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26Y1 -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26Y1
KR200406626Y1 KR2020050031501U KR20050031501U KR200406626Y1 KR 200406626 Y1 KR200406626 Y1 KR 200406626Y1 KR 2020050031501 U KR2020050031501 U KR 2020050031501U KR 20050031501 U KR20050031501 U KR 20050031501U KR 200406626 Y1 KR200406626 Y1 KR 200406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connector
automotive
sto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수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1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4Specially-shaped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볼트 및 너트로 결합시 체결부위에 스토퍼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볼트가 너트의 일정 위치까지만 체결되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하우징, 볼트, 너트, 스토퍼부재, 단턱

Description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a bolt and a nut in a connector}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커넥터에 구비된 볼트 및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볼트 및 너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볼트 및 너트를 채용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동차용 커넥터 110: 커넥터 하우징
150: 볼트 삽입구 152,352: 너트
200: 이종 커넥터 210: 커넥터 하우징
230: 결합부 240,440: 볼트
354: 나사산부 442: 헤드
444: 몸체 446: 탭부
500: 스토퍼부재 510,520: 제 1,2단턱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볼트 및 너트로 결합시 체결부위에 스토퍼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볼트가 너트의 일정 위치까지만 체결되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기에서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에서 전원 단자와 시그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넥터는 자동차의 전장품으로부터 연장되어 각종 퓨즈, 릴레이 및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체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장품은 전원 단자측과 시그널 단자측이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 자동차용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10), 결합 공간부(120), 다수의 단자 삽입구(130), 걸림편(132), 결합돌부(140), 볼트 삽입구(150), 너트(152) 및 체결구(170,170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70,170a)에 체결되는 단자 고정부재(180,180a)는 그 적소에 단자가 관통되는 단자 관통구(182,182a)가 다수 형성되며, 체결구(170,170a)에 삽입되는 부분의 전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84,18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100)에는 단자 삽입구(130) 각각에 삽입된 단자 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삽입위치를 고정하는 단자 위치 보호부재(190)가 더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단자 위치 보호부재(190)는 자동차용 커넥터(100)의 결합 공간부(120) 내측에 설치되어 단자 위치 고정홈(192)을 통해 단자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삽입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100)의 결합 공간부(120)는 이종 커넥터(200)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이종 커넥터(200)는 소정 크기의 커넥터 하우징(210), 커넥터 하우징(210)의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단자 삽입구(220), 단자 삽입구(220) 내측에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어 단자 삽입구(220) 내측에 삽입된 단자를 걸림 유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222), 커넥터 하우징(210)의 중심부에 결합홈(232)이 형성되어 하부로 돌출된 결합부(230), 결합부(230)의 중심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240), 커넥터 하우징(210)의 전후면에 횡방향으로 전후면측 단자 삽입구(220)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27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용 커넥터의 너트에 볼트 체결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볼트가 너무 많이 회전되면서 탭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까지 너트에 삽입시 볼트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용 커넥터에 설치된 너트와 이종 커넥터에 설치된 볼트에 스토퍼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용 커넥터와 이종 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볼트를 너트에 체결시 볼트가 너트의 일정 깊이 이하로 더 이상 체결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볼트 및 너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에 너트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종 커넥터에 헤드 및 둘레에 탭부를 형성한 몸체로 이루어진 볼트를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볼트의 탭부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 하우징과 이종 커넥터를 결합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높이를 상기 볼트의 탭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며, 상기 볼트의 몸체와 너트의 마주하는 부위에 스토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너트에 대한 상기 볼트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토퍼부재로서 볼트의 몸체 하단부에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 1단턱 및 상기 몸체를 삽입시 상기 제 1단턱에 걸리도록 상기 너트의 내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제 2단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볼트 및 너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볼트 및 너트를 채용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트(440)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죄거나 풀기 위한 헤드(442)와, 상기 헤드(442)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몸체(444) 및 몸체(444) 하단부 일부에 형성된 탭부(44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352)는 볼트(440)의 몸체(444)를 삽입하며 탭부(446)와 치합되도록 나사산부(354)를 내측 둘레면 전체에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볼트(440)의 탭부(446)가 너트(352)의 나사산부(354)와 치합(齒合)됨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너트(352)의 높이는 볼트(440)의 탭부(446) 길이보다 소정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352)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트(440)의 몸체(444)와 너트(352)는 스토퍼부재(500)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재(500)는 볼트(440)의 탭부(446) 하부에 해당하는 몸체(444)의 끝단부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제 1단턱(510) 및 상기 너트(352)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제 2단턱(5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턱(510)은 볼트(440)의 몸체(444) 끝단부에서 몸체(444)의 직경보다 소정 적게 형성됨으로써 계단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단턱(520)은 너트(352)의 내측면 하단부 둘레 전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440)의 몸체(444)는 너트(352)의 제 2단턱(520)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볼트(4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커넥터(100)의 커넥터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볼트(440) 삽입구(15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3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커넥터(200)의 커넥터 하우징(210)에 형성된 결합부(230)에 고정 삽입된다.
