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400A -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400A
KR20120022400A KR1020100085973A KR20100085973A KR20120022400A KR 20120022400 A KR20120022400 A KR 20120022400A KR 1020100085973 A KR1020100085973 A KR 1020100085973A KR 20100085973 A KR20100085973 A KR 20100085973A KR 20120022400 A KR20120022400 A KR 2012002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lder
component block
holder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2400A/ko
Publication of KR2012002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홀더(60)는 홀더몸체(6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홀더몸체(62)를 관통하여서는 변형공간(64)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에는 삽입안내부(70)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안내부(70)는 홀더몸체(62)의 선단의 폭과 두께가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에 삽입되는 부품블록(56)의 걸이후크(58)와 부품블록(56)의 외면 사이의 공간보다 작게 만든다. 상기 홀더몸체(62)의 후단에는 커버부(80)가 구비되어 그 내부의 커버공간(82)에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변형공간(64)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커버공간(82)으로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를 안내하는 결합안내면(7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78)은 경사면이나 곡면으로 된다. 상기 홀더몸체(62)의 양측에는 홀더몸체(62)를 박스몸체(50)에 가조립하고 완전조립할 수 있도록 제1차록돌기(66)와 제2차록돌기(68)가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블록(56)을 박스몸체(5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 차량용 박스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Holder of parts block on vehicle box}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자동차용 박스에서 사용되는 부품블록을 박스몸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장 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차량용박스,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나 퓨즈박스의 경우에, 그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박스몸체 내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을 몇 개로 나누어진 부품블록에 장착하고, 이 부품블록을 박스몸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결합상태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퓨즈박스는 다수개의 사출물이 결합되어 하나의 박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실질적으로 실장되는 박스몸체(1)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박스몸체(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는 차량의 내부와 같은 장소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박스몸체(1)에는 장착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1)에는 실장부(미도시)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실장부는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블록(7)과는 별도로 다양한 전장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장부는 상기 박스몸체(1)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박스몸체(1)에는 블록장착부(4)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장착부(4)는 부품블록(7)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를 관통하여 장착공간(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간(5)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간(5)의 내면에는 걸이턱(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은 상기 장착공간(5)의 입구에 해당하는 내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블록장착부(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블록(7)의 걸이후크(8)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블록(7)의 걸이후크(8)가 상기 걸이턱(6)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블록장착부(4)에는 부품블록(7)이 조립된다. 상기 부품블록(7)은 릴레이(미도시)와 같은 부품을 퓨즈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매개체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릴레이는 상기 부품블록(7)에 결합되고, 상기 부품블록(7)은 상기 퓨즈박스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릴레이가 상기 퓨즈박스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블록(7)에는 걸이후크(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8)는 상기 부품블록(7)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록장착부(4)의 걸이턱(6)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부품블록(7)의 걸이후크(8)는 부품블록(7)과 일체로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걸이후크(8)는 부품블록(7)의 외면에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사출성형 후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8)의 변형은 상기 걸이턱(6)과의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심한 경우 부품블록(7)이 박스몸체(1)의 장착공간(5)에서 빠지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부품블록(7)을 상기 장착공간(5)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숙련도가 부족하거나 부주의해서 상기 걸이후크(8)가 상기 걸이턱(6)에 제대로 걸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사용중에 상기 걸이후크(8)가 박스몸체(1) 내부의 온도 등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걸이턱(6)과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걸이후크(8)의 선단이 상기 장착공간(5)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으므로, 불의의 외력이 걸이후크(8)의 선단에 가해지게 되면 걸이후크(8)와 걸이턱(6) 사이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블록이 박스몸체의 장착공간 내에 보다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블록을 박스몸체에 체결하는 걸이후크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몸체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부품블록이 설치될 수 있도록 걸이턱에 걸어진 걸이후크와 상기 부품블록의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에 있어서, 변형공간을 구비하는 판형상의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후크와 부품블록의 사이로 상기 홀더몸체가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와, 상기 홀더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부가 내부의 커버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는 단부챔퍼와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의 두께가 상기 걸이후크와 부품블록의 외면 사이의 간격보다 얇게 되는 간섭회피요입면을 구비한다.
