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16Y1 - 후크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후크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16Y1
KR200444216Y1 KR2020070017696U KR20070017696U KR200444216Y1 KR 200444216 Y1 KR200444216 Y1 KR 200444216Y1 KR 2020070017696 U KR2020070017696 U KR 2020070017696U KR 20070017696 U KR20070017696 U KR 20070017696U KR 200444216 Y1 KR200444216 Y1 KR 200444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wer cover
cassette block
contact surf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는 하부커버(30)와; 상기 하부커버(30)에 지지되고 터미널(61)이 설치되는 메인몸체(60)와; 상기 메인몸체(60)와 하부커버(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에 결합되는 상대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50)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몸체(60)를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커버(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카세트블록(40)과; 상기 하부커버(30)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블록(4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1걸이턱(38b)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턱(38b)에는 제1걸이접촉면(38c)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후크(38)와; 상기 카세트블록(40)에 구비되고, 상기 제1걸이턱(38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걸이턱(48b)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이턱(48b)에는 제1걸이접촉면(38c)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걸이접촉면(48c)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걸이턱(48b)이 형성된 면의 타측에는 보강리브(48d)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후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에 의하면, 후크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작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되고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후크, 걸이접촉면, 보강리브, 경사면, 정션박스

Description

후크결합장치{Hook joining device}
본 고안은 후크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개의 휴즈, 릴레이 및 전자 부품 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정션박스에서 커넥터가 안착되는 카세트블록을 하부커버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정션박스의 후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크결합장치는 사출성형되는 몰드물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데, 이는 볼트나 너트를 이용한 결합장치보다 분리가 쉬우므로 몰드물의 분리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후크결합장치는 제품의 조립과정에서 결합 및 분리가 일어나는 정션박스에서도 자주 사용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정션박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션박스의 내부에는 많은 휴즈와 릴레이 그리고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와이어가 정션박스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들은 정션박스 내부의 회로기판 등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부품들과 상기 와이어 사이의 연결을 위해 다수개의 커넥터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서 후크결합장치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커버(1)의 내부에는 안착공간(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1)의 측면을 관통해서는 다수개의 와이어통공부(3)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통공부(3)는 정션박스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공간(2)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대(4)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의 측면에는 상기 안착공간(2)을 향하여 제1후크(5)가 구비된다. 상기 제1후크(5)는 제1연결부(5a)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1)에 연결되며, 일단에는 제1걸이접촉면(5c)을 가진 제1걸이턱(5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접촉면(5c)은 제1후크(5)가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13)의 결합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걸이접촉면(5c)는 대략 90도의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제1후크(5)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아래에서 설명될 제2후크(12)가 걸어지거나 탈거될 때 탄성 변형된다.
상기 돌출대(4) 상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13)가 삽입되는 카세트블록(7)이 안착된다. 상기 카세트블록(7)에는 각각 두 개의 커넥터통공(9)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통공(9)의 사이에는 안착대(1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10)는 상 기 카세트블록(7)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체결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의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후크(5)에 대응되는 상기 카세트블록(7)의 측면에는 제2후크(12)가 상기 제1후크(5)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후크(5) 역시 제1후크(5)와 같이 제2연결부(12a)에 의해 상기 카세트블록(7)에 연결되고, 일단에는 제2걸이접촉면(5c)을 가진 제2걸이턱(12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접촉면(12c)은 상기 제1걸이접촉면(5c)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걸이접촉면(5c)과 제2걸이접촉면(12c)은 상기 카세트블록(7)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12) 역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 변형가능하나, 설계조건에 따라 제1후크(5)나 제2후크(12) 중 어느 하나만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커넥터통공(9)에 각각 하나의 커넥터(13)가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통공(9)에는 상기 커넥터(13)가 그 하부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13)는 그 외관이 상기 커넥터통공(9)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통공(9)의 내부에 안착 될 수 있다.
메인몸체(14)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6)와 상부몸체(17)의 사이에 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6)의 하부에는 상기 커넥터(13)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들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14)를 관통하여서는 체결구통공(18)이 형성된다.
체결구(19)는 상기 메인몸체(14)를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7)의 체결공(11)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9)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4)와 카세트블록(7) 및 커넥터(13)가 일체로 되고, 특히 상기 메인몸체(14)에 커넥터(13)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체결구(19)는 일반적인 볼트로서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는 상기 커넥터(13)가 결합된 카세트블록(7)이 상기 하부커버(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블록(7)은 상기 메인몸체(14)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체결구(19)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1)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몸체(14)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제1후크(5)와 제2후크(12)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이접촉면(5c)과 제2걸이접촉면(12c)이 상기 카세트블록(7)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카세트블록(7)을 상기 하부커버(1)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카세트블록(7)이 상기 하부커버(1)에서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원활하게 분리되는 후크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에 지지되고 터미널이 설치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에 결합되는 상대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몸체를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카세트블록과; 상기 하부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블록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1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턱에는 제1걸이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후크와; 상기 카세트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걸이턱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이턱에는 제1걸이접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걸이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걸이턱이 형성된 면의 타측에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걸이접촉면 및 제2걸이접촉면 각각은 상기 카세트블록이 상기 하부커버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그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두 개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후크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되는 동시에 후크의 일측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후크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구성이 측면도 및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커버(30)의 내부에는 안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30)의 측면을 관통해서는 다수개의 와이어통공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통공부(34)는 정션박스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커버(30)의 상단에는 상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 간(32)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안착공간(32)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대(36)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대(36)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카세트블록(40)의 하부와 안착공간(32)의 바닥면 사이에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대(36)의 상단에는 삽입가이드부(37)가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부(37)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착대(44)에 결합하여 카세트블록(40)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커버(30)의 내측에는 상기 안착공간(32)을 향하여 제1후크(38)가 구비된다. 상기 제1후크(38)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후크(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후크(48)에 걸어지거나 탈거될 때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제1연결부(38a)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3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후크(38)의 선단에는 제1걸이턱(38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턱(38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후크(48)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제1결합안내경사면(38b')과 제2후크(48)에 걸어지는 제1걸이접촉면(38c)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안내경사면(38b')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결합안내경사면(48b')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후크(48)가 상기 제1후크(38)에 결합될 때, 제1후크(38) 및 제2후크(48)가 탄성변형되는 동시에 그 결합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걸이접촉면(38c)은 카세트블록(40)이 상기 하부커버(30)에서 탈거되 어 이동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걸이접촉면(38c)은 일정한 결합력을 갖는 동시에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둔각을 갖는다.
