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50B1 -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 Google Patents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50B1
KR102224450B1 KR1020147021659A KR20147021659A KR102224450B1 KR 102224450 B1 KR102224450 B1 KR 102224450B1 KR 1020147021659 A KR1020147021659 A KR 1020147021659A KR 20147021659 A KR20147021659 A KR 20147021659A KR 102224450 B1 KR102224450 B1 KR 10222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e
millet
species
genus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000A (ko
Inventor
카렐 조제프 플로렌트 볼크만스
이본 마리아 반 하우텐
아델마르 엠마뉴엘 반 바알
라드바우트 티머
다미엔 마르크 모렐
Original Assignee
코퍼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1440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244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퍼트 비.브이. filed Critical 코퍼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11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4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관련되는 응애의 사육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응애의 상업적 사육에 적합한 응애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응애가 포식성 응애로서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작물 보호 방법, 및 응애 종을 사육하기 위한 담체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MITE COMPOSITION, CARRIER, METHOD FOR REARING MITES AND USES RELATED THERETO}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관련되는 응애의 사육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응애의 상업적 사육에 적합한 응애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응애가 포식성 응애로서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작물 보호 방법, 및 응애 종을 사육하기 위한 담체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 년 동안 응애에 대한 상업적인 관심이 증가하였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작물 보호를 위한 포식성 응애의 사용은 농업에서 점점 더 각광받고 있다. 현재, 초식성 응애, 총채벌레 및 가루이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피토세이이드(Phytoseiid) 포식성 응애가 사용된다. 추가로, 메소스티그마티드(Mesostigmatid) 및 프로스티그마티드(Prostigmatid) 포식 종, 예컨대 마크로켈리다에(Macrochelidae: 큰집게좀진드기과), 라엘라피다에(Laelapidae: 가시응애과), 케일레티다에(Cheyletidae: 발톱진드기과), 파라시티다에(Parasitidae; 기생응애과), 티데이다에(Tydeidae: 애기응애과), 쿠낙시다에(Cunaxidae; 마름이리응애과), 에리트라에이다에(Erythraeidae: 보배진드기과)의 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포식성 응애 종이 생물학적 해충 방제에서 관심을 받고 있고, 일부는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포식성 응애의 인기 이면의 추진력은 유해한 작물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그의 효능 및 받아들일 수 있는 가격으로 상업적인 관련 규모로 이를 생산하기 위한 대량 사육 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이다. 이 때문에 포식성 응애를 화학적 살충제에 대한 경제적인 대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업적 사육 시스템에서, 포식성 응애의 집단은 담체 상에 유지된 배양물 내의 생물 먹이를 통해 사육된다.
상기 포식성 응애의 대량 사육 시스템은 포식자에 대해 적합한 먹이의 이용가능성에 따라 크게 의존한다. 이에 비추어, 지난 수 년 동안, 포식성 응애에 사육 먹이 (또는 별법으로 사육 숙주)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되었다. 특히, 아스티그마타(Astigmata)의 과로부터의 응애가 그러한 적합한 사육 먹이로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WO2006/057552, WO2006/071107, WO2007/075081, WO2008/015393, WO2008/104807 및 EP2232986 참조). 포식성 응애의 사육에서 그의 역할에 비추어, 사육 먹이의 상업적인 관련성은 증가하고 있다.
상기 내용에 비추어, 포식성 응애 및 사육 먹이로서 적합한 응애 둘 모두의 사육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성이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 발명을 통해 상업적 관련 응애의 사육 시스템이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담체를 선택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상기 담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약 1.0-15.0 mm의 최장축을 갖고, 담체 요소의 적층부는 응애 개체에 적합한 대피처(shelter)를 포함한다. 임의의 이론에 매이기를 원하지 않지만,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를 제공할 때 응애 개체는 방해하는 종간 및/또는 종내 상호작용, 예컨대 다른 응애 개체에 의한 운동 활성, 방해, 간섭 및 동족포식작용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특히 특히 높은 집단 밀도에서 미숙(juvenile) 생활기와 관련될 수 있다.
시험은 산란을 위해 응애가 상기 응애의 사육시에 현재 사용되는 비-대피처 담체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 물질을 선호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선호는 알 및 미숙 기의 생존 및 성공적인 발달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산란을 위한 상기 담체의 품질을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 응애 종, 바람직하게는 메소스티그마티드 포식성 응애 종 또는 프로스티그마티드 포식성 응애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응애 종의 개체의 집단;
- 응애 개체를 위한 먹이원; 및
-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응애 종의 개체에 대한 담체
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담체 요소는 약 1.0-15.0 mm, 예컨대 3.0-9.0 mm의 최장축을 가지며, 여기서 담체 요소의 적층부는 포식성 응애 개체에 적합한 대피처를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응애 종의 사육에 적합하다. 응애는 바람직하게는 상업적 관련 종이다. 포식성 응애 및 사육 먹이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업적 관련 응애 종으로서 선택된다.
