)의 하단에 접속되는 원통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의 제 2 부재 바닥부(35)로 구성되어 있다.
해제부재(25)는 상하로 연장된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의 지지기둥부(26)의 측면에 걸림 돌출부(27) 및 맞닿음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7)는 1쌍이며, 지지기둥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7)는 지지기둥부(26)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임과 아울러 측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며, 일부에 걸림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8)는 절결부이다. 맞닿음 돌출부(29)는 1쌍이며, 지지기둥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맞닿음 돌출부(29)는 지지기둥부(26)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임과 아울러 측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며, 일부에 공극(30)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단되어 있다. 공극(30)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29)의 하단면에 맞닿음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7) 및 맞닿음 돌출부(29)는 지지기둥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또, 걸림부(28)와 맞닿음부(31)는 상하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27, 29)는 지지기둥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서 원주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제 2 래크(32a, 32b)는 1쌍이며,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래크(32a, 32b)는 서로 대면하며, 서로 대면하는 측의 반대측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면부(22)는 용기가 놓여지는 크기이다.
이어서, 로크부재(60)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로크부재(60)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로크부재(60)〉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60)는 원환 형상이며, 내주면에 1쌍의 통과홈부(61)와 1쌍의 걸림홈부(6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63)가 형성되고, 상면에 걸림 돌기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홈부(61)는 1쌍이며, 로크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홈부(62)도 1쌍이며, 로크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각 홈부(61, 62)는 로크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서 원주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로크부재(60)는 상면에 있어서 통과홈부(61)와 걸림홈부(62) 사이에 평면부로서의 제 1 평면부(65) 및 제 2 평면부(69)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평면부(65, 69)는 각 홈부(61, 62)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로크부재(60)의 중심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통과홈부(61)는 제 1 평면부(65)와의 경계에 감속부로서의 감속 경사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감속 경사면부(66)는 통과홈부(61)에 있어서 로크부재(6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돌출됨에 의해서 경사져 있다. 환언하면,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감속 경사면부(66)의 양측에 제 1 평면부(65)와 통과홈부(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감속 경사면부(66)는 소정의 슬라이드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가지는 부재이다.
걸림홈부(62)는 제 2 평면부(69)와의 경계에 걸림 경사면부(67)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경사면부(67)는 걸림홈부(62)에 있어서 로크부재(6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돌출됨에 의해서 경사져 있다. 환언하면, 원주 방향에 있어서 걸림 경사면부(67)의 양측에 제 2 평면부(69)와 걸림홈부(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3)는 측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며, 로크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20도의 간격을 두고서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부(64)는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됨과 동시에 상단이 원주 방향으로 굴절되어 있다. 