상기 돌출대(36) 상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가 삽입되는 카세트블록(40)이 안착된다. 상기 카세트블록(40)에는 각각 두 개의 커넥터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통공(42)의 사이에는 안착대(4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44)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44)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체결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6)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68)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공(46)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인서트너트(47)가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너트(47)의 내부에는 체결구(68)의 나사부(74)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너트(47)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을 형성할 때 인서트몰딩에 의해 안착대(44)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공(46)의 중심과 상기 인서트너트(47)이 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상기 제1후크(38)에 대응되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측면에는 제2후크(48)가 상기 제1후크(38)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후크(48) 역시 제1후크(38)와 같이 제2연결부(48a)에 의해 상기 카세트블록(40)에 연결되고, 일단에는 제2결합안내경사면(48b')과 제2걸이접촉면(48c)을 가진 제2걸이턱(48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안내경사면(48b')은 상기 제1결합안내경사면(38b')에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안내경사면(48b')은 상기 제1결합안내경사면(38b')과 함께, 제2후크(48)의 결합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2걸이접촉면(48c)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블록(40)이 상기 하부커버(30)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걸이접촉면(48c)은 대응되는 상기 제1걸이접촉면(38c)과 평행한 둔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48) 역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 변형가능하나, 설계조건에 따라 제1후크(38)나 제2후크(48) 중 어느 하나만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후크(48)에는 보강리브(48d)가 상기 제2걸이턱(48b)의 돌출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리브(48d)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제2후크(48)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48d)는 제2걸이접촉면(48c)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약해지는 결합력을 보강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48d)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48)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보강리브(48d)는 상기 제2걸이턱(48b)에서 상기 제2연결부(48a)를 향하여 길게 연장된다.
상기 보강리브(48d)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보 강리브(48d)는 설계조건에 따라 제1후크(38)에 형성되거나 제1후크(38) 및 제2후크(48) 양쪽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통공(42)에는 각각 하나의 커넥터(50)가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통공(42)에는 상기 커넥터(50)가 그 하부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50)는 그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커넥터(5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커넥터통공(42)에 안착되어 카세트블록(40)과 일체로 된다.
상기 하부커버(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메인몸체(60)는 하부몸체(62)와 상부몸체(64)의 사이에 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62)의 하부에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0)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61)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60)를 관통하여서는 체결구통공(6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통공(66)은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카세트블록(40)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체결구(68)는 상기 메인몸체(60)를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체결공(46)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68)는 회전에 의해 상기 카세트블록(40)을 상기 메인몸체(60) 쪽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카세트블록(40)과 일체로 움직이는 커넥터(50)의 터미널이 상기 메인몸체(60)의 터미널(61)에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체결구(68)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60)와 카세트블록(40) 및 커넥터(50)가 일체로 되고, 특히 상 기 메인몸체(60)에 커넥터(50)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체결구(68)는 머리부(70)와 몸체부(72)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72)의 선단에 인접해서는 나사부(74)가 일정 구간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74)는 상기 인서트너트(47)와 상대 이동됨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60)와 카세트블록(40)이 서로 상대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결구(68)의 머리부(70)와 상기 체결구통공(66)의 사이에는 스프링와셔(76)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와셔(76)는 상기 체결구(68)가 상기 체결구통공(66)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와셔(7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구(68)의 나사부(74)는 상기 인서트너트(47)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후크결합장치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50)의 내부에는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는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인데,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커넥터통공(42)에 상기 카세트블록(4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카세트블록(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30)의 돌출부(22)에 장착시키고, 상기 메인몸체(60)를 상기 하부커버(30)에 안착시킨다. 이 때,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제2후크(48)는 상기 하부커버(30)의 제1후크(38)에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제1후크(38) 및 제2후크(48)의 걸이접촉면(38a,48a)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직각으로 형성된 것보다 지지력이 약해진 상태인데, 이는 보강리브(48d)에 의해 보강된다. 따라서, 후크결합구조는 상기 보강리브(48d)에 의해 충분한 결합력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몸체(60)의 체결구통공(66)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68)를 삽입한다. 상기 체결구(68)는 상기 체결구통공(66)을 통해 상기 메인몸체(60)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몸체(60) 하부에 있는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안착대(44)에 형성된 체결공(46)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46)에 삽입된 상기 체결구(68)의 나사부(74)가 상기 인서트너트(47)의 입구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68)를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나사부(74)가 상기 인서트너트(47)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체결구(68)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부(74)는 상기 인서트너트(47)의 암나사부를 따라 상대 이동한다.
상기 메인몸체(60)는 상기 하부커버(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세트블록(40)이 상기 메인몸체(60)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카세트블록(40)에 구비된 제2후크(48)는 제1후크(38)와 결합한 상태이고, 상기 카세트블록(4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걸이접촉면(48c)이 제1걸이접촉면(38c)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후크(48)가 상기 카세트블록(40)을 향해 밀려난다.
상기 제1걸이접촉면(38c) 및 제2걸이접촉면(48c)이 직각이 아닌 둔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카세트블록(40)은 작은 힘으로도 상기 하부커버(30)에서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후크(48)에는 보강리브(48d)가 형성되어 경사진 걸이접촉면(38c,48c)에 의해 약해진 결합력을 보강하기 때문에 체결력이 문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블록(40)의 이동은 상기 커넥터(50)의 이동을 만들어내고, 상기 커넥터(50)의 터미널에 상기 메인몸체(60)의 터미널(61)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후크결합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후크결합장치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하부커버 32: 안착공간
34: 와이어통공부 36: 돌출대
37: 삽입가이드부 38: 제1후크
38a: 제1연결부 38b: 제1걸이턱
38c: 제1걸이접촉면 40: 카세트블록
42: 커넥터통공 44: 안착대
46: 체결공 47: 인서트너트
48: 제2후크 48a: 제2연결부
48b: 제2걸이턱 48c: 제2걸이접촉면
48d: 보강리브 60: 메인몸체
61: 터미널 62: 하부몸체
64: 상부몸체 66: 체결구통공
68: 체결구 70: 머리부
72: 몸체부 74: 나사부
76: 스프링와셔

