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91B1 -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91B1
KR102214591B1 KR1020190048448A KR20190048448A KR102214591B1 KR 102214591 B1 KR102214591 B1 KR 102214591B1 KR 1020190048448 A KR1020190048448 A KR 1020190048448A KR 20190048448 A KR20190048448 A KR 20190048448A KR 102214591 B1 KR102214591 B1 KR 10221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rotrusion
fixing
mo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806A (ko
Inventor
진홍규
황지하
Original Assignee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91B1/ko
Priority to PCT/KR2020/005321 priority patent/WO2020218824A1/ko
Publication of KR2020012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바디부(130)에 형성된 관통공(131)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1바디부(130)의 일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후크(134); 및 제2바디부(181)의 일면에, 상기 관통공(131)에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후크(182);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후크(182)의 상기 고정후크의 반대쪽을 향한 일 측면 중간부에는 제1돌부(18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후크의 상기 고정후크(134)를 향한 타 측면의 상부에는 제2돌부(185)가 돌출 형성되어, 이중후크결합구조로 결합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HOOK JOIN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크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장치의 두 바디부를 결합하기 위한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세히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신체고정밴드를 위한 밴드고정부를 프레임부에 결합하기 위한 후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크결합장치는 사출성형되는 몰드물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데, 볼트나 너트를 이용한 결합장치보다 조립 및 탈착이 용이하여 다양한 전자장치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탈착이 필요한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구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후크결합장치는 제조 조립 공정에서 구성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이후 제품 사용 시에는 외력에 의해 탈거가 쉽게 되어 결합의 신뢰성은 낮은 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탈착하기 위한 부품의 결합 용도가 아니라, 견고성 및 결합 신뢰도가 높아야 하는 조립부품들의 결합에서는 조립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결합 품질이 낮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4442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 후 외력에 의해 탈거가 되지 않는 후크결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성 및 결합력이 우수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이 간편하지만 탈락이 되지 않는 밴드고정부의 후크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는 제1바디부(130)에 형성된 관통공(131)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1바디부(130)의 일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후크(134); 및 제2바디부(181)의 일면에, 상기 관통공(131)에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후크(182);로 구성된다. 이동후크(182)의 고정후크의 반대쪽을 향한 일 측면 중간부에는 제1돌부(184)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후크의 상기 고정후크(134)를 향한 타 측면의 상부에는 제2돌부(18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동후크(182)의 일측은 제1돌부(184)에 의해 상기 제1바디부의 상기 관통공(131) 외측 상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이동후크(182)의 타측은 제2돌부(185)에 의해 상기 고정후크(134)의 상단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고정후크(134), 상기 관통공(131), 상기 이동후크(182)는 각기 종방향 길이가 횡방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하단은 상기 제1바디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후크(134)는 상기 관통공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후크(182)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후크와 결합되면 상기 고정후크의 상단 일측 모서리가 상기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 하부 측면에 횡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후크(134)의 일 측면(134a)은 상기 관통공(131)을 형성하는 상기 제1바디부(130)의 측벽 중 일측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후크(134)의 타 측면(134b)은 제1바디부(130)의 상면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후크(134)의 관통공의 상부에 면하는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134a)은 상기 고정후크의 타 측면을 형성하는 제2경사면(134b) 보다 작은 경사 각도를 가져 상기 고정후크(134)는 상부의 단면이 하부 단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돌부(184)는 이동후크(182)의 상단과 경사면(184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돌부(185)는 이동후크(182)의 상단과 경사면(185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후크(182)의 상기 관통공(131) 및 고정후크(134)의 측면에 대한 상대적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결합장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밴드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바디부는 카메라모듈의 하부커버이고, 상기 제2바디부는 신체고정밴드를 결합하기 위한 밴드고정부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의 후크결합장치에 의하면, 결합 방법이 간편하여 조립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조립 후 외력에 의해 탈거되지 않아 조립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제품 수명이 길고 사용자 편의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밴드고정부에 고정된 신체고정밴드를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앞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된 밴드고정부를 가지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카메라홀더 및 밴드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상하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결합상태에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장치의 제1바디부를 상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상하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7의 구성요소들의 수치 범위를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 또는 ‘연결’된다는 것은 두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까지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후크결합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2개의 구성품을 결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특히 웨어러블 장치의 부품을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고 벗을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활동 자유도가 높으면서 시각, 청각, 촉각 센서 등을 실장하여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가능하다.
