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754B1 -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754B1
KR102092754B1 KR1020147021658A KR20147021658A KR102092754B1 KR 102092754 B1 KR102092754 B1 KR 102092754B1 KR 1020147021658 A KR1020147021658 A KR 1020147021658A KR 20147021658 A KR20147021658 A KR 20147021658A KR 102092754 B1 KR102092754 B1 KR 10209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e
astigmatized
genus
predatory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709A (ko
Inventor
카렐 조제프 플로렌트 볼크만스
이본 마리아 반 하우텐
아델마르 엠마뉴엘 반 바알
라드바우트 티머
다미엔 마르크 모렐
Original Assignee
코퍼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0464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927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퍼트 비.브이. filed Critical 코퍼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11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6Arachn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식성 응애의 사용에 의한 생물학적 작물 보호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포식성 응애 및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응애 조성물은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해 및/또는 포식성 응애를 사용한 작물 보호를 위해 적합하다. 조성물 내의 먹이는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Astigmatid) 응애 종의 개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고정화된다. 조성물은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가 진균 감소제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MITE COMPOSITION COMPRISING A PREDATORY MITE AND IMMOBILIZED PREY CONTACTED WITH A FUNGUS REDUCING AGENT AND METHODS AND USES RELATED TO THE USE OF SAID COMPOSI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식성 응애의 사용에 의한 생물학적 작물 보호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포식성 응애 및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응애 조성물은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해 및/또는 포식성 응애를 사용한 작물 보호를 위해 적합하다.
생물학적 작물 보호를 위한 포식성 응애의 사용은 농업과 원예에서 점점 더 각광받고 있다. 현재, 피토세이이다에(Phytoseiidae: 이리응애과), 라엘라피다에(Laelapidae: 가시응애과), 마크로켈리다에(Macrochelidae: 큰집게좀진드기과), 파라시티다에(Parasitidae; 기생응애과), 티데이다에(Tydeidae: 애기응애과), 케일레티다에(Cheyletidae: 발톱진드기과), 쿠낙시다에(Cunaxidae; 마름이리응애과), 에리트라에이다에(Erythraeidae: 보배진드기과), 스티그마에이다에(Stigmaeidae; 마름응애과)의 과로부터의 포식성 응애가 초식성 응애, 총채벌레 및 가루이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제안되었다. 생물학적 해충 방제제로서 포식성 응애의 상업적 사용을 위한 전제조건은 받아들일 수 있는 가격으로의 이용가능성이다. 이를 위해서, 이들을 다량으로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가능성이 중요하다.
지난 수 년 동안, 대량 사육 방법은 포식성 응애에 대한 사육 먹이 (또는 별법으로 사육 숙주로 언급됨)의 이용가능성의 측면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 새로이 이용가능한 많은 상기 사육 먹이는 아스티그마티드(Astigmatid) 응애이다. 예를 들어, 코퍼트 비.브이.(Koppert B.V.)의 국제 특허 출원 WO2006/057552, WO2006/071107 및 WO2007/075081을 참조할 수 있다. 추가로, WO2008/015393, WO2008/104807 및 EP2232986에는 피토세이이드(Phytoseiid) 포식자 및 아스티그마티드 먹이 응애 종의 추가의 조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아스티그마티드 먹이 응애 종은 또한 다른 분류군으로부터의 포식 종, 예컨대 포식성 메소스티그마티드(Mesostigmatid) 응애 종, 포식성 프로스티그마티드(Prostigmatid) 응애 종의 대량-사육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육 먹이의 이용가능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포식성 응애의 대량 사육에 대한 특정 제한이 계속 존재하는 바, 대량 사육은 상기 제한의 개선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살아있는 사육 먹이는 또한 그의 활동, 대사 기체 및 대사 열을 생성하는 그의 대사 활성 때문에 포식성 응애에 대한 스트레스원일 수도 있다. 상기 효과는 특히 높은 집단 밀도에서 매우 상당할 수 있다. 추가로, 살아있는 먹이 개체는 특정 화학물질, 예컨대 포식성 응애를 방해할 수 있고 심지어 공격 포식자에 대한 방어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경고 페로몬을 생산하고 분비할 수 있다. 이들 밀도 의존성 스트레스 인자는 보다 낮은 산란율, 미숙 응애의 보다 낮은 생존 및 성충 포식성 응애의 보다 짧은 수명 때문에 포식성 응애의 보다 느린 집단 발생률 및 보다 낮은 최대 집단 밀도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인자를 제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한 적합한 진보적인 해결책은 보다 높은 사육 집단 밀도 및 빠른 집단 발생률을 달성시킬 것이다.
EP 2 380 436에서는 피토세이이드 포식 종의 집단 및 아스티그마티드 종의 집단을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였다. 조성물은 아스티그마티드 종의 집단이 살아있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살아있지 않음은 살아있는 아스티그마티드 개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먹이는 완전히 불활성임).
EP 2 380 436의 조성물 및 피토세이이드 포식자 사육에서 그의 용도는 살아있는 먹이에 의해 유도된 스트레스 인자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조성물도 역시 큰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죽은 아스티그마티드 응애가 또한 좋은 진균 기질이고, 진균 성장을 촉진함을 발견하였다. 상기 문제는 선행 기술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이다. 대규모의 진균 성장은 포식성 응애의 집단 발생률 및 최대 집단 밀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은 포식성 응애가 상당수의 죽거나 또는 달리 고정화된 먹이 개체를 포함하는 사육 먹이의 집단 상에서 사육될 때 적당한 진균 감소가 필요하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 포식성 응애 종의 개체의 집단;
-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의 개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고정화된 것인, 상기 포식성 개체를 위한 먹이원;
- 임의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적합한 먹이원; 및
- 임의로 응애 종의 개체에 대한 담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 및 임의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대한 임의적 먹이원은 진균 감소제와 접촉되는 것인, 응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포식성 응애 집단의 개체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는 이들이 해충 유기체 (곤충 및 응애)를 잡아먹는 식물 상에 이들의 천연 서식지를 갖는다. 이들은 문헌 [de Moraes et al., 200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의 천연 서식지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한 포식성 응애는 포식성 메소스티그마티드 응애 종, 포식성 프로스티그마티드 응애 종, 특히
-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메소스티그마티드 응애 종:
i) 피토세이이다에, 예컨대
- 암블리세이이나에(Amblyseiinae)의 아과(subfamily), 예컨대 암블리세이우스(Amblyseius) 속, 예를 들어 암블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andersoni), 암블리세이우스 아에리알리스(aerialis), 암블리세이우스 스위르스키이(swirskii ), 암블리세이우스 헤르비콜루스(herbicolus) 또는 암블리세이우스 라르고엔시스(largoensis), 유세이우스(Euseius) 속, 예를 들어 유세이우스 핀란디쿠스(finlandicus), 유세이우스 히비스키(hibisci), 유세이우스 오발리스(ovalis), 유세이우스 빅토리엔시스(victoriensis), 유세이우스 스티풀라투스(stipulatus), 유세이우스 스쿠탈리스(scutalis), 유세이우스 툴라렌시스(tularensis), 유세이우스 아도엔시스(addoensis), 유세이우스 콘코르디스(concordis), 유세이우스 호(ho) 또는 유세이우스 시트리(citri), 네오세이울루스(Neoseiulus) 속, 예를 들어 네오세이울루스 바르케리(barkeri), 네오세이울루스 칼리포르니쿠스(californicus), 네오세이울루스 쿠쿠메리스(cucumeris), 네오세이울루스 롱기스피노수스(longispinosus), 네오세이울루스 우메르슬레이이(womersleyi), 네오세이울루스 이다에우스(idaeus), 네오세이울루스 아노니무스(anonymus), 네오세이울루스 파스팔리보루스(paspalivorus), 네오세이울루스 레둑투스(reductus) 또는 네오세이울루스 팔라시스(fallacis), 암블리드로말루스(Amblydromalus) 속, 예를 들어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limonicus), 티플로드로말루스(Typhlodromalus) 속,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말루스 아리포(aripo), 티플로드로말루스 라일라(laila) 또는 티플로드로말루스 페레그리누스(peregrinus), 티플로드로밉스 속,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밉스 몬트도렌시스(montdorensis), 피토세이울루스(Phytoseiulus) 속, 예를 들어 피토세이울루스 페르시밀리스(persimilis), 피토세이울루스 마크로필리스(macropilis), 피토세이울루스 롱기페스(longipes), 피토세이울루스 프라가리아에(fragariae);
