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904B1 -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 Google Patents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904B1
KR102096904B1 KR1020190152296A KR20190152296A KR102096904B1 KR 102096904 B1 KR102096904 B1 KR 102096904B1 KR 1020190152296 A KR1020190152296 A KR 1020190152296A KR 20190152296 A KR20190152296 A KR 20190152296A KR 102096904 B1 KR102096904 B1 KR 10209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unit
tension
prin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학
Original Assignee
이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학 filed Critical 이운학
Priority to KR102019015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04Machines for print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knitted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가 공급되는 투입부; 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스퀴지유닛을 구비하고, 시트에 소정 색상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날염부; 날염부 후단에서 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건조부 후단에서 시트를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투입부 및 취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송되는 시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장력감지부는, 일단에 시트가 접촉 지지되는 이동롤러를 구비하고, 타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브라켓; 힌지를 중심으로 한 회동브라켓의 회동을 탄성 지지하는 실린더; 이동롤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롤러 후방에서 시트를 접촉 지지하는 고정롤러; 및 회동브라켓의 회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면 스크린 날염기 등은 이송 중인 시트에 적정 범위의 장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인쇄 품질 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FLAT BED SCREEN PRINGTING MACHINE AND PRING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단에 소정의 문양 등을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단에 소정의 문양 등을 전사하기 위한 공법으로 날염(textile printing)이 사용되고 있다. 날염은 직물 시트 등을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필요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으로, 수작업 방식도 있으나 오늘날 대부분의 경우 자동화된 날염기(printing machine)를 사용하여 가공되고 있다.
날염기는 크게 롤러 날염(roller printing)과 스크린 날염(screen print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롤러 날염은 조각된 롤러를 이용해 원단에 직접 날염하는 방식으로 단순한 반복 패턴 디자인을 인쇄할 때 주로 사용된다. 스크린 날염은 일종의 스텐실(stencil) 방식으로, 복수의 스크린을 이용해 원단 시트에 각 무늬 및 색상을 가진 도안을 인쇄하는 것이다.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핸드 스크린 날염도 있으나, 자동화된 평면 스크린 날염(flat bed screen printing), 로터리 스크린 날염(rotary screen printing) 등이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평면 스크린 날염기는 원단 시트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단계별 이송되고, 스크린 형틀을 가진 각 스퀴지(squeegee) 유닛이 해당 위치에서 소정의 색상 및 무늬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로터리 스크린 날염기는 롤러 날염과 스크린 날염의 원리를 합친 것으로 스크린 형틀을 대체해 무늬를 가진 메쉬 실린더(mesh cylinder)를 사용한다. 압축공기를 이용해 실린더 내부로 염료를 공급하고, 회전 운동으로 원단에 인쇄하는 방식이다.
평면 스크린 날염기는 현재 주로 사용되는 날염방식이나 원단의 종류가 지속적으로 다변화되고, 요구되는 인쇄 품질도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개선 사항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신축률이나 장력이 상이하며, 이는 인쇄 품질이나 생산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니트(knit), 편성물 등 상대적으로 신축률이 큰 원단의 경우, 보다 민감한 장력 등의 제어가 요구되나, 종래 이에 대응할만한 수단이 없어 인쇄 품질이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417900호(2014.07.03.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236257호(2001.06.18.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쇄 품질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가 공급되는 투입부; 상기 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스퀴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에 소정 색상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날염부; 상기 날염부 후단에서 상기 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 후단에서 상기 시트를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 및 상기 취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송되는 상기 시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감지부는, 일단에 상기 시트가 접촉 지지되는 이동롤러를 구비하고, 타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브라켓;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한 상기 회동브라켓의 회동을 탄성 지지하는 실린더; 상기 이동롤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롤러 후방에서 상기 시트를 접촉 지지하는 고정롤러; 및 상기 회동브라켓의 회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평면 스크린 날염기를 사용하여 시트에 소정 색상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날염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은, 이송 중인 시트에 적정 범위의 장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트의 늘어남 등을 방지하고, 후속 공정에서의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특히, 니트, 편성물 등 장력에 민감한 재질의 시트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스크린 날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면 스크린 날염기에서 투입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익스펜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력감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스크린 날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평면 스크린 날염기(이하, 날염기(10)로 지칭)는, 시트(1)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투입부(100), 날염부(200), 건조부(300) 및 취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트(1)는 투입부(100)를 통해 날염기(10)로 공급될 수 있고, 날염부(200)를 거치며 복수의 스퀴지유닛(210)에 의해 소정의 문양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문양 등이 인쇄된 시트(1)는 건조부(300)를 거치며 건조되어, 취출부(400)로 배출될 수 있다.
