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726B1 -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726B1
KR102097726B1 KR1020190149665A KR20190149665A KR102097726B1 KR 102097726 B1 KR102097726 B1 KR 102097726B1 KR 1020190149665 A KR1020190149665 A KR 1020190149665A KR 20190149665 A KR20190149665 A KR 20190149665A KR 102097726 B1 KR102097726 B1 KR 10209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liding door
drive gear
chain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학
Original Assignee
백수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수학 filed Critical 백수학
Priority to KR102019014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도어와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슬라이딩 도어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모드에서는 구동기어의 외측에 걸리며 하우징부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고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는 체인부재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구동기어와 마주하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체인부재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며 체인부재로 전달되는 충격은 감소시키며 장력은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량 또는 버스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는 차량 본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근래에는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도어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출입구를 개폐하는 자동 개폐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차량의 측면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승객의 승차 및 하차를 가능하게 하며, 화물의 탑재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슬라이딩 도어는 자체 무게가 비교적 무겁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닫기가 힘든 단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 어린이, 장애인 등의 노약자가 무거운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닫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여닫음 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력을 체인전동장치에 전달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하는 체인전동장치의 체인과 슬라이딩 도어를 연결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가 발명되었다.
종래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따라 체인의 장력이 변화되며, 이로 인하여 체인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4587호(2017.06.01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 체인의 장력 변화에 의해 동작신뢰성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도어와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슬라이딩 도어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모드에서는 구동기어의 외측에 걸리며 하우징부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고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는 체인부재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구동기어와 마주하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체인부재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며 체인부재로 전달되는 충격은 감소시키며 장력은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력유지부는, 구동기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력유지부는, 구동기어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에 원호 형상으로 홈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홈부와,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형상의 롤러부와,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부 및 브라켓부에 설치되며 롤러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홈부는, 구동기어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며 구동기어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1안내홈부 및 구동기어와 마주하는 타측에 위치하며 구동기어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2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롤러부는, 제1안내홈부를 따라 이동되며 측면에는 체인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제1측면홈부를 구비하는 제1롤러 및 제2안내홈부를 따라 이동되며 측면에는 체인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제2측면홈부를 구비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라켓부는, 하우징부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및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는, 고정브라켓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고정브라켓에 지지되며 타측은 롤러부에 구비된 축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는, 차체에 고정되며 체인부재가 이동되는 홈부가 측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부 및 안내레일부의 측면에 고정되며 구동부와 구동기어와 가이드롤러부가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베이스부재의 하측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 및 모터부재에 연결되며 모터부재의 동력을 구동기어로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롤러부는, 안내레일부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장력유지부와 제1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는,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체인부재가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므로,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력유지부가 체인부재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체인부재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므로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부가 동작되어 구동기어를 향한 방향으로 체인부재를 가압하거나 체인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므로, 자동모드와 수동모드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딩 도어를 닫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슬라이딩 도어를 열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가 동작되어 체인부재가 구동기어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가 이동되어 체인부재가 구동기어에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는, 슬라이딩 도어(12)와 마주하는 차체(10)에 고정되는 하우징부(20)와, 하우징부(20)에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30)와,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40)와, 슬라이딩 도어(12)가 구동부(30)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모드에서는 구동기어(40)의 외측에 걸리며 하우징부(20)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고 슬라이딩 도어(12)에 연결되는 체인부재(50)와,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60) 및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체인부재(50)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며 체인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은 감소시키며 장력은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10)의 측면에 슬라이딩 도어(12)가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다.
하우징부(20)는 슬라이딩 도어(12)와 마주하는 차체(10)에 고정되며, 구동부(30)와 구동기어(40)와 가이드롤러부(60)와 장력유지부(70)와 스위치부(11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20)는, 차체(10)에 고정되며 체인부재(50)가 이동되는 홈부가 측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부(22) 및 안내레일부(22)의 측면에 고정되며 구동부(30)와 구동기어(40)와 가이드롤러부(60)가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24)를 포함한다.
안내레일부(22)는 "ㄱ"자 형상으로 굽어지며, 안내레일부(22)의 외측에는 체인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부(22)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측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베이스부재(24)는 안내레일부(22)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안내레일부(22)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구동부(30)는 하우징부(20)에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모터부재(32)와 기어박스(34)를 포함한다.
모터부재(32)는 베이스부재(24)의 하측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부재(32)는 회전수 조절이 가능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기어박스(34)는 모터부재(32)에 연결되며 모터부재(32)의 동력을 구동기어(4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34)는 베이스부재(24)의 하측에 고정되며, 모터부재(32)의 수평방향으로 출력되는 회전동력을 상측에 위치한 구동기어(40)로 전달한다.