상기 간섭회피요입면은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요입면을 통과한 위치에는 안내경사면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변형공간은 상기 홀더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이 끝난 위치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을 커버부로 안내하는 결합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박스몸체의 장착공간 내면에 걸어지는 제1차록돌기와 제2차록돌기가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부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잡이부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잡이부는 공구가 삽입되는 잡이관통공을 구비하고 외면 양단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 내에 형성된 커버공간의 입구는 상기 홀더몸체의 표면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더는 차량용 박스의 박스몸체에 부품블록을 결합시키는 걸이후크와 부품블록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걸이후크가 박스몸체의 걸이턱에 보다 확실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부품블록이 박스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홀더는 걸이후크의 선단부가 커버공간내에 삽입되어 걸어진 상태로 제2차록돌기가 박스몸체에 걸어지므로, 부품블록의 걸이후크가 박스몸체에 결합된 것에 더해 상기 부품블록과 박스몸체사이를 서로 결합시켜 주므로 전체적으로 부품블록이 박스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홀더를 사용하면 걸이후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걸이후크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박스몸체에서 부품블록이 불의의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용 박스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블록용 홀더의 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홀더가 부품블록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홀더가 사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의 홀더가 장착되는 부품블록과 박스몸체의 구성을 도 5를 사용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몸체(50)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차량용 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박스몸체(50)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장착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52)의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블록(56)이 위치될 수 있도록 부품블록(5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공간(52)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걸이턱(5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4)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블록(56)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그 갯수와 형성 위치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턱(54)은 걸이면(55)이 장착공간(52)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55')이 장착공간(52)의 상부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54)이 형성된 장착공간(52)의 내면은 장착공간(52)의 내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58)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장착공간(52)의 내면과 부품블록(56)의 외면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부품블록(56)은 상기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에 위치되는 것으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블록(56)에는 예를 들면 릴레이와 같은 전장 부품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부품블록(56)은 하나의 박스몸체(50)에 여러 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부품블록(56)이 상기 장착공간(52) 내에 고정되어 박스몸체(5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걸이턱(54)에 걸어지는 걸이후크(58)가 상기 걸이턱(5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58)는 상기 부품블록(56)의 외면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블록(56)의 외면을 따라 외팔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58)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는 박스몸체(50)에 부품블록(56)이 장착되었을 때, 장착공간(52)의 외부로 약간 돌출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걸이후크(58)에는 상기 걸이턱(54)에 걸어지는 걸림턱(5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9)에는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을 향하도록 걸이면(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면(59')은 상기 걸이턱(54)의 걸이면(55')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걸이후크(58)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9)에서 상기 걸이면(59')의 반대쪽으로는 경사면(5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이턱(54)의 경사면(55')과 협력하여 걸이후크(58)가 걸이턱(54)에 걸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홀더(60)는 상기 부품블록(56)의 외면과 상기 걸이후크(58)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걸이후크(58)가 상기 걸이턱(5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외력이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에 임의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홀더(60)의 골격을 홀더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홀더몸체(62)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62)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사각형으로 변형공간(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공간(64)은 반드시 상기 홀더몸체(62)를 관통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걸이후크(58)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차록돌기(68)의 탄성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몸체(62)를 관통하게 변형공간(64)을 형성하지 않고 홀더몸체(62)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제2차록돌기(68)의 탄성변형을 위한 공간은 상기 홀더몸체(6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홀더몸체(62)의 양측면 하단에는 제1차록돌기(66)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록돌기(66)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홀더몸체(62)의 양측면 중단에는 제2차록돌기(68)가 구비된다. 상기 제1차록돌기(66)와 제2차록돌기(68)는 상기 홀더(60)가 각각 가조립상태 및 완전조립상태가 될 수 있도록 상기 박스몸체(5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나 요홈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에는 삽입안내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부(70)는 상기 홀더몸체(62)가 상기 부품블록(56)의 외면과 걸이후크(58)의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 양측에는 단부쳄퍼(72)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쳄퍼(72)는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 양측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으로 삽입안내부(70)의 폭은 상기 홀더몸체(62)의 다른 부분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안내부(70)에는 또한 간섭회피요입면(74)이 구비된다. 상기 간섭회피요입면(74)은 홀더몸체(62)의 선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되도록 한다. 상기 간섭회피요입면(74)은 홀더몸체(62)의 선단쪽으로 갈수록 홀더몸체(62)의 두께를 얇게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간섭회피요입면(74)에서 상기 변형공간(64) 쪽으로 더 연장되어 안내경사면(76)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76)은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홀더몸체(62)에서 상기 변형공간(64)의 일측변, 즉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 반대쪽의 일측변을 따라서는 결합안내면(7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78)은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를 안내하여 걸이후크(58)와 걸이턱(54)의 체결상태가 정확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안내면(78)은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쪽에서 후단쪽으로 가면서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안내면(78)은 경사진 평면이거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결합안내면(78)중 상기 변형공간(64)과 인접한 위치에는 어느 정도 평면으로 된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은 홀더몸체(6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걸이후크(58)를 눌러줄 수 있는 부분으로 된다.