포식성 응애는
- 메소스티그마티드 포식성 응애 종, 예컨대:
i) 피토세이이다에(Phytoseiidae: 이리응애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 암블리세이이나에(Amblyseiinae)의 아과(subfamily)에 속하는 종, 예컨대 암블리세이우스(Amblysei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암블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andersoni), 암블리세이우스 아에리알리스(aerialis), 암블리세이우스 스위르스키이(swirskii), 암블리세이우스 헤르비콜루스(herbicolus) 또는 암블리세이우스 라르고엔시스(largoensis), 유세이우스(Eusei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유세이우스 핀란디쿠스(finlandicus), 유세이우스 히비스키(hibisci), 유세이우스 오발리스(ovalis), 유세이우스 빅토리엔시스(victoriensis), 유세이우스 스티풀라투스(stipulatus), 유세이우스 스쿠탈리스(scutalis), 유세이우스 툴라렌시스(tularensis), 유세이우스 아도엔시스(addoensis), 유세이우스 콘코르디스(concordis), 유세이우스 호(ho) 또는 유세이우스 시트리(citri), 네오세이울루스(Neoseiul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네오세이울루스 바르케리(barkeri), 네오세이울루스 칼리포르니쿠스(californicus), 네오세이울루스 쿠쿠메리스(cucumeris), 네오세이울루스 롱기스피노수스(longispinosus), 네오세이울루스 우메르슬레이이(womersleyi), 네오세이울루스 이다에우스(idaeus), 네오세이울루스 아노니무스(anonymus), 네오세이울루스 파스팔리보루스(paspalivorus), 네오세이울루스 레둑투스(reductus) 또는 네오세이울루스 팔라시스(fallacis), 암블리드로말루스(Amblydromal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limonicus), 티플로드로말루스(Typhlodromal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말루스 아리포(aripo), 티플로드로말루스 라일라(laila) 또는 티플로드로말루스 페레그리누스(peregrinus), 티플로드로밉스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밉스 몬트도렌시스(montdorensis), 피토세이울루스(Phytoseiul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피토세이울루스 페르시밀리스(persimilis), 피토세이울루스 마크로필리스(macropilis), 피토세이울루스 롱기페스(longipes), 피토세이울루스 프라가리아에(fragariae);
- 티플로드로미나에(Typhlodrominae)의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갈렌드로무스(Galendrom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갈렌드로무스 옥시덴탈리스(occidentalis), 티플로드로무스(Typhlodrom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무스 피리(pyri), 티플로드로무스 도레에나에(doreenae) 또는 티플로드로무스 아티아사에(athiasae);
ii) 아스키다에(Ascidae)에 속하는 종, 예컨대 프록톨라엘랍스(Proctolaelaps) 속에 속하는 종, 예컨대 프록톨라엘랍스 피그마에우스(pygmaeus) (물러(Muller)); 블라티소시우스(Blattisoci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블라티소시우스 타르살리스(tarsalis) (베를레세(Berlese)), 블라티소시우스 케에가니(keegani) (폭스(Fox)); 라시오세이우스(Lasiosei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라시오세이우스 피메토룸(fimetorum) (카르그(Karg)), 라시오세이우스 플로리덴시스(floridensis) (베를레세), 라시오세이우스 비스피노수스(bispinosus) (에반스(Evans)), 라시오세이우스 덴타투스(dentatus) (폭스), 라시오세이우스 스카풀라투스(scapulatus) (케네트(Kenett)), 라시오세이우스 아티아사에 (나와르 & 나스르(Nawar & Nasr)); 아르크토세이우스(Arctosei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아르크토세이우스 세미스키수스(semiscissus) (베를레세); 프로토가마셀루스(Protogamasell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프로토가마셀루스 디오스코루스(dioscorus) (맨손(Manson));
iii) 라엘라피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스트라티올라엘랍스 속(Stratiolaelaps)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스트라티올라엘랍스 스키미투스(scimitus) (우메르슬레이) (히포아스피스(Hypoaspis) 속에도 속함); 게올라엘랍스(Geolaelaps)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게올라엘랍스 아쿨레이페르(aculeifer) (카네스트리니) (히포아스피스 속에도 속함); 안드롤라엘랍스(Androlaelaps)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안드롤라엘랍스 카살리스 카살리스(casalis casalis) (베를레세);
iv) 마크로켈리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마크로켈레스(Macrochele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마크로켈레스 로부스툴루스(robustulus) (베를레세), 마크로켈레스 무스카에도메스티카에(muscaedomesticae) (스코폴리(Scopoli)), 마크로켈레스 마트리우스(matrius) (훌(Hull));
v) 파라시티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페르가마수스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페르가마수스 퀴스퀼리아룸(quisquiliarum) (카네스트리니); 파라시투스(Parasitus)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파라시투스 피메토룸 (베를레세), 파라시투스 비투베로수스(bituberosus) (카르그);
- 예컨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로스티그마티드 응애 종:
vi) 티데이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호메오프로네마투스(Homeopronemat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호메오프로네마투스 안코나이(anconai) (베이커(Baker)); 티데우스(Tyde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티데우스 람비(lambi) (베이커), 티데우스 카우다투스(caudatus) (두게스(Duges)), 티데우스 람비 (베이커); 프로네마투스(Pronemat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프로네마투스 유비퀴토우스(ubiquitous) (맥그레고르(McGregor));
vii) 케일레티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케일레투스(Cheylet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케일레투스 에루디투스(eruditus) (쉬랭크 (Schrank)), 케일레투스 말라센시스 (malaccensis) (오우데만스 (Oudemans));
viii) 쿠낙시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콜레오스키루스(Coleoscir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콜레오스키루스 심플렉스 (simplex) (유잉 (Ewing)), 쿠낙사 (Cunaxa)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쿠낙사 세티로스트리스 (setirostris) (헤르만 (Hermann));
ix) 에리트라에이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발라우스티움 (Balaustium)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발라우스티움 푸트마니 (putmani) 스마일리 (Smiley), 발라우스티움 메디카고엔세 (medicagoense) (메이어 & 라이크 (Meyer & Ryke)), 발라우스티움 무로룸 (murorum) (헤르만);
x) 스티그마에이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아기스테무스(Agistem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아기스테무스 엑스세르투스(exsertus) (곤잘레즈(Gonzalez)); 예컨대 제트젤리아(Zetzellia)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제트젤리아 말리(mali) (유잉)
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 내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상기 및 다른 응애의 천연 서식지에 대한 지식이 있을 것이고, 이들을 서식지로부터 단리할 수 있을 것이다. 대체 및 동등한 명칭이 특정 응애 종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는 대체 및 동등한 명칭인 암블리세이우스 리모니쿠스 및 티플로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로도 알려져 있음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피토세이이드 종으로서 선택될 때, 응애 종은 바람직하게는 암블리세이우스 스위르스키이, 암블리세이우스 아에리알리스, 암블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네오세이울루스 바르케리, 네오세이울루스 칼리포르니쿠스, 네오세이울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울루스 팔라시스, 티플로드로밉스 몬트도렌시스 또는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로부터 선택된 피토세이이드 종이다.
메소스티그마티드 또는 프로스티그마티드 포식성 응애 개체에 대한 적당한 먹이원의 선택은 당업자의 지식 범위 내에서 시행된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먹이원의 적합성은 선택된 응애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천연 먹이, 사육 먹이, 예컨대 아스티그마티드(Astigmatid) 먹이 응애, 인공 사료, 테트라니키다에(Tetranychidae)의 알, 레피돕테라(Lepidoptera)의 알, 예컨대 에페스티아(Ephestia) 또는 시토트로가(Sitotroga)의 알, 식물 꽃가루가 응애의 필요에 따라 적합할 수 있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피토세이울루스 종은 테트라니키드(Tetranichid), 바람직하게는 테트라니키드 알,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카에(Tetranichus urticae)의 알을 먹이원으로 필요로 한다.