걸림 돌기부(64)는 제 1 탄지부재로서의 토션 스프링(68)이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연동부재(70)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연동부재(70)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연동부재(70)>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부재(70)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전달부재(71a, 71b)와, 이 연결 전달부재(71a, 71b)끼리를 연결하는 변형 전달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전달부재(71a, 71b)는 예를 들면 기어이며,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71a, 71b)의 구멍에 끼워진 변형 전달부재(72)를 통해서 기어(71a, 71b)끼리가 연결되어 연동부재(7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71a, 71b)는 회전식 덤퍼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변형 전달부재(72)는 예를 들면 밀착 코일 스프링이나 비틀림 와이어 등이며, 자유자재로 비선상(非線狀)으로 변형한다. 여기서 '비선상'이란 직선이 아닌 것을 말한다. 즉, 변형 전달부재(72)는 자유자재로 만곡되고 또는 굴곡된다. 변형 전달부재(72)는 기어(71a, 71b)가 회전함에 의해서 압축된다. 밀착 코일 스프링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밀착 코일 스프링은 기어(71a)가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압축되는 방향으로 감겨진다. 이것으로부터, 기어(71a)가 회전하면, 밀착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73)가 화살표 L 방향으로 비틀린다. 밀착 코일 스프링은 압축됨과 동시에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일단부(73)에 추종하여 타단부(74)가 화살표 R 방향으로 비틀린다. 동시에 기어(71b)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작용은 변형 전달부재(72)가 비틀림 와이어인 경우에도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재(10, 20, 40, 60, 70)가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각 부재(10, 20, 40, 60, 70)의 조립 순서를 도 4, 도 6,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컵 홀더(1)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8에 있어서, 지지체(40)의 연동부재 수용부(49)에 연동부재(70)가 수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동부재(70)의 기어(71a, 71b)가 연동부재 수용부(49)의 연동부 지지구멍(51)에 수용되고, 연동부재(70)의 변형 전달부재(72)가 만곡되어 지지체(40)의 하부 통형상부(41)를 반 바퀴 두른 상태로 하부 통형상부(41)의 외주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6에 있어서, 제 2 부재(20)의 제 2 부재 본체부(21)에 로크부재(60)가 장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로크부재(60)가 제 2 부재 본체부(21)의 해제부재(25)에 끼워지되, 로크부재(60)의 걸림 경사면부(67)가 해제부재(25)에 있어서의 걸림 돌출부(27)의 걸림부(28)에 걸리고, 로크부재(60)의 제 1 평면부(65)에 해제부재(25)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29)의 맞닿음부(31)가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있어서, 제 2 부재 본체부(21)와 제 2 부재 구동부(33)가 상하에서 지지체(40)에 장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제부재(25)가 상방에서 지지체(40)의 수용구멍(43)에 끼워짐과 동시에 로크부재(60)의 돌기부(63)가 지지체(40)의 저류부(42)에 배치되고, 제 2 부재 본체부(21)의 제 2 래크(32a, 32b)의 선단부가 연동부재 수용부(49)의 내측 수용구멍(54)에 끼워진다. 로크부재(60)는 저류부(42)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2 래크(32a, 32b)는 기어(71a, 71b)와 맞물린다. 토션 스프링(68)은 지지체(40)의 지지 바닥부(44)의 걸림봉부(48)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부재 구동부(33)가 하방에서 수용구멍(43)에 끼워지되,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이 저류부(42) 밑에 맞닿아 압축된 상태에서 제 2 부재 바닥부(35)가 해제부재(25)의 하단에 접속된다.
이어서, 도 4 및 도 8에 있어서, 수용물 지지부(15)와 제 1 부재 본체부(11)가 상하에서 지지체(40)에 장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부재 본체부(11)의 제 1 래크(13a, 13b)의 선단부가 하방에서 연동부재 수용부(49)의 외측 수용구멍(53)에 끼워지고, 제 1 부재 바닥부(12)의 통과구멍(14)에 제 2 부재 바닥부(35)가 배치된다. 제 1 래크(13a, 13b)는 기어(71a, 71b)와 맞물린다. 또한, 수용물 지지부(15)가 상방에서 외측 상부 통형상부(45)와 내측 상부 통형상부(47) 사이에 끼워지며, 제 1 래크(13a, 13b)의 상단에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컵 홀더(1)에서는 연동부재(70)가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측 또한 해제부재(2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2(b) 참조}.
이와 같은 컵 홀더(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로크장치는 해제부재(25)와 로크부재(60)와 제 2 부재 구동부(33)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 연동부재(70)와 제 1 래크(31a, 31b)와 제 2 래크(32a, 32b)에 의해서 연동기구가 실현된다.