- 티플로드로미나에(Typhlodrominae)의 아과, 예컨대 갈렌드로무스(Galendromus) 속, 예를 들어 갈렌드로무스 옥시덴탈리스(occidentalis), 티플로드로무스(Typhlodromus) 속,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무스 피리(pyri), 티플로드로무스 도레에나에(doreenae) 또는 티플로드로무스 아티아사에(athiasae);
ii) 아스키다에(Ascidae), 예컨대 프록톨라엘랍스(Proctolaelaps) 속, 예컨대 프록톨라엘랍스 피그마에우스(pygmaeus) (물러(Muller)); 블라티소시우스(Blattisocius) 속, 예를 들어 블라티소시우스 타르살리스(tarsalis) (베를레세(Berlese)), 블라티소시우스 케에가니(keegani) (폭스(Fox)); 라시오세이우스(Lasioseius) 속, 예를 들어 라시오세이우스 피메토룸(fimetorum) (카르그(Karg)), 라시오세이우스 플로리덴시스(floridensis) (베를레세), 라시오세이우스 비스피노수스(bispinosus) (에반스(Evans)), 라시오세이우스 덴타투스(dentatus) (폭스), 라시오세이우스 스카풀라투스(scapulatus) (케네트(Kenett)), 라시오세이우스 아티아사에 (나와르 & 나스르(Nawar & Nasr)); 아르크토세이우스(Arctoseius) 속, 예를 들어 아르크토세이우스 세미스키수스(semiscissus) (베를레세); 프로토가마셀루스(Protogamasellus) 속, 예를 들어 프로토가마셀루스 디오스코루스(dioscorus) (맨손(Manson));
iii) 라엘라피다에, 예컨대 스트라티올라엘랍스 속(Stratiolaelaps), 예를 들어 스트라티올라엘랍스 스키미투스(scimitus) (우메르슬레이) (히포아스피스(Hypoaspis) 속에도 속함); 게올라엘랍스(Geolaelaps), 예를 들어 게올라엘랍스 아쿨레이페르(aculeifer) (카네스트리니) (히포아스피스 속에도 속함); 안드롤라엘랍스(Androlaelaps), 예를 들어 안드롤라엘랍스 카살리스 카살리스(casalis casalis) (베를레세);
iv) 마크로켈리다에, 예컨대 마크로켈레스(Macrocheles) 속, 예를 들어 마크로켈레스 로부스툴루스(robustulus) (베를레세), 마크로켈레스 무스카에도메스티카에(muscaedomesticae) (스코폴리(Scopoli)), 마크로켈레스 마트리우스(matrius) (훌(Hull));
v) 파라시티다에, 예컨대 페르가마수스 속, 예를 들어 페르가마수스 퀴스퀼리아룸(quisquiliarum) (카네스트리니); 파라시투스(Parasitus), 예를 들어 파라시투스 피메토룸 (베를레세), 파라시투스 비투베로수스(bituberosus) (카르그);
- 예컨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로스티그마티드 응애 종:
vi) 티데이다에, 예컨대 호메오프로네마투스(Homeopronematus) 속, 예를 들어 호메오프로네마투스 안코나이(anconai) (베이커(Baker)); 티데우스(Tydeus) 속, 예를 들어티데우스 람비(lambi) (베이커), 티데우스 카우다투스(caudatus) (두게스(Duges)), 티데우스 람비 (베이커); 프로네마투스(Pronematus) 속, 예를 들어 프로네마투스 유비퀴토우스(ubiquitous) (맥그레고르(McGregor));
vii) 케일레티다에, 예컨대 케일레투스(Cheyletus) 속, 예를 들어 케일레투스 에루디투스(eruditus) (쉬랭크(Schrank)), 케일레투스 말라센시스(malaccensis) (오우데만스(Oudemans));
viii) 쿠낙시다에, 예컨대 콜레오스키루스(Coleoscirus) 속, 예를 들어 콜레오스키루스 심플렉스(simplex) (유잉(Ewing)); 쿠낙사(Cunaxa) 속, 예를 들어 쿠낙사 세티로스트리스(setirostris) (헤르만(Hermann));
ix) 에리트라에이다에, 예컨대 발라우스티움(Balaustium) 속, 예를 들어 발라우스티움 푸트마니(putmani) (스마일리(Smiley)); 발라우스티움 메디카고엔세(medicagoense) (메이어 & 라이크(Meyer & Ryke)); 발라우스티움 무로룸(murorum) (헤르만);
x) 스티그마에이다에, 예컨대 아기스테무스(Agistemus) 속, 예를 들어 아기스테무스 엑스세르투스(exsertus) (곤잘레즈(Gonzalez)); 예컨대 제트젤리아(Zetzellia) 속, 예를 들어 제트젤리아 말리(mali) (유잉)
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피토세이이드 종으로서 선택될 때, 응애 종은 바람직하게는 암블리세이우스 스위르스키이, 암블리세이우스 아에리알리스, 암블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네오세이울루스 바르케리, 네오세이울루스 칼리포르니쿠스, 네오세이울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울루스 팔라시스, 티플로드로밉스 몬트도렌시스 또는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로부터 선택된 피토세이이드 종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피토세이이드 응애 아과, 속 및 종의 명칭은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문헌 [de Moraes, G.J. et al., 200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언급된다. 다른 과로부터의 종에 대해서는, 문헌 [Gerson U., Smiley R.L. and Ochoa R., 2003, Mites (Acari) for pest control (Blackwell Publishing)]을 참조한다. 대체 및 동등한 명칭이 특정 응애 종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는 대체 및 동등한 명칭인 암블리세이우스 리모니쿠스 및 티플로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로도 알려져 있음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포식자 집단은 바람직하게는 사육 집단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사육은 유성 생식에 의한 집단의 증식 및 증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육 집단은 두 성으로부터의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 및/또는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으로 성숙될 수 있는 다른 생활기의 두 성의 개체, 예를 들어 알, 유충(larvae) 및/또는 약충(nymph)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사육 집단은 하나 이상의 수태한 암컷을 포함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사육 집단은 유성 생식에 의해 그의 개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응애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의 개체를 포함하는, 포식성 개체에 대한 먹이원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의 하나 이상의 생활기의 개체는 선택된 포식자의 개체에 대한 적합한 먹이 (먹이원)이어야 한다. 선택된 포식자에 대한 먹이로서 적합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선택은 당업자의 지식 범위 내에서 수행된다.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는 문헌 [Hughes A.M., 197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의 천연 서식지로부터 단리될 수 있고, 문헌 [Parkinson, C.L. (1992)] 및 [Solomon, M.E. & Cunnington, A.M. (196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되고 배양될 수 있다.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i) 카르포글리피다에(Carpoglyphidae), 예컨대 카르포글리푸스(Carpoglyphus) 속, 예를 들어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lactis);
ii) 피로글리피다에(Pyroglyphidae), 예컨대 데르마토파고이데스(Dermatophagoides) 속, 예를 들어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프테로니시누스(pteronysinus),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파리나에(farinae); 유로글리푸스(Euroglyphus) 속, 예를 들어 유로글리푸스 롱기오르(longior), 유로글리푸스 마이네이(maynei); 피로글리푸스(Pyroglyphus) 속, 예를 들어 피로글리푸스 아프리카누스(africanus);
iii) 글리시파기다에(Glycyphagidae), 예컨대 크테노글리피나에(Ctenoglyphinae) 아과, 예컨대 디아메소글리푸스(Diamesoglyphus) 속, 예를 들어 디아메소글리푸스 인테르메디우스(intermedius), 또는 크테노글리푸스(Ctenoglyphus) 속, 예를 들어 크테노글리푸스 플루미게르(plumiger), 크테노글리푸스 카네스트리니이(canestrinii), 크테노글리푸스 팔미페르(palmifer); 글리시파기나에(Glycyphaginae) 아과, 예컨대 블로미아(Blomia) 속, 예를 들어 블로미아 프레에마니(freemani), 또는 글리시파구스(Glycyphagus) 속, 예를 들어 글리시파구스 오르나투스(ornatus), 글리시파구스 비카우다투스(bicaudatus), 글리시파구스 프리바투스(privatus), 글리시파구스 도메스티쿠스(domesticus), 또는 레피도글리푸스(Lepidoglyphus) 속, 예를 들어 레피도글리푸스 미카엘리(michaeli), 레피도글리푸스 푸스티페르(fustifer),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destructor), 또는 아우스트로글리시파구스(Austroglycyphagus) 속, 예를 들어 아우스트로글리시파구스 게니쿨라투스(geniculatus); 아에로글리피나에( roglyphinae) 아과, 예컨대 아에로글리푸스 속, 예를 들어 아에로글리푸스 로부스투스(robustus); 라비도포리나에(Labidophorinae) 아과, 예컨대 고히에리아(Gohieria) 속, 예를 들어 고히에리아 푸스카(fusca); 또는 닉테리글리피나에(Nycteriglyphinae) 아과, 예컨대 코프로글리푸스(Coproglyphus) 속, 예를 들어 코프로글리푸스 스탐메리(stammeri); 또는 코르토글리피다에(Chortoglyphidae) 아과, 예컨대 코르토글리푸스(Chortoglyphus) 속, 예를 들어 코르토글리푸스 아르쿠아투스(arcuatus) -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파기나에 아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파구스 속 또는 레피도글리푸스로 속으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시파구스 도메스티쿠스 또는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로부터 선택됨 - ;
iv) 아카리다에(Acaridae), 예컨대 티로파구스(Tyrophagus) 속, 예를 들어 티로파구스 푸트레스켄티아에(putrescentiae), 티로파구스 트로피쿠스(tropicus); 아카루스(Acarus) 속, 예를 들어 아카루스 시로(siro), 아카루스 파리스(farris), 아카루스 그라실리스(gracilis); 라르도글리푸스(Lardoglyphus) 속, 예를 들어 라르도글리푸스 코노이(konoi); 티레오파구스(Thyreophagus) 속, 예컨대 티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entomophagus); 알레우로글리푸스(Aleuroglyphus) 속, 예를 들어 알레우로글리푸스 오바투스(ovatus);
v) 수이다시이다에(Suidasiidae), 예컨대 수이다시아(Suidasia) 속, 예컨대 수이다시아 네스비티(nesbiti), 수이다시아 폰티피카(pontifica) 또는 수이다시아 메다넨시스(medanensis).