피토세이이다에 (피토세이울루스 종 제외)에 대해, 아스키다에, 라엘라피다에, 마크로켈리다에, 파라시티다에, 케일레티다에, 쿠낙시다에, 에리트라에이다에 또는 스티그마에이다에 사육 먹이는 아아스티그마타 아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는 문헌 [Hughes A.M., 197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의 천연 서식지로부터 단리될 수 있고, 문헌 [Parkinson, C.L. (1992)] 및 [Solomon, M.E. & Cunnington, A.M. (196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되고 배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스티그마티드 사육 먹이 종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i) 카르포글리피다에(Carpoglyphidae)에 속하는 종, 예컨대 카르포글리푸스(Carp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lactis);
ii) 피로글리피다에(Pyroglyphidae)에 속하는 종, 예컨대 데르마토파고이데스(Dermatophagoide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프테로니시누스(pteronysinus),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파리나에(farinae); 유로글리푸스(Eur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유로글리푸스 롱기오르(longior), 유로글리푸스 마이네이(maynei); 피로글리푸스(Pyr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피로글리푸스 아프리카누스(africanus);
iii) 글리시파기다에(Glycyphagidae)에 속하는 종, 예컨대 크테노글리피나에(Ctenoglyphinae)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디아메소글리푸스(Diames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디아메소글리푸스 인테르메디우스(intermedius), 또는 크테노글리푸스(Cten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크테노글리푸스 플루미게르(plumiger), 크테노글리푸스 카네스트리니이(canestrinii), 크테노글리푸스 팔미페르(palmifer); 글리시파기나에(Glycyphaginae)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블로미아(Blomia)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블로미아 프레에마니(freemani), 또는 글리시파구스(Glycyphag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글리시파구스 오르나투스(ornatus), 글리시파구스 비카우다투스(bicaudatus), 글리시파구스 프리바투스(privatus), 글리시파구스 도메스티쿠스(domesticus), 또는 레피도글리푸스(Lepid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레피도글리푸스 미카엘리(michaeli), 레피도글리푸스 푸스티페르(fustifer),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destructor), 또는 아우스트로글리시파구스(Austroglycyphag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아우스트로글리시파구스 게니쿨라투스(geniculatus); 아에로글리피나에(Aёroglyphinae)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아에로글리푸스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아에로글리푸스 로부스투스(robustus); 라비도포리나에(Labidophorinae)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고히에리아(Gohieria)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고히에리아 푸스카(fusca); 또는 닉테리글리피나에(Nycteriglyphinae)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코프로글리푸스(Copr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코프로글리푸스 스탐메리(stammeri); 또는 코르토글리피다에(Chortoglyphidae) 아과에 속하는 종, 예컨대 코르토글리푸스(Chort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코르토글리푸스 아르쿠아투스(arcuatus) -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파기나에 아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파구스 속 또는 레피도글리푸스 속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시파구스 도메스티쿠스 또는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로부터 선택됨 - ;
iv) 아카리다에(Acaridae)에 속하는 종, 예컨대 티로파구스(Tyrophag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티로파구스 푸트레스켄티아에(putrescentiae), 티로파구스 트로피쿠스(tropicus); 아카루스(Acar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아카루스 시로(siro), 아카루스 파리스(farris), 아카루스 그라실리스(gracilis); 라르도글리푸스(Lard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라르도글리푸스 코노이(konoi); 티레오파구스(Thyreophagus) 속에 속하는 종, 예컨대 티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entomophagus); 알레우로글리푸스(Aleuroglyphus)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알레우로글리푸스 오바투스(ovatus);
v) 수이다시이다에(Suidasiidae)에 속하는 종, 예컨대 수이다시아(Suidasia) 속에 속하는 종, 예컨대 수이다시아 네스비티(nesbiti), 수이다시아 폰티피카(pontifica) 또는 수이다시아 메다넨시스(medanensis).
아스티그마타(Astigmata)는 문헌 [Hughes (1977)]에 언급되어 있다. 바람직한 아스티그마티드 응애는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룩토르, 카르포글리피다에에 속하는 종, 예컨대 카르포글리푸스 속에 속하는 종, 예를 들어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 티레오파구스 속에 속하는 종, 예컨대 티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 아카리다에에 속하는 종, 수이다시아 폰티피카 또는 수이다시아 메다넨시스 또는 블로미아 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응애 종의 개체의 집단을 포함한다. 집단은 바람직하게는 사육 집단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사육은 유성 생식에 의한 집단의 증식 및 증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육 집단은 두 성으로부터의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 및/또는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으로 성숙될 수 있는 다른 생활기의 두 성의 개체, 예를 들어 알 및/또는 약충(nymph)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사육 집단은 하나 이상의 수태한 암컷을 포함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사육 집단은 유성 생식에 의해 그의 개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응애 종의 개체에 대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응애, 예컨대 포식성 응애 및 사육 먹이의 사육시에 담체 물질의 사용은 공지되어 있다. 미분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담체의 사용은 응애 배양을 3차원 배양으로서 유지할 가능성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담체는 대체로 최장축이 약 1.0-15.0 mm, 예컨대 3.0-9.0 mm인 담체 요소를 포함한다. 겨, 질석, 옥수수 속대 가루 및 톱밥이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담체이다. 본 발명의 담체 요소에 대해, 평균 최장축은 약 1.0-15.0 mm, 예컨대 3.0-9.0 mm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담체 요소의 적층부가 응애 개체에 대피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대피처는 방해하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피신처를 제공하는 체류 장소로서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의 대피처는 응애 개체, 특히 미숙 생활기, 예컨대 알, 유충 및 약충에게 피신처를 제공한다. 