이때, 상기 너트(352)는 종래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볼트(440)가 너트(352)에 체결됨으로써 자동차용 커넥터(100)가 이종 커넥터(200)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볼트(440)는 스토퍼부재(500)에 의해 너트(352) 내부로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볼트(440)에서 탭부(446)를 형성하지 않은 몸체(444) 부분이 너트(352)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볼트(440)가 회전되면서 너트(352)에 삽입시, 볼트(440)의 탭부(446)는 너트(352)의 나사산부(354)와 치합(齒合)된다.
그리고, 상기 탭부(446)의 상단부가 너트(352)의 나사산부(354)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볼트(440)의 제 1단턱(510)이 너트(352)의 제 2단턱(520)에 걸리게 됨에 따라 볼트(440)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너트(352)의 높이가 볼트(440)의 탭부(446) 길이보다 길어야 볼 트(440)가 스토퍼부재(500)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더라도 너트(352)와의 체결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352)의 높이가 볼트(440)의 탭부(446) 길이보다 길어야 너트(352)의 내부에서 스토퍼부재(500)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시 볼트와 너트에 스토퍼부재를 형성하여 자동공구로 회전되는 볼트가 너트 내부로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볼트 및 너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용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에 너트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종 커넥터에 헤드 및 둘레에 탭부를 형성한 몸체로 이루어진 볼트를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볼트의 탭부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 하우징과 이종 커넥터를 결합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높이는 상기 볼트의 탭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며;
    상기 볼트의 몸체와 너트는 마주하는 부위에 스토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너트에 대한 상기 볼트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볼트의 몸체 하단부에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 1단턱과;
    상기 몸체를 삽입시 상기 제 1단턱에 걸리도록 상기 너트의 내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제 2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2020050031501U 2005-11-07 2005-11-07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200406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501U KR200406626Y1 (ko) 2005-11-07 2005-11-07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501U KR200406626Y1 (ko) 2005-11-07 2005-11-07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895A Division KR100671735B1 (ko) 2005-11-07 2005-11-07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26Y1 true KR200406626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501U KR200406626Y1 (ko) 2005-11-07 2005-11-07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506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931479B1 (en) Bussed electrical center with combinatio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US10892569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grou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US20100273362A1 (en) Device connector
JP2004192882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30069858A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JP5809793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16208739A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200406626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JP2004208429A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
KR20230156980A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JP2014165168A (ja) アース端子の取付構造
KR200410105Y1 (ko)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JP5133857B2 (ja) 端子台
JP3275763B2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丸形板端子の取付構造
JP4268150B2 (ja) 基板収容箱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WO2017110789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端子接続構造
CN114188904B (zh) 电气接线盒
KR20050031761A (ko) 차량용 정션박스
JP3275762B2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丸形板端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