구동기어(40)는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40)는 기어박스(34)와 마주하는 베이스부재(24)의 상측에 위치하며, 기어박스(3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프라켓 기어 형상이다.
체인부재(50)는 슬라이딩 도어(12)가 구동부(30)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모드에서는 구동기어(40)의 외측에 걸리며 하우징부(20)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고, 체인부재(50)의 측면은 슬라이딩 도어(12)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부재(50)는 가이드롤러부(60)와 장력유지부(70)와 안내레일부(22)를 따라 이동되며, 스위치부(110)의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40)에 걸려서 자동모드로 동작되거나, 구동기어(40)에서 이격되어 수동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부(60)는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부(60)는, 안내레일부(22)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62) 및 장력유지부(70)와 제1가이드롤러(62)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부재(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6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롤러(62)는 안내레일부(2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레일부(22)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는 체인부재(5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제2가이드롤러(64)는 베이스부재(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가이드롤러(62)와 제1롤러(82)의 사이 및 제2가이드롤러(64)와 제2롤러(86)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가이드롤러(62)와 제2가이드롤러(64)의 측면은 체인부재(50)가 이동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므로, 제1가이드롤러(62)와 제2가이드롤러(64)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체인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하며,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력유지부(70)는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체인부재(50)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며 체인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은 감소시키고 장력은 유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부(70)는 가이드홈부(72)와 롤러부(80)와 브라켓부(90)와 탄성부재(100)를 포함하며, 구동기어(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홈부(72)는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하우징부(20)에 원호 형상으로 홈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부(72)는,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일측(도 5기준 좌측)에 위치하며 구동기어(4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1안내홈부(74) 및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타측(도 5기준 우측)에 위치하며 구동기어(4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2안내홈부(76)를 포함한다. 제1안내홈부(74)와 제2안내홈부(76)는 베이스부재(24)에 형성되며, 구동기어(4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롤러부(80)는 가이드홈부(72)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80)는, 제1안내홈부(74)를 따라 이동되며 측면에는 체인부재(50)가 삽입되기 위한 제1측면홈부(84)를 구비하는 제1롤러(82) 및 제2안내홈부(76)를 따라 이동되며 측면에는 체인부재(50)가 삽입되기 위한 제2측면홈부(88)를 구비하는 제2롤러(86)를 포함한다.
제1롤러(82)의 회전중심인 축지지부(89)는 봉 형상이며, 제1안내홈부(74)를 통과하며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롤러(8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부인 제1측면홈부(84)가 형성되며, 제2롤러(86)의 외측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부인 제2측면홈부(88)가 형성된다.
브라켓부(90)는 롤러부(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90)는, 하우징부(20)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탄성부재(100)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92) 및 고정브라켓(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롤러부(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브라켓(94)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92)은 베이스부재(24)의 하측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92)은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베이스부재(24)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9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롤러부(80)의 축지지부(89)가 이동브라켓(94)을 관통하며 하측으로 연장된다.
탄성부재(100)는 브라켓부(90)의 고정브라켓(92)에 설치되며, 롤러부(80)를 탄성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탄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0)는, 고정브라켓(92)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고정브라켓(92)에 지지되며 타측은 롤러부(80)에 구비된 축지지부(89)에 지지된다.
따라서 롤러부(80)와 이동브라켓(94)은 탄성부재(100)의 가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예를 들어 제1롤러(82)는 탄성부재(10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되며, 이로 인하여 제1안내홈부(74)를 따라 이동되는 제1롤러(82)는 베이스부재(24)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제2롤러(86)는 탄성부재(10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되며, 이로 인하여 제2안내홈부(76)를 따라 이동되는 제2롤러(86)는 베이스부재(24)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는, 슬라이딩 도어(12)의 개폐를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로 하는 여부를 설정하기 위해 스위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10)가 동작되어 체인부재(50)가 구동기어(40)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10)가 이동되어 체인부재(50)가 구동기어(40)에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110)는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체인부재(50)를 상기 구동기어(4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며 자동모드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10)는, 하우징부(20)의 베이스부재(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112)와, 회전몸체(112)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재(114) 및 연장부재(1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부재(50)를 사이에 두고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치롤러(116)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4)에 회전몸체(1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몸체(112)의 상측은 베이스부재(2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회전몸체(112)의 하측은 베이스부재(24)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베이스부재(24)의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몸체(112)에 별도의 조작손잡이가 결합되며, 작업자가 조작손잡이를 잡고 돌리는 동작에 의해 회전몸체(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회전몸체(112)에 전동기가 연결되어 회전몸체(112)를 회전시키므로 회전몸체(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재(24)의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몸체(112)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재(114)에 스위치롤러(1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부재(24)의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돌기(118)는 연장부재(114)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연장부재(114)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슬라이딩 도어(12)를 닫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슬라이딩 도어(12)를 열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2)를 개방하는 경우, 모터부재(32)의 구동력은 기어박스(34)를 통해 구동기어(40)로 전달된다. 구동기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기어(40)에 맞물려 있는 체인부재(50)가 일방향(도 6 기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체인부재(50)가 장력유지부(70)의 제1롤러(82)와 가이드롤러부(60)의 제2가이드롤러(64) 및 제1가이드롤러(62)를 차례로 접하며 이동하고, 안내레일부(22)를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도어(12)를 개방시킨다.
