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130B1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130B1
KR102090130B1 KR1020130096759A KR20130096759A KR102090130B1 KR 102090130 B1 KR102090130 B1 KR 102090130B1 KR 1020130096759 A KR1020130096759 A KR 1020130096759A KR 20130096759 A KR20130096759 A KR 20130096759A KR 102090130 B1 KR102090130 B1 KR 10209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arm
engaging
temporary
ja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657A (ko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1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탄성아암(12)과 상기 탄성아암(12)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2몸체(20)에 형성된 걸림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아암(12)의 선단에는 상기 제2몸체(20)를 향해 결합턱(14)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턱(14)에는 완전결합면(15)이 형성되는 단부돌기(14')와 공구의 삽입을 위한 분리형 홈부(18)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돌기(14')의 일측에는 상기 제2몸체(20)에 걸어지는 완전결합면(1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2)에는 상기 결합턱(14)의 단부돌기(14')가 걸어지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턱(23)의 일측에는 완전결합상태에서 상기 결합턱(14)의 단부돌기(14')가 위치되는 완전결합홈(26)이 있고, 타측에는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결합턱(14)의 단부돌기(14')가 위치되는 임시결합홈(2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장치에 의해 2개의 부품이 완전결합상태와 임시결합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면서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체결장치{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된 부품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되는 부품들은 서로의 결합을 위해서 탄성변형을 활용한 체결장치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 박스에서 메인몸체와 박스커버를 결합하기 위해서 일측에는 탄성변형되는 탄성아암을 두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아암이 걸어지는 걸림턱을 두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잘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체결장치는 자동차용 박스와 같은 경우에는 다수 곳에 두어 메인몸체와 박스커버를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는 박스의 경우 메인몸체와 박스커버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다수 곳에서 결합을 하여야 이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차용 박스에서는 상기 탄성아암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다수 곳의 탄성아암을 차례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 걸림턱에서 분리된 탄성아암이 다시 걸림턱에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다수 곳에 있는 탄성아암을 차례로 걸림턱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몸체와 박스커버가 움직이면서 이미 분리되었던 탄성아암이 걸림턱에 다시 결합된다는 점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08-0007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탄성아암과 상기 탄성아암이 걸어지는 걸림부가 임시결합상태 또는 완전결합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탄성아암이 걸림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에 상기 제2몸체에 걸어지는 단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돌기에는 기저부를 향해 완전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완전결합면의 반대쪽인 단부돌기의 선단에는 임시걸이리브가 형성되는 탄성아암과,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턱이 안착되는 완전결합홈과 임시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전결합홈과 임시결합홈의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돌기가 걸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완전결합홈에 안착되면서 상기 걸림부의 걸림턱에 걸어져 완전결합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임시결합홈에 안착되면서 상기 단부돌기의 임시걸이리브가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임시결합상태가 되며, 상기 단부돌기는 상기 결합턱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부돌기의 사이에 해당되는 결합턱에는 분리용 홈부가 형성되어 탄성아암을 제2몸체에서 분리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된다.
삭제
상기 분리용 홈부의 입구에 해당되는 상기 결합턱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용 홈부로 공구의 삽입을 안내한다.
상기 분리용 홈부에 대응되는 상기 걸림부의 걸림턱 사이에는 절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임시걸이리브는 상기 결합턱의 단부돌기에 형성된 단차경사면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임시걸이리브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아암은 상기 제1몸체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몸체의 외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탄성아암과 걸림부가 완전결합상태와 임시결합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탄성아암과 걸림부가 형성되는 2개의 부품이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되어 결합되고, 완전결합상태에서 임시결합상태로 되었다가 완전히 분리되는 상태로 되므로 특히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탄성아암의 선단 중간부를 일부 제거하여 리워크 구조를 두었으므로 탄성아암을 걸림부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탄성아암의 탄성변형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체결장치에 의해 2개의 부품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적용된 박스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탄성아암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걸림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체결장치의 임시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체결장치의 완전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는 자동차의 박스에 체결장치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든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에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있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서로 결합되어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몸체(10)에는 탄성아암(12)이 있고, 상기 제2몸체(20)에는 상기 탄성아암(12)이 결합되는 걸림부(22)가 있다.