상기 대피처는 포식성 응애를 방해하는 영향, 예컨대 다른 포식성 또는 먹이 응애 개체에 의한 운동 활성, 방해 및 간섭, 및 포식성 응애에 의한 동족포식작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적인 일반적인 지식과 함께 본 발명의 개시내용을 기초로 하여, 응애 대피처에 대한 구조적 요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응애 대피처, 특히 포식성 응애 또는 사육 먹이로부터 선택되는 상업상 관련 응애에 적합한 대피처를 포함하는 적합한 담체를 설계 및/또는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피처는 담체 요소의 물질이 응애 개체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직교 또는 반전된(reversed) 관계를 갖는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보호하는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는 방해하는 외부 상호작용을 적어도 감소시키는, 바람직하게는 제한하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방해하는 외부 상호작용은 특히 조성물 내의 다른 응애, 예컨대 예를 들어 움직임 및 다른 응애와의 관련 신체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 들어 응애가 포식성 응애인 경우에 동일한 종으로부터의 개체에 의한 동족을 잡아먹는 포식행동일 수도 있다. 모든 포식성 응애가 어느 정도 동족을 잡아먹는 거동을 보인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방해하는 상호작용은 응애 개체의 산란율, 미성숙 개체의 생존 및 성체 수명 중의 하나 이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집단 발생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상기 방해하는 상호작용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집단 밀도에서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응애의 상업적인 생산자들은 생산 비용을 가능한 한 많이 절감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높은 집단 밀도 및 집단 발생률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피는 응애 개체를 방해하는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는 응애 개체에 대한 접근을 감소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직교 또는 반전된 관계를 갖는 방향은 기점 (0,0,0)으로부터의 방향에서 가상적인 직교 (또는 데카르트(Cartesian)) 3차원 좌표계의 6개의 축 (양의 X, 음의 X, 양의 Y, 음의 Y, 양의 Z, 음의 Z)을 따른 방향에 대응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는 기점에 존재한다. 상기 방향은 방향에서 수직 (직교)이거나 반전된다. 3차원 공간에서, 상기 방향의 최대 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응애 개체는 대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적어도 3개의 상기 방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상기 방향,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의 상기 방향, 예컨대 5개의 상기 방향에서 보호된다. 3개의 상기 방향에서의 보호는 예컨대 도 2 또는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3개의 평면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와 유사한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4개의 상기 방향에서의 보호는 도 4에서 제시된 2개의 측면이 개방된 "상자"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5개의 방향에서의 보호는 도 3의 상황에서 제공되고, 여기서 제5 수평면은 개방된 정육면체가 얻어지도록 4개 평면의 "상자"의 측벽에 위치한다.
응애 개체를 조성물 내의 다른 응애에 의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대피처는 대피처의 부피가 1-140 mm3, 예컨대 2-120 mm3, 2-100 mm3, 2-80 mm3, 2-70 mm3, 2-60 mm3, 2-50 mm3, 2-40 mm3, 2-30 mm3, 2-25 mm3, 2-20 mm3, 2-18 mm3, 2-16 mm3, 2-14 mm3, 2-12 mm3, 2-10 mm3, 2-8 mm3, 2-6 mm3, 또는 2-4 mm3가 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너무 많은 응애 개체가 대피처에 존재하여 방해하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대피처가 응애 개체에 의해 접근가능하여야 함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응애에 접근가능하지 않은 영역은 대피처로서 부합될 수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응애 개체에 대한 양호한 접근가능성을 갖기 위해서 영역은 적어도 0.3-1.2 mm, 예컨대 0.5-1.0 mm 또는 0.5-0.8 mm의 접근 직경 및 적어도 0.25-1.44 mm2, 0.30-1.20 mm2, 0.30-1.00 mm2, 0.30-0.80 mm2, 0.30-0.90 mm2의 접근 면적을 갖는 접근부를 가져야 한다. 사육되는 응애 종의 최대 크기에 따라, 적합한 담체 치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 (피토세이이다에)는 비교적 작고, 암컷의 최대 폭은 약 0.30 mm이다. 이것은 블라티소시우스 타르살리스 (아스키다에)에 대해서도 동일하고, 최대 폭 역시 동일하다. 상기 응애에 대해, 접근부 직경이 0.5-0.8 mm이고 접근부 면적이 0.30-0.90 mm2인 대피처 접근부가 충분할 것이다. 암컷은 따라서 알을 대피처 내에 낳을 수 있고, 다음 생활기가 대피처에서 머무르거나 돌아다닐 수 있다. 기장 왕겨는 필요한 치수에 일치하는 담체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 크기 응애, 예컨대 케일레투스 에루디투스 (케일레티다에) (최대 폭 = 0.35 mm) 및 큰 응애, 예컨대 마크로켈레스 무스카에도메스티카에 (마크로켈리다에) (최대 폭 = 0.60 mm)는 보다 큰 겉껍질 크기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예컨대 오리자(oryza) 종으로부터의 왕겨가 적합할 수 있다.
응애 대피처는 공동(void), 예컨대 코브(cove), 오목부(recess), 세공(pore), 챔버(chamber), 구멍(cavity), 틈새(nich), 구덩이(pit), 포켓(pocket), 튜브(tube), 돔(dome), 통(tub) 및 유사한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피 및/또는 접근부에 대해 상기 제시된 치수에 일치하는 상기 공동은 응애 대피처로서 적합하다.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는 적층부에 존재하는 개체 담체 요소 상에 또는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적층부 내의 개체 담체 요소는 응애 대피처로서 적합한 구조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응애 대피처는 적층부 내의 담체 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담체 요소의 적층부 내에 다수의 담체 요소가 함께 응애 대피처로서 적합한 구조를 형성한다. "담체 요소 적층부"는 다수의 담체 요소의 3차원 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배치"는 무작위 배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 내에서 왕겨(chaff)로부터 유래된 담체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용어 왕겨의 의미를 알 것이고, 왕겨가 초본 종 (특히 곡물)의 종자의 마른 비늘 모양의 보호 외피 (겉껍질), 또는 유사한 미세한, 마른 비늘 모양의 식물 물질, 예컨대 꽃의 비늘 모양의 부분, 또는 미세하게 다진 짚임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왕겨는 초본 (포아세아에(Poaceae: 벼과) 또는 별법으로 그라미네아에(Gramineae: 화본과)) 종으로부터 유래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곡물 종으로부터의 왕겨, 예컨대 밀, 오리자(oryza: 벼속) 종, 호밀, 귀리 또는 기장으로부터의 왕겨가 사용된다. 겉껍질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기장으로부터의 겉껍질은, 그 겉껍질을 응애 사육 기질로서 매우 적합하게 만드는 우수한 외부 및 내부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장에 포함되는 종은 다음을 포함한다: 진주 기장(Pearl millet) 또는 바즈라(Bajra) (페니세툼 글라우쿰(Pennisetum glaucum)); 조(Foxtail millet) (세타리아 이탈리카(Setaria italica)); 프로소 기장(Proso millet), 통상적인 기장, 브룸 콘 기장(broom corn millet), 돼지 기장(hog millet) 또는 백기장 (파니쿰 밀라아세움(Panicum miliaceum)); 손가락 기장 (엘류신 코라카나(Eleusine coracana)) (또한 인도에서는 라기(Ragi), 나차니(Nachani) 또는 만드와(Mandwa)로도 알려짐), 인도 피(Indian barnyard millet) 또는 사와 기장(Sawa millet) (에키노클로아 프루멘타세아(Echinochloa frumentacea)); 일본 피(Japanese barnyard millet) (에키노클로아 에스쿨렌타(esculenta)); 코도 기장(Kodo millet) (파스팔룸 스크로비쿨라툼(Paspalum scrobiculatum)); 리틀 기장(Little millet) (파니쿰 수마트렌세(Panicum sumatrense)); 기니 기장(Guinea millet) (브라키아리아 데플렉사(Brachiaria deflexa) = 우로클로아 데플렉사(Urochloa deflexa)); 브라운탑 기장(Browntop millet) (우로클로아 라모사(Urochloa ramosa) = 브라키아리아 라모사(Brachiaria ramosa) = 파니쿰 라모숨(Panicum ramosum)). 테프(Teff) (에라그로스티스 테프(Eragrostis tef)) 및 포니오(fonio) (디기타리아 엑실리스(Digitaria exilis))도 종종 기장으로 불리고, 보다 드물게는 수수 (소르굼(Sorghum) 종) 및 율무(Job's Tears) (코익스 라크리마-조비(Coix lacrima - jobi))도 기장으로 불린다. 본 발명에 대해, 이들 종도 용어 기장 내에 포함된다.