안내레일부(22)를 통과한 체인부재(50)는 제1가이드롤러(62)와 제2가이드롤러(64)를 접하며 이동된 후 장력유지부(70)의 제2롤러(86)를 접하고, 다시 구동기어(40)에 맞물려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체인부재(50)가 이동되며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은 장력유지부(70)에 흡수되므로 체인부재(5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체인부재(50)가 제1롤러(82)의 측면에 접하며 이동될 때, 체인부재(50)의 장력에 의해 제1롤러(82)가 제1안내홈부(74)를 따라 이동된다.
즉 제1롤러(82)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00)의 가압력보다 체인부재(50)가 제1롤러(82)를 가압하는 힘이 더 크므로, 제1롤러(82)는 체인부재(50)에 밀려서 제1안내홈부(74)의 일단(도 6기준 하단)에서 타단(도 6기준 상단)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체인부재(50)에 전달되는 장력이 감소되면 제1롤러(82)는 제1안내홈부(74)의 중앙부나 일단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체인부재(50)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체인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은 제1롤러(82)가 제1안내홈부(74)를 따라 이동되며 탄성부재(100)에 흡수하므로 체인부재(5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인부재(50)가 제2롤러(86)의 측면에 접하며 이동될 때, 체인부재(50)의 장력에 의해 제2롤러(86)가 제2안내홈부(76)를 따라 이동된다.
즉 제2롤러(86)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00)의 가압력이 체인부재(50)가 제2롤러(86)를 가압하는 힘보다 크므로, 제2롤러(86)는 탄성부재(100)의 가압력에 밀려서 제2안내홈부(76)의 일단(도 6기준 하단)을 향한 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체인부재(50)에 전달되는 장력이 증가하면 제2롤러(86)는 제2안내홈부(76)의 중앙부나 타단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체인부재(50)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체인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은 제2롤러(86)가 제2안내홈부(76)를 따라 이동되며 탄성부재(100)에 흡수하므로 체인부재(5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2)를 닫는 경우, 모터부재(32)의 구동력은 기어박스(34)를 통해 구동기어(40)로 전달된다. 구동기어(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기어(40)에 맞물려 있는 체인부재(50)가 타측 방향(도 7 기준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체인부재(50)가 안내레일부(22)를 통과한 후 제1가이드롤러(62)와 제2가이드롤러(64)와 제1롤러(82)를 통과하며 구동기어(40)에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 받은 후 제2롤러(86)와 제2가이드롤러(64) 및 제1가이드롤러(62)를 차례로 접하며 이동하며 안내레일부(22)로 이동된다.
안내레일부(22)를 따라 이동되는 체인부재(50)는 슬라이딩 도어(12)를 닫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부재(5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자동모드에서는 스위치롤러(116)가 구동기어(40)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구동기어(40)와 스위치롤러(116) 사이에 있는 체인부재(50)가 구동기어(40)에 맞물려 이동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부재(5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수동모드에서는 스위치롤러(116)가 구동기어(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구동기어(40)와 스위치롤러(116) 사이에 있는 체인부재(50)가 구동기어(40)에서 이격된다.