시트(1)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트(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의 투입부(100) 내지 취출부(400)를 거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날염기(10)에 있어서 시트(1)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날염기(10)는 종래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시트(1)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날염기(10)는 상대적으로 신축률이 큰 시트(1)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날염기(10)는 니트(knit), 편성물 등으로 이뤄진 시트(1)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각 파트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부(100)는 문양 등의 인쇄를 위한 시트(1)를 날염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원단 형태로 제공되는 시트(1)는 투입부(10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 후단의 날염부(20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제공되는 시트(1)의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구성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2를 참조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시트(1)는 벨트(500)에 부착되어 이송될 수 있다. 즉, 시트(1)는 투입부(100)를 거치며 벨트(500)에 부착될 수 있고, 벨트(500)에 부착된 형태로 후단의 날염부(200)로 이송될 수 있다. 날염부(200)를 거치며 소정의 문양 등이 인쇄된 시트(1)는, 날염부(200) 후단에서 다시 벨트(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벨트(500)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트(1)는 폭방향이 벨트(500)의 폭방향에 대응되도록 벨트(500)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벨트(500)는 대략 투입부(100)로부터 날염부(200)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시트(1)의 이송방향과 대응된다. 벨트(500)는 컨베이어 형태로 순환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부(100)에 인접한 벨트(500) 전단에서는 시트(1)가 벨트(500)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날염부(200) 후단에 대응되는 벨트(500) 후단에서는 인쇄된 시트(1)가 벨트(500)로부터 분리(Q)될 수 있다.
벨트(500)는 일면에 시트(1)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부착면에는 점착성 왁스가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시트(1)와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인쇄 품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날염부(200)는 투입부(100) 후단에 배치되어, 투입부(100)로부터 이송되는 시트(1)에 소정의 문양 등을 인쇄할 수 있다.
날염부(200)는 시트(1)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스퀴지유닛(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스퀴지유닛(210)은 소정 색상의 문양을 시트(1)에 전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 스퀴지유닛(210)은 단일의 색상 및 문양을 시트(1)에 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필요한 색상 및 문양에 따라 복수의 스퀴지유닛(210)이 사용될 수 있다. 시트(1)는 각 스퀴지유닛(210) 간에 단계적 이송되며 각 색상 및 문양이 순차적 인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퀴지유닛(210)은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건조부(300)는 소정의 문양 등이 인쇄된 시트(1)를 건조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조부(300)는 열풍(hot air) 건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건조부(300)는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취출부(400)는 건조된 시트(1)를 날염기(10)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즉, 가공 완료된 시트(1)는 취출부(400)를 통해 날염기(10)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취출부(400)는 드로잉모터를 구비하고 건조부(300)로부터 시트(1)를 취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취출부(400)는 취출되는 시트(1)의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장력 제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투입부(100)의 구성과 관련되므로, 투입부(100)에 대한 설명과 함께 부연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면 스크린 날염기에서 투입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탈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진부(110)는 공급되는 시트(1)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탈진부(110)는 시트(1)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브러쉬부(111) 및 흡인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111)는 시트(1)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브러쉬부(111)는 시트(1)의 일면(인쇄면)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됨으로써, 시트(1)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탈거시키게 된다.