상기 탄성아암(12)은 상기 제1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몸체(10)의 측벽(11)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아암(12)은 상기 측벽(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된다. 즉, 상기 탄성아암(12)과 측벽(11)의 사이에는 절결부(11')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아암(12)이 측벽(11)과 분리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아암(12)은 외팔보 형상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그 횡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탄성아암(12)의 선단에는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결합턱(14)이 있다. 상기 결합턱(14)은 상기 제2몸체(20)의 걸림부(2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턱(14)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탄성아암(12)의 선단 폭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14)의 양단에는 결합턱(14)의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어 단부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턱(14)의 양단에 하나씩 2개의 단부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턱(14)에는 완전결합면(15)이 있다. 상기 완전결합면(15)은 상기 탄성아암(12)의 길이방향으로 기저부쪽을 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완전결합면(15)은 상기 결합턱(14)의 양단부에 있는 단부돌기(14')의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14)의 양단에 더 돌출되어 형성된 완전결합면(15)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2몸체(20)측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턱(14)의 단부돌기(14')에는 탄성아암(12)의 선단에서 시작해서 단차경사면(16)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경사면(16)은 상기 탄성암(12)의 선단에서 시작해서 한번의 단차가 있고, 그 단차를 지난 후에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단차경사면(16)의 끝부분에는 임시걸이리브(1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임시걸이리브(17)는 상기 단차경사면(16)의 존재 때문에 상기 탄성아암(12)의 끝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상기 임시걸이리브(17)는 아래에서 설명될 임시결합면(2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임시걸이리브(17)는 외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고, 특히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되어 있어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임시결합면(28')을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턱(14)에는 또한 분리용 홈부(18)가 있다. 상기 분리용 홈부(18)는 상기 단부돌기(14')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아암(12)을 제2몸체(20)에서 분리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분리용 홈부(18)의 입구측, 즉 상기 탄성아암(12)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19)은 상기 분리용 홈부(18)로 공구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몸체(20)중 상기 제1몸체(10)의 탄성아암(1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2)는 상기 제2몸체(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22)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은 상기 탄성아암(12)의 결합턱(14)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림턱(23)이 상기 제2몸체(20)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몸체(10)의 내면과 제2몸체(20)의 외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아암(12)이 제1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23)은 절결홈(24)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2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걸림부(22)의 양단에 각각 걸림턱(23)이 형성되도록 된다. 이는 탄성아암(12)의 결합턱(14) 양단에 단부돌기(14')가 형성되는 것과 대응되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턱(23)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완전결합홈(26)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임시결합홈(28)이 형성된다. 상기 완전결합홈(26)의 일측 내면이 되는 상기 걸림턱(23)의 외면은 완전결합면(26')이 되는데, 상기 완전결합면(26')은 상기 탄성아암(12)의 완전결합면(15)이 완전결합상태에서 걸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완전결합홈(26)의 깊이는 상기 탄성아암(12)의 결합턱(14)이 돌출된 정도와 같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임시결합홈(28)의 일측 내면이 되는 상기 걸림턱(23)의 외면은 임시결합면(28')이 되는데, 상기 임시결합면(28')은 상기 탄성아암(12)의 임시걸이리브(17)가 임시결합상태에서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의 탄성아암(1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아암(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부(22)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완전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도 6에 도시된 임시결합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를 통해 상기 제2몸체(20)의 내부에 터미널 등 필요한 부품을 삽입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필요한 작업이 모두 마쳐지고 나면,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상기 제1몸체(10)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되어, 상기 탄성아암(12)의 완전결합면(15)이 상기 걸림부(22)의 완전결합면(26')에 결합되도록 된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아암(12)의 임시걸이리브(17)가 상기 걸림부(22)의 걸림턱(23)중 임시결합면(28')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아암(12)이 상기 제1몸체(10)의 외면으로 선단이 약간 돌출되게 탄성변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10)를 제2몸체(20)에 대해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면 상기 임시걸이리브(17)가 상기 임시결합면(28')을 빠져나오도록 탄성아암(12)이 탄성변형되고, 제1몸체(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아암(12)의 단부돌기(14')는 상기 걸림턱(23)의 외면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탄성아암(12)의 단부돌기(14')가 상기 걸림턱(23)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다가 걸림턱(23)의 끝부분인 상기 완전결합면(26')측에 오게 되면, 상기 탄성아암(12)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결합턱(14)은 상기 완전결합홈(26)에 안착되고, 상기 단부돌기(14')의 완전결합면(15)이 상기 걸림턱(23)의 완전결합면(26')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완전 결합상태이다. 상기 탄성아암(12)들이 모두 상기 걸림부(22)에 걸어지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완전결합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공구를 상기 분리용 홈부(18)로 삽입한다. 상기 공구는 상기 안내경사면(19)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걸림부(22)의 절결홈(24)을 통해 상기 걸림턱(23)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상기 공구의 끝부분이 상기 임시결합홈(28)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구를 지렛대와 같이 동작시키면, 상기 탄성아암(12)이 걸림부(22)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공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몸체(10)는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분리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고, 상기 제1몸체(10)와 함께 이동된 탄성아암(12)의 결합턱(14)은 상기 임시결합홈(28)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결합턱(14)이 상기 임시결합홈(28)에 들어가면 상기 결합턱(14)의 단부돌기(14') 선단에 있는 임시걸이리브(17)가 상기 걸림부(22)의 걸림턱(23)에 형성된 임시결합면(28')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공구의 조작을 각각의 탄성아암(12)에 대해서 하게 되면, 모든 탄성아암(12)들의 임시걸이리브(17)가 상기 임시결합면(28')에 걸어지게 되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결합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제1몸체(10)를 제2몸체(2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분리용 홈부(18)가 상기 탄성아암(12)의 결합턱(14)의 폭방향 중간에 있으나, 상기 결합턱(14)의 단부돌기(14')가 중앙에 있고 양측에 상기 분리용 홈부(18)가 있을 수도 있다.