응애 대피처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담체 요소의 치수 및 그의 구조적 입체형태 외에도, 담체 요소는 생분해 측면에서 불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담체 물질이 미생물, 예컨대 진균 및/또는 박테리아에 대한 불량한 성장 기질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응애 사육 조건 하에서 잠재적인 문제가 되는 미생물 성장, 예컨대 진균 성장의 제어를 돕는다. 왕겨 및 특히 상기 논의된 바람직한 왕겨 품종은 진균에 대한 그러한 불량한 성장 기질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i)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고,
(ii) 응애 집단의 개체가 먹이원을 먹도록 허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응애 종의 집단을 사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토세이이드 포식자와 같은 포식자의 집단이 먹이원, 예컨대 아스티그마티드 응애의 집단을 포함하는 먹이원과 함께 존재하고 포식자의 개체가 먹이원을 먹도록 허용하는, 포식성 응애와 같은 응애의 사육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담체 요소를 포함하고 담체 요소의 적층부가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선행 기술과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기술적 측면은 이미 위에서 논의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응애 종, 예컨대 포식성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담는 용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응애의 적어도 하나의 운동성 생활기에 대한 출구,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동성 생활기의 지속 방출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출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작물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육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측면에 따르면, 응애는 포식성 응애로서 선택된다. 당업자는 작물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포식성 응애의 적합성을 알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문헌 [Gerson et al. (2003)]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포식성 응애가 피토세이이드 포식자로서 선택될 경우, 효과적으로 방제될 수 있는 해충은 가루이, 예컨대 트리알레우로데스 바포라리오룸(Trialeurodes vaporariorum) 또는 베미시아 타바시(Bemisia tabaci); 총채벌레, 예컨대 트립스 타바시(Thrips tabaci) 또는 프랭클리니엘라(Frankliniella) 종, 예컨대 프랭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 거미 응애, 예컨대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카에(Tetranychus urticae), 또는 다른 초식성 응애, 예컨대 폴리파고타르소네무스(Polyphagotarsonemus)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처리로부터 이로울 수 있는 작물은 (온실) 채소 작물, 예컨대 후추 (캅시쿰 안눔(Capsicum annuum)), 가지 (솔라눔 멜론게나(Solanum melongena)), 박과 (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예컨대 오이 (쿠쿠미스 사티바(cucumis sativa)), 멜론 (쿠쿠미스 멜로(cucumis melo)), 수박 (시트룰루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tus)); 껍질이 단단하지 않은 과일 (예컨대 딸기 (프라가리아 x 아나나사(Fragaria x ananassa)), 라즈베리 (루부스 이다에우스(Rubus idaeus)), (온실) 관상용 작물 (예컨대 장미, 거베라(gerbera), 국화) 또는 나무 작물, 예컨대 시트러스(Citrus) 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작물에서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기 작물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해충 및 작물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조성물은 일정량의 상기 조성물을 많은 작물 식물의 부근에, 예컨대 식물 상에 또는 식물의 기부에 적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증가하는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해 포식성 응애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통상적인 시행 방식처럼 조성물을 단순히 작물 식물 상에 또는 작물 식물의 기부에 살포함으로써 작물 식물에 제공될 수 있다. 살포에 의해 각각의 개체 작물 식물에 제공될 수 있는 조성물의 양은 1-20 ml, 예컨대 1-10 ml, 바람직하게는 2-5 ml일 수 있다. 별법으로, 조성물은 작물에서 포식성 응애를 방출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사육 시스템에서 많은 작물 식물에 제공될 수 있다. 사육 시스템은 많은 작물의 부근에, 예컨대 작물 내에 또는 작물의 기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한 방법에서, 조성물을 모든 작물 식물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업 작물은 통상 조밀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포식성 응애는 한 작물 식물로부터 또 다른 식물로 전파될 수 있다. 충분한 작물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제공되어야 하는 작물 식물의 수는 특정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당업자가 그의 재배 경험을 기초로 하여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대체로, 헥타르당 방출되는 포식성 응애의 수가 보다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수는 헥타르당 1000 - 3백만, 일반적으로 250,000 - 1백만 또는 250,000 - 500,000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응애 종의 집단을 사육하기 위한, 담체 요소, 바람직하게는 최장축이 약 1.0-15.0 mm, 예컨대 3.0-9.0 mm인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담체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담체 요소의 적층부는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담체는 포식성 응애와 같은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및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그의 사용을 위한 특정 이점을 갖는다. 특히, 집단 밀도는 대피처가 없는 담체 상에서의 사육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대피처는 기계적 스트레스, 예컨대 재배지에서 분배 동안, 예컨대 강제(forced) 기체 스트림의 송풍에 의해 응애에 가해질 수 있는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담체의 사용은 따라서 송풍에 의한 분배를 위한 응애의 사육을 목적으로 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추가로 예시될 것이다. 이들 도면 및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결코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1은 3차원 직교 (데카르트) 좌표계를 제시한다. 축 X, Y, Z를 따라 기점 (0,0,0)으로부터 6개의 방향이 규정될 수 있다 (양의 X를 따라, 음의 X를 따라, 양의 Y를 따라, 음의 Y를 따라, 양의 Z를 따라, 음의 Z를 따라). 상기 방향은 방향에서 수직 (직교)이거나 반전된다.