착용을 위해 일 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신체 착용이 가능한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는 착용 후 착용자가 자유롭게 활동을 하는 도중에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신체고정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탈착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는 착용의 편의와 착용 후 이탈 방지 및 웨어러블 장치의 안정적 고정을 위해 웨어러블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신체고정밴드(160)를 구비한다. 신체고정밴드(160)는 프레임부의 좌우 양단에 각기 결합되는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를 포함하고,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에는 각각 암수 벨크로가 구비되어 서로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에 의해 카메라홀더(123)에 결합된 밴드고정부(180)를 가지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는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들은 각기 밴드고정부(180)의 고리부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밴드고정부(180)는 프레임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카메라홀더(123, 124)의 제1바디부(130)에 후크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후크결합장치는 성형 및 조립은 간편하되 일단 조립이 된 후에는 특별한 지그를 이용하지 않으면 탈거가 되지 않도록 상호 보완적인 이중 로킹 구조를 가진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구조와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크결합장치의 상하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후크결합장치의 결합상태에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장치의 제1바디부를 상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도 7을 기준으로 횡방향은 도면의 좌우방향을, 종방향은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을, 높이 방향은 도면의 상하 방향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후크결합장치는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의 이중후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130)는 카메라홀더의 하부커버로, 제2바디부(181)는 밴드고정부(180)의 베이스부에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두 부품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다.
부품의 일부분 또는 전체인 제1바디부(130)는 평평한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베이스부에 제2바디부(181)의 이동후크가 삽입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1)은 관통하는 이동후크의 형상에 대응하되, 바람직하기로는 종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의 일 측에 인접한 제1바디부(130)의 상면에는 고정후크(13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후크(134)는 종방향으로 길고 횡방향으로는 짧은 직사각형상의 기둥이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길고 횡방향으로는 짧은 고정후크의 구성은 고정후크가 횡방향으로 탄성 벤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후크(134)는 제1바디부(1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방향 측면이 상기 관통공의 종방향 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평판형태의 베이스를 이루는 제2바디부(181)는 제1바디부의 관통공(131)에 삽입되어 관통되고 상기 고정후크(134)와 후크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후크(182)를 포함한다. 이동후크(182)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고, 이동후크(182)의 상기 고정후크의 반대쪽을 향한 일 측면 중간부에는 제1돌부(18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후크의 상기 고정후크(134)를 향한 타 측면의 상부에는 제2돌부(185)가 돌출 형성된다. 제1돌부(184)에 의해 이동후크(182)의 일측은 상기 제1바디부의 상기 관통공(131) 외측 상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이동후크(182)의 타측은 제2돌부(185)에 의해 상기 고정후크(134)의 상단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제1돌부(184)는 이동후크(182)의 상단부와 제3경사면(186)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상기 제2돌부(185)는 이동후크(182)의 상단부와 제4경사면(187)에 의해 연결된다. 즉, 이동후크(182) 일 측면(제1측면)은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경사면이 형성된 제1돌부가 형성되고, 제1측과 대향하는 타 측면(제2측면)에는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경사면을 가지는 제2돌부(185)가 형성된다. 상기 제4경사면(187)은 볼록한 곡면으로 대체되거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경사면 및 제4경사면에 의해 상기 이동후크가 관통공 및 고정후크의 제1경사면(134a)을 슬라이드 이동하기 용이해진다.
상기 제3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된 제1돌부(184)의 저면은 상기 이동후크(182)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공의 타측 상면과 접한다. 상기 제1돌부(184) 저면과 제2바디부 상면 사이의 거리는 제1바디부의 두께에 공차를 더한 값이다.