이하, 연동기구 및 로크장치의 작용을 컵 홀더(1)의 동작과 함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도 11은 컵 홀더(1)에 있어서 제 2 부재(20)가 미사용위치(Y1)에서 사용위치(Y2)로 이동할 때의 로크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미사용위치(Y1)에서 로크장치가 작동하여 제 2 부재(20)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로크가 해제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로크가 해제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사용위치(Y1)에서는 로크부재(60)에 있어서의 걸림 경사면부(67)가 해제부재(25)에 있어서의 걸림 돌출부(27)의 걸림부(28)에 걸리고, 로크부재(60)의 제 1 평면부(65)에 해제부재(25)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29)의 맞닿음부(31)가 맞닿아 있다. 제 2 부재(20)는 압축된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에 의해서 사용위치(Y2)로 향해서 하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때, 토션 스프링(68)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해제부재(25)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해제부재(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주회하는 방향인 로크부재(60)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토션 스프링(68)이 탄지되어 있어도 좋다. 즉, 도 9(c)에 있어서, 로크부재(6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 상태에서, 조작용 코일 스프링(24)(도 12 참조)에 저항하여 조작부(23)가 하방으로 눌려지면, 로크가 해제되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부재(25)가 하강함과 동시에 로크부재(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로크부재(60)는 걸림 경사면부(67)가 해제부재(25)의 걸림부(28)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짐으로써, 토션 스프링(68)에 저항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크부재(60)가 회전하면, 제 1 평면부(65)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로크부재(60)가 계속 회전하여 감속 경사면부(66)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감속 경사면부(66)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한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의 복원력이 작용함에 의해서 제 2 부재 바닥부(35)가 하방으로 눌려짐으로써, 맞닿음부(31)가 감속 경사면부(66)를 따라서 서서히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통과홈부(61)를 통과한다. 동시에 해제부재(25)가 로크부재(60)를 통과하여 하강함으로써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션 스프링(68)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부재(60)는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 있어서, 로크가 해제되기 직전에서부터 직후에 걸쳐서 감속한다.
이어서, 연동기구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도 18은 컵 홀더(1)에 있어서 제 2 부재(20)가 미사용위치(Y1)에서 사용위치(Y2)로 이동할 때의 연동기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미사용위치(Y1)에 있어서 연동기구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 및 도 15는 연동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 및 도 17은 연동기구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사용위치(Y1)에서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상하로 떨어지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부재(10)가 최하단에 배치되고 제 2 부재(20)가 최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주면과 대면하여 제 2 래크(32a, 32b)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용 코일 스프링(24)에 저항하여 조작부(23)가 하방으로 눌려지면, 로크장치에 의한 로크가 해제됨으로써 연동부재(70)를 통해서 각 부재(10, 20)가 상하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부재(20)가 하강할 때에 제 2 래크(32a, 32b)가 하강함으로써, 이 제 2 래크(32a, 32b)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각 기어(71a, 71b)가 회전{도 14(b)에 있어서 기어(71a)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기어(71b)가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변형 전달부재(7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환언하면, 각 기어(71a, 71b)는 변형 전달부재(72)를 통해서 연동한다. 각 기어(71a, 71b)가 회전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래크(13a, 13b)와 함께 제 1 부재(10)가 상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재(10, 20)가 상하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상승하여 콘솔(2)의 표면에서 돌출됨과 동시에 시트면부(22)가 콘솔(2)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각 부재(10, 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시트면부(22)의 외주면과 대면하여 제 1 래크(13a, 13b)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위치(Y2)에 있어서의 컵 홀더(1)를 다시 미사용위치(Y1)로 되돌릴 경우, 수용물 지지부(15)를 하방으로 압입함으로써, 연동부재(70)를 통해서 각 래크(13a, 13b, 32a, 32b)와 함께 각 부재(10, 20)가 승강한다. 이 때,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압입위치(X1, X2)가 동시에 눌려져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압입된 경우, 제 1 부재(10)가 거의 수평하게 하강함과 동시에 제 2 부재(20)가 상승한다. 한편, 예를 들어 압입위치(X1)만이 눌려져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압입된 경우, 제 1 부재(10)는 제 1 래크(13a)가 제 1 래크(13b)보다도 약간 먼저 하강하지만, 순식간에 추종하여 제 1 래크(13b)도 하강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래크(13a)가 하강함에 따라서 기어(71a)가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변형 전달부재(72)의 일단부(73)가 화살표 L 방향으로 비틀린다. 변형 전달부재(72)는 압축됨과 동시에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일단부(73)에 추종하여 타단부(74)가 화살표 R 방향으로 비틀리고, 동시에 기어(71b)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부재(10)는 거의 수평하게 하강하고, 동시에 제 2 부재(20)가 상승함으로써 각 부재(10, 20)가 미사용위치(Y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작용은 압입위치(X2)만이 눌려져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압입된 경우에서도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기구 및 로크장치가 컵 홀더(1)와 함께 작동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장치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60)는 원환 형상이고, 내주면에 1쌍의 통과홈부(61)와 1쌍의 걸림홈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홈부(61)는 제 1 평면부(65)와의 경계에 감속 경사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부재(60)는 상면에 걸림 돌기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션 스프링(68)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부재(20)의 해제부재(25)는 지지기둥부(26)의 측면에 맞닿음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 돌출부(29)는 지지기둥부(26)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임과 아울러 측방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공극(30)에 있어서의 하단면에 맞닿음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60)가 해제부재(25)에 끼워져서, 로크부재(60)의 제 1 평면부(65)에 해제부재(25)의 맞닿음부(31)가 맞닿는다. 이 구성에 의해서 해제부재(25)가 하강하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68)에 저항하여 로크부재(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크부재(60)가 회전하면, 제 1 평면부(65)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로크부재(60)가 계속 회전하여 감속 경사면부(66)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의 복원력이 작용함에 의해서 제 2 부재 바닥부(35)가 하방으로 눌려짐으로써, 맞닿음부(31)가 감속 경사면부(66)를 따라서 서서히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통과홈부(61)을 통과한다. 동시에 해제부재(25)가 로크부재(60)를 통과하여 하강함으로써,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한다.