아스티그마타(Astigmata)는 문헌 [Hughe (1977)]에 언급되어 있다. 바람직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는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 카르포글리피다에, 예컨대 카르포글리푸스 속, 예를 들어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티레오파구스 속, 예컨대 티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 아카리다에, 수이다시아 폰티피카 또는 수이다시아 메다넨시스 또는 블로미아 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고정화된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용어 고정화된은 아스티그마티드 개체가 고정화 처리에 적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고정화 처리는 아스티그마티드 개체가 그의 임의의 생활기에서 갖는 운동성을 손상시키는 처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운동성은 자발적으로 및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운동성인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생활기는 유충, 약충 및 성충이다. 따라서, 임의의 상기 시기의 운동성을 손상시키는 처리는 고정화 처리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로, 개체가 비-운동성 생활기, 예컨대 알 시기로부터 운동성 생활기로 발달하는 것을 억제하는 처리도 역시 고정화 처리로 간주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개체의 집단은 알, 유충, 약충 또는 성충, 바람직하게는 모든 이들 생활기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영구적으로 고정화된다. 사멸을 야기하는 처리는 영구적 고정화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열 처리, 예컨대 동결, 가열, 저온 충격 또는 열 충격 처리; 화학물질 처리, 예컨대 기체 또는 연무(fume) 처리, 예를 들어 기체 질식(suffocation) 또는 알콜 또는 에테르 연무 처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연무 처리; 방사선 처리, 예컨대 UV, 마이크로파 또는 X-선 처리; 기계적 처리, 예컨대 격렬한 진탕 또는 교반, 전단력 적용, 충돌; 기압 처리, 예컨대 초음파 처리, 압력 변화, 바람직하게는 압력 강하; 전기적 처리, 예컨대 감전; 접착제를 사용한 고정화; 또는 예컨대 물 또는 먹이 박탈에 의해 유도된 굶주림에 의한 고정화; 예컨대 대기로부터 산소의 일시적 제거 또는 산소를 또 다른 기체로 대체함에 의한 질식에 의한 고정화로부터 선택되는 고정화 처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처리가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고정화를 어떻게 유발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고정화 처리는 아스티그마티드 개체가 포식성 응애 개체에 대한 적합한 먹이 (먹이원)로 유지되도록 하는 처리이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열 처리는 고정화가 유도되도록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를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주위 범위를 벗어난 온도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주위 범위를 벗어난 온도는 예를 들어 ≤3℃, ≤2℃, ≤1℃, ≤0℃, ≤-1℃, ≤-2℃, ≤-3℃, ≤-4℃, ≤-5℃, ≤-6℃, ≤-7℃, ≤-8℃, ≤-9℃, ≤-10℃, ≤-18℃, ≤-20℃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실제 한계 이외의 다른 주위 범위를 벗어난 온도에 대한 하한은 존재하지 않고, 주위 범위를 벗어난 온도는 -78℃, -79℃, -80℃, -194℃, -195℃, -196℃, -197℃ 정도로 낮을 수 있다. 별법으로, 주위 범위를 벗어난 온도는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주위 범위를 벗어난 온도는 55℃, 60℃ 또는 65℃, 70℃, 75℃, 80℃ 정도로 높을 수 있다.
화학물질 처리는 고정화가 유도되도록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를 충분히 긴 시간 동안 고정화 화학물질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고정화 화학물질은 기체 또는 연무, 예를 들어 산소 방출 및/또는 독성에 의해 질식을 유발하는 기체, 예컨대 CO2, N2, CO, NO, NO2의 형태일 수 있다. 별법으로, 고정화 화학물질은 동물 생리학을 잠재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이한 화학물질, 예를 들어 알콜, 예컨대 에탄올 또는 메탄올 또는 조합물, 또는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에테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화 화학물질은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가 포식성 응애에 대한 먹이원으로서 기능할 때 미량 독성 물질을 남기지 않는다.
방사선 처리는 고정화가 유도되도록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를 충분히 긴 시간 동안 고정화 방사선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고정화 방사선은 UV, X-선 또는 마이크로파 방사선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계적 수단에 의한 고정화는 고정화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소멸시키는 임의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고정화되는 응애와 충돌할 수 있는 입자의 존재 하의 격렬한 진탕 또는 교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충돌은 기체 스트림에 의한 응애의 가속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체 유동을 차단하는 많은 대상에 대한 충돌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난류 기체 유동 (예컨대 난기류)에 의해 운반되는 추가의 입자와 함께 난류 기체 유동 내에서 응애를 운반하여 응애를 상기 입자와 충돌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별법으로, 초음파 처리도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애를 표면에 들러붙게 만들거나, 또는 별법으로 그 다리를 들러붙게 만들어 그의 운동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굶주림은 고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일 수 있다. 굶주림은 물 또는 먹이 박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물 및 먹이 박탈은 이용가능한 물 및 먹이의 양이 응애의 환경에 존재하는 조건 하에서의 정상 대사를 위해 필요한 양보다 적은 환경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고정화 처리는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개체의 일부를 고정화하기 위해 충분히 효과적이어야 한다. 적어도 일부는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10%, ≥20%, ≥30%, ≥40%, ≥50%, ≥60%, ≥70%, ≥80%, ≥90%, ≥95%, 또는 ≥9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5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0%이다.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알, 유충, 약충 또는 성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활기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의해 포식자에게 제시되는 스트레스의 감소의 측면에서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집단은 완전히 죽거나 불활성일 필요가 없다 (비-고정화된 운동성 일부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로, 운동성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작은 집단의 존재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그의 균식성(mycophagous) 거동, 항진균 삼출물의 생산 및/또는 신선한 (살아있는) 먹이원의 제공에 의해 추가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대사적으로 불활성일 필요는 없다. 특정 고정화 처리는 운동성을 손상시키면서 대사 활성을 계속 허용할 수 있다. 대사적으로 불활성인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도 포식자에 대한 신선한 먹이의 공급원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 및 존재하는 경우의 임의의 비-고정화된 개체는 동일한 종의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 및 존재하는 경우의 임의의 비-고정화된 개체는 별법으로 상이한 종으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아스티그마티드 종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종으로부터의 개체는 고정화된 먹이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고, 다른 종으로부터의 개체는 살아있는 개체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예컨대 진균 감소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포식성 개체 대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비는 약 100:1 내지 1:100, 예컨대 약 1:1 내지 1:50, 예를 들어 약 1:4, 1:10, 1:20 또는 1: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따라서 보다 낮은 비의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대한 포식성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먹이가 포식자에게 이용가능하다. 이것은 포식성 응애를 사육할 때 유리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보다 높은 포식자 밀도가 담체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담체를 포함하고, 담체 ml당 ≥1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개까지의 포식성 개체, 바람직하게는 피토세이이드 개체를 함유한다.
진균 감소를 위해,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를 진균 감소제와 접촉시킨다.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를 진균 감소제와 접촉시킬 때, 진균 감소제는 그의 항진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모든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접근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진균 감소제와의 접촉은 진균 감소 효과가 얻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진균 감소 효과는 조성물 내의 포식자의 사육을 허용하도록 충분하여야 한다.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와 진균 감소제의 접촉 때문에,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와 연관된 임의의 물질, 예컨대 상기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대한 먹이원이 또한 진균 감소제와 접촉될 수 있고, 따라서 이 또한 진균 감소 처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진균 감소제는 예를 들어 진균 성장을 느리게 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예컨대 진균 대사를 저해함으로써 진균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진균 생물량(biomass)의 파괴에 의해 진균 성장을 감소시키는 임의의 작용제이다. 진균 감소제는 화학적 진균 감소제,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 살진균제, 예를 들어 시트랄, 네랄, 2,3-에폭시네랄, 게라니알, 파르네살, α-아카라디알, β-아카라디알 또는 나타마이신 (피마리신)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살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진균 감소제는 생물학적 진균 감소제, 예컨대 식균성(fungivorous) 응애 개체의 집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식균성 (또는 균식성) 응애는 진균 생물량을 먹고 사는 응애이고, 따라서 진균 성장을 감소시키고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균성 응애 개체는 아스티그마티드 종, 예컨대 아카리다에, 예컨대 티로파구스 푸트레스켄티아에, 티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 아카루스 파리스, 아카루스 시로, 알레우로글리푸스 오바투스; 글리시파기다에, 예컨대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 글리시파구스 도메스티쿠스; 카르포글리피다에, 예컨대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수이다시이다에, 예컨대 수이다시아 폰티피카, 수이다시아 메다넨시스, 수이다시아 네스비티; 피로글리피다에, 예컨대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파리나에,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프테로니시누스로부터 선택되는 종이다. 당업자는 그의 균식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식균성 응애 개체가 살아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운동성이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운동성 식균성 개체는 적어도 일부의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비-고정화된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생물학적 진균 감소제는 또한 항진균 삼출물, 예컨대 시트랄, 네랄, 게라니알, 파르네살, α-아카라디알 또는 β-아카라디알을 생산하는 응애 종의 집단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항진균 삼출물을 생산하는 응애 종은 아스티그마타 목, 바람직하게는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 아카루스 시로, 라르도글리푸스 코노이, 칼로글리푸스 폴리필라에(Caloglyphus polyphyllae); 티로파구스 푸트레스켄티아에, 티로파구스 네이스완데리(neiswanderi), 티로파구스 페르니스키오수스(pernisciosus); 리조글리푸스 로비니(Rhizoglyphus robini); 카르포글리피다에 속, 예컨대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수이다시이다에, 예컨대 수이다시아 폰티피카, 수이다시아 메다넨시스, 수이다시아 네스비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항진균 삼출물 생산 응애 개체에 대해, 이들이 운동성일 필요는 없다. 