흡인부(112)는 브러쉬부(111)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흡인부(112)는 하단의 흡입구가 시트(1)의 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브러쉬부(111)에 의해 탈거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진공 흡인할 수 있다.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기로 이송되어 포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탈진부(110) 후단에 배치되는 제1익스펜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익스펜더(120)는 탈진부(110)를 거쳐 이송되는 시트(1)에서, 폭방향의 좌우 측단이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시트(1)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인장력에 의해 좌우 측단이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이송을 위해 시트(1)를 길이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시트(1)의 좌우 측단 부위가 인장력에 의해 시트(1)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소정 정도 말려 올라가는 것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신축률이 큰 재질의 시트(1)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제1익스펜더(120)를 통해 이러한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익스펜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익스펜더(120)는 시트(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익스펜더(120)는 구동모터를 통해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익스펜더(120)의 외면은 좌우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익스펜더(120)는 좌우로 구분된 제1이송면(121) 및 제2이송면(1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이송면(121)은 제1익스펜더(120)의 일단(좌측단)으로부터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제2이송면(122)은 제1익스펜더(120)의 타단(우측단)으로부터 소정 영역에서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익스펜더(120)의 외면을 좌우로 2분할하고, 일측(좌측) 영역을 제1이송면(121), 반대측(우측) 영역을 제2이송면(122)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측단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으로 제1, 2이송면(121, 122)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제1이송면(121)에는 제1이송홈(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이송홈(121a)은 제1이송면(121)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송홈(121a)은 제1익스펜더(120)의 회전방향(R1)에 대해 제1익스펜더(120)의 일단(좌측단) 측으로 제1각도(a1)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각도(a1)는 소정의 예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제1각도(a1)는 30~60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이송홈(121a)은 시트(1)의 측단(좌측단)을 측방(좌측방)으로 소정 정도 밀어내 시트(1)의 측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이송홈(121a)의 경사가 시트(1)의 측단을 측방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하여, 시트(1)가 좌우로 보다 평평하게 펴지게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제1이송홈(121a)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 형상, 재질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이송홈(121a)은 홈(groove)을 대체하는 돌기 형태로 구현되거나, 고무 등 다른 부위와 상이한 마찰력을 가진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이송면(122)에는 제2이송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이송홈(122a)은 제1이송홈(121a)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제1이송홈(121a)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이송홈(122a)은 제1익스펜더(120)의 회전방향(R1)에 대해 제2각도(a2)를 이루되, 제2각도(a2)는 제1익스펜더(120)의 타단(우측단) 측으로 제2각도(a2)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제1익스펜더(120) 후단에 배치되는 제1센터링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터링가이드(130)는 시트(1)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센터링가이드(130)는 시트(1)를 좌우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 정도 이동시켜, 시트(1)의 좌우 중앙을 맞춰줄 수 있다.
제1센터링가이드(130)는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시트(1)를 접촉 지지하는 복수의 릴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릴가이드는 각각 좌우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릴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시트(1)의 좌우 위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센터링가이드(130)는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제1센터링가이드(130) 후단에 배치되는 장력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감지부(140)는 이송 중인 시트(1)에 작용되는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시트(1)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1)에는 기 설정된 적정 범위의 장력이나 이송 속도로 이송될 수 있고, 투입부(100) 후단의 날염부(200) 등에서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력감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장력감지부(140)는 지지프레임에 힌지(141a)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브라켓(141)을 구비할 수 있다.
힌지(141a)는 시트(1)의 폭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응되는 회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브라켓(141)은 시트(1)에 작용되는 장력에 따라 힌지(141a)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동브라켓(141)은 힌지(141a)와 인접한 위치에서 소정 각도 범위로 형성되는 센서감지부(141b)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감지부(141b)는 후술할 센서(144)에 의해 감지 가능한 영역을 지칭하며,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각도를 적절히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회동브라켓(141)은 힌지(141a)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동롤러(141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롤러(141c)는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회동브라켓(14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롤러(141c)는 힌지(141a)를 중심으로 한 회동브라켓(141)의 회동에 따라 위치가 소정 범위 이동될 수 있다. 이동롤러(141c)는 시트(1)에 접촉되어 이송을 안내하며, 시트(1)에 작용되는 장력을 회동브라켓(141)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장력감지부(140)는 회동브라켓(141)을 지지하는 실린더(142)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142)는 힌지(141a)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회동브라켓(141)에 장착되어, 회동브라켓(141)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동롤러(141c)와 인접한 회동브라켓(141) 전단에 실린더(142)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실린더(142)의 일단은 회동브라켓(141)에 장착될 수 있고, 실린더(142)의 타단은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142)는 시트(1)에 작용되는 장력에 따라 이를 적절히 완충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실린더(142)는 저마찰 에어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142)는 에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압을 통해 시트(1)를 적절히 완충 지지하게 된다.