즉, 로크부재(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션 스프링(68)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부재(60)는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 있어서, 로크가 해제되기 직전에서부터 직후에 걸쳐서 감속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어, 승객에 대해서 고급스러운 인상을 줄 수 있는 컵 홀더(1)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에어 댐퍼 등을 이용하여 제 2 부재(20)의 동작을 완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 경사면부(66)는 통과홈부(61)에 있어서, 로크부재(6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는 맞닿음부(31)가 감속 경사면부(66)를 따라서 서서히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로크장치에 의하면, 감속 경사면부(66)는 소정의 슬라이드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가지는 부재이다. 즉,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해서 제 2 부재(20)가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로크장치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부재(20)의 제 2 부재 구동부(33)에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 12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는 압축된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에 의해서 사용위치(Y2)로 향해서 하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부재(20)를 확실하게 사용위치(Y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 이외에 이하의 실시형태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감속 경사면부(66)가 소정의 슬라이드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가지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성으로서 맞닿음부가 소정의 슬라이드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가지는 부재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제 2 부재(20)에 대해서 로크부재(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성으로서 로크부재에 대해서 제 2 부재가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탄지부재가 해제부재에 구비되고, 제 1 탄지부재에 의해서 감속 경사면부와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해제부재가 탄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탄지부재가 토션 스프링(68)이고, 제 2 탄지부재 및 조작용 코일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24, 34)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성으로서 같은 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면, 각각 코일 스프링,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압축된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에 의해서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향해서 하방으로 탄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다른 구성으로서 신장된 구동용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제 2 부재가 사용위치로 향해서 하방으로 인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구동용 코일 스프링(34)이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다른 구성으로서 구동용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서 제 2 부재가 하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재(20)의 해제부재(25)는 걸림부(28)에 단일의 맞닿음부(31)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변형예로서 복수의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의 변형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로크장치의 변형예 및 제 2 부재(20)가 이동할 때의 로크부재(16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부재(125)에 있어서, 맞닿음 돌출부(129)에는 하단이 지지기둥부(126)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맞닿음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맞닿음 돌출부(129)에는 제 1 맞닿음부(181)보다도 로크부재(160)에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융기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80)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하단면에 제 2 맞닿음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로크부재(60)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로크장치에 의하면,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160)의 제 1 평면부(165)에 해제부재(125)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129)의 제 1 맞닿음부(181)가 맞닿아 있다. 조작부(123)가 하방으로 눌려져서 로크가 해제되면,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부재(125)가 하강함과 동시에 토션 스프링에 저항하여 로크부재(1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평면부(165)가 제 1 맞닿음부(18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로크부재(160)가 계속 회전하여 감속 경사면부(166)가 제 1 맞닿음부(18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 1 맞닿음부(181)가 통과홈부(161)를 통과한 후, 도 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부재(125)가 더 하강함과 동시에 토션 스프링에 저항하여 감속 경사면부(166)가 제 2 맞닿음부(182)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로크부재(1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션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166)와 제 1 맞닿음부(18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게다가 감속 경사면부(166)와 제 2 맞닿음부(18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부재(160)는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 있어서, 로크가 해제되기 직전에서부터 직후에 걸쳐서 감속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로크부재에 대해서 제 2 부재가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탄지부재가 해제부재에 구비되고, 제 1 탄지부재에 의해서 감속 경사면부와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해제부재가 탄지되어 있다.