한편,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가 상기 후크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후크(134)의 상단부는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 저면을 하부 및 측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을 향해 경사진 고정후크(134)의 일 측면(134a)은 상기 관통공(131)을 형성하는 상기 제1바디부(130)의 측벽 중 일측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후크(134)의 타 측면(134b)은 제1바디부(130)의 상면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후크(134)의 일 측면(134a)은 관통공의 측면과 165도 내지 175도 바람직하기로는 170도의 각을 가진다.
상기 고정후크(134)의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면하는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134a)은 상기 고정후크의 타 측면을 형성하는 제2경사면(134b) 보다 작은 경사 각도를 가져 상기 고정후크(134)는 상부의 단면이 하부 단면 보다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후크는 제1바디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도 상단부가 벤딩이 가능하여 이동후크의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통해 후크부가 삽입되면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돌기부를 외측으로 밀어 내면서 삽입된 후 탄성에 의해 상기 돌기부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저면을 하부에서 지지 고정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치적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도 7은 도 4 내지 6의 실시예와 그 구성이 대체로 동일하고, 다만, 제1바디부의 고정후크와 제2바디부의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의 걸림부에 결합 관계에 미세한 차이가 있다.
도 7에 의하면, 고정후크의 제1경사면(134a) 상단 모서리부는 상기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 저부의 타 측면에 접하여 상기 이동후크에 횡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2돌부(185)에 걸림 결합된다. 도 7의 해당 부분 확대에서 0.1mm 이상 제1경사부 상단의 모서리부와 이동후크의 타측면이 겹치도록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조립 전 설계상 겹치도록 하는 것이고, 후크결합이 된 상태에서는 이 겹침의 치수에 의해 고정후크가 횡방향 벤딩이 미세하게 이루어져 횡력을 이동후크에 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후크와 제2돌부(185)의 걸림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확보되고 이동후크를 관통공의 일측면으로 밀게되어 제1돌부(184)의 걸림결합이 강화된다. 자세한 작동 메커니즘은 후술한다.
한편, 도 8의 표에 의하면 해당 부분의 치수 범위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이동후크의 종방향 길이는 최소 1.5mm 이상으로, 횡방향 폭의 최소값인 0.8mm 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횡방향 벤딩에 의해 제1돌부(184) 및 제2돌부(185)의 걸림 결합은 강화된다. 한편, A는 제1바디부의 높이이고, 최소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B는 고정후크의 높이이고, C는 제1돌부(184)의 돌출길이이고, D는 제2돌부(185)의 돌출길이, E는 이동후크의 횡방향 폭, F는 관통공의 너비이다. B는 1.0mm 이상 5.0mm 이하, C는 0.3 mm 이상 1.2 mm 이하, D는 C 보다 작고, E는 0.8 mm 이상 2.0 mm 이하이다. F는 (D+E)의 1.1 배 이상 1.5 배 이하이다.
상기 고정후크 또는 이동후크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 재질의 바디부(130, 181)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바디부에 대한 제2바디부의 체결 과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바디부를 상부에, 제2바디부를 하부에 두고, 상기 관통공에 제2바디부의 이동후크를 삽입하면서 조립을 시작한다. 상기 이동후크를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제2돌부(185)를 고정후크 측에 대면하도록 끼워넣되, 상기 제2돌부(185) 상부의 경사면(187)이 상기 관통공의 일 측면에 맞닿아 슬라이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3경사면(186)은 관통공의 타 측면 쪽에 면하도록 이동된다.
그 후 계속되는 상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이동후크의 상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후부터 상기 제4경사면(187)과 고정후크의 제1경사면(134a) 사이에는 슬라이딩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후크의 제4경사면(187)을 포함한 제2돌부(185)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1경사면(134a)에 접하면서 횡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후크가 벤딩을 일으켜 제1경사면(134a)이 제2경사면 측으로 휘면서 이동후크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동후크의 제1돌부(184)가 있는 제1측면의 이동을 설명하면, 상기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가 관통공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3경사면(186)은 관통공의 타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되, 제4경사면에 접하는 상기 고정후크의 횡력을 받아 상기 제3경사면(186)이 관통공의 타 측면을 향하는 힘을 지속적으로 받는다.
