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337B1 - 와이어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337B1
KR102330337B1 KR1020150071867A KR20150071867A KR102330337B1 KR 102330337 B1 KR102330337 B1 KR 102330337B1 KR 1020150071867 A KR1020150071867 A KR 1020150071867A KR 20150071867 A KR20150071867 A KR 20150071867A KR 102330337 B1 KR102330337 B1 KR 10233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locking
spa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160A (ko
Inventor
최종식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는, 기판용 커넥터에 삽입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와이어용 커넥터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의 접속 핀과 접속되는 터미널로 구비된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는, 상기 설치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과, 상기 걸림돌기의 전방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경계로 상기 설치공간보다 더 좁은 상하 폭으로 형성되는 보조공간 및, 상기 접속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공간의 전방에 핀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보조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핀 통과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접속핀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돌기과 상기 보조공간의 사이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단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장치{WIRE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용 커넥터의 설치공간에 터미널의 걸림단을 삽입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삽입홈과 걸림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 등을 이용해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기판용 커넥터 등에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커넥터는 와이어의 단부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로 기판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와이어용 커넥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에는 기판용 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외면에는 기판용 커넥터에 결합시키기 위한 록킹 구조가 적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는 와이어용 커넥터의 내부에 터미널이 고정적으로 결합되므로, 터미널을 분리시키는 경우 와이어용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해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물론, 별도의 핀 공구 등을 이용해 터미널만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와이어 커넥터는 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터미널 분리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핀 공구를 이용해 와이어용 커넥터의 외부에서 터미널을 쉽게 결합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1328호(2003년 07월 1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와이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용 커넥터의 설치공간에 터미널의 걸림단을 삽입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삽입홈과 걸림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 등을 이용해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공간부가 위치된 와이어용 커넥터의 상부에 단차면을 형성시켜, 걸림돌기의 돌출된 끝단을 단차면보다 높게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터미널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빌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는, 기판용 커넥터에 삽입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와이어용 커넥터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의 접속 핀과 접속되는 터미널로 구비된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는 상기 설치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과, 상기 걸림돌기의 전방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경계로 상기 설치공간보다 더 좁은 상하 폭으로 형성되는 보조공간 및, 상기 접속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공간의 전방에 핀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보조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핀 통과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접속핀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돌기과 상기 보조공간의 사이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공간의 상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단차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좌우 방향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절개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단을 전방으로 하향 또는 상향 안내한 후, 상기 삽입홈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단의 전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된 상태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용 커넥터는 전단에 커넥터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결합홈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록킹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록킹홀에 대응되게 걸림 위치되도록 상단에 록킹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후단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 돌기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록킹 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전단이 삽입되도록 링 형상의 와이어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는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측방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용 커넥터의 설치공간에 터미널의 걸림단을 삽입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삽입홈과 걸림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 등을 이용해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공간부가 위치된 와이어용 커넥터의 상부에 단차면을 형성시켜, 걸림돌기의 돌출된 끝단을 단차면보다 높게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터미널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걸림돌기의 좌우 방향에 절개홈을 형성시킴으로써, 걸림돌기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핀 공구 등을 이용해 걸림돌기와 터미널의 걸림단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에서 와이어와 터미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와 기판의 기판용 커넥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와 기판의 기판용 커넥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에서 와이어와 터미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와 기판용 커넥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와 기판용 커넥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는 기판용 커넥터(20)와, 와이어용 커넥터(100) 및, 터미널(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기판용 커넥터(20)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기판(10)의 금속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기판용 커넥터(20)의 전면에는 커넥터 결합홈(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0)의 금속 패턴에는 접속핀(30)이 연결되며, 상기 접속핀(30)의 전단이 커넥터 결합홈(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속핀(30)은, 도 6에서처럼 후술 될 와이어용 커넥터(10)를 커넥터 결합홈(21)으로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접속핀(30)의 전단이 후술 될 터미널(200)의 접속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결합홈(2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후술 될 록킹 돌기(161)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록킹 홀(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용 커넥터(100)는, 기판(10)에 설치된 기판용 커넥터(20)의 커넥터 결합홈(21)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내부에는 터미널(20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10)은, 후술 될 터미널(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설치공간(110)은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110)의 종 방향 단면 형상은 사각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상기 설치공간(11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와이어용 커넥터(100)는 좌우 방향의 폭이 상하 방향의 폭보다 넓은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100)는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110)도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공간(110)은 도 1에서처럼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격벽에 의해 구획되면서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100)에는 걸림돌기(120)와, 삽입홈(130)과, 보조공간(140) 및, 핀 통과홀(150)이 형성된다.
먼저, 상기 걸림돌기(120)는 설치공간(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데, 상기 걸림돌기(120)는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전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20)의 후면에는 후술 될 걸림단(220)을 전방으로 하향 또는 상향 안내한 후, 이하 설명될 삽입홈(130)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제1경사면(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121)은, 후술 될 걸림단(220)이 상기 걸림돌기(120)의 후면에 걸리지 않고 삽입홈(13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20)의 좌우 방향에는 전방이 후술 될 삽입홈(130)으로 개방된 절개홈(1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22)은, 핀 공구 등을 이용해 걸림돌기(120)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120)가 상부로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삽입홈(130)은, 후술 될 터미널(200)의 걸림단(220)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걸림돌기(120)의 전방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30)은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130)을 통해 후술 될 터미널(200)의 걸림단(2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조공간(140)은, 설치공간(11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130)을 경계로 설치공간(110)보다 더 작은 상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공간(140)의 종 방향 단면 형상은 설치공간(110)과 동일한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보조공간(11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공간(140) 내에는, 후술 될 터미널(200)의 접속 단자(210)가 결합되며, 상기 보조공간(140)의 전방에는 접속 핀(3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핀 통과홀(15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핀 통과홀(150)을 통과한 접속 핀(30)의 전단은 보조공간(140) 내에 위치된 후술 될 접속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상기 보조공간(140)이 위치된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삽입홈(130)을 경계로 상하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면(1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면(141)은 걸림돌기(120)의 돌출된 끝단보다 낮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돌기(120)와 단차면(141)이 동일 높이로 형성되므로, 핀 공구의 삽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터미널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기판용 커넥터(20)의 커넥터 결합홈(2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록킹 레버(160)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레버(160)는, 록킹홀(22)에 대응되게 걸림 위치되도록 상단에 록킹 돌기(16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 레버(160)의 후단에는 누름 동작 가능하게 누름면(16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록킹 레버(160)의 일단은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반대되는 누름면(162)은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면(162)을 누르는 경우 록킹 돌기(161)가 와이어용 커넥터(1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누름면(162)의 누름 동작을 해지하는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해 록킹 레버(16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 한편,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술한 커넥터 결합홈(21)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200)은,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기판(10)의 접속 핀(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터미널(200)의 후단에는 와이어(W)가 접지된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200)의 전단에는 보조공간(140) 내에 위치되며 핀 통과홀(150)을 통해 삽입된 접속핀(30)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0)에는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삽입홈(130)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돌기(120)와 보조공간(140)의 사이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단(220)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단(220)의 전면에는 전술한 제1경사면(121)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1경사면(121)과 밀착된 상태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2경사면(221)이 형성된다.
아울러, 터미널(200)의 후단에는 와이어 결합구(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어 결합구(230)는 설치공간(110) 내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결합구(230)는 와이어(W)의 전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 4에서처럼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설치공간(110)에 터미널(200)의 걸림단(220)을 삽입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삽입홈(130)을 형성시킴으로써, 와이어(W)가 연결된 터미널(20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공간(140)이 위치된 와이어용 커넥터(100)의 상부에 단차면(141)을 형성시켜, 걸림돌기(120)의 돌출된 끝단을 단차면(141)보다 높게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터미널(2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20)의 좌우 방향에 절개홈(122)을 형성시킴으로써, 핀 공구 등을 이용해 걸림돌기(120)와 터미널(200)의 걸림단(22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판 20: 기판용 커넥터
21: 커넥터 결합홈 22: 록킹홀
30: 접속 핀 100: 와이어용 커넥터
110: 설치공간 120: 걸림돌기
121: 제1경사면 122: 절개홈
130: 삽입홈 140: 보조공간
141: 단차면 150: 핀 통과홀
160: 록킹 레버 161: 록킹 돌기
162: 누름면 200: 터미널
210: 접속 단자 220: 걸림단
221: 제2경사면 230: 와이어 결합홈
W: 와이어

