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683A -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 Google Patents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683A
KR20100029683A KR1020090027599A KR20090027599A KR20100029683A KR 20100029683 A KR20100029683 A KR 20100029683A KR 1020090027599 A KR1020090027599 A KR 1020090027599A KR 20090027599 A KR20090027599 A KR 20090027599A KR 20100029683 A KR20100029683 A KR 2010002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datory mite
predatory
crop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렬
김지원
권혜진
강성영
이건형
권기면
김성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비스
Priority to KR102009002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9683A/ko
Publication of KR2010002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3면 이상이 실링된 봉지 타입이고, 작물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포식성 응애의 방사를 위한 방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실링된 3면 중 어느 1면에 형성되고, 실링면의 일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절개선; 및 상기 제 1 절개선의 단부와 연결되고, 접힐 수 있도록 제 2 절개선에 의해 한정되어 일측이 실링된 면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리부가 실링된 면에 연결되어 형성되어서 응력이나 전단력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고정수단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고,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가 흔들릴 때 고리부가 작물체의 가지를 압착하여 제 1 절개선을 따라 작물체의 가지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응애, 분배용기

Description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A vessel of distribution for predatory mites}
본 발명은 농업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류 소포장 정량분배 방사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정수단의 강성을 향상시킨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해충 방제는 주로 화학적 작물 보호제에 의존하여 왔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부작용, 인축의 피해, 해충의 저항성 발현, 잠재 해충의 주요 해충화, 농작물의 경쟁력 약화 등의 많은 부작용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부작용 때문에, 이러한 화학적 작물보호제의 사용이 지양되고 있고, 이에 따른 새로운 해충 방제법이 요구되고 있다.
포식성 응애 (predatory mites)는 이리응애과 (Phytoseiidae)에 속하는 생물로, 생태계에 존재하고 있으며, 작물에 서식하면서 여러 농림 해충을 포식한다. 예를 들어, 오이이리응애는 식식성 응애류 해충의 알과 어린 약충, 총채벌레류 해충의 어린 약충을 포식하고, 칠레이리응애는 식식성 응애류 해충을 포식하여, 그 활용성이 높은 대표적인 천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국민 생활의 질적 향상으로 인한 농산물을 비롯한 여러 식품 에 대한 안전과 환경 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증대, 농산물 수입으로 인한 국내 생산 농산물의 경쟁력 향상 요청, 외래 해충에 대한 효과적인 농약의 부재, 화학적 작물보호제의 남용으로 인한 저항성 해충 출현 및 농민 건강악화 등의 현안 문제에 현명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제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방제법으로 천적을 이용한 방제법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포식성 응애류는 이미 자연 생태계에서 해충을 먹이로 공존해 왔을 뿐만 아니라, 작물과 사람을 비롯한 유용 생물에 대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상기 천적을 이용한 방제법의 천적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식성 응애를 작물체에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분배시키기 위한 용기와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이 향상되고, 분배용기가 작물체의 가지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고정수단을 가지는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3면 이상이 실링된 봉지 타입이고, 작물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포식성 응애의 방사를 위한 방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실링된 3면 중 어느 1면에 형성되고, 실링면의 일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절개선; 및 상기 제 1 절개선의 단부와 연결되고, 접힐 수 있도록 제 2 절개선에 의해 한정되어 일측이 실링된 면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는 일측이 막힌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실링된 면의 폭은 3cm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내부면 또는 내외부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되고 가로 5cm 내지 10cm, 세로 6cm 내지 15cm의 크기를 갖는 종이 봉지 또는 섬유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에 따르면, 접힐 수 있도록 제 2 절개선에 의해 한정되어 일측이 실링된 면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고리부가 실링된 면에 형성이 되는 경우 실링된 면의 두께는 다른 면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응력이나 전단력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고정수단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한다.