Claims (4)

  1.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에 지지되고 터미널이 설치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에 결합되는 상대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몸체를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카세트블록과;
    상기 하부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블록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1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턱에는 제1걸이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후크와;
    상기 카세트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걸이턱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이턱에는 제1걸이접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걸이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걸이턱이 형성된 면의 타측에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걸이접촉면 및 제2걸이접촉면 각각은 상기 카세트블록이 상기 하부커버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그 횡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두 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17696U 2007-11-01 2007-11-01 후크결합장치 KR200444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96U KR200444216Y1 (ko) 2007-11-01 2007-11-01 후크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96U KR200444216Y1 (ko) 2007-11-01 2007-11-01 후크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16Y1 true KR200444216Y1 (ko) 2009-04-22

Family

ID=4134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96U KR200444216Y1 (ko) 2007-11-01 2007-11-01 후크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657A (ko) * 2013-08-14 2015-02-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체결장치
US9846457B2 (en) 2014-04-24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218824A1 (ko) * 2019-04-25 2020-10-29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657A (ko) * 2013-08-14 2015-02-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체결장치
KR102090130B1 (ko) * 2013-08-14 2020-03-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체결장치
US9846457B2 (en) 2014-04-24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218824A1 (ko) * 2019-04-25 2020-10-29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KR20200125806A (ko) 2019-04-25 2020-11-05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KR102214591B1 (ko) * 2019-04-25 2021-02-15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998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EP2978289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1402647B1 (ko) 커넥터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4216Y1 (ko) 후크결합장치
KR100550296B1 (ko) 정션박스
US20080299812A1 (en) Connector
US10892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pressing pins pressing on a terminal fitting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JP5030225B2 (ja) 電気接続箱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JP649096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3929687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200410105Y1 (ko)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20100006922U (ko) 차량용 정션 박스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0444896Y1 (ko) 커넥터
US20110174514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673609B1 (ko) 조인트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
KR100748614B1 (ko) 퓨즈박스의 퓨즈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