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125B1 -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125B1
KR102094125B1 KR1020190047730A KR20190047730A KR102094125B1 KR 102094125 B1 KR102094125 B1 KR 102094125B1 KR 1020190047730 A KR1020190047730 A KR 1020190047730A KR 20190047730 A KR20190047730 A KR 20190047730A KR 102094125 B1 KR102094125 B1 KR 10209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haft
pair
horizontal mov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경
오성운
심종보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심
Priority to KR102019004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6Duplicate, alternate, selective, or coacting f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제조하는 과정에 낱개상의 스트립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되게 하는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에서 이송되는 스트립이 이탈되지 않도록 개선된 스트립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이송정렬대(35)의 재치홈(35a)에 안착되는 낱개상의 스트립(S)을 잡아주는 스트립이탈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이송정렬대(35)의 정렬대기대(37)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와,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수직운동축(110) 및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 중에 상부쪽 수평이동부재(103)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131)과, 상기 회동축(131)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갈고리형태의 이탈방지편(133)을 갖는 한쌍의 회동부재(130)와, 상기 수직운동축(110)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돌륜부(111a)를 갖는 링크연결부재(111)와, 상기 돌륜부(111a)와 힌지축(122)으로 하단부(121)가 연결되고 상단부(123)는 회동부재(130)의 후단부(132)와 연동 가능하도록 링크축(124)으로 연결되는 연동링크축(120)과, 상기 수직운동축(1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축연동부재(140)가 연동되게 고정되고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있는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A device for preventing the strip from falling off}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제조하는 과정에 낱개상의 스트립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되게 하는 스트립 분리정렬장치에서 이송되는 스트립이 이탈되지 않도록 개선된 스트립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키트용으로 쓰이는 스트립은 판지상태의 시트원단을 일전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낱개상의 길다란 스트랩을 생산한 후 그 다수의 스트랩을 일렬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되게 하여 완제품조립부로 공급되게 하여 완제품이 제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트립을 양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스트립을 얻기 위해 한쌍의 롤러커터(11)에 의해 시트지가 절단되는 시트커팅부(10)와, 절단된 낱개상의 스트립을 이송하기 위한 스트립이송장치부(20)와, 다수의 스트립을 일렬상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게 하는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30)와, 완제품이 되게 조립하는 완제품조립부(40)를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30)에서 낱개상의 스트립이 이송되는 과정에 이탈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종래의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30)는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으로 기재된바와 같은 선행기술이 실시되었으나, 공압을 이용하여 스크립을 흡착하여 이송되게 하였으므로 이송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서 생산속도가 비교적 느려서 생산량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그러므로 공압을 이용하여 스크립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배제하고 스크랩을 들어올려서 이송되게 함으로써 생산속도가 보다 빨라지도록 하였으나 낱개상의 스크랩이 들어올려서 이송시킬 때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연속 생산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KR 10-1760215 B1 2017.07.30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제조하는 과정에 낱개상의 스트립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정렬되게 하는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에서 이송되는 스트립이 이탈되지 않도록 개선된 스트립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립 분리정렬장치부기 연속 구동하는데 지장이 초래되지 않게 연속으로 동작되는 스트립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이송정렬대의 재치홈에 안착되는 낱개상의 스트립을 잡아주는 스트립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정렬대의 정렬대기대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수평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수직운동축과,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 중에 상부쪽 수평이동부재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갈고리형태의 이탈방지편을 갖는 한쌍의 회동부재와, 상기 수직운동축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돌륜부를 갖는 링크연결부재와, 상기 돌륜부와 힌지축으로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회동부재의 후단부와 연동 가능하도록 링크축으로 연결되는 연동링크축과, 상기 수직운동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축연동부재가 연동되게 고정되고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사각궤도운동부재가 있는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는, 이송정렬대가 구비되는 정렬대기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더브테일형 레일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연결부재 상하부쪽 수직운동축에 각각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수직운동축이 이탈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축이 수평이동부재의 상단편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하여 수평이동부재와 동시에 회동축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에서 이송정렬대의 재치홈에 얹혀져서 이동되는 스트립을 회동부재의 갈고리 형태의 이탈방지편이 잡아주는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스트립이 이동하는 과정에 이탈되지 않게 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스트립이 이동하는 과정에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생산 중단됨이 없이 연속으로 생산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생산량 증대가 도모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가 연속 구동하는데 지장이 초래되지 않게 연속으로 동작되는 스트립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조설비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스트립제조설비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이탈방지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이탈방지장치의 전체 정면 구성도,
도 5의 (a),(b),(c)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스트립정렬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작용도,
도 6의 (a),(b),(c)는 본 발명의 스트립이탈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트립이탈방지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트립이탈방지장치(100)는, 이송정렬대(35)의 정렬대기대(37)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를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는, 이송정렬대(35)가 구비되는 정렬대기대(37)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01)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더브테일형 레일(102)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수직운동축(110)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 중에 상부쪽 수평이동부재(103)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131)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31)이 수평이동부재(103)의 상단편(104)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하여 수평이동부재(103)와 동시에 회동축(131)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링크연결부재(111) 상하부쪽 수직운동축(110)에 각각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112)를 구비하여 수직운동축(110)이 이탈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축(131)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갈고리형태의 이탈방지편(133)을 갖는 한쌍의 회동부재(130) 및 수직운동축(110)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돌륜부(111a)를 갖는 링크연결부재(111)를 구비한다.