한편, 장력감지부(140)는 이동롤러(141c)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고정롤러(14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롤러(143)는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시트(1)를 접촉 지지하여 시트(1)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다만, 고정롤러(143)는 이동롤러(141c)과 달리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롤러(143)는 회동브라켓(141)과 구분된 별도의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롤러(141c)와 달리 그 위치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1)는 고정롤러(143) 및 실린더(142)에 의해 장력이 적절히 지지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장력감지부(140)는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각도를 측정 가능한 센서(144)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144)는 회동브라켓(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힌지(141a)를 중심으로 한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각도를 측정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144)는 힌지(141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동브라켓(141) 단부에 마련된 센서감지부(141b)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력감지부(140)는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위치 또는 각도를 통해 이송 중인 시트(1)의 장력을 감지하고, 이를 시트(1)의 이송 속도 등에 적절히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1)에 장력이 기준치 이상 작용되는 경우, 회동브라켓(141)은 도시된 상태에서 힌지(141a)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소정 정도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센서(144)에 의해 감지되는 회동 각도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시트(1)에 지나친 장력이 작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감지 결과를 제1센터링가이드(130) 등으로 제공하여, 시트(1)의 이송 속도를 소정 정도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시트(1)에 장력이 기준치 이하 작용되는 경우, 회동브라켓(141)은 도시된 상태에서 힌지(141a)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소정 정도 회동될 수 있고, 회동 각도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감지 결과를 제1센터링가이드(130) 등으로 제공하여, 시트(1)의 이송 속도를 소정 정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력감지부(140)의 작동은 시트(1)에 적정 범위의 장력이 작용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후속 공정에서의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시트(1)가 장력에 민감하거나 쉽게 늘어날 수 있는 재질인 경우, 이와 같은 효과는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력감지부(140)는 시트(1)의 종류에 따라 회동브라켓(141)의 적정 각도범위가 상이하게 셋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1)가 제1종류의 시트(1)일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회동브라켓(141)의 적정 각도 범위를 제1각도범위로 셋팅하고,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각도가 이를 벗어날 경우, 시트(1)의 이송 속도를 증감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상이하게, 시트(1)가 제2종류의 시트(1)일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회동브라켓(141)의 적정 각도 범위를 상기의 제1각도범위와 상이한 제2각도범위로 셋팅하고, 이에 따라 시트(1)의 이송 속도를 증감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도범위의 셋팅은 시트(1)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앞 서와 같은 장력 제어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에서 적정 각도범위의 셋팅은 사용자 등에 의해 미리 입력되는 값에 기초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원단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장력 값이나 이에 따른 신축 범위를 미리 결정하여 입력하고, 이에 따라 시트(1)의 이송 속도가 제어되는 것이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장력감지부(140)는 시트(1)의 신축성이나 종류를 자체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이 개시되고 초기 투입된 시트(1)가 적어도 장력감지부(140)까지 이송되어 위치되면, 시트(1)의 이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장력감지부(140)에 의해 시트(1)의 판별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장력감지부(140)는 정지된 상태에서 실린더(142)를 가동하여 기 설정된 일정한 크기의 외력으로 시트(1)를 가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144)가 이에 대응한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동 각도에 따라 적정 각도범위의 셋팅 또는 시트(1) 종류의 판별이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회동 각도가 제1각도범위 이내 일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해당 시트(1)를 제1종류의 시트(1)로 판별하고, 이에 대응되는 소정의 각도범위로 전술한 적정 각도범위를 셋팅할 수 있다. 