특정 고정화 처리, 예컨대 접착제 또는 특정 기계적 고정화 기술을 사용한 고정화는 항진균 삼출물 생산 응애 개체의 대사 활성을 계속 허용하고, 따라서 항진균 삼출물의 생산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될 때, 항진균 삼출물 생산 응애 개체는 운동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식에서, 항진균 삼출물은 조성물 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운동성 항진균 삼출물 생산 응애 개체는 적어도 일부의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비-고정화된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아스티그마타로부터 식균성 응애 종 및 항진균 삼출물 생산 응애 종의 선택이, 상기 아스티그마타 목이 요구되는 균식성 거동 또는 항진균 삼출물 생산 활성을 갖는 많은 종을 보유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목으로부터의 종은 또한 포식성 응애 개체를 위한 먹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운동성 (비-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포식성 개체에 대한 추가의 먹이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것은 포식자에게 신선한 먹이 공급원을 제공할 것이다. 이것은 고정화된 먹이 응애에 충분히 보존될 수 없는 불안정한 영양소, 예컨대 비타민을 포식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중요할 수 있다. 이것은 포식성 응애의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는 그의 포식 행동에 대한 포식자의 다재다능(versatility) 및/또는 민첩성에 기여하는 인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적합한 먹이 물질(food substance)을 포함한다. 적합한 먹이 물질의 선택은 당업자의 지식 범위 내에서 가능하고, 예를 들어 WO2006/057552, WO2006/071107, WO2007/075081, WO2008/015393, WO2008/104807 및 EP2232986에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먹이 물질의 존재는 조성물이 살아있는 개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유익하다. 그러나, 조성물이 죽은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먹이 물질은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조성물의 사육 배지로부터 먹이원의 전달에 의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논의된 EP 2 380 436의 조성물과의 주요 차이점이다.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에 대한 먹이원의 임의의 나머지는 진균에 대한 잠재적인 기질이고, 진균 성장을 촉진할 것이다. 따라서, EP 2 380 436은 먹이원의 제거를 필요로 한다. EP 2 380 436에서는 고갈(exhaustion)에 의해 먹이원을 제거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비실용적이고,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사육이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집단 발달 대신에 먹이원 상태를 기초로 하여 제어되어야 함을 의미할 것이다. 사육 실행시에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추가로, 연속 공정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고, 사육은 불연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한 먹이원의 제거는 힘들 것이고, 아스티그마티드 생물량의 손실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비효율적인 공급원을 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먹이원의 제거는 진균 감소를 위한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먹이원이 진균 감소제와 접촉될 수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필요하지 않다. 진균 감소제와의 접촉은 진균 감소 효과가 얻어지도록 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진균 감소 효과는 조성물 내의 포식자의 사육을 허용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응애 종의 개체에 대한 담체를 포함한다. 담체는 담체 표면을 개체에게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고체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담체는 다공성 매질을 제공하고, 이것은 응애 집단에 의해 및 아스티그마티드 먹이 응애에 대한 담체, 먹이원의 대사 활성에 의해 및 매질에서 성장하는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대사 기체 및 대사 열의 교환을 허용한다. 적합한 담체의 예는 식물 물질, 예컨대 (밀) 겨, 톱밥, 옥수수 속대 가루, 질석 등이다.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적합한 먹이 물질이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담체 자체가 적합한 먹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분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담체의 사용은 응애 배양을 3차원 배양으로서 유지할 가능성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응애 종의 개체에 대한 담체는 담체 요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담체 요소는 약 1.0-15.0 mm, 예컨대 3.0-9.0 mm의 최장축을 가지며, 여기서 담체 요소의 적층부는 포식성 응애 개체에 적합한 대피처(shelter)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대피처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피신처를 제공하는 체류 장소로서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의 대피처는 응애 개체에게 제공된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적인 일반적인 지식과 함께 본 발명의 개시내용을 기초로 하여, 응애 대피처에 대한 구조적 요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응애 대피처, 특히 포식성 응애 또는 사육 먹이로부터 선택되는 상업상 관련 응애에 적합한 대피처를 포함하는 적합한 담체를 설계 및/또는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피처는 담체 요소의 물질이 응애 개체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직교 또는 반전된(reversed) 관계를 갖는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보호하는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는 방해하는 외부 상호작용을 적어도 감소시키는, 바람직하게는 제한하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방해하는 외부 상호작용은 특히 조성물 내의 다른 응애, 예컨대 예를 들어 움직임 및 다른 응애와의 관련 신체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 들어 응애가 포식성 응애인 경우에 동일한 종으로부터의 개체에 의한 동족을 잡아먹는 포식행동일 수도 있다. 모든 포식성 응애가 어느 정도 동족을 잡아먹는 거동을 보인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방해하는 상호작용은 응애 개체의 산란율, 생존 및 수명 중의 하나 이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집단 발생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동종 포식성 응애 개체 사이의 상기 방해하는 상호작용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집단 밀도에서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응애의 상업적인 생산자들은 생산 비용을 가능한 한 많이 절감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높은 집단 밀도 및 집단 발생률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피는 응애 개체를 방해하는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는 응애 개체에 대한 접근을 감소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직교 또는 반전된 관계를 갖는 방향은 기점 (0,0,0)으로부터의 방향에서 가상적인 직교 (또는 데카르트(Cartesian)) 3차원 좌표계의 6개의 축 (양의 X, 음의 X, 양의 Y, 음의 Y, 양의 Z, 음의 Z)을 따른 방향에 대응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는 기점에 존재한다. 상기 방향은 방향에서 수직 (직교)이거나 반전된다. 3차원 공간에서, 상기 방향의 최대 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응애 개체는 대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적어도 3개의 상기 방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상기 방향,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의 상기 방향, 예컨대 5개의 상기 방향에서 보호된다. 3개의 상기 방향에서의 보호는 예컨대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3개의 평면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와 유사한 구조, 또는 도 3에 제시된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4개의 상기 방향에서의 보호는 도 4에서 제시된 2개의 측면이 개방된 "상자"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5개의 방향에서의 보호는 도 3의 상황에서 제공되고, 여기서 제5 수평면은 개방된 정육면체가 얻어지도록 4개 평면의 "상자"의 측벽에 위치한다.
응애 개체를 조성물 내의 다른 응애에 의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대피처는 대피처의 부피가 1-140 mm3, 예컨대 2-120 mm3, 2-100 mm3, 2-80 mm3, 2-70 mm3, 2-60 mm3, 2-50 mm3, 2-40 mm3, 2-30 mm3, 2-25 mm3, 2-20 mm3, 2-18 mm3, 2-16 mm3, 2-14 mm3, 2-12 mm3, 2-10 mm3, 2-8 mm3, 2-6 mm3, 또는 2-4 mm3가 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너무 많은 응애 개체가 대피처에 존재하여 방해하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대피처가 응애 개체에 의해 접근가능하여야 함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응애에 접근가능하지 않은 영역은 대피처로서 부합될 수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응애 개체에 대한 양호한 접근가능성을 갖기 위해서 영역은 적어도 0.3-1.2 mm, 예컨대 0.5-1.0 mm 또는 0.5-0.8 mm의 접근 직경 및 적어도 0.25-1.44 mm2, 0.30-1.20 mm2, 0.30-1.00 mm2, 0.30-0.80 mm2, 0.30-0.90 mm2의 접근 면적을 갖는 접근부를 가져야 한다.
응애 대피처는 공동(void), 예컨대 코브(cove), 오목부(recess), 세공(pore), 챔버(chamber), 구멍(cavity), 틈새(nich), 구덩이(pit), 포켓(pocket), 튜브(tube), 돔(dome), 통(tub) 및 유사한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피 및/또는 접근부에 대해 상기 제시된 치수에 일치하는 상기 공동은 응애 대피처로서 적합하다.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는 적층부에 존재하는 개체 담체 요소 상에 또는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적층부 내의 개체 담체 요소는 응애 대피처로서 적합한 구조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응애 대피처는 적층부 내의 담체 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담체 요소의 적층부 내에 다수의 담체 요소가 함께 응애 대피처로서 적합한 구조를 형성한다. "담체 요소 적층부"는 다수의 담체 요소의 3차원 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배치"는 무작위 배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 내에서 왕겨(chaff)로부터 유래된 담체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용어 왕겨의 의미를 알 것이고, 왕겨가 초본 종 (특히 곡물)의 종자의 마른 비늘 모양의 보호 외피 (겉껍질), 또는 유사한 미세한, 마른 비늘 모양의 식물 물질, 예컨대 꽃의 비늘 모양의 부분, 또는 미세하게 다진 짚임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왕겨는 초본 (포아세아에(Poaceae: 벼과) 또는 별법으로 그라미네아에(Gramineae: 화본과)) 종으로부터 유래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곡물 종으로부터의 왕겨, 예컨대 밀, 오리자(oryza: 벼속) 종, 호밀, 귀리 또는 기장으로부터의 왕겨가 사용된다. 겉껍질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기장으로부터의 겉껍질은, 그 겉껍질을 적합한 대피처를 제공하는 응애 사육 기질로서 매우 적합하게 만드는 우수한 외부 및 내부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장에 포함되는 종은 다음을 포함한다: 진주 기장(Pearl millet) 또는 바즈라(Bajra) (페니세툼 글라우쿰(Pennisetum glaucum)); 조(Foxtail millet) (세타리아 이탈리카(Setaria italica)); 프로소 기장(Proso millet), 통상적인 기장, 브룸 콘 기장(broom corn millet), 돼지 기장(hog millet) 또는 백기장 (파니쿰 밀라아세움(Panicum miliaceum)); 손가락 기장 (엘류신 코라카나(Eleusine coracana)) (또한 인도에서는 라기(Ragi), 나차니(Nachani) 또는 만드와(Mandwa)로도 알려짐), 인도 피(Indian barnyard millet) 또는 사와 기장(Sawa millet) (에키노클로아 프루멘타세아(Echinochloa frumentacea)); 일본 피(Japanese barnyard millet) (에키노클로아 에스쿨렌타(esculenta)); 코도 기장(Kodo millet) (파스팔룸 스크로비쿨라툼(Paspalum scrobiculatum)); 리틀 기장(Little millet) (파니쿰 수마트렌세(Panicum sumatrense)); 기니 기장(Guinea millet) (브라키아리아 데플렉사(Brachiaria deflexa) = 우로클로아 데플렉사(Urochloa deflexa)); 브라운탑 기장(Browntop millet) (우로클로아 라모사(Urochloa ramosa) = 브라키아리아 라모사(Brachiaria ramosa) = 파니쿰 라모숨(Panicum ramosum)). 테프(Teff) (에라그로스티스 테프(Eragrostis tef)) 및 포니오(fonio) (디기타리아 엑실리스(Digitaria exilis))도 종종 기장으로 불리고, 보다 드물게는 수수 (소르굼(Sorghum) 종) 및 율무(Job's Tears) (코익스 라크리마-조비(Coix lacrima - jobi))도 기장으로 불린다. 본 발명에 대해, 이들 종도 용어 기장 내에 포함된다.