10: 제1몸체 11: 측벽
11': 절결부 12: 탄성아암
14: 결합턱 14': 단부돌기
15: 완전결합면 16: 단차경사면
17: 임시걸이리브 18: 분리용 홈부
19: 안내경사면 20: 제2몸체
22: 걸림부 23: 걸림턱
24: 절결홈 26: 완전결합홈
26': 완전결합면 28: 임시결합홈
28': 임시결합면

Claims (6)

  1.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에 상기 제2몸체에 걸어지는 단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돌기에는 기저부를 향해 완전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완전결합면의 반대쪽인 단부돌기의 선단에는 임시걸이리브가 형성되는 탄성아암과,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턱이 안착되는 완전결합홈과 임시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전결합홈과 임시결합홈의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돌기가 걸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완전결합홈에 안착되면서 상기 걸림부의 걸림턱에 걸어져 완전결합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임시결합홈에 안착되면서 상기 단부돌기의 임시걸이리브가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임시결합상태가 되며,
    상기 단부돌기는 상기 결합턱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부돌기의 사이에 해당되는 결합턱에는 분리용 홈부가 형성되어 탄성아암을 제2몸체에서 분리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체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홈부의 입구에 해당되는 상기 결합턱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용 홈부로 공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홈부에 대응되는 상기 걸림부의 걸림턱 사이에는 절결홈이 형성되는 체결장치.
  5.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걸이리브는 상기 결합턱의 단부돌기에 형성된 단차경사면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임시걸이리브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체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은 상기 제1몸체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체결장치.
KR1020130096759A 2013-08-14 2013-08-14 체결장치 KR10209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59A KR102090130B1 (ko) 2013-08-14 2013-08-14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59A KR102090130B1 (ko) 2013-08-14 2013-08-14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657A KR20150019657A (ko) 2015-02-25
KR102090130B1 true KR102090130B1 (ko) 2020-03-17

Family

ID=5257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759A KR102090130B1 (ko) 2013-08-14 2013-08-14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15B1 (ko) * 2015-07-16 2016-09-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216Y1 (ko) * 2007-11-01 2009-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729U (ko) 2006-10-24 2008-04-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커버의 체결구조
KR101787068B1 (ko) * 2011-07-13 2017-10-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와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216Y1 (ko) * 2007-11-01 2009-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657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8398B2 (ja) コネクタ
JP6116396B2 (ja) 取付具
KR101740170B1 (ko) 커넥터
EP2996208A1 (en) Connector
JP2014509443A (ja) 電気的な接続装置用の金属部品
JP6194539B2 (ja) 防水コネクタおよび防水コネクタ装置
JP4100255B2 (ja) コネクタ
JP2016072170A (ja) コネクタホルダ
JP4423266B2 (ja) グロメット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KR102090130B1 (ko) 체결장치
JP2019091560A5 (ko)
JP6249694B2 (ja) 部品取り外し治具
JP5990330B2 (ja) コネクタ
JP2008169945A (ja) クリップ
KR102119649B1 (ko) 차량용 박스
EP3139451A1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6598128B2 (ja) 部品取付具
JP200518334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2330337B1 (ko) 와이어 커넥터장치
JP2017216049A (ja) 本体ケース、端子装置、スイッチ装置および制御装置
KR2012002240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KR200487873Y1 (ko) 자동차용 블럭
JP2009042767A (ja) 抜き治具付きプラグ
JP4432790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