상기 홀더몸체(62)의 후단, 즉 도면을 기준으로는 홀더몸체(62)의 상단에는 커버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80)의 내부에는 커버공간(8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공간(82)에는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58')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80)의 내부에는 커버공간(82)이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공간(82)의 입구(82')는 상기 홀더몸체(62)의 선단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커버공간(82)에는 상기 입구(82')를 통해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가 위치된다. 상기 커버공간(82)의 입구(82')는 상기 홀더몸체(62)의 표면, 즉 변형공간(64)의 입구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공간(82)은 상기 홀더몸체(62)의 배면으로도 개방된다.
상기 커버부(80)에는 상기 홀더몸체(62)의 후단쪽으로 돌출되게 잡이부(84)가 형성된다. 상기 잡이부(84)는 홀더(60)를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잡이부(84)의 외면에는 잡이관통공(86)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잡이관통공(86)의 존재에 의해 작업자는 롱노우증 등을 사용하여 전체 홀더(60)를 쉽게 뺄 수 있다.
상기 잡이부(84)의 양단면에는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요철(88)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88)은 잡이부(84)의 양측 표면이 요입되고 돌출된 구조를 교대로 가져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홀더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홀더(60)는 상기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에 부품블록(56)을 장착한 후에 상기 부품블록(56)의 외면과 상기 걸이후크(58)의 사이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먼저, 상기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에 상기 부품블록(56)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품블록(56)의 걸이후크(58)를 상기 장착공간(52) 내면의 걸이턱(54)에 걸어지도록 한다. 상기 부품블록(56)을 상기 장착공간(5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후크(58)는 상기 걸이턱(54)의 경사면(55')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걸이턱(54)의 경사면(55')에 상기 걸림턱(59)의 경사면(59")이 안내되기 시작하면 상기 걸이후크(58)는 상기 부품블록(56)과의 사이가 좁아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이턱(54)의 경사면(55')을 상기 걸림턱(59)의 경사면(59')이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탄성변형되었던 상기 걸이후크(58)가 원래의 상태로 되면서 상기 걸이턱(54)의 걸이면(55)에 상기 걸림턱(59)의 걸이면(59')이 걸어진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걸이후크(58)는 각각의 걸이턱(54)에 걸어진 상태이다. 물론,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일부 걸이후크(58)가 걸이턱(54)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의 (a) 상태가 이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이후크(58)와 부품블록(56)의 외면 사이로 상기 홀더(60)를 삽입한다. 상기 홀더(60)의 삽입시에 상기 홀더몸체(62) 선단부에 있는 삽입안내부(70)가 먼저 상기 걸이후크(58)와 부품블록(56)의 사이로 들어간다. 상기 삽입안내부(70)의 단부쳄퍼(72)와 간섭회피요입면(74)은 삽입안내부(70)가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더몸체(62)의 삽입은 상기 홀더몸체(62)의 제1차록돌기(66)가 상기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 내면에 걸어질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차록돌기(66)가 박스몸체(50)에 걸어진 상태에서는 일정 이상의 힘이 홀더몸체(62)에 가해지지 않으면 더 이상 홀더몸체(62)가 삽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b)에 있다.