응애 대피처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담체 요소의 치수 및 그의 구조적 입체형태 외에도, 담체 요소는 생분해 측면에서 불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담체 물질이 미생물, 예컨대 진균 및/또는 박테리아에 대한 불량한 성장 기질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응애 사육 조건 하에서 잠재적인 문제가 되는 미생물 성장, 예컨대 진균 성장의 제어를 돕는다. 왕겨 및 특히 상기 논의된 바람직한 왕겨 품종은 미생물, 특히 진균에 대한 불량한 성장 기질이다.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고,
(ii) 포식성 개체가 아스티그마티드 집단의 개체를 먹도록 허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식자의 집단이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집단과 함께 존재하고 포식자의 개체가 아스티그마티드 집단의 개체를 먹도록 허용하는 포식성 응애의 사육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서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고정화되고,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다는 점에서 선행 기술과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기술적 측면은 이미 위에서 논의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으로부터의 개체의 집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고정화되고,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진균 감소제와 접촉되는 것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명 및 하기 실험으로부터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가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의 집단의 사용은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특정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담은 용기를 포함하는,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포식성 응애의 적어도 하나의 운동성 생활기에 대한 출구,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동성 생활기의 지속 방출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출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작물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육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가루이, 예컨대 트리알레우로데스 바포라리오룸(Trialeurodes vaporariorum) 또는 베미시아 타바시(Bemisia tabaci); 총채벌레, 예컨대 트립스 타바시(Thrips tabaci) 또는 프랭클리니엘라(Frankliniella) 종, 예컨대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 거미 응애, 예컨대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카에(Tetranychus urticae), 또는 다른 초식성 응애, 예컨대 폴리파고타르소네무스(Polyphagotarsonemus)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작물은 (온실) 채소 작물, 예컨대 토마토 (리코페르시콘 에스쿨렌툼(Lycopersicon esculentum)), 후추 (캅시쿰 안눔(Capsicum annuum)), 가지 (솔라눔 멜론게나(Solanum melongena)), 박과 (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예컨대 오이 (쿠쿠미스 사티바(cucumis sativa)), 멜론 (쿠쿠미스 멜로(cucumis melo)), 수박 (시트룰루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tus)); 콩 (파세올루스 불가리스(Phaseolus vulgaris)); 껍질이 단단하지 않은 과일 (예컨대 딸기 (프라가리아 x 아나나사(Fragaria x ananassa)), 라즈베리 (루부스 이다에우스(Rubus idaeus))); (온실) 관상용 작물 (예컨대 장미, 거베라(gerbera), 국화) 또는 나무 작물, 예컨대 시트러스(Citrus) 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작물에서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기 작물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해충 및 작물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조성물은 일정량의 상기 조성물을 많은 작물 식물의 부근에, 예컨대 식물 상에 또는 식물의 기부에 적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증가하는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해 포식성 응애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통상적인 시행 방식처럼 조성물을 단순히 작물 식물 상에 또는 작물 식물의 기부에 살포함으로써 작물 식물에 제공될 수 있다. 살포에 의해 각각의 개체 작물 식물에 제공될 수 있는 조성물의 양은 1-20 ml, 예컨대 1-10 ml, 바람직하게는 2-5 ml일 수 있다. 별법으로, 조성물은 작물에서 포식성 응애를 방출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사육 시스템에서 많은 작물 식물에 제공될 수 있다. 사육 시스템은 많은 작물의 부근에, 예컨대 작물 내에 또는 작물의 기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한 방법에서, 조성물을 모든 작물 식물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업 작물은 통상 조밀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포식성 응애는 한 작물 식물로부터 또 다른 식물로 전파될 수 있다. 충분한 작물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제공되어야 하는 작물 식물의 수는 특정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당업자가 그의 재배 경험을 기초로 하여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대체로, 헥타르당 방출되는 포식성 응애의 수가 보다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수는 헥타르당 1000 - 3백만, 일반적으로 250,000 - 1백만 또는 250,000 - 500,000이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추가로 예시될 것이다. 이들 도면 및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결코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1은 3차원 직교 (데카르트) 좌표계를 제시한다. 축 X, Y, Z를 따라 기점 (0,0,0)으로부터 6개의 방향이 규정될 수 있다 (양의 X를 따라, 음의 X를 따라, 양의 Y를 따라, 음의 Y를 따라, 양의 Z를 따라, 음의 Z를 따라). 상기 방향은 방향에서 수직 (직교)이거나 반전된다.
도 2는 대피처의 도식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 (1)은 화살표 (2), (3), (4)에 의해 표시된 3개의 방향으로 그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대피처는 바닥면 (5), 제1 측면 평면 (6) 및 제2 측면 평면 (7)에 의해 제공된다. 상호작용 영향은 화살표 (8), (9),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환경으로부터 계속 나올 수 있다.
도 3은 다른 대피처의 도식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 (1)은 화살표 (2), (3), (4)에 의해 표시된 3개의 방향으로 그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대피처는 바닥면 (5), 제1 측면 평면 (6) 및 제2 측면 평면 (7)에 의해 제공된다. 상호작용 영향은 화살표 (8), (9),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환경으로부터 계속 나올 수 있다.
도 4는 대피처의 도식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 (1)은 화살표 (2), (3), (4), (8)에 의해 표시된 4개의 방향으로 그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대피처는 바닥면 (5), 제1 측면 평면 (6), 제2 측면 평면 (7) 및 제3 측면 평면 (11)에 의해 제공된다. 상호작용 영향은 화살표 (9),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환경으로부터 계속 나올 수 있다. 덮는 평면이 측면 평면 (6), (7), (11) 상에 위치할 경우, 응애 개체가 환경으로부터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추가로 보호될 수 있음은 분명할 것이다. 추가로,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는 추가의 측면 평면이 측면 평면 (7)에 수직으로 배치될 경우에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응애 개체 (1)은 또한 화살표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서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것이다.
도 1-4의 모든 도식적인 제시 도면은 직사각형 구조로 제시되지만, 유사한 보호 효과는 비직사각형 구조, 예컨대 코브, 오목부, 세공, 챔버, 구멍, 틈새, 구덩이, 포켓, 튜브, 돔, 통 및 유사한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설정
곰팡이 형성(moulding) 시험을 6개의 시험 샘플 (A), (B), (C), (A+), (B+), (C+)에 대해 수행하였다. 이들 혼합물은 다음 성분으로 제조하였다: (1) 모든 운동성 생활기로 이루어진 순수한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의 집단. 상기 샘플은 먹이 입자와 연관되지 않고, 70% (±1%)의 수분 함량을 가졌다. (2) 24시간 동안 폐쇄 용기 내에서 -20℃에서 동결되고 사용 전에 해동된 (1)로부터의 응애. (3) 폐쇄 용기 내에서 -20℃에서 4일 동안 동결된, 그의 사육 배지 (겨 및 먹이 입자 함유) 내의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4) 습윤 질석 (입자 크기 < 2 mm, 수분 함량 15.8%). 이들 성분을 이용하여, 몇 개의 혼합물을 작은 컵 내에서 2회 제조하였다. 동일한 세트의 컵에, 0.1 g (± 0.01 g)의 살아있는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순수) 응애를 모든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곰팡이 형성 (균사체 성장 및 포자 형성)의 심각성이 2가지 습도 (93% 및 85%) 및 25℃에서 제2, 4 및 6일에 관찰되었다.
결과
결과를 아래 표 1.1에 제시한다.
<표 1.1>
Figure 112014073073975-pct00001
결과는 제4일로부터 살아있는 씨. 락티스 응애를 함유하지 않는 모든 컵에서 유기 물질의 곰팡이 형성을 분명히 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순수한 형태의 동결된 먹이 응애는 곰팡이 형성에 취약함이 분명히 관찰되었다. 먹이 응애 사육 배지가 포함될 경우, 곰팡이 형성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였다. 살아있는 응애는 먹이 물질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사라졌고 (A+ 및 C+), 따라서 곰팡이 형성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곰팡이 형성의 종류는 형태가 상이하였다. 유기 물질이 밀접하게 접촉할 때 (담체 또는 작은 덩어리 없음), 균사체는 완전한 망 구조를 형성하고, 혼합물이 엉기도록 만들었다. 먹이 입자를 담체에 의해 고립시킬 때, 포자 형성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모든 먹이 종류의 곰팡이 형성이 모든 혼합물 및 포식성 응애 사육에 적합한 습도에서 관찰되었다. 유기 물질 (먹이 응애 또는 먹이 응애에 대한 먹이)의 비율을 저하하면 곰팡이 형성의 심각성 또는 속도가 감소하였다. 운동성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응애의 첨가 (총 먹이의 10%)는 균사체 성장을 강력하게 감소시키고, 따라서 죽은 먹이 응애가 포식행동에 이용가능하도록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실시예 2
설정
먹이 응애를 고정화하기 위해, 7.5 g의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를 100 ml 단지(jar) 내에서 0.75 g의 순수한 에탄올과 합하였다. 단지를 닫고,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해 진탕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2, 3 또는 4시간 후에, 단지를 다시 열었다. 물질을 호흡하도록 하고 에탄올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단지를 메쉬를 함유하는 뚜껑으로 닫았다. 단지를 실험 기간 동안 21℃ 및 65-75% RH에서 보관하였다. 운동성 측면에서 응애 활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약 0.5 g의 샘플을 에탄올 처리를 시작한 후 상이한 시점에서 채취하였다. 이들 샘플로부터, 변형된 베를레세 깔때기를 사용하여 운동성 응애를 추출하고, 계수하였다.
결과
결과를 아래 표 2.1에 제시한다.