이어서, 연동기구의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기구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부재(70)는 복수의 기어(71a, 71b)와 이 기어(71a, 71b)끼리를 연결하는 변형 전달부재(72)로 구성되며, 기어(71a, 71b)의 구멍에 끼워진 변형 전달부재(72)를 통해서 기어(71a, 71b)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변형 전달부재(72)는 밀착 코일 스프링이나 비틀림 와이어 등이며, 자유자재로 만곡되고 또는 굴곡된다. 따라서, 연동부재(70)의 레이아웃이 자유로으므로,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적은 부품으로 연동부재(7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위치(Y2)에 있어서, 만일 압입위치(X1)만이 눌려져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압입된 경우, 제 1 부재(10)는 제 1 래크(13a)가 제 1 래크(13b)보다도 약간 먼저 하강하지만, 순식간에 추종하여 제 1 래크(13b)도 하강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래크(13a)가 하강함에 따라서 기어(71a)가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변형 전달부재(72)의 일단부(73)가 화살표 L 방향으로 비틀린다. 변형 전달부재(72)는 압축됨과 동시에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일단부(73)에 추종하여 타단부(74)가 화살표 R 방향으로 비틀리고, 동시에 기어(71b)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으로부터, 제 1 부재(10)는 거의 수평하게 하강한다. 즉, 각 래크(13a, 32a)를 통해서 기어(71a)가 회전함과 동시에 변형 전달부재(72)가 비틀려서 기어(71b)가 회전하기 때문에, 각 기어(71a, 71b)가 거의 동시에 연동함으로써 각 래크(13b, 32b)도 연동한다. 따라서, 신속하게 또한 안정하게 제 1 부재(10) 또는 제 2 부재(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연동기구에 의하면, 변형 전달부재(72)가 밀착 코일 스프링 또는 비틀림 와이어이며, 자유자재로 만곡되고 또는 굴곡되기 때문에, 연동부재(70)의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연동기구에 의하면, 도 12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물 지지부(15)가 제 1 부재(10)에 구비되고,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면부(22)가 제 2 부재(20)에 구비되어 있다. 또, 미사용위치(Y1)에 있어서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주면과 대면하여 제 2 래크(32a, 32b)가 배치되고, 사용위치(Y2)에 있어서 시트면부(22)의 외주에 제 1 래크(13a, 13b)가 배치되어 있다. 연동부재(70)는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측 또한 해제부재(2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각 래크(13a, 13b, 32a, 32b)를 통해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상승함과 동시에 시트면부(22)가 하강하여,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사용위치(Y2)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용물을 시트면부(22)에 얹어 놓고서 수용물 지지부(15)에 적절히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는 이하의 구성이어도 좋다.
연동기구는 제 1 부재(10)가 하강할 때에 변형 전달부재(72)가 비틀려서 압축되는 구성이지만, 다른 예로서 제 2 부재가 하강할 때에 변형 전달부재가 비틀려서 압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12(b)를 참조하면, 이 구성에서는, 제 2 래크(32a)가 하강함에 따라서 기어(71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변형 전달부재(72)도 같은 방향으로 비틀린다. 변형 전달부재(72)는 압축됨과 동시에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일단부에 추종하여 타단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비틀리고, 동시에 기어(71b)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부재(20)는 거의 수평하게 하강하고, 동시에 제 1 부재(10)가 상승함으로써 각 부재(10, 20)가 사용위치(Y2)에 배치된다. 즉, 기어(71a)가 회전함과 동시에 변형 전달부재(72)가 비틀려서 기어(71b)가 회전하기 때문에, 각 기어(71a, 71b)가 거의 동시에 연동한다.