자동모드에서는 구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가 개폐되며, 수동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딩 도어(12)를 잡고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가 개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체인부재(50)가 구동기어(40)에 맞물려 돌아가므로, 슬라이딩 도어(12)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력유지부(70)가 체인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체인부재(5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므로 슬라이딩 도어(12)의 개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10)가 동작되어 구동기어(40)를 향한 방향으로 체인부재(50)를 가압하거나 체인부재(50)의 가압을 해제하므로, 자동모드와 수동모드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10: 차체 12: 슬라이딩 도어
20: 하우징부 22: 안내레일부
24: 베이스부재 30: 구동부
32: 모터부재 34: 기어박스
40: 구동기어 50: 체인부재
60: 가이드롤러부 62: 제1가이드롤러
64: 제2가이드롤러 70: 장력유지부
72: 가이드홈부 74: 제1안내홈부
76: 제2안내홈부 80: 롤러부
82: 제1롤러 84: 제1측면홈부
86: 제2롤러 88: 제2측면홈부
89: 축지지부 90: 브라켓부
92: 고정브라켓 94: 이동브라켓
100: 탄성부재 110: 스위치부
112: 회전몸체 114: 연장부재
116: 스위치롤러 118: 스토퍼돌기

Claims (10)

  1. 슬라이딩 도어(12)와 마주하는 차체(10)에 고정되는 하우징부(20);
    상기 하우징부(20)에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30);
    상기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40);
    상기 슬라이딩 도어(12)가 상기 구동부(30)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모드에서는 상기 구동기어(40)의 외측에 걸리며 상기 하우징부(20)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2)에 연결되는 체인부재(50);
    상기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60); 및
    상기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부재(50)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며 상기 체인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은 감소시키며 장력은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유지부(70)는,
    상기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부(20)에 원호 형상으로 홈부를 형성하는 가이드홈부(72);
    상기 가이드홈부(72)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형상의 롤러부(80);
    상기 롤러부(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부(90); 및
    상기 브라켓부(90)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80)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부(72)는,
    상기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기어(4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1안내홈부(74); 및
    상기 구동기어(40)와 마주하는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기어(4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2안내홈부(76);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80)는, 상기 제1안내홈부(74)를 따라 이동되며, 측면에는 상기 체인부재(50)가 삽입되기 위한 제1측면홈부(84)를 구비하는 제1롤러(82); 및
    상기 제2안내홈부(76)를 따라 이동되며, 측면에는 상기 체인부재(50)가 삽입되기 위한 제2측면홈부(88)를 구비하는 제2롤러(86);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82)의 회전중심인 축지지부(89)는 봉 형상이며, 상기 제1안내홈부(74)를 통과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70)는,
    상기 구동기어(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90)는,
    상기 하우징부(20)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탄성부재(100)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92); 및
    상기 고정브라켓(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브라켓(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00)는,
    상기 고정브라켓(92)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브라켓(92)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롤러부(80)에 구비된 축지지부(89)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는,
    상기 차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체인부재(50)가 이동되는 홈부가 측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부(22); 및
    상기 안내레일부(22)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30)와 상기 구동기어(4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60)가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베이스부재(24)의 하측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32); 및
    상기 모터부재(32)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부재(32)의 동력을 상기 구동기어(4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60)는,
    상기 안내레일부(22)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62); 및
    상기 장력유지부(70)와 상기 제1가이드롤러(62)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재(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1).
KR1020190149665A 2019-11-20 2019-11-20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KR10209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665A KR102097726B1 (ko) 2019-11-20 2019-11-20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665A KR102097726B1 (ko) 2019-11-20 2019-11-20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726B1 true KR102097726B1 (ko) 2020-04-06

Family

ID=7028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665A KR102097726B1 (ko) 2019-11-20 2019-11-20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7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96A (ko) * 2001-02-21 2001-05-07 남궁정배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1738327B1 (ko) * 2017-01-26 2017-05-22 유양선 승합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수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96A (ko) * 2001-02-21 2001-05-07 남궁정배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1738327B1 (ko) * 2017-01-26 2017-05-22 유양선 승합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수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9724B2 (ja) ドアハンドルとドアハンドル用の作動装置とから構成されるシステム
KR101434980B1 (ko) 래치장치
KR101219398B1 (ko)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US7774985B2 (en) Drive apparatus for sliding member
US6651387B2 (en) Locking controller of a sliding door
KR920009627A (ko) 동력식 래치 결합 및 분리장치
US10724282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bodies
US7810280B2 (en)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7434354B2 (en) Power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sliding door
WO2021049212A1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WO2014045338A1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10209772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JP5778112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160066430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738327B1 (ko) 승합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수자동 개폐장치
KR20200123622A (ko) 글로브 박스 장치
EP0644074A1 (en) Mechanical drive for sliding door
US20190352944A1 (en) Handle comprising a movable lock cylinder unit
KR20100041490A (ko) 차량용 스트라이커 기구
JP200820864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700951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200044385A (ko) 글로브 박스 장치
JP5006841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904692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5703089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