<표 2.1>
Figure 112014073073975-pct00002
표는 가시적인 활성을 보인 응애의 수 (에탄올 적용 후 상이한 순간에 배지의 그램당)를 보여준다. 비처리된 물질은 그램당 약 15000마리의 활성 개체 (성충, 약충 및 유충을 합함)를 생성하였다. 에탄올 적용 2시간 후에 대부분의 응애는 계속 활성을 보였지만, 주로 그 다리에서 제어되지 않은 움직임이 나타났다. 에탄올 노출 3시간 후에 대부분의 응애는 불활성이었다. 4시간 후에는 단지 몇 마리의 개체만이 다리의 단지 미세한 움직임만을 보였다. 1일 후에는 거의 모든 움직임이 사라졌고, 단지 간헐적으로 개체가 돌아다니는 것이 관찰될 수 있었다. 처음 며칠 동안에 임의의 활성 응애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기간에 활성인 응애는 모든 생활기의 것이었다. 수 일 후에 응애 활성은 서서히 회복되었다.
실시예 3
설정
포식성 응애에 의한 에탄올 처리된 먹이 응애의 허용성을 선택 실험에서 시험하였다.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사육 배치를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하나의 군 (처리 E)에게 상기한 바와 같이 3시간 동안 에탄올 처리를 수행하였다. 에탄올 적용과 동시에, 제2 및 제3 군을 -18℃에서 냉동기 내에 두었다. 18시간 후에 두 군을 냉동기로부터 꺼내었다. 하나의 군 (처리 FE)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의 에탄올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군 (처리 F)에는 추가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먹이 응애의 처리를 시작한 지 27시간 후에, 생산된 물질을 에이. 리모니쿠스를 사용한 3원 선택 시험(three-way-choice test)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먹이의 소량을 3개의 연결된 시험장(arena)에 두고, 많은 에이. 리모니쿠스를 중앙에 두었다. 다음날, 각각의 먹이 종류에 대한 에이. 리모니쿠스의 수를 계수하였다. 실험을 10회 반복하였다.
결과
결과를 상이하게 처리된 먹이로부터 회수된 응애의 평균 비율로서 도 5에 제시한다. 오차 막대(error bar)는 SD를 제시한다. 에이. 리모니쿠스는 상이하게 처리된 먹이에 대한 선호도를 보이지 않았고 (ANOVA, P=0.06), 이것은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를 대표하는 에탄올 처리된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가 동결된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에 비해 먹이원으로서 동등하게 허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4
설정
본 실험에서, 실험 3과 정확하게 동일한 물질 (처리 E, F 및 FE)을 사용하였다. 먹이 응애의 처리를 시작한 지 27시간 후에,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유사한 조건에서 보관 실험을 시작하기 위해 물질을 사용하였다. 작은 컵을 0.6 g 배지로 채우고, 처리당 5회 반복하였다. 이를 25℃ 및 93% RH에서 보관하였다. 배지의 품질을 매일 평가하였다.
결과
처리 E
컵을 25℃ 및 93% RH에서 보관하고 2일 후에 일부의 먹이 응애 (약 1%)가 활성이었다. 제1 진균 성장은 제7일에 관찰되었고, 컵당 0-5개의 작은 균사체 패치가 존재하였다. 이 때, 많은 먹이 응애, 즉 에탄올 처리 전의 초기 응애 수의 약 20%가 활성이었다.
처리 F
제1 진균 성장은 제3일에 관찰되었고, 컵당 3-6개의 작은 균사체 패치가 존재하였다. 5일 후에 100%의 표면이 흰 균사체로 덮였다. 제7일에 녹색 및 황색 소생자(sporidia)가 각각 표면적의 70-100% 및 5-20%를 덮었다.
처리 FE
제1 진균 성장은 몇몇 반복 시험에서 제3일에 관찰되었고, 컵당 0-1개의 작은 균사체 패치가 존재하였다. 5일 후에 20%의 표면이 흰 균사체로 덮였다. 제7일에 표면은 완전히 흰 균사체로 덮였고, 녹색 및 황색 소생자가 각각 표면적의 20-75% 및 1%를 덮었다.
고정화 실험 (실험 2)에서처럼, 처리 E에서의 응애 활성은 수 일 후에 회복된다. 상기 처리는 지금까지 진균의 가장 낮은 발생을 보인다. 이것은 진균을 억제하는 응애 활성의 회복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에탄올 자체는 진균 성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처리 FE가 처리 F보다 더 적은 진균 성장을 보이는 반면, 처리 F 및 FE 둘 모두에서 활성 응애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의해 반영된다.
실시예 5
설정
많은 아스티그마티드 먹이 응애를 포함하는 사육 시험으로부터의 곰팡이 형성 데이터를 운동성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진균 감소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하였다.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Cl),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 (Ld), 수이다시아 폰티피카 (Sp), 티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 (Te) 및 티로파구스 푸트레스켄티아에 (Tp)를 포함하는 사육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포함된 시험에서 사육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배지의 곰팡이 형성은 균사체 엉김을 기초로 하여 평가하였다. 다음과 같은 평가표를 사용하였다: 거의 없음 (점수 1), 보통 (점수 2) 또는 심함 (점수 3).
결과
도 6에 제시된 점 도표는 5개의 종에 대한 먹이 응애 밀도와 관련한 겨 및 기장 왕겨 (Cl 단독의 경우) 담체에 대한 곰팡이 형성 점수를 보여준다.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진균 감소 효과는 분명하다. 몇몇 응애 종은 다른 종보다 곰팡이 억제에 보다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씨. 락티스 및 티. 엔토모파구스는 >500 응애/g의 밀도에서 시험된 조건 하에서 효과적인 반면, 엘. 데스트룩토르 및 에스. 폰티피카는 >1000 응애/g의 밀도를 필요로 한다. 결과는 또한 왕겨 담체가 곰팡이 형성 경향이 더 작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
설정
사육 시험은 피토세이이다에 과의 포식성 응애의 대표로서 에이. 스위르스키이 및 에이. 리모니쿠스에 대해 설정되었다. 씨. 락티스 및 티. 엔토모파구스는 아스티그마타 목으로부터의 먹이 응애 조성물의 대표로서 선택되었다.
사육은 90 ㎛ 메쉬 나일론의 환기되는 뚜겅이 있는 페트리접시 (φ = 25 mm, h = 30 mm)에서 수행하였다. 이 유닛을 목적하는 습도를 생성하기 위해서 기부에 포화 염 용액이 존재하는 더 큰 용기 (lxwxh=33x20x15 cm)에 두었다. 모든 시험은 에이. 리모니쿠스 (93% RH)를 제외하고 85% RH에서 수행하였다. 온도는 25.0℃ (± 0.3℃)이고, 광 체계는 16/8 (L:D)이다. 처리당 반복 횟수는 3이었다.
응애에 대한 담체 물질로서, 에이. 리모니쿠스 (여기서, 13% 습윤 기장 왕겨가 사용되었다)를 제외하고, 10% 습윤 밀 겨를 모든 케이스에 사용하였다. 포식성 응애 사육은 비교적 낮은 밀도의 동일한 접종물을 사용하여 시작하였다.
겨 및 효모를 함유하는 사료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를 사육하고, 먹이로서 공급하였다. 아스티그마티드 먹이 응애는 시험에 따라 포식자에게 살아있는 또는 살아있는 + 동결된 형태로 제공하였다. 동결된 먹이 응애의 양은,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되 살아있는 먹이 응애: 포식성 응애의 비를 허용가능한 수준 (비 <10, 바람직하게는 0-5)으로 유지하기 위해 살아있는 + 동결된 먹이 응애의 양의 2배이다 (예외: 동결된 먹이 응애의 양이 살아있는 + 동결된 먹이 응애의 양의 4배인 에스. 폰티피카). 담체 및 먹이는 접종물의 50% (w/w)의 양으로 매주 2회 제공하였다. 먹이원으로서, 선택된 종의 고정화된 (-18℃에서 3-7일, 사용 1시간 전에 해동됨) 아스티그마티드 개체 또는 선택된 종의 고정화된 및 살아있는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살아있는 : 고정화된 비 (살아있는 + 동결된 처리에 대해서만)의 제어가 가능하였다. 겨 및 효모를 함유하는 사료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를 사육하였다.
시험은 18-50일 동안 지속되었고 (그래프 참조), 각각의 유닛에서 1개의 샘플을 1주 2회 채취하였다. 살아있는 포식성 응애 및 먹이 응애를 상기 샘플로부터 추출하고, 계수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도 (그램당) 및 비 (살아있는 먹이 응애 : 살아있는 포식성 응애)를 계산하였다.
결과
결과는 도 7에 제시되고, 살아있는 + 고정화된 먹이의 조합물이 유의하게 더 높은 밀도의 피토세이이드 포식자 응애를 생성함을 보여준다. 씨. 락티스로 사육된 에이. 스위르스키이에 대해 (패널 A), 평균 증가는 150%이고, 티. 엔토모파구스로 사육된 에이. 스위르스키이에 대해 (패널 B), 증가는 135%이고, 에스. 폰티피카로 사육된 에이. 스위르스키이에 대해 (패널 C), 증가는 155%이었다. 씨. 락티스로 사육된 에이. 리모니쿠스에 대해 (패널 D), 상기 증가는 270%로 가장 높았다. 그래프는 시험 과정 동안 포식성 응애의 밀도 (그램당) (평균 ± SE)를 보여준다. 그래프 아래에, 처리당 평균 및 통계적 시험 (평균을 비교하는 2개 샘플 T-시험)의 p-값이 제시된다.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먹이는 포식자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많은 양의 아스티그마티드 먹이 응애를 공급할 기회를 대량-사육자에게 제공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것은 유의하게 포식자 응애의 더 높은 밀도를 제공하고, 따라서 대량-사육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7
설정
2가지 종의 포식성 응애, 즉 에이. 스위르스키이 및 에이. 리모니쿠스를 상이한 담체 종류에 대한 그의 선호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성숙 암컷을 알 시기로부터 사육 개시한지 약 10일 후에 수거하였다. 3개의 제시된 담체는 기장 왕겨, 본 발명에 따른 담체, 밀 겨, 표준 담체 및 질석 (미립자, 모든 입자 < 2 mm) (이 또한 표준 담체임)이었다.
