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105Y1 -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05Y1
KR200410105Y1 KR2020050035651U KR20050035651U KR200410105Y1 KR 200410105 Y1 KR200410105 Y1 KR 200410105Y1 KR 2020050035651 U KR2020050035651 U KR 2020050035651U KR 20050035651 U KR20050035651 U KR 20050035651U KR 200410105 Y1 KR200410105 Y1 KR 200410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hole
cassette block
connecto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배
이정복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커버(20)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체결구통공(39)이 관통하여 형성된 배전반조립체(36)와, 상기 배전반조립체(36)와 하부커버(2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34)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구통공(39)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0)이 형성되는 카세트블록(26)과,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체결구통공(39)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체결공(30)에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블록(26)을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체결공(30)에 형성된 암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45)가 일부구간에 걸쳐서만 형성되는 체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에 의하면 정션박스에서 배전반조립체에 커넥터가 결합되고 나면, 체결구가 공회전되므로 체결구에 의한 체결력이 커넥터가 구비되는 카세트블록에 더 이상 전달되지 않아 카세트블록의 파손이 방지됨과 동시에 조립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체결구, 체결력, 나사부

Description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Over torque prevent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도 1은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체결구에 의해 배전반조립체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하부커버 22: 돌출부
24: 삽입가이드부 26: 카세트블록
28: 안착대 30: 체결공
32: 인서트너트 34: 커넥터
36: 배전반조립체 38: 터미널
40: 체결구 41: 머리부
43: 몸체부 45: 나사부
47: 스프링와셔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개의 휴즈, 릴레이 및 전자 부품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정션박스에서 부품들과의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배전반조립체에 결합될 때 오버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션박스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션박스의 내부에는 많은 휴즈와 릴레이 그리고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와이어가 정션박스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들은 정션박스 내부의 회로기판 등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부품들과 상기 와이어 사이의 연결을 위해 다수개의 커넥터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부커버(1)의 내부에는 안착공간(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1)의 측면을 관통해서는 다수개의 와이어통공부(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통공부(4)는 정션박스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커버(1)의 상단에는 상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2)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안착공간(2)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대(5)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 된다. 상기 돌출대(5)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카세트블록(7)의 하부와 안착공간(2)의 바닥면 사이에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카세트블록(7)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12)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카세트블록(7)에는 각각 2개의 커넥터통공(9)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통공(9)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안착대(1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10)는 상기 카세트블록(7)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10)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의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통공(9)에 각각 하나의 커넥터(12)가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통공(9)에는 상기 커넥터(12)가 그 하부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12)는 그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커넥터(12)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12)는 그 외관이 상기 커넥터통공(9)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통공(9)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배전반조립체(14)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6)와 상부몸체(17)의 사이에 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6)의 하부에는 상기 커넥터(12)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들이 구비된다. 상기 배전반조립체(14)를 관통하여서는 체결구통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통공(18)은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카세트블록(7)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체결구(19)는 상기 배전반조립체(14)를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7)의 체결공(11)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9)에 의해 상기 배전반조립체(14)와 카세트블록(7) 및 커넥터(12)가 일체로 되고, 특히 상기 배전반조립체(14)에 커넥터(12)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체결구(19)는 일반적인 볼트로서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션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체결구(19)가 상기 배전반조립체(14)의 체결구통공(18)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7)의 체결공(11)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카세트블록(7)에 안착된 커넥터(12)가 배전반조립체(14)의 커넥터와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구(19)를 죄어주는 정도는 주로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므로 상기 체결구(19)가 상기 체결공(11)에 지나치게 죄어져 상기 카세트블록(7)이 오버토크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션박스의 배전반조립체에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의 체결력이 커넥터의 결합이 완성되면 더 이상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부커버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체결구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배전반조립체와, 상기 배전반조립체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배전반조립체의 터미널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구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카세트블록과, 상기 배전반조립체의 