연동기구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미사용위치(Y1) 또는 사용위치(Y2)로 이동하는 구성이지만, 다른 예로서 제 2 부재가 고정되고 제 1 부재만이 상승하여 사용위치로 이동하는 구성, 또는 제 1 부재가 고정되고 제 2 부재만이 하강하여 사용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편측에만 래크가 구비되어 있다.
연동기구는 연결 전달부재가 2개의 기어(71a, 71b)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예로서 3개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기어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래크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에 구비되어 있다.
연동기구는 연결 전달부재가 각 기어(71a, 71b)이지만, 다른 예로서 링크 기구로 연결 전달부재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링크 기구를 통해서 연동부재와 제 2 부재가 연결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는 일이 없으면,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컵 홀더 2 - 콘솔
10 - 제 1 부재 11 - 제 1 부재 본체부
12 - 제 1 부재 바닥부 13a, 13b - 제 1 로크
14 - 통과구멍 15 - 수용물 지지부
20 - 제 2 부재(이동체) 21 - 제 2 부재 본체부
22 - 시트면부 23, 123 - 조작부
24 - 조작용 코일 스프링 25, 125 - 해제부재
26, 126 - 지지기둥부 27, 127 - 걸림 돌출부
28, 128 - 걸림부 29, 129 - 맞닿음 돌출부
30, 130 - 공극 31 - 맞닿음부
32a, 32b - 제 2 로크 33 - 제 2 부재 구동부
34 - 구동용 코일 스프링(제 2 탄지부재)
35 - 제 2 부재 바닥부 40 - 지지체
41 - 하부 통형상부 42 - 저류부
43 - 수용구멍 44 - 지지체 바닥부
45 - 외측 상부 통형상부 46 - 장착부
47 - 내측 상부 통형상부 48 - 걸림봉부
49 - 연동부재 수용부 50 - 연동부 지지부
51 - 연동부 지지구멍 52 - 래크 수용구멍
53 - 외측 수용구멍 54 - 내측 수용구멍
60, 160 - 로크부재 61, 161 - 통과홈부
62 - 걸림홈부 63 - 돌기부
64 - 걸림 돌기부 65, 165 - 제 1 평면부(평면부)
66, 166 - 감속 경사면부(감속부) 67 - 걸림 경사면부
68 - 토션 스프링(제 1 탄지부재) 69 - 제 2 평면부
70 - 연동부재 71a, 71b - 기어
72 - 변형 전달부재 73 - 일단부
74 - 타단부 180 - 융기부
181 - 제 1 맞닿음부 182 - 제 2 맞닿음부
L, R - 화살표 X1, X2 - 압입위치
Y1 - 미사용위치(제 1 위치) Y2 - 사용위치(제 2 위치)

Claims (9)

  1.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부재가 구비된 로크장치로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감속시키는 감속부가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감속부에 의해서 감속되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와 상기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가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로크부재에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감속부와 상기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와,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맞닿음부보다도 상기 로크부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맞닿음부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와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 상기 제 2 맞닿음부를 떼어 놓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가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로크부재에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감속부와 상기 제 1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제 1 탄지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감속부와 상기 제 2 맞닿음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감속부가 경사면부이고, 상기 경사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평면부와 통과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평면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1 위치에 로크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부가 상기 맞닿음부로 이동하여 상기 맞닿음부와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통과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슬라이드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7.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수용물이 놓여지는 시트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크부재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가 끼워지고,
    상기 로크부재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체가 구비되고,
    로크가 해제됨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체가 상기 로크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8.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KR1020187019965A 2017-03-30 2018-03-12 로크장치 KR102099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8026 2017-03-30
JP2017068026A JP6621436B2 (ja) 2017-03-30 2017-03-30 ロック装置