또한, 링크연결부재(111)의 돌륜부(111a)와 힌지축(122)으로 하단부(121)가 연결되고 상단부(123)는 회동부재(130)의 후단부(132)와 연동 가능하도록 링크축(124)으로 연결되는 연동링크축(120)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운동축(110)의 하단부에는 축연동부재(140)가 고정되고, 상기 축연동부재(140)에는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150)의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고정되어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150)은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전진되게 이동함에 따라 C1지점에서 C2지점으로 축연동부재(140)가 이동하고, 상기 상태에서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연동부재(140)가 C2에서 C3지점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상태에서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연동부재(140)가 C2에서 C3지점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상태에서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후진되게 이동함에 따라 C3지점에서 C4지점으로 축연동부재(140)가 이동하고, 상기 상태에서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연동부재(140)가 C4지점에서 C1지점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사각궤도운동부재(155)와 축연동부재(140)가 사각형태로 1사이클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사각형태로 1사이클이동을 하는 것을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각궤도싸이클이동 또는 사각궤도싸이클운동이라고 정의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사각궤도운동부재(155)는 공압실린더(153)에 의해서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피스톤(부호없이)이 이동되게 구동되면 더브테일형레일(154)을 따라 안내되어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공압실린더(152)의 피스톤이 돌출되게 이동되면 수직운동브라켓(15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상태에서 공압실린더(153)의 피스톤이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작동하면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상태에서 공압실린더(152)의 피스톤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되면 수직운동브라켓(151)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사각궤도싸이클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150)은 이미 알려진 부품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구조가 다른 구성을 갖는 것이라도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사각궤도싸이클이동을 하게되는 다른 종류의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150)이라도 이미 알려진 부품이며 본 발명에 채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축연동부재(140)가 C1지점에서 C2지점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면 수직운동축(110)과 함께 더브테일형 레일(102)를 따라 수평이동부재(103)가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축연동부재(1400가 C2지점에서 C3지점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때는 수직운동축(110)만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링크연결부재(111)도 수직운동축(110)과 같이 상부반ㅇ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연동링크축(120)도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링크축(124)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재(130)의 후단부(132)를 밀게 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회동부재(130)는 도 7에서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이탈방지편(13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되어서 스트립(S) 상면부에 살짝 접촉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스트립(S)이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축연동부재(140)가 도 4에서 C3지점에서 C4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7에서 이탈방지편(133)이 스트립(S)를 눌러주는 상태에서 그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축연동부재(140)가 도 4에서 C4지점에서 C1지점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7에서 수직운동축(110)과 함께 링크연결부재(111)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연동링크축(120)이 회동부재(130)의 후단부(132)를 하부방향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회동부재(130)가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이탈방지편(133) 끝단부가 도 7의 실선도시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회동되어서 스트립(S)으로부터 멀어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해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30)에서 작동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30)는 이송컨베니이어수단(31)과 스트립정렬수단(3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이송컨베니이어수단(31)은 한쌍의 벨트(32) 위에 스트립(S) 양단부가 얹혀진 상태에서 이송되어 오다가 스트립(S)ㅇㅣ 벨트(32) 끝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벨트(32) 이동이 일시 중지된다. 