도 2는 대피처의 도식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 (1)은 화살표 (2), (3), (4)에 의해 표시된 3개의 방향으로 그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대피처는 바닥면 (5), 제1 측면 평면 (6) 및 제2 측면 평면 (7)에 의해 제공된다. 상호작용 영향은 화살표 (8), (9),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환경으로부터 계속 나올 수 있다.
도 3은 다른 대피처의 도식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 (1)은 화살표 (2), (3), (4)에 의해 표시된 3개의 방향으로 그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대피처는 바닥면 (5), 제1 측면 평면 (6) 및 제2 측면 평면 (7)에 의해 제공된다. 상호작용 영향은 화살표 (8), (9),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환경으로부터 계속 나올 수 있다.
도 4는 대피처의 도식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여기서 응애 개체 (1)은 화살표 (2), (3), (4), (8)에 의해 표시된 4개의 방향으로 그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대피처는 바닥면 (5), 제1 측면 평면 (6), 제2 측면 평면 (7) 및 제3 측면 평면 (11)에 의해 제공된다. 상호작용 영향은 화살표 (9),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환경으로부터 계속 나올 수 있다. 덮는 평면이 측면 평면 (6), (7), (11) 상에 위치할 경우, 응애 개체가 환경으로부터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추가로 보호될 수 있음은 분명할 것이다. 추가로,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는 추가의 측면 평면이 측면 평면 (7)에 수직으로 배치될 경우에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응애 개체 (1)은 또한 화살표 (10)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서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것이다.
도 1-4의 모든 도식적인 제시 도면은 직사각형 구조로 제시되지만, 유사한 보호 효과는 비직사각형 구조, 예컨대 코브, 오목부, 세공, 챔버, 구멍, 틈새, 구덩이, 포켓, 튜브, 돔, 통 및 유사한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I
설정
2가지 종의 포식성 응애, 즉 에이. 스위르스키이 및 에이. 리모니쿠스를 상이한 담체 종류에 대한 그의 선호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성숙 암컷을 알 시기로부터 사육 개시한지 약 10일 후에 수거하였다. 3개의 제시된 담체는 기장 왕겨, 본 발명에 따른 담체, 밀 겨, 표준 담체 및 질석 (미립자, 모든 입자 < 2 mm) (이 또한 표준 담체임)이었다. 모든 담체를 습윤 형태 (15 ml 물/100 g 첨가)로 동시에 제공하였다. 각각의 담체에 대해 2 분획을 방출 지점 (4 cm)으로부터 고정화된 거리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두었다. 시험된 기질은 모두 0.5 cc의 동일한 부피 (시험장당 2 분획으로 나눔)로 제공하였다. 시험 개시시에, 각각의 종의 10마리의 암컷 및 2마리의 수컷을 각각의 플라스틱 선택 시험장 (φ = 12 cm)의 중앙부에 두어다. 시험장은 포식성 응애에게 물을 제공하고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습윤 탈지면에 두었다. 티파(Typha) 꽃가루를 방출 지점에 먹이원으로 두었다. 반복 횟수는 3이었고, 각각의 후속 시험장은 또 다른 기질이 상부 위치 (12시)를 향하도록 하였다.
시험은 25℃, 75% RH 및 16:8 (L:D) 광 체계의 조건 하에 인공 기상실(climate room)에서 수행하였고, 시험장의 RH는 약 85%이었다. 2일 후에 존재하는 기질당 포식자 알의 수 및 성충의 수를 계수하였다 (수컷 개체는 통계로부터 제외함). 이를 위해, 모든 담체 입자를 개별적으로 면밀히 조사하고, 추가의 먹이를 준 2일 후에 다시 조사하였다. 종당 기질당 결과를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Chi-square Goodness of Fit Test (하나의 변수)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각각의 기질에서 발견된 암컷의 총수 (3회 반복 시험 후)는 도 5에 제시된다 (패널 A). 모든 출발 암컷 (30) 중에서, 큰 비율의 개체, 즉 모든 에이. 리모니쿠스의 87% (26 개체) 및 모든 에이. 스위르스키이의 60% (18 개체)가 기질로부터 회수되었다. 따라서, 물질이 먹이원으로부터 분명하게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암컷 응애는 상기 담체에서 발견되었다. 두 시험은 모두 담체 물질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00).
각각의 담체에서 발견된 알 (및 갓 부화한 유충)의 총수 (3회 반복 시험 후)는 도 5의 패널 B에 제시된다. 암컷 응애의 발생률은 담체 상의 알의 수와 연관성이 있음이 분명하다. 두 시험은 모두 담체 물질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00).