이후 계속되는 이동후크의 상대 슬라이드 이동으로 제2돌부(185)의 저면이 고정후크의 상단 모서리부를 지나게 되면 고정후크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후크의 상단이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에 의해 걸림 결합되면서 이동후크와 고정후크가 후크 체결된다. 이와 동시에, 제1돌부(184)가 상기 관통공의 상단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후크의 상기 제1돌부(184)의 저면이 관통공 일측의 제1바디부 상단과 접하면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져 후크 체결된다. 여기에서, 제1돌부(184)의 저면과 제2돌부(185)의 저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고정 후크의 높이에 공차를 더 한 값과 같다.
이처럼 본 발명의 후크 결합은 이동후크의 일측과 제1바디부 상단, 이동후크의 타측과 고정후크 간에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 결합들은 상보적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어느 하나 후크 결합이 탈락되는 방향으로 이동후크가 이동하면 반대 측의 다른 후크 결합이 강화되기 때문에 동시에 두 개의 후크결합이 탈거될 수 없다.
즉, 제1돌부(184)가 탈락되려면 x방향(도 5의 우측 횡방향)으로 제1 돌부가 이동해야하나, 이동후크가 x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고정후크의 상단 모서리가 이동후크의 제2측면에 닿게 되어 횡력이 -x 방향으로 가해져서 탈락이 어렵다. 설령 강한 외력에 의해 x 방향으로 제1돌부(184)가 상당히 이동하더라도 이는 제2 돌부와 고정후크 간의 결림 결합력을 강화하게 된다. 따라서 둘 중 하나가 빠지는 방향이 되면 다른 하나의 돌기의 결합이 강화되어 일방의 빠짐은 타방의 체결을 강화하여 동시에 2개의 돌기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후크결합장치는 이중 locking방식을 채용하여 조립은 용이하지만 외부에서는 풀리지 않고 전문관리자가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여 분리해야만 분해가 가능한 체결력이 우수한 장치이다.
한편,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중후크 체결 상태에서 상기 고정후크의 제1경사면(134a) 상단 모서리부가 상기 이동후크의 제2돌부(185) 저부의 타 측면(제2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이동후크에 횡력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다. 이때, 고정후크의 제1경사면 상단 모서리부가 가하는 힘은 횡력 뿐아니라 하부를 향하는 종방향 성분도 일부 있을 수 있다. 이 횡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고, 고정후크의 제1경사면(134a)의 상단부가 이동후크의 제2측면에 횡력을 가하여 이 횡력이 제2돌부(185)와 제1돌부(184)에 가해지고, 이 힘에 의해 2개의 돌부의 탈락이 방지된다. 종방향 힘의 성분의 작용을 설명하면, 고정후크에 의해 하부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돌부(184)에 전달되어 상기 제1돌부(184)를 제1바디부의 상단부로 바이어스되게 하여 제1돌부(184)의 결합력을 강화한다.
한편,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제1바디부에 하나의 관통공과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제2바디부에 하나의 이동후크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크결합구조는 제1바디부에 좌우대칭으로 2개의 하나의 관통공과 고정후크가 각기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제2바디부에 이동후크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의 후크결합력은 더욱 강할 것이나 조립의 편의성은 여전히 유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의 결합을 위해 2 이상의 후크결합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단일 후크결합장치와 동일하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배치하여 다수의 후크결합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HOOK에 의한 Locking은 매우 큰 힘을 가하면 분리가능한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 훅 로킹 방식은 조립은 용이하지만 전문 관리자에 의해서만 내부 분해 가능한 구조이므로, 조립성이 양호한 동시에 견고한 체결구조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프레임부 121, 122, 123, 124: 카메라홀더
130: 제1바디부(하부커버) 131: 관통공
134: 고정후크 134a:제1경사면
134b: 제2경사면 134c: 고정후크 상단부
135: 카메라모듈 136: 상부커버
140: 중심프레임 160:신체고정밴드
161:제1밴드 163: 제2밴드
180: 밴드고정부 181: 제2바디부(베이스부)
182:이동후크 184: 제1돌부
185:제2돌부 186: 제3경사면
187: 제4경사면

Claims (8)

  1. 제1바디부(130)에 형성된 관통공(131); 및
    제2바디부(181)의 일면에, 상기 관통공(131)에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후크(182);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후크(182)의 일 측면 중간부에는 제1돌부(18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31)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1바디부(130)의 일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후크(1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돌부(184)가 형성되는 이동후크(182)의 일 측면은 고정후크(134)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후크의 상기 고정후크(134)를 향한 타 측면의 상부에는 제2돌부(18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후크(182)의 일측은 제1돌부(184)에 의해 상기 제1바디부의 상기 관통공(131) 외측 상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이동후크(182)의 타측은 제2돌부(185)에 의해 상기 고정후크(134)의 상단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134), 상기 