모든 담체를 습윤 형태 (15 ml 물/100 g 첨가)로 동시에 제공하였다. 각각의 담체에 대해 2 분획을 방출 지점 (4 cm)으로부터 고정화된 거리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두었다. 시험된 기질은 모두 0.5 cc의 동일한 부피 (시험장당 2 분획으로 나눔)로 제공하였다. 시험 개시시에, 각각의 종의 10마리의 암컷 및 2마리의 수컷을 각각의 플라스틱 선택 시험장 (φ = 12 cm)의 중앙부에 두어다. 시험장은 포식성 응애에게 물을 제공하고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습윤 탈지면에 두었다. 티파(Typha) 꽃가루를 방출 지점에 먹이원으로 두었다. 반복 횟수는 3이었고, 각각의 후속 시험장은 또 다른 기질이 상부 위치 (12시)를 향하도록 하였다.
시험은 25℃, 75% RH 및 16:8 (L:D) 광 체계의 조건 하에 인공 기상실(climate room)에서 수행하였고, 시험장의 RH는 약 85%이었다. 2일 후에 존재하는 기질당 포식자 알의 수 및 성충의 수를 계수하였다 (수컷 개체는 통계로부터 제외함). 이를 위해, 모든 담체 입자를 개별적으로 면밀히 조사하고, 추가의 먹이를 준 2일 후에 다시 조사하였다. 종당 기질당 결과를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Chi-square Goodness of Fit Test) (하나의 변수)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각각의 기질에서 발견된 암컷의 총수 (3회 반복 시험 후)는 도 8에 제시된다 (패널 A). 모든 출발 암컷 (30) 중에서, 큰 비율의 개체, 즉 모든 에이. 리모니쿠스의 87% (26 개체) 및 모든 에이. 스위르스키이의 60% (18 개체)가 기질로부터 회수되었다. 따라서, 물질이 먹이원으로부터 분명하게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암컷 응애는 상기 담체에서 발견되었다. 두 시험은 모두 담체 물질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00).
각각의 담체에서 발견된 알 (및 갓 부화한 유충)의 총수 (3회 반복 시험 후)는 도 8의 패널 B에 제시된다. 암컷 응애의 발생률은 담체 상의 알의 수와 연관성이 있음이 분명하다. 두 시험은 모두 담체 물질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00).
결과는 본 실험에서 기장 왕겨에 의해 제시되는 바와 같이 응애 대피처를 제공하는 담체 물질이 피토세이이드 종과 같은 응애 종에 대해 매우 바람직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8
설정
대량-사육 유닛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배지의 두꺼운 층을 제조하였다. 겨 또는 기장 왕겨 (둘 모두 습윤됨)를 담체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겨는 상업적인 응애 사육에서 사용되는 표준 담체이다. 왕겨는 응애 대피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의 대표이다. 2개의 먹이 종류 (A 및 B) (둘 모두 동결된 형태의 씨. 락티스를 포함함)가 사용되었다. 사육 개시시에, 포식성 응애인 에이. 리모니쿠스를 시험 배지층 상에서 2세대를 초과하는 기간 동안 사육하였다. 후속 사육은 2주 동안 환기되는 상자 (LxWxH=15x15x8cm)에서 높이 6-7 cm의 층에서 수행하였다. 샘플 채취, 먹이 공급 및 혼합은 매주 2회 수행하였다. 시험은 21℃ 및 93% RH에서 2회 수행하였다. 매주 살아있는 포식자 및 먹이 응애의 수를 샘플에서 계수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9에 제시한다. 왕겨 사육시의 포식자 밀도는 두 먹이 종류에서 제1 및 제2주에 증가한다. 겨 혼합물에서, 사육 밀도는 제1주에 높게 유지되지만, 제2주에 붕괴된다. 포식자 수의 감소 후에 먹이 응애 수가 증가하고, 이 때문에 상기 사육 혼합물을 계속 유지하면 골치아픈 문제가 발생한다. 시험은 최종 결과가 표준 겨 담체에 비해 왕겨 담체에 대해 양호함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Figure 112014073073975-pct00003

Claims (20)

  1. 피토세이이드(Phytoseiid) 응애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식성 응애 종의 개체의 집단;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Astigmatid) 응애 종의 개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는 열 처리, 화학물질 처리, 방사선 처리, 기계적 처리, 전기적 처리, 접착제를 사용한 고정화, 또는 굶주림에 의한 고정화로부터 선택되는 고정화 처리에 의해 고정화된 것인, 상기 포식성 응애 종의 개체를 위한 먹이원;
    을 포함하며, 여기서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는 균식성 또는 항진균 삼출물 생산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진균 감소 응애 집단과 접촉되는 것인, 응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이
    i) 카르포글리피다에(Carpoglyphidae);
    ii) 피로글리피다에(Pyroglyphidae);
    iii) 글리시파기다에(Glycyphagidae);
    iv) 아카리다에(Acaridae); 및
    v) 수이다시이다에(Suidasiidae)
    로부터 선택되는 종을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대한 포식성 개체의 비가 100:1 내지 1:100인 응애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담체를 포함하고, 담체 ml당 10 내지 450개의 개체를 함유하는 응애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가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총 수를 기준으로 10% 초과인 응애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에 적합한 먹이 물질(food substance)을 추가로 포함하며, 아스티그마티드 개체를 위한 상기 먹이 물질은 진균 감소 응애 집단과 접촉되는 것인 응애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개체를 위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개체를 위한 담체가 담체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담체 요소의 적층부는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개체에 적합한 대피처(shelter)를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대피처가, 담체 요소의 물질이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개체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직교 또는 반전된 관계를 갖는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보호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대피처가 공동(void)을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담체 요소가 왕겨(chaff)로부터 유래되는 것인 응애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화된 아스티그마티드 개체의 일부가 하나 이상의 유충(larvae), 약충(nymph) 및 성충을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종이 암블리세이이나에(Amblyseiinae) 또는 티플로드로미나에(Typhlodrominae)의 아과(subfamily)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응애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종이 암블리세이이나에의 아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암블리세이우스(Amblyseius) 속, 유세이우스(Euseius) 속, 네오세이울루스(Neoseiulus) 속, 암블리드로말루스(Amblydromalus) 속, 티플로드로말루스(Typhlodromalus) 속, 티플로드로밉스(Typhlodromips) 속, 또는 피토세이울루스(Phytoseiulus) 속으로부터 선택되고;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종이 티플로드로미나에의 아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갈렌드로무스(Galendromus) 속 또는 티플로드로무스(Typhlodromus) 속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응애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i)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이 카르포글리피다에로부터인 경우,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Carpoglyphus lactis)이고;
    ii)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이 피로글리피다에로부터인 경우, 데르마토파고이데스(Dermatophagoides) 속 또는 피로글리푸스(Pyroglyphus) 속으로부터 선택되고;
    iii)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이 글리시파기다에로부터인 경우, 디아메소글리푸스(Diamesoglyphus) 속, 크테노글리푸스(Ctenoglyphus) 속, 블로미아(Blomia) 속, 글리시파구스(Glycyphagus) 속, 레피도글리푸스(Lepidoglyphus) 속, 아우스트로글리시파구스(Austroglycyphagus) 속, 아에로글리푸스(Aёroglyphus) 속, 고히에리아(Gohieria) 속, 코프로글리푸스(Coproglyphus) 속, 코르토글리푸스(Chortoglyphus) 속, 글리시파구스(Glycyphagus) 속 또는 레피도글리푸스(Lepidoglyphus) 속으로부터 선택되고;
    iv)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이 아카리다에로부터인 경우, 티로파구스(Tyrophagus) 속, 아카루스(Acarus) 속, 티레오파구스(Thyreophagus) 속, 또는 알레우로글리푸스(Aleuroglyphus) 속으로부터 선택되고;
    v) 적어도 하나의 아스티그마티드 응애 종이 수이다시이다에로부터인 경우, 수이다시아(Suidasia) 속으로부터인 것인
    응애 조성물.
  16. (i)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응애 조성물을 제공하고;
    (ii) 포식성 응애 집단의 개체가 아스티그마티드 집단의 개체를 먹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토세이이드 포식성 응애 종을 사육하는 방법.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응애 조성물을 농작물에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7021658A 2012-01-04 2012-10-23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KR102092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3152P 2012-01-04 2012-01-04
US61/583,152 2012-01-04
PCT/NL2012/050736 WO2013103294A1 (en) 2012-01-04 2012-10-23 Mite composition comprising a predatory mite and immobilized prey contacted with a fungus reducing agent and methods and uses related to the use of said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709A KR20140113709A (ko) 2014-09-24
KR102092754B1 true KR102092754B1 (ko) 2020-03-25

Family

ID=4704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658A KR102092754B1 (ko) 2012-01-04 2012-10-23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781937B2 (ko)
EP (1) EP2612551B1 (ko)
JP (2) JP6397334B2 (ko)
KR (1) KR102092754B1 (ko)
BR (1) BR112014016609B1 (ko)
CA (1) CA2860625C (ko)
DK (1) DK2612551T3 (ko)
ES (1) ES2529647T3 (ko)
IL (1) IL233526B (ko)
MA (1) MA35880B1 (ko)
MX (1) MX357150B (ko)
PL (1) PL2612551T3 (ko)
PT (1) PT2612551E (ko)
RU (1) RU2617961C2 (ko)
UA (1) UA117341C2 (ko)
WO (1) WO2013103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2148B1 (fr) * 2012-06-22 2019-12-27 Centre International D'etudes Superieures En Sciences Agronomiques Composition comprenant des arthropodes et des oeufs d'astigmates
NL2016103B1 (en) 2016-01-15 2017-08-02 Koppert Bv System for releasing beneficial mites and uses thereof.