또는, 측정된 회동 각도가 상기의 제1각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장력감지부(140)는 해당 시트(1)를 상기 제1종류와 상이한 제2종류의 시트(1)로 판별하고, 이에 대응되는 소정의 각도범위로 전술한 적정 각도범위를 셋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원단을 변경하는 경우 등에 작업자가 시트(1) 종류를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장력감지부(140) 후단에 배치되는 제2익스펜더(150) 및 제2센터링가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익스펜더(150)는 시트(1) 폭 방향의 좌우 측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익스펜더(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센터링가이드(160)는 시트(1)의 폭 방향 좌우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센터링가이드(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투입부(100)는 시트(1)를 벨트(500)에 부착시키는 피딩롤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롤러(170)는 벨트(500)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센터링가이드(160)를 거쳐 제공되는 시트(1)를 벨트(500)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된 시트(1)는 벨트(500)와 함께 전술한 날염부(200) 등으로 이송되어 인쇄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딩롤러(170)는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날염기(10)는 이송 중인 시트(1)에 적정 범위의 장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트(1)의 늘어남 등을 방지하고, 후속 공정에서의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특히, 니트, 편성물 등 장력에 민감한 재질의 시트(1)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장력감지부(140)가 투입부(100)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장력감지부(140)는 날염기(10)의 복수 개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술한 장력감지부(140) 및 이의 작동 방식은 건조부(300) 후단의 취출부(400)에 적용되어, 인쇄 및 건조 완료된 시트(1)의 장력을 적정 범위로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시트 10: 날염기
100: 투입부 110: 탈진부
111: 브러쉬부 112: 흡인부
120: 제1익스펜더 121: 제1이송면
121a: 제1이송홈 a1: 제1각도
122: 제2이송면 122a: 제2이송홈
a2: 제2각도 R1: 회전방향
130: 제1센터링가이드 140: 장력감지부
141: 회동브라켓 141a: 힌지
141b: 센서감지부 141c: 이동롤러
142: 실린더 143: 고정롤러
144: 센서 150: 제2익스펜더
160: 제2센터링가이드 170: 피딩롤러
200: 날염부 210: 스퀴지유닛
300: 건조부 400: 취출부
500: 벨트

Claims (6)

  1. 시트(1)가 공급되는 투입부(100);
    상기 시트(1)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스퀴지유닛(210)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1)에 소정 색상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날염부(200);
    상기 날염부(200) 후단에서 상기 시트(1)를 건조시키는 건조부(300); 및
    상기 건조부(300) 후단에서 상기 시트(1)를 취출하는 취출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100) 및 상기 취출부(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송되는 상기 시트(1)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감지부(140)는,
    일단에 상기 시트(1)가 접촉 지지되는 이동롤러(141c)를 구비하고, 타단이 힌지(141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브라켓(141);
    상기 힌지(141a)를 중심으로 한 상기 회동브라켓(141)의 회동을 탄성 지지하는 실린더(142);
    상기 이동롤러(141c)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롤러(141c) 후방에서 상기 시트(1)를 접촉 지지하는 고정롤러(143); 및
    상기 회동브라켓(141)의 회동을 감지하는 센서(144);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감지부(140)는,
    상기 회동브라켓(141)이 기 설정된 소정 각도범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시트(1)의 이송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력감지부(140)는,
    상기 시트(1)가 공급 개시되면 상기 실린더(142)를 통해 상기 시트(1)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고, 상기 센서(144)를 통해 상기 회동브라켓(141)의 회동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회동브라켓(141)의 상기 각도범위를 설정하도록 형성되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0)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릴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장력감지부(140) 전방에서 상기 시트(1)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제1센터링가이드(130); 및
    상기 제1센터링가이드(130) 전방에서 상기 시트(1)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1익스펜더(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익스펜더(120)는,
    일단으로부터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외면에 제1이송홈(121a)이 형성된 제1이송면(121); 및
    타단으로부터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외면에 제2이송홈(122a)이 형성된 제2이송면(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홈(121a)은,
    상기 제1익스펜더(120)의 회전방향(R1)에 대해 상기 일단 측으로 제1각도(a1)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시트(1)의 일단을 말림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홈(122a)은,
    상기 제1익스펜더(120)의 회전방향(R1)에 대해 상기 타단 측으로 제2각도(a2)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시트(1)의 타단을 말림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0)는,
    상기 장력감지부(140) 전방에 배치되며, 브러쉬부(111) 및 흡인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1)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진부(110); 및
    상기 장력감지부(140) 후방에서 상기 시트(1)를 벨트(500)에 부착시키는 피딩롤러(170);를 포함하는, 평면 스크린 날염기.
  6. 청구항 1, 4 및 5 중 어느 한 항의 평면 스크린 날염기를 사용하여 시트(1)에 소정 색상 또는 문양을 인쇄하는, 날염방법.