결과는 본 실험에서 기장 왕겨에 의해 제시되는 바와 같이 응애 대피처를 제공하는 담체 물질이 포식성 응애 종, 특히 피토세이이드 종과 같은 응애 종에 대해 매우 바람직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II
설정
대량-사육 유닛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배지의 두꺼운 층을 제조하였다. 겨 또는 기장 왕겨 (둘 모두 습윤됨)를 담체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겨는 상업적인 응애 사육에서 사용되는 표준 담체이다. 왕겨는 응애 대피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의 대표이다. 2개의 먹이 종류 (A 및 B) (둘 모두 동결된 형태의 카르포글리푸스 락티스를 포함함)가 사용되었다. 사육 개시시에, 포식성 응애인 에이. 리모니쿠스를 박층의 시험 배지 상에서 2세대를 초과하는 기간 동안 사육하였다. 후속 사육은 2주 동안 환기되는 상자 (LxWxH=15x15x8cm)에서 높이 6-7 cm의 층에서 수행하였다. 샘플 채취, 먹이 공급 및 혼합은 매주 2회 수행하였다. 시험은 21℃ 및 93% RH에서 2회 수행하였다. 매주 살아있는 포식자 및 먹이 응애의 수를 샘플에서 계수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6에 제시한다. 왕겨 사육시의 포식자 밀도는 두 먹이 종류에서 제1 및 제2주에 증가한다. 겨 혼합물에서, 사육 밀도는 제1주에 높게 유지되지만, 제2주에 붕괴된다. 포식자 수의 감소 후에 먹이 응애 수가 증가하고, 이 때문에 상기 사육 혼합물을 계속 유지하면 골치아픈 문제가 발생한다. 시험은 최종 결과가 표준 겨 담체에 비해 왕겨 담체에 대해 양호함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Figure 112014073074167-pct00001

Claims (15)

  1. - 피토세이이드(Phytoseiid) 응애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식성 응애 종의 개체의 집단;
    - 응애 개체를 위한 먹이원; 및
    - 기장(millet) 종으로부터 유래된 겉껍질을 포함하는 적층된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응애 종의 개체에 대한 담체
    를 포함하고, 상기 기장 종으로부터 유래된 겉껍질은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shelter)를 포함하는 것인, 응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대피처가, 담체 요소의 물질이 응애 개체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직교 또는 반전된 관계를 갖는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보호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기장 종으로부터의 겉껍질로부터 유래된 담체 요소가 진주 기장(Pearl millet), 조(Foxtail millet), 프로소 기장(Proso millet), 브룸 콘 기장(broom corn millet), 돼지 기장(hog millet), 손가락 기장(Finger millet), 인도 피(Indian barnyard millet), 일본 피(Japanese barnyard millet), 코도 기장(Kodo millet), 리틀 기장(Little millet), 기니 기장(Guinea millet), 브라운탑 기장(Browntop millet), 테프(Teff), 포니오(fonio), 소르굼(sorghum), 또는 율무(Job's Tears)로부터 선택되는 기장 종으로부터인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응애 종이 암블리세이우스(Amblyseius) 속, 유세이우스(Euseius) 속, 네오세이울루스(Neoseiulus) 속, 암블리드로말루스(Amblydromalus) 속, 티플로드로말루스(Typhlodromalus) 속, 티플로드로밉스(Typhlodromips) 속 또는 피토세이울루스(Phytoseiulus) 속으로부터 선택되는 속에 속하는 종인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응애 종이 암블리세이우스 스위르스키이, 암블리세이우스 아에리알리스, 암블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네오세이울루스 바르케리, 네오세이울루스 칼리포르니쿠스, 네오세이울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울루스 팔라시스, 티플로드로밉스 몬트도렌시스 또는 암블리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7. (i)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고,
    (ii) 응애 집단의 개체가 먹이원을 먹도록 허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응애 종의 집단을 사육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작물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를 위한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담은 용기를 포함하는, 응애 종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 장치.
  10. 삭제
  11. 기장(millet) 종으로부터 유래된 겉껍질을 포함하는 적층된 담체 요소를 포함하는 담체 물질로서, 여기서 기장 종으로부터 유래된 겉껍질은 응애 개체에 대한 대피처를 포함하는 것인 담체 물질을, 피토세이이드(Phytoseiid) 응애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식성 응애 종의 집단의 사육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대피처가, 담체 요소의 담체 물질이 응애 개체를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의 환경으로부터 직교 또는 반전된 관계를 갖는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보호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기장 종으로부터의 겉껍질로부터 유래된 담체 요소가 진주 기장(Pearl millet), 조(Foxtail millet), 프로소 기장(Proso millet), 브룸 콘 기장(broom corn millet), 돼지 기장(hog millet), 손가락 기장(Finger millet), 인도 피(Indian barnyard millet), 일본 피(Japanese barnyard millet), 코도 기장(Kodo millet), 리틀 기장(Little millet), 기니 기장(Guinea millet), 브라운탑 기장(Browntop millet), 테프(Teff), 포니오(fonio), 소르굼(sorghum), 또는 율무(Job's Tears)로부터 선택되는 기장 종으로부터인 것인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피토세이이드 응애 종이 암블리세이우스(Amblyseius) 속, 유세이우스(Euseius) 속, 네오세이울루스(Neoseiulus) 속, 암블리드로말루스(Amblydromalus) 속, 티플로드로말루스(Typhlodromalus) 속, 티플로드로밉스(Typhlodromips) 속 또는 피토세이울루스(Phytoseiulus) 속으로부터 선택되는 속에 속하는 종인 것인 방법.
KR1020147021659A 2012-01-04 2012-10-23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KR102224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3150P 2012-01-04 2012-01-04
US61/583,150 2012-01-04
PCT/NL2012/050737 WO2013103295A1 (en) 2012-01-04 2012-10-23 Mite composition, carrier, method for rearing mites and uses related there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00A KR20140111000A (ko) 2014-09-17
KR102224450B1 true KR102224450B1 (ko) 2021-03-09

Family

ID=4714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659A KR102224450B1 (ko) 2012-01-04 2012-10-23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20150000600A1 (ko)
EP (2) EP3165087B1 (ko)
JP (2) JP2015508289A (ko)
KR (1) KR102224450B1 (ko)
BR (1) BR112014016772B1 (ko)
CA (1) CA2860644A1 (ko)
DK (2) DK2800467T3 (ko)
ES (2) ES2587777T3 (ko)
HU (2) HUE051386T2 (ko)
IL (2) IL233525B (ko)
MA (1) MA35881B1 (ko)
MX (1) MX2014008297A (ko)
PL (2) PL2800467T3 (ko)
PT (2) PT3165087T (ko)
RU (1) RU2675521C2 (ko)
UA (1) UA116880C2 (ko)
WO (1) WO2013103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6103B1 (en) 2016-01-15 2017-08-02 Koppert Bv System for releasing beneficial mites and uses thereof.