상기 벨트(32)의 구동수단은 이미 알려진 것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벨트(32) 구동이 일시 중지되면, 스트립정렬수단(33)의 고정정렬대(34) 중앙부에 있는 이송정렬대(35)가 구동을 하여 벨트(32)에 있는 스트립(S)을 들어올려서 고정정렬대(34)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때 이송정렬대(35)가 스트립(S)을 들어 올려서 이동시킬 때 본 발명의 스트립이탈방지장치(100)에 의해서 이송정렬대(35)에 있는 스트립(S)이 이탈되지 않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고정정렬대(34) 및 이송정렬대(35)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착홈(34a~34n) 및 재치홈(35a~35n)을 구비하고 이들의 폭 및 피치 간격은 동일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정렬대(34)는 정렬대기대(37)에 고정되는 것이고, 이송정렬대(35)는 사각궤도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정렬대(35)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B1,B2,B3,B4 지점으로 화상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되는 것이고, B4 지점에서 다시 B1 지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각궤도상으로 1사이클이동을 하도록 된 것이며, 이와 같이 사각궤도상으로 1사이클이동을 하도록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은 이미 알려진 것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 5의 (a)와 같이 고정정렬대(34)의 안착홈(43a)에 스트립(S)이 있는 상태에고 이송정렬대(35)가 B1 지점에서 도 5의 (b)와 같이 B2지점으로 이동한후 상부방향인 B3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이송정렬대(35)의 재치홈(35a)에 벨트(32)에 있는 스트립(S)이 얹혀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고정정렬대(34)의 안착홈(34a)에 있던 스트립(S)은 이송정렬대(35)의 두번째 재치홈(35b)에 얹혀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이송정렬대(35)가 도 5의 (c)와 같이 B4지점으로 이동한 후 하부방향인 B1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첫번째 재치홈(35a)에 있던 스트립(S)은 고정정렬대(34)의 첫번째 안착홈(34a)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고, 이송정렬대(35)의 두번째 재치홈(35b)에 있던 스트립(S)은 고정정렬대(34)의 두번째 안착홈(34b)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이송정렬대(35)가 사각궤도싸이클이동을 반복하게 되면 벨트(32)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스트립(S)이 이송정렬대(35)에 의해서 1개씩 고정정렬대(34)로 이송되면서 고정정렬대(34)의 안착홈(34a~34n)으로 스트립(S)이 하나씩 옮겨지면서 이송되는 동시에 안착홈(34a~34n)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스트립(S)의 간격이 일정한 상태로 정렬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완제품조립부(40)로 일정한 간격으로 스트립(S)이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이송정렬대(35)가 사각궤도싸이클이동을 하면서 벨트(32)에서 스트립(S)을 고정정렬대(34)로 이송시킬 때 재치홈(35a)에 얹혀져 있는 스트립(S)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본발명의 작동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송정열대(35)와 관련된 부분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송정렬대(35)가 상부쪽에 이탈방지편(132)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송정렬대(35)가 B1지점에서 B2지점으로 이동하면 회동부재(130)도 동일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6의 (b)와 같이 B2지점에서 이송정렬대(35)가 B3지점으로 상승되게 이동하게 되어서 벨트(32)에 있는 스트립(S)이 재치홈(35a)에 얹혀지게 되는 순간에 연동링크축(120)이 회동부재(130)의 후단부(132)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회동부재(130)가 회동되어서 이탈방지편(132) 끝단부가 스트립(S) 상면부에 접촉만되는 상태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정렬대(35)가 도 6의 (c)와 같이 B4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동부재(130)도 같이 이동하게 됨으로서 스트립(S)이 재치홈(35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정렬대(35)가 도 6의 (c)와 같이 B4지점에서 B1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동부재(130)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도 6의 (a)와 같이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어서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30)에서 이송정렬대(35)의 재치홈(35a)에 얹혀져서 이동되는 스트립(S)을 회동부재(130)의 갈고리 형태의 이탈방지편(133)이 잡아주는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스트립(S)이 이동하는 과정에 이탈되지 않게 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트립(S)이 이동하는 과정에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생산 중단됨이 없이 연속으로 생산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생산량 증대가 도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되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시트커팅부 11:롤러커터