Claims (7)

  1. 기판용 커넥터에 삽입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와이어용 커넥터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의 접속 핀과 접속되는 터미널로 구비된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는, 상기 설치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전방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경계로 상기 설치공간보다 더 좁은 상하 폭으로 형성되는 보조공간 및, 상기 접속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공간의 전방에 핀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보조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핀 통과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접속핀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돌기과 상기 보조공간의 사이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공간이 위치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단차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좌우 방향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절개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단을 전방으로 하향 또는 상향 안내한 후, 상기 삽입홈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의 전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된 상태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용 커넥터는,
    전단에 커넥터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결합홈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록킹홀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록킹홀에 대응되게 걸림 위치되도록 상단에 록킹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후단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 돌기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록킹 레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전단이 삽입되도록 링 형상의 와이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는,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와이어용 커넥터의 측방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KR1020150071867A 2015-05-22 2015-05-22 와이어 커넥터장치 KR10233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67A KR102330337B1 (ko) 2015-05-22 2015-05-22 와이어 커넥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67A KR102330337B1 (ko) 2015-05-22 2015-05-22 와이어 커넥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60A KR20160137160A (ko) 2016-11-30
KR102330337B1 true KR102330337B1 (ko) 2021-11-24

Family

ID=5770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867A KR102330337B1 (ko) 2015-05-22 2015-05-22 와이어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2841A (ja) * 2012-01-25 2013-08-08 Kel Corp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613A (ja) * 1996-08-19 1998-03-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731520B1 (en) * 2008-09-12 2010-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JP5688059B2 (ja) * 2012-10-05 2015-03-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2841A (ja) * 2012-01-25 2013-08-08 Kel Corp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60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4074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 defined plug-in sequence
US9543682B2 (en) Poke-in connector
JP4432797B2 (ja) コネクタ
JP5614369B2 (ja) 端子金具
JP2008123720A (ja) 雌型コンタクト
JP2007052985A (ja) コネクタ
JP2008027760A (ja) 嵌合検知機能を備えたコネクタ
JP570870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5510346B2 (ja) コネクタ
JP2018534745A (ja) プラグインコンタクト
JP2007052984A (ja) コネクタ
JP4496475B2 (ja) コネクタ
CN108370123B (zh) 连接器
JP5486916B2 (ja) コネクタ
JP2006100227A (ja) コネクタ
WO2019035331A1 (ja) コネクタ
KR102330337B1 (ko) 와이어 커넥터장치
WO2016194579A1 (ja) コネクタ
JP5518641B2 (ja) コネクタおよびリテーナ
JP2006040818A (ja) コネクタ
JP2018137211A (ja) 機能強化された端子保持ビーム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JP2018037336A (ja) ロック解除機構、及び、このロック解除機構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2011070843A (ja) 雌側端子金具
JP200823504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