CN106070070A (zh) * 2016-06-17 2016-11-09 盱眙正泰永生物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育蝇房
WO2019017776A1 (en) 2017-07-16 2019-01-24 Koppert B.V. SYSTEM FOR RELEASING USEFUL MITES AND USES THEREOF
CN107691379A (zh) * 2017-09-21 2018-02-16 王琛 一种参环毛蚓营养基质、制备方法及参环毛蚓的养殖方法
WO2019162950A1 (en) * 2018-02-26 2019-08-29 Bio-Bee Sde Eliyahu Ltd. Maintaining populations of natural enemies on plants
IL257892A (en) 2018-03-05 2018-05-02 Bio Bee Sde Eliyahu Ltd New methods for cultivation, cultiva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FR3084562B1 (fr) * 2018-07-31 2021-04-02 Bioline France Systeme de lutte biologique comprenant des acariens predateurs dans un etui
BE1026685B1 (nl) * 2018-10-05 2020-05-07 Biobest Group N V Mijten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kweken van mijten
BE1027502B1 (fr) 2019-09-03 2021-05-18 Bio Bee Sde Eliyahu Ltd Nouveaux procédés d'élevage et de libération contrôlée d'acariens prédateurs
MA56278A1 (fr) * 2019-09-03 2023-02-28 Bio Bee Sde Eliyahu Ltd Nouveaux procédés d’élevage et de libération régulée d’acariens prédateurs
NL2023756B1 (en) 2019-09-03 2021-10-12 Bio Bee Sde Eliyahu Ltd Novel methods for rearing and controlled release of predatory mites
FR3100102A1 (fr) 2019-09-03 2021-03-05 Bio-Bee Sde Eliyahu Ltd. Nouveaux procédés d’élevage et de libération contrôlée d’acariens prédateurs
BE1027819B1 (nl) * 2019-12-04 2021-07-06 Biobest Group N V Mijten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kweken van mijten
WO2021133368A1 (ru) * 2019-12-23 2021-07-01 Ярослав Олегович ИВАНОВ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хищных клещей neoseiulus reductus
CN110973074A (zh) * 2020-01-10 2020-04-10 夏鹏亮 一种柑橘粉蚧的养殖方法、装置及天敌昆虫用活体饲料
US20230100087A1 (en) * 2020-06-17 2023-03-3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Jig and composi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CN111543397A (zh) * 2020-06-23 2020-08-18 安徽国际旅行卫生保健中心(合肥海关口岸门诊部) 一种腐食酪螨的快速增殖培养方法
CN112772567A (zh) * 2021-01-07 2021-05-11 贵州大学 一种菅原毛绥螨及其猎物罗宾根螨的饲养方法
EP4301159A1 (en) * 2021-03-01 2024-01-10 Bio-Bee Sde Eliyahu Ltd Food source for biological control agents and methods thereof
NL2033005B1 (en) * 2022-09-12 2024-03-22 Join Beheer B V Method for cultivating a mite, composition comprising said mite, system for releasing said mite, and use of said mit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8680B (en) 1984-12-21 1989-06-14 Bunting Peter Eric Distribution of living arthropods or the like
US4646683A (en) 1985-10-11 1987-03-03 Biofa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arasitic mites
JPH03108433A (ja) 1989-09-21 1991-05-08 Hokkaido Univ 微小天敵カブリダニ類の増殖に好適な容器と、この容器を用いた天敵カブリダニ類の大量増殖法と、この容器を用いた天敵カブリダニ類の保存あるいは輸送方法
US5192546A (en) 1991-01-15 1993-03-09 Mycogen Corporation Synergistic pesticidal compositions
JP3547173B2 (ja) 1994-07-28 2004-07-28 農薬バイオテクノロジー開発技術研究組合 ダニ類の増殖方法
JP3360506B2 (ja) 1995-12-04 2002-12-2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天敵の飼育及び輸送方法
FR2746259B1 (fr) 1996-03-21 1998-05-15 Biotop Procede d'elevage et de conditionnement d'auxiliaires pour la lutte biologique contre les ravageurs des plantes
US6129935A (en) 1998-05-15 2000-10-10 Entomos, Llc Methods for rearing insects, mites, and other beneficial organisms
US20030091657A1 (en) * 2000-03-17 2003-05-15 Helene Chiasson Plant acar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 using same
WO2003065804A1 (fr) 2002-02-07 2003-08-14 Kuraray Co., Ltd. Procede et agent de lutte contre les insectes nuisibles
CN1224316C (zh) 2002-02-24 2005-10-26 张艳璇 一种用作捕食螨-胡瓜钝绥螨的人工饲养方法
US7051672B2 (en) 2004-02-17 2006-05-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l insects or mites
CA2455156C (en) * 2004-02-17 2006-01-24 Syngenta Bioline Limited 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l insects or mites
NZ555985A (en) 2004-12-31 2009-11-27 Koppert Bv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ATE513468T1 (de) 2004-12-31 2011-07-15 Koppert Bv Milbenzusammensetzung, verwendung davon, verfahren zur aufzucht der phytoseiidae-raubmilbe amblyseius swirskii, aufzuchtsystem zur aufzucht dieser phytoseiidae-milbe und verfahren zur biologischen schädlingsbekämpfung an einer kultur
GB0503359D0 (en) * 2005-02-17 2005-03-23 Livie Biopesticides Ltd Insecticidal composition
RU2312502C2 (ru) * 2005-11-16 2007-1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селекцион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адоводства и питомниководства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ГНУ ВСТИСП)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адовых культур от паутинных клещей
AP2977A (en) * 2005-12-29 2014-09-30 Koppert Bv Mite composition comprising glycyphagidae and phyt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oseiid mites,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DE102006027730A1 (de) * 2006-06-16 2007-12-20 Bayer Cropscience Ag Wirkstoffkombinationen mit insektiziden und akariziden Eigenschaften
GB0615358D0 (en) 2006-08-02 2006-09-13 Syngenta Biolin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EP2077724A2 (en) * 2007-01-16 2009-07-15 Tyratech, Inc. Pest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GB0703672D0 (en) 2007-02-26 2007-04-04 Biolog Crop Prot Ltd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mite, rearing system, use of the composition in biological pest control, and method of biological pest
CN101040612A (zh) 2007-04-09 2007-09-26 张艳璇 捕食螨的生产方法
ES2345594B1 (es) 2009-03-26 2011-07-13 Agrocontrol 2007, S.L Composicion de acaros, procedimiento para la cria de los mismos y utilizacion de dicha composicion en programas de control biologico.
PT2440061T (pt) * 2009-06-12 2019-03-21 Bayer Cropscience Lp Método para inibir, prevenir, matar e/ou repelir insetos com a utilização de combinações simuladas de extratos de chenopodium
PL2380436T3 (pl) 2010-04-23 2013-04-30 Agrobio S L Kompozycja z roztoczem, metoda hodowli gatunku drapieżnych roztoczy z rodziny Phytoseiidae i zastosowanie kompozycji do zwalczania szkodników zbiorów
JP5271363B2 (ja) 2011-01-06 2013-08-21 コッパート・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ダニ構成物、その使用、捕食性カブリダニAmblyseiusswirskiiを飼育するための方法、前記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飼育システム、および作物に対する生物的害虫防除方法
NL1039058C2 (en) 2011-09-20 2013-03-21 Koppert Bv Phytoseiid predatory mite relea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29647T3 (es) 2015-02-24
BR112014016609A2 (pt) 2017-06-13
RU2617961C2 (ru) 2017-04-28
EP2612551A1 (en) 2013-07-10
JP2017123839A (ja) 2017-07-20
WO2013103294A1 (en) 2013-07-11
IL233526A0 (en) 2014-08-31
PL2612551T3 (pl) 2015-04-30
US20150128864A1 (en) 2015-05-14
UA117341C2 (uk) 2018-07-25
PT2612551E (pt) 2015-02-13
JP6397334B2 (ja) 2018-09-26
CA2860625C (en) 2021-08-24
CA2860625A1 (en) 2013-07-11
DK2612551T3 (en) 2015-02-16
BR112014016609B1 (pt) 2019-05-14
US9781937B2 (en) 2017-10-10
MX2014008275A (es) 2015-05-11
KR20140113709A (ko) 2014-09-24
BR112014016609A8 (pt) 2017-07-04
RU2014131952A (ru) 2016-02-20
EP2612551B1 (en) 2014-11-05
MA35880B1 (fr) 2014-12-01
IL233526B (en) 2020-03-31
MX357150B (es) 2018-06-27
JP2015508999A (ja)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754B1 (ko)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KR102224450B1 (ko)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KR101014095B1 (ko)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인지중해이리응애의 사육 방법, 상기 이리응애를 사육하는사육 시스템 및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JP5393155B2 (ja) ニクダニ科ダニおよびカブリダニを含むダニ構成物、その使用、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方法、前記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飼育システム、ならびに作物に対する生物学的害虫防除方法
KR101517309B1 (ko)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 방법,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를 사육하는 사육 시스템 및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US11026409B2 (en) Phytoseiid predatory mite relea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EP2232986A2 (en) Mite composition, the rearing thereof and methods fo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in biological control systems
JP5271363B2 (ja) ダニ構成物、その使用、捕食性カブリダニAmblyseiusswirskiiを飼育するための方法、前記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飼育システム、および作物に対する生物的害虫防除方法
KR20070110008A (ko)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 방법,상기 포식성 이리응애를 사육하는 사육 시스템 및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