CN106234310B (zh) * 2016-08-01 2019-04-09 河北省农林科学院旱作农业研究所 一种高效繁殖智利小植绥螨的方法
CN106386699B (zh) * 2016-08-26 2019-09-06 何亮 降低蚯蚓对粪料中镉元素吸收富集的养殖方法
CN106358877A (zh) * 2016-09-13 2017-02-01 广东省生物资源应用研究所 中华甲虫蒲螨在制备柑橘木虱生物防治制剂中的应用
US20190239539A1 (en) 2016-10-07 2019-08-08 Cj Cheiljedang Corporation Allulose-containing carbonated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19017776A1 (en) 2017-07-16 2019-01-24 Koppert B.V. SYSTEM FOR RELEASING USEFUL MITES AND USES THEREOF
EP3527072A1 (en) * 2018-02-14 2019-08-21 Agrobio S.L.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beneficial mites
FR3084562B1 (fr) * 2018-07-31 2021-04-02 Bioline France Systeme de lutte biologique comprenant des acariens predateurs dans un etui
BE1026685B1 (nl) 2018-10-05 2020-05-07 Biobest Group N V Mijten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kweken van mijten
NL2023756B1 (en) * 2019-09-03 2021-10-12 Bio Bee Sde Eliyahu Ltd Novel methods for rearing and controlled release of predatory mites
KR102284980B1 (ko) * 2019-09-05 2021-08-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적류의 지속 방사형 구조체
BE1027819B1 (nl) * 2019-12-04 2021-07-06 Biobest Group N V Mijten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kweken van mijten
WO2021133368A1 (ru) * 2019-12-23 2021-07-01 Ярослав Олегович ИВАНОВ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хищных клещей neoseiulus reductus
CN113711997B (zh) * 2021-10-12 2022-07-29 石河子大学 一种捕食螨的连续饲养装置及其饲养方法
BE1029947B1 (nl) 2021-11-23 2023-06-19 The Real Ipm Co Kenya Ltd Mijtsamenstellingen en werkwijzen voor het voeden van mijten
BE1030252B1 (nl) 2021-12-08 2023-09-04 The Real Ipm Co Kenya Ltd Mijt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voeden van roofmijten
WO2023117121A1 (en) 2021-12-23 2023-06-29 Biobest Group N.V. Mi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aring mites
BE1030324B1 (nl) 2022-03-08 2023-10-09 Biobest Group N V Mijt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voeden van roofmijten
WO2023228185A1 (en) * 2022-05-24 2023-11-30 BioBee Sde Eliyahu Ltd. Apparatus for extended releas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991A (en) 1995-12-04 1998-07-2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rearing or transporting entomophagous insec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797806A1 (en) * 1988-05-26 1993-02-28 Proizv Ob Agropribor N Device for propagation of ticks on free-flowing feed substrate
FR2746259B1 (fr) * 1996-03-21 1998-05-15 Biotop Procede d'elevage et de conditionnement d'auxiliaires pour la lutte biologique contre les ravageurs des plantes
RU2201080C2 (ru) * 2001-05-03 2003-03-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селекцион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адоводства и питомниководства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садовых культур
GB2393890B (en) * 2004-02-17 2004-08-25 Syngenta Bioline Ltd 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l insects or mites
US7051672B2 (en) * 2004-02-17 2006-05-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l insects or mites
KR101517309B1 (ko) 2004-12-31 2015-05-04 코퍼트 비.브이.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 방법,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를 사육하는 사육 시스템 및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AP2517A (en) 2004-12-31 2012-11-27 Koppert Bv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the phytoseiid predatory mite amblyseius SWIRSKII,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mite a 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AP2977A (en) 2005-12-29 2014-09-30 Koppert Bv Mite composition comprising glycyphagidae and phyt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oseiid mites,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GB0615358D0 (en) 2006-08-02 2006-09-13 Syngenta Biolin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GB0703672D0 (en) 2007-02-26 2007-04-04 Biolog Crop Prot Ltd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mite, rearing system, use of the composition in biological pest control, and method of biological pest
ES2345594B1 (es) 2009-03-26 2011-07-13 Agrocontrol 2007, S.L Composicion de acaros, procedimiento para la cria de los mismos y utilizacion de dicha composicion en programas de control biologico.
KR20100029683A (ko) * 2009-03-31 2010-03-17 주식회사 나비스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DE102010033048A1 (de) 2010-08-02 2012-02-02 Katz Biotech Ag Verwendung eines mikroverkapselten Nahrungssubstrats
KR101658853B1 (ko) 2010-10-29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가입자를 위한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2819547C (en) * 2010-12-12 2019-04-3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Colonies of insects resistant to plants expressing insecticidal toxins
JP5271363B2 (ja) * 2011-01-06 2013-08-21 コッパート・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ダニ構成物、その使用、捕食性カブリダニAmblyseiusswirskiiを飼育するための方法、前記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飼育システム、および作物に対する生物的害虫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991A (en) 1995-12-04 1998-07-2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rearing or transporting entomophagous ins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800467T (pt) 2016-10-12
JP2015508289A (ja) 2015-03-19
UA116880C2 (uk) 2018-05-25
HUE030450T2 (en) 2017-05-29
EP3165087A1 (en) 2017-05-10
MA35881B1 (fr) 2014-12-01
DK2800467T3 (en) 2016-10-03
JP6538135B2 (ja) 2019-07-03
CA2860644A1 (en) 2013-07-11
IL268898A (en) 2019-10-31
DK3165087T3 (da) 2020-10-12
RU2675521C2 (ru) 2018-12-19
US20210092960A1 (en) 2021-04-01
BR112014016772A8 (pt) 2017-07-04
JP2018019713A (ja) 2018-02-08
PT3165087T (pt) 2020-10-26
EP2800467B1 (en) 2016-06-29
MX2014008297A (es) 2016-04-18
BR112014016772B1 (pt) 2019-04-24
EP2800467A1 (en) 2014-11-12
US20150000600A1 (en) 2015-01-01
IL233525B (en) 2019-09-26
PL2800467T3 (pl) 2017-01-31
EP3165087B1 (en) 2020-07-22
PL3165087T3 (pl) 2021-01-11
BR112014016772A2 (pt) 2017-06-13
RU2014131953A (ru) 2016-02-27
ES2587777T3 (es) 2016-10-26
HUE051386T2 (hu) 2021-03-01
KR20140111000A (ko) 2014-09-17
US20230380426A1 (en) 2023-11-30
IL233525A0 (en) 2014-08-31
WO2013103295A1 (en) 2013-07-11
ES2825721T3 (es) 2021-05-17
IL268898B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450B1 (ko)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KR102092754B1 (ko) 포식성 응애 및 진균 감소제와 접촉된 고정화된 먹이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 및 용도
CA2658292C (en) A method of rearing amblyseius predatory mites using thyreophagus entomophagus as prey
KR101014095B1 (ko)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인지중해이리응애의 사육 방법, 상기 이리응애를 사육하는사육 시스템 및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KR20140135988A (ko) 고기진드기 및 이리응애를 포함하는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 방법, 포식성 이리응애를 사육하는 사육 시스템 및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