또한, 고리부가 완전히 절취되지 않고 실링된 면과 일측이 연결되므로 작물체의 가지에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가 고정될 때에 고리부가 작물체의 가지를 압착하게 되고, 따라서 바람 등에 의해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가 흔들리거나 제 1 절개선이 벌어지더라도 고리부에 작물체의 가지가 걸려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가 작물체의 가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 의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가 작물체의 가지에 걸려있는 상태를 보여주 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는 3면 이상이 실링된 봉지 타입이고, 작물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포식성 응애의 방사를 위한 방사구(14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포식성 응애를 불리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외부의 높은 수분, 물리적 충격, 직사광선 또는 온도 변화에 견디기 위하여, 내부면 또는 내외부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되고 3면 이상이 실링된 종이 봉지 또는 섬유 봉지 등의 봉지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재질로서 사용 가능한 종이류에는 신문용지, 백상지, 중질지 등의 일반 인쇄용지와 크라프트지를 포함하는 포장용지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재질로서 사용 가능한 섬유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의 내부 또는 내외부면을 코팅하는 합성수지는 코팅층에 높은 습도에 대한 저항력과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고, 예컨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lyester, PS(Polystyrene), 파라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가로 5cm 내지 10cm, 세로 6cm 내지 15cm인 것이 작물체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용기는 포식성 응애의 방사를 위하여 적어도 일면 이상에 하나 방사 구(140)를 포함하며, 효과적이면서 지속적인 포식성 응애의 방사를 위하여, 상기 방사구의 모양에는 제한이 없고, 직경은 1mm 내지 5mm이며, 개수는 한 개 내지 5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구(140)는 하부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위치 가능하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방사된 포식성 응애가 작물체에 도달하기 전에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용기 길이 기준으로 절반 이상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에는 포식성 응애의 대체 먹이가 저장된다.
상기 용기에 담기는 상기 포식성 응애의 예로는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 나팔이리응애(Amblyseius barkeri), 사막이리응애(Amblyseius californicus),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팔라시스이리응애(Amblyseius fallacis),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포식성 응애는 알, 유충, 전약충, 후약충, 성충 단계의 생활사를 가지며, 이 중에서 해충을 포식할 수 있는 단계는 알 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이다.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대체 먹이는 포식성 응애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모든 영양물질, 알, 유충, 성충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 및 설탕응애(Carpoglyphus lacti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체 먹이의 사용량은 구조체에 포함된 포식성 응애의 수와 소망하는 지속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며, 대체적으로 구조체당 5 mL내지 50 mL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용기에는 작물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고정 수단을 추가로 부착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실링된 3면 중 어느 1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실링된 면의 폭은 3cm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고정수단의 강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 1 절개선(110)과, 고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개선(110)은 실링면의 일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선(110)은 고리부(130)에 걸린 작물체의 가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리부에서 수평방향보다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절개선(110)은 본 실시예에서 도 1과 같이 직선으로 도시하였지만, 직선 또는 곡선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상기 제 1 절개선(110)은 작물체의 가지에 상기 고리부(130)를 걸 때에 상기 제 1 절개선(110)이 벌어지며 작물체의 가지가 상기 고리부(130)쪽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리부(130)는 상기 제 1 절개선(110)의 단부와 연결되고, 접힐 수 있도록 제 2 절개선(120)에 의해 한정되어 일측이 실링된 면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고리부(130)에 작물체의 가지가 걸리는 경우 상기 고리부(130)는 접히면서 작물체의 가지를 압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130)은 일측이 막힌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개선(110)과 제 2 절개선(120)은 최초 성형 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차후에 절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모양이고, 제 2 절개선(120)의해 원형의 1/2 내지 2/3 정도 절개하여 상기 고리부(130)의 일측이 실링된 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130)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작물체의 가지 등에 끼워지도록 지름 1c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절개선(110)을 벌리고 고리부(130)에 작물체의 가지를 위치시켜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100)를 작물체의 가지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리부(130)가 실링된 면에 형성이 되는 경우 실링된 면의 두께는 다른 면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응력이나 전단력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고정수단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한다.