참고로, 상기 홀더몸체(62)를 상기 걸이후크(58)와 부품블록(56)의 사이로 완전히 삽입하는 것은 작업자가 각각의 홀더(60)에 힘을 가해 할 수도 있고,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홀더몸체(62)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 작업을 하던간에 상기 홀더몸체(62)에 힘을 가하면 상기 홀더몸체(62)가 걸이후크(58)와 부품블록(56) 사이로 들어가면서 상기 걸이후크(58)의 의 선단부(58")가 상기 변형공간(64)을 지난 위치에 있는 결합안내면(78) 근처를 지나게 된다. 만약, 상기 걸이후크(58)가 걸이턱(54)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 즉 상기 걸이턱(54)의 경사면(55')에 상기 걸림턱(59)의 경사면(59")이 안내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걸이후크(58)는 상대적으로 부품블록(56)의 표면에 가까운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은 상기 변형공간(64)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홀더몸체(62)의 계속되는 삽입에 의해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는 상기 결합안내면(78)에 닿게 된다.
상기 결합안내면(78)에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가 닿은 상태에서 홀더몸체(62)를 눌러주면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가 상기 결합안내면(78)을 따라 안내되면서 걸이후크(58)를 눌러준다. 따라서, 상기 걸이후크(58)가 장착공간(52)의 내부로 더 삽입되어 걸이턱(54)과 걸림턱(59)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는 상기 결합안내면(78)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부(80) 내부의 커버공간(82)으로 삽입된다. 상기 커버공간(82)의 내부에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가 위치하는 상태가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는다. 이때의 구성은 도 5에도 잘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2차록돌기(68)가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 내면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몸체(62)가 걸이후크(58)와 부품블록(56)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버부(80)가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를 덮게 되면 외력이 임의로 작용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60)를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롱로우즈와 같은 공구를 상기 잡이부(84)의 잡이관통공(86)에 삽입하여 홀더(60)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해 분리한다. 이때, 상기 홀더(60)는 상기 제2차록돌기(68)가 상기 박스몸체(50)로부터 빠지면 체결상태가 해제되고, 분리해 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홀더(60)와 박스몸체(5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홀더(60)를 상기 박스몸체(50)에서 분리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58)의 선단부(58')를 작업자가 조작하여 걸이후크(58)가 부품블록(56)의 외면쪽으로 이동하게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걸이턱(54)에서 걸림턱(59)이 분리되어 부품블록(56)을 박스몸체(5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걸이후크(58)를 모두 분리하고 나면 박스몸체(50)의 장착공간(52)에서 부품블록(56)을 빼내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안내면(78)이 홀더몸체(62)의 변형공간(64) 끝부분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걸이후크(58)가 상기 걸이턱(54)에 항상 정확하게 결합되어 있다면 결합안내면(78)이 없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잡이부(84)도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작업자가 손으로 홀더몸체(62)의 양단을 잡고 홀더몸체(62)를 분리해 낼 수 있다면 필요없다.
50: 박스몸체 52: 장착공간
54: 걸이턱 56: 부품블록
58: 걸이후크 59: 걸림턱
60: 홀더 62: 홀더몸체
64: 변형공간 66: 제1차록돌기
68: 제2차록돌기 70: 삽입안내부
72: 단부쳄퍼 74: 간섭회피요입면
76: 안내경사면 78: 결합안내면
80: 커버부 82: 커버공간
82': 입구 84: 잡이부
86: 잡이관통공 88: 요철

Claims (9)

  1. 박스몸체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부품블록이 설치될 수 있도록 걸이턱에 걸어진 걸이후크와 상기 부품블록의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에 있어서,
    변형공간을 구비하는 판형상의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후크와 부품블록의 사이로 상기 홀더몸체가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와,
    상기 홀더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부가 내부의 커버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부는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는 단부챔퍼와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의 두께가 상기 걸이후크와 부품블록의 외면 사이의 간격보다 얇게 되는 간섭회피요입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요입면은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요입면을 통과한 위치에는 안내경사면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은 상기 홀더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이 끝난 위치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을 커버부로 안내하는 결합안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박스몸체의 장착공간 내면에 걸어지는 제1차록돌기와 제2차록돌기가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홀더몸체의 선단부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잡이부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잡이부는 공구가 삽입되는 잡이관통공을 구비하고 외