PCT/JP2018/009384 WO2018180397A1 (ja) 2017-03-30 2018-03-12 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239A KR20180116239A (ko) 2018-10-24
KR102099031B1 true KR102099031B1 (ko) 2020-04-08

Family

ID=6367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65A KR102099031B1 (ko) 2017-03-30 2018-03-12 로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21436B2 (ko)
KR (1) KR102099031B1 (ko)
CN (1) CN110446625B (ko)
DE (1) DE112018001776B4 (ko)
WO (1) WO2018180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0155B (zh) * 2018-11-21 2020-07-14 北京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采用弹片阻尼的空间系绳释放机构
CN110356306B (zh) * 2019-07-19 2020-08-18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车用杯座装置
JP7409013B2 (ja) * 2019-10-31 2024-01-09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動力工具
CN113911005B (zh) * 2021-10-26 2023-03-31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驾驶室的升降式杯托
CN115303159B (zh) * 2022-09-14 2024-06-11 重庆创泽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级调节结构的车载杯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9472A1 (en) * 2002-10-29 2005-12-08 Wagner Joerg Drinks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962A (en) * 1993-05-03 1994-03-01 Chrysler Corporation Cup holder
JPH07228181A (ja) * 1994-02-21 1995-08-29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4596564B2 (ja) * 2000-11-07 2010-12-08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JP2005145384A (ja) * 2003-11-19 2005-06-09 Inoac Corp 容器ホルダ
JP2009040196A (ja) * 2007-08-08 2009-02-26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JP5231352B2 (ja) * 2009-07-17 2013-07-10 豊田合成株式会社 ロック装置
JP5723647B2 (ja) * 2011-03-25 2015-05-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JP2013107456A (ja) 2011-11-18 2013-06-06 Toyota Auto Body Co Ltd カップホルダ
CN104290633B (zh) * 2013-07-19 2017-02-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杯托组件及具有其的车辆
JP6071003B2 (ja) * 2014-01-21 2017-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DE102014214278A1 (de) * 2014-07-22 2016-01-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lösbaren Halten von Gegenständen
JP6271381B2 (ja) * 2014-09-17 2018-01-31 明和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DE102014119428B4 (de) * 2014-12-22 2017-05-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Getränkebehält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9472A1 (en) * 2002-10-29 2005-12-08 Wagner Joerg Drinks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239A (ko) 2018-10-24
CN110446625A (zh) 2019-11-12
JP6621436B2 (ja) 2019-12-18
CN110446625B (zh) 2022-06-10
DE112018001776B4 (de) 2023-05-11
JP2018167763A (ja) 2018-11-01
WO2018180397A1 (ja) 2018-10-04
DE112018001776T5 (de)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31B1 (ko) 로크장치
US10118507B2 (en) Seat pumping device for vehicle
US4707010A (en) Inertial latching mechanism for seat assemblies
CN101668962B (zh) 阻尼器和具有该阻尼器的车辆座椅
EP1974986A2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4784086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7225957B2 (en) Cup holding device
US8904898B2 (en) Electronic shift lever for improving operability in automatic transmission
JP2021167192A (ja) 飲料容器保持装置
US20110259906A1 (en) Cup holder
JP3197144U (ja) シートベルト係止具構造
WO2016136158A1 (ja) カップホルダ
KR20180111655A (ko) 연동기구
CN108162814B (zh) 内锁式汽车座椅滑轨
KR101361742B1 (ko) 2개의 차량 부품을 록킹하기 위한 멈춤쇠 피팅
US11832411B2 (en) Node safe locking device, and server
JP4352742B2 (ja) 位置保持機構
KR102049210B1 (ko) 2단 자전거 보관대
KR20100049801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6742496B1 (ja) サドル昇降装置
US9506277B2 (en) Door locking device for truck
JP6872127B2 (ja) カップホルダ
JP6391146B2 (ja) テーブル装置
KR101716981B1 (ko) 시트 폴딩 래치장치
JP6193662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