KR1020190152296A 2019-11-25 2019-11-25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KR10209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96A KR102096904B1 (ko) 2019-11-25 2019-11-25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96A KR102096904B1 (ko) 2019-11-25 2019-11-25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904B1 true KR102096904B1 (ko) 2020-04-03

Family

ID=7028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96A KR102096904B1 (ko) 2019-11-25 2019-11-25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90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119A (ja) * 1993-03-31 1994-10-11 Kin Yosha Kk 紙巾伸縮装置
US5927196A (en) * 1997-07-24 1999-07-2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Post chill dancer roll
JP3218274B2 (ja) * 1995-05-09 2001-10-15 カネボウ株式会社 捺染方法および装置
KR200236257Y1 (ko) 2001-03-16 2001-10-26 주식회사 창원기계 날염기의 스크린형틀 승강 자동조절장치
JP2002128350A (ja) * 2000-10-31 2002-05-09 Dainippon Ink & Chem Inc ターンバー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ェブ加工装置
KR100456811B1 (ko) * 2003-08-19 2004-11-10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
US6848765B1 (en) * 1993-04-30 2005-02-01 Lance Cleveland End-of-page advance-distance decrease, in liquid-ink printers
KR100769698B1 (ko) * 2006-11-03 2007-10-23 김원락 스크린날염기용 원단 집진장치
KR20090124464A (ko) * 2008-05-30 2009-12-03 (주) 근도테크놀러지 디지털 날염기
JP3173406U (ja) * 2005-01-17 2012-02-09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ブ張力プロフィール測定装置及びロール
KR101417900B1 (ko) 2013-01-18 2014-07-10 김영철 스크린 날염기의 스퀴지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119A (ja) * 1993-03-31 1994-10-11 Kin Yosha Kk 紙巾伸縮装置
US6848765B1 (en) * 1993-04-30 2005-02-01 Lance Cleveland End-of-page advance-distance decrease, in liquid-ink printers
JP3218274B2 (ja) * 1995-05-09 2001-10-15 カネボウ株式会社 捺染方法および装置
US5927196A (en) * 1997-07-24 1999-07-2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Post chill dancer roll
JP2002128350A (ja) * 2000-10-31 2002-05-09 Dainippon Ink & Chem Inc ターンバー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ェブ加工装置
KR200236257Y1 (ko) 2001-03-16 2001-10-26 주식회사 창원기계 날염기의 스크린형틀 승강 자동조절장치
KR100456811B1 (ko) * 2003-08-19 2004-11-10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
JP3173406U (ja) * 2005-01-17 2012-02-09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ブ張力プロフィール測定装置及びロール
KR100769698B1 (ko) * 2006-11-03 2007-10-23 김원락 스크린날염기용 원단 집진장치
KR20090124464A (ko) * 2008-05-30 2009-12-03 (주) 근도테크놀러지 디지털 날염기
KR101417900B1 (ko) 2013-01-18 2014-07-10 김영철 스크린 날염기의 스퀴지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483B2 (en) Unbacked fabric transport and condition system
EP1167030B1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JP4822797B2 (ja) ベルト式ロールアイロナー
CN110525031A (zh) 一种编织袋印刷装置
KR102096904B1 (ko) 평면 스크린 날염기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JP2022115186A (ja) 記録装置
US8708440B2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goods using ink jet printing apparatus
CN117584634A (zh) 一种减少偏移的数字印花机及其方法
US20070200881A1 (en) Height adjustment system for image forming machine
US20070201933A1 (en) Feeding system for image forming machine
KR101487367B1 (ko) 원단공급장치
KR20220063022A (ko) 마스크 원단 공급을 위한 텐션 및 포지셔닝 장치
JP2002113841A (ja) 枚葉紙処理機械、特に枚葉紙印刷機の排紙装置
EP0893527A2 (en) Device for tensioning knitted fabrics in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in large-diameter circular machines
CN216785235U (zh) 一种平网印花机
JP2002193509A (ja) 被染布の搬送角度変更装置
CN220681936U (zh) 一种包装印刷机用快速干燥模组
US2129877A (en) Machine for napping or sueding textile fabrics
KR101625960B1 (ko) 러버인서트 스티칭 장치
KR102021743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JPH11164999A (ja) 布帛処理装置にほぼ長方形の布帛片を供給する方法及び同装置
CN116653423A (zh) 一种编织袋印刷翻面控制装置及方法
CN219731383U (zh) 一种印染机的压辊机构
JP2005312478A (ja) 布類投入装置における整形装置
JP6090903B2 (ja) ロータリースクリーン印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