체결구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블록을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블록의 체결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일부구간에 걸쳐서만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블록의 체결공은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통공의 사이에 해당되는 카세트블록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인서트너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는 머리부와 몸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선단 일부 구간에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의 머리부와 상기 배전반조립체의 체결구통공의 입구 사이에는 스프링와셔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에 상기 체결구통공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에 의하면 정션박스에서 배전반조립체에 커넥터가 결합되고 나면, 체결구가 공회전되므로 체결구에 의한 체결력이 커넥터가 구비되는 카세트블록에 더 이상 전달되지 않아 카세트블록의 파손이 방지됨과 동시에 조립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 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하부 외관을 구성하는 하부커버(20)의 바닥에는 돌출부(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카세트블록(26)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의 상단에는 삽입가이드부(24)가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카세트블록(26)에는 그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커넥터통공(27)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통공(27)은 상기 카세트블록(26)에 좌우로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통공(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34)가 안착된다.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중앙에는 안착대(2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대(28)는 상기 2개의 커넥터통공(27)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28)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체결공(3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0)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4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공(3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인서트너트(32)가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너트(32)는 상기 카세트블록(26)을 형성할 때 인서트몰딩에 의해 안착대(28)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공(30)의 중심과 상기 인서트너트(32)의 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커넥터(34)는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커넥터통공(27)에 안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하부커버(20)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34)는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커넥터통공(27)에 안착되어 카세트블록(26)과 일체로 된다.
배전반조립체(36)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사이에 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커넥터(34)의 터미널과 결합되는 터미널(38)들이 구비된다. 상기 배전반조립체(36)를 관통하여서는 체결구통공(3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통공(39)은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카세트블록(26)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체결구(40)는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상기 체결구통공(39)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26)과 체결되어, 카세트블록(26)을 배전반조립체(36)쪽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카세트블록(26)과 일체로 움직이는 커넥터(34)의 터미널에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40)는 머리부(41)와 몸체부(43)를 구비하는데, 상기 머리부(41)는 상기 몸체부(43)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40)의 몸체부(43) 선단에 인접해서는 나사부(45)가 일정 구간만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45)는 상기 인서트너트(32)와 상대 이동됨에 의해 상기 배전반조립체(36)와 카세트블록(26)이 서로 상대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40)의 머리부(41)에서 상기 몸체부(43)의 나사부(45)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전반조립체(36)에 상기 카세트블록(26)이 밀착되어 커넥터(34)의 터미널에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통공(39)의 입 구에서 상기 인서트너트(32)의 끝부분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일단 체결구(40)에 의해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과 커넥터(34)의 터미널이 결합되고 나면 상기 체결구(40)의 나사부(45)는 상기 인서트너트(32)를 통과하여 헛돌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40)의 머리부(41)와 상기 체결구통공(39)의 사이에는 스프링와셔(47)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와셔(47)는 상기 체결구(40)가 상기 체결구통공(39)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와셔(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구(40)의 나사부(45)는 상기 인서트너트(32)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카세트블록(26)에 설치된 커넥터(34)와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을 결합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34)의 내부에는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는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인데, 상기 커넥터(34)는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커넥터통공(27)에 상기 카세트블록(26)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카세트블록(26)은 상기 하부커버(20)의 돌출부(22)에 장착한다. 각각의 돌출부(22)에 각각의 카세트블록(26)을 안착시키고 나면, 상기 배전반조립체(36)를 상기 하부커버(20)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체결구통공(39)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 (40)를 삽입한다. 상기 체결구(40)는 상기 체결구통공(39)을 통해 배전반조립체(36)를 관통하고, 상기 배전반조립체(36) 하부에 있는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안착대(28)에 형성된 체결공(30)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공(30)에 삽입된 체결구(40)의 몸체부(43) 선단은 상기 인서트너트(32)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부(43)의 나사부(45)가 상기 인서트너트(32)의 입구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40)를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나사부(45)가 상기 인서트너트(32)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체결구(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부(45)는 상기 인서트너트(32)의 암나사부를 따라 상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배전반조립체(36)가 상기 하부커버(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세트블록(26)이 배전반조립체(36)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이동은 상기 커넥터(34)의 이동을 만들어내고, 상기 커넥터(34)의 터미널에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이 결합되기 시작한다.