관통공(131), 상기 이동후크(182)는 각기 종방향 길이가 횡방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하단은 상기 제1바디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후크(134)는 상기 관통공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후크(182)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후크와 결합되면 상기 고정후크의 상단 일측 모서리가 상기 이동후크의 제2돌부 하부 측면에 횡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134)의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면하는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134a)은 상기 고정후크의 타 측면을 형성하는 제2경사면(134b) 보다 작은 경사 각도를 가져 상기 고정후크(134)는 상부의 단면이 하부 단면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결합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부(184)는 이동후크(182)의 상단과 경사면(184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돌부(185)는 이동후크(182)의 상단과 경사면(185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후크(182)의 상기 관통공(131) 및 고정후크(134)의 측면에 대한 상대적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결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는 카메라모듈의 하부커버이고,
    상기 제2바디부는 신체고정밴드를 결합하기 위한 밴드고정부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밴드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후크결합장치.
  7. 2 이상의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부품들은 제1항의 후크결합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삭제
KR1020190048448A 2019-04-25 2019-04-25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KR10221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48A KR102214591B1 (ko) 2019-04-25 2019-04-25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PCT/KR2020/005321 WO2020218824A1 (ko) 2019-04-25 2020-04-22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48A KR102214591B1 (ko) 2019-04-25 2019-04-25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06A KR20200125806A (ko) 2020-11-05
KR102214591B1 true KR102214591B1 (ko) 2021-02-15

Family

ID=7294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48A KR102214591B1 (ko) 2019-04-25 2019-04-25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4591B1 (ko)
WO (1) WO2020218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683A (ko)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응력 완화부가 형성된 전극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765A (ja) * 2005-12-16 2007-06-28 Yazaki Corp ボックスのロック構造
KR200444216Y1 (ko) * 2007-11-01 2009-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JP2018169500A (ja) 2017-03-30 2018-11-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15B1 (ko) * 2004-04-21 2011-04-27 주식회사 동서전자 아우터 로터형 모터의 로터 브라켓과 로터 부싱 체결 구조
KR100838789B1 (ko) * 2007-03-30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765A (ja) * 2005-12-16 2007-06-28 Yazaki Corp ボックスのロック構造
KR200444216Y1 (ko) * 2007-11-01 2009-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후크결합장치
JP2018169500A (ja) 2017-03-30 2018-11-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06A (ko) 2020-11-05
WO2020218824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09Y1 (ko) 전자 장치용 부착 시스템
KR970007149B1 (ko) 버클
KR100490092B1 (ko) 버클
KR20080070544A (ko) 버클
KR101140438B1 (ko) 버클
KR20130109654A (ko) 밴드 결합이 용이한 마스크
KR930005572A (ko) 버클
US11528970B2 (en) Connector, electronic apparatus, wearable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KR102214591B1 (ko)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JP2008281169A (ja) 保持具
US10588383B2 (en) Buckle
CN104939472A (zh) 连接件
CN214677873U (zh) 卡扣快拆结构及穿戴类电子设备
JP5990043B2 (ja) フック装置
JPH04151010A (ja) 係止構造
JP6251223B2 (ja) 水泳用フィンのヒールストラップ
JP4799777B2 (ja) 家具用連結部構造
KR102210469B1 (ko)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JP2009060993A (ja) バンドの連結構造
KR200315701Y1 (ko) 조립식 테이블 연결구조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CN212574380U (zh) 一种腕带式电子产品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CN1615766A (zh) 带有网格盖的扣环
JP2007090046A (ja) 腕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