20:스트립분리이송장치부 30:스트립분리정렬장치부
31:이송컨베이어수단 32:벨트
33:스트립정렬수단 34:고정정렬대
35:이송정렬대 36:불량검출센서
37:절렬대기대 40:완제품조립부
100:스트립이탈방지장치 101:고정브라켓트
102:더브테일형 레일 103:수평이동부재
104:상단편 110:수직이동축
111:링크연결부재 11a:돌륜부
112:이탈방지부재 120:연동링크축
121:하단부 122:힌지축
123:상단부 124:링크축
130:회동부재 131:회동축
132:후단부 133:이탈방지편
140;축연동부재 150: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
155:사각궤도운동부재 S:스트립

Claims (4)

  1.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이송정렬대(35)의 재치홈(35a)에 안착되는 낱개상의 스트립(S)을 잡아주는 스트립이탈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이송정렬대(35)의 정렬대기대(37)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와;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수직운동축(110)과;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 중에 상부쪽 수평이동부재(103)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131)과;
    상기 회동축(131)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갈고리형태의 이탈방지편(133)을 갖는 한쌍의 회동부재(130)와;
    상기 수직운동축(110) 중간에 고정되고 일측에 돌륜부(111a)를 갖는 링크연결부재(111)와;
    상기 돌륜부(111a)와 힌지축(122)으로 하단부(121)가 연결되고 상단부(123)는 회동부재(130)의 후단부(132)와 연동 가능하도록 링크축(124)으로 연결되는 연동링크축(120)과;
    상기 수직운동축(1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축연동부재(140)가 연동되게 고정되고 상하전후방향으로 사각궤도이동을 하는 사각궤도운동부재(155)가 있는 사각궤도싸이클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평이동부재(103)는, 이송정렬대(35)가 구비되는 정렬대기대(37)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01)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더브테일형 레일(102)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부재(111) 상하부쪽 수직운동축(110)에 각각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112)를 구비하여 수직운동축(110)이 이탈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131)이 수평이동부재(103)의 상단편(104)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하여 수평이동부재(103)와 동시에 회동축(131)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KR1020190047730A 2019-04-24 2019-04-24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KR10209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30A KR102094125B1 (ko) 2019-04-24 2019-04-24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30A KR102094125B1 (ko) 2019-04-24 2019-04-24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25B1 true KR102094125B1 (ko) 2020-03-26

Family

ID=6995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730A KR102094125B1 (ko) 2019-04-24 2019-04-24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15B1 (ko) 2016-08-18 2017-07-20 주식회사 에스디 스트립 간격 벌림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15B1 (ko) 2016-08-18 2017-07-20 주식회사 에스디 스트립 간격 벌림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1064B (zh) 封套填充装置
EP3581381A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sheets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and digital printing line
KR102094125B1 (ko) 진단키트용 스트립을 분리정렬하는데 있어서 스트립이탈방지장치
US6227376B1 (en) Two-directional reject and make-up conveyor system
JP5052934B2 (ja) スライス食パン分割搬出装置
US5328323A (en) Stack making machine
US4838137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a belt-shaped material to a cutting machine
US6544158B2 (en) High speed feeding apparatus for clamshell die cutter
EP0033799A1 (en) Conveying apparatus for sheet-like articles
CN214058968U (zh) 用于地板自动生产线的压边条传送装置
JP4166323B2 (ja) 形鋼材の反転装置
JPH0742632Y2 (ja) 根菜類の乱切り装置
JP5008347B2 (ja) スライス食パン分割搬出装置
US4981223A (en) Apparatus for feeding boards from the base of the stack
CN105253682B (zh) 一种顶针定位模切纸品输送设备
US42133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pieces from a pre-cut sheet
JPH0790496B2 (ja) シート切断装置
CN212554040U (zh) 一种用于辣椒切割分段拣选的设备
JP2003531576A (ja) クッキーを積み重ねるためのインラインスタッカー機
JP3751700B2 (ja) 封筒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604420B2 (ja) ケース分離装置
JP4091954B2 (ja) コンベア装置
JPS59153736A (ja) 板状物体送り出し装置
JPH11157733A (ja) 段ボールシートスタッカにおけるシートストッパ
CN118083634A (zh) 一种叠合压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