상기 체결구(40)의 나사부(45)가 상기 인서트너트(32)를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배전반조립체(36)의 터미널(38)과 커넥터(34)의 터미널의 결합이 완료되고, 상기 체결구(40)를 같은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부(45)가 인서트너트(32)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체결구(40)의 체결이 완성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구(40)를 더 회전시키더라도, 더 이상 상기 카세트블록(26)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구(40)를 헛돌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 체결구(40)에 의한 체결력이 상기 카세트블록(26)에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프링와셔(47)는 상기 체결구(40)가 상기 체결구통공(39)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40)의 나사부(45)는 상기 인서트너트(32)의 암나사부에 시작부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구(40)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체결구(40)의 나사부(45)와 상기 인서트너트(32)의 암나사부는 반대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면서 상기 배전반조립체(36)와 커넥터(34)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인서트너트(32)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서트너트(32)가 금속재질이어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하기는 하나, 체결구(40)와 카세트블록(26)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이 금속재질의 인서트너트(32)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라면 상기 안착대(28)의 체결공(30)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인서트너트(32)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배전반조립체와 커넥터의 결합을 위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체 결구에 이들의 체결이 완성될 때까지만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결구의 일부구간에만 나사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체결구의 체결력이 커넥터의 결합이 완성되면 더 이상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카세트블록의 파손이 방지되고 조립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부커버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체결구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배전반조립체와,
    상기 배전반조립체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배전반조립체의 터미널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구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카세트블록과,
    상기 배전반조립체의 체결구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블록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블록을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블록의 체결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일부구간에 걸쳐서만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블록의 체결공은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통공의 사이에 해당되는 카세트블록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인서트너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머리부와 몸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선단 일부 구간에 상기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 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머리부와 상기 배전반조립체의 체결구통공의 입구 사이에는 스프링와셔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에 상기 체결구통공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KR2020050035651U 2005-12-19 2005-12-19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KR200410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51U KR200410105Y1 (ko) 2005-12-19 2005-12-19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51U KR200410105Y1 (ko) 2005-12-19 2005-12-19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05Y1 true KR200410105Y1 (ko) 2006-03-06

Family

ID=4176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51U KR200410105Y1 (ko) 2005-12-19 2005-12-19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7884A (zh) * 2021-12-09 2022-02-01 江苏乐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高压线束屏蔽结构
KR20220152118A (ko) 2021-05-07 2022-11-15 주추임 오버토크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118A (ko) 2021-05-07 2022-11-15 주추임 오버토크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간판
CN113997884A (zh) * 2021-12-09 2022-02-01 江苏乐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高压线束屏蔽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116B2 (en) Ground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7931479B1 (en) Bussed electrical center with combinatio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US4800358A (en) Fuse
KR100371568B1 (ko) 단자커넥터
US7210954B2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lock screws
US6808397B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use with circuit board
KR100550296B1 (ko) 정션박스
KR200410105Y1 (ko)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KR200440515Y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 결합구조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US6386923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unit to electrical connecting box
US7201586B2 (en) Housing for fastening of electrical and/or electronic power components to a circuit board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102270013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0345634Y1 (ko) 개선된 접지구조를 갖는 보호기 베이스
KR200406626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100748614B1 (ko) 퓨즈박스의 퓨즈장착구조
KR101462663B1 (ko) 차량용 박스
KR200226904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구조
KR200439565Y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 결합구조
KR200227485Y1 (ko)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KR20042908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장착구조
KR910006898Y1 (ko) 차량용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