또한, 고리부(130)가 완전히 절취되지 않고 실링된 면과 일측이 연결되므로 작물체의 가지에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100)가 고정될 때에 고리부(130)가 작물체의 가지를 압착하게 되고, 따라서 바람 등에 의해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100)가 흔들리거나 제 1 절개선(110)이 벌어지더라도 고리부(130)에 작물체의 가지가 걸려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100)가 작물체의 가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 의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가 작물체의 가지에 걸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0: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110: 제 1 절개선
120: 제 2 절개선 130: 고리부
140: 방사구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3면 이상이 실링된 봉지 타입이고, 작물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포식성 응애의 방사를 위한 방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실링된 3면 중 어느 1면에 형성되고,
    실링면의 일단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절개선; 및
    상기 제 1 절개선의 단부와 연결되고, 접힐 수 있도록 제 2 절개선에 의해 한정되어 일측이 실링된 면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일측이 막힌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실링된 면의 폭은 3cm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면 또는 내외부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되고 가로 5cm 내지 10cm, 세로 6cm 내지 15cm의 크기를 갖는 종이 봉지 또는 섬유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KR1020090027599A 2009-03-31 2009-03-31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KR20100029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99A KR20100029683A (ko) 2009-03-31 2009-03-31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99A KR20100029683A (ko) 2009-03-31 2009-03-31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83A true KR20100029683A (ko) 2010-03-17

Family

ID=4217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599A KR20100029683A (ko) 2009-03-31 2009-03-31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96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0649A (zh) * 2014-05-10 2014-07-30 福建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同时存、运、释放天敌多靶标控制害虫害螨的方法
KR20140111000A (ko) * 2012-01-04 2014-09-17 코퍼트 비.브이.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CN109699593A (zh) * 2019-03-14 2019-05-03 山西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果树害螨的饲养装置及使用方法
KR20210028930A (ko) 2019-09-05 2021-03-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적류의 지속 방사형 구조체
KR102626445B1 (ko) * 2022-07-26 2024-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식성 응애류 사육을 위한 사육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000A (ko) * 2012-01-04 2014-09-17 코퍼트 비.브이. 응애 조성물, 담체, 응애의 사육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용도
CN103950649A (zh) * 2014-05-10 2014-07-30 福建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同时存、运、释放天敌多靶标控制害虫害螨的方法
CN103950649B (zh) * 2014-05-10 2015-12-09 福建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同时存、运、释放天敌多靶标控制害虫害螨的方法
CN109699593A (zh) * 2019-03-14 2019-05-03 山西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果树害螨的饲养装置及使用方法
CN109699593B (zh) * 2019-03-14 2024-02-13 山西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果树害螨的饲养装置及使用方法
KR20210028930A (ko) 2019-09-05 2021-03-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적류의 지속 방사형 구조체
KR102626445B1 (ko) * 2022-07-26 2024-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식성 응애류 사육을 위한 사육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977B1 (ko)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KR101634678B1 (ko)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
KR20100029683A (ko) 포식성 응애 분배용기
BR112017020109B1 (pt) Instalação para criação de inseto
JP2007014232A (ja) 昆虫の羽化交尾促進方法及び装置
KR100732601B1 (ko)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의 장기 지속 방사용 구조체, 및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Jhansi et al. Potential toxicity of selected insecticides to rice leafhoppers and planthoppers and their important natural enemies
TW508212B (en) Creature transporting container
US5470001A (en) Jars for carrying fisherman&#39;s bait and support member for the jars
US5133290A (en) Transportation container for laboratory animals
CN105028334A (zh) 一种用于捕食性天敌蠋蝽规模化饲养的养虫笼及其饲养方法
JP6068450B2 (ja) シェルター、並びに、該シェルターを用いた天敵の飼育及び輸送方法
US44412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racting useful insects
JP2006271307A (ja) 天敵昆虫の放飼方法、運搬増殖方法及び運搬増殖装置
CN213153547U (zh) 一种用于蠋蝽人工繁殖的饲养装置
KR100426462B1 (ko) 애꽃노린재류의 먹이 사육방법 및 장치
CN105165800B (zh) 寄生蜂类天敌释放装置及寄生蜂类天敌持续释放方法
WO2018178870A1 (es) Metodo para criar y seleccionar pupas de encarsia formosa y amitus fuscipennis y metodo para controlar la mosca blanca en cultivos de tomate de invernadero
CN204742254U (zh) 一种用于捕食性天敌蠋蝽规模化饲养的养虫笼
CN204056777U (zh) 异色瓢虫成虫的包装容器
KR102284980B1 (ko) 천적류의 지속 방사형 구조체
KR20140019104A (ko)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CN213603897U (zh) 一种用于异色瓢虫的饲养装置
Munoz Cardenas What lies beneath?
KR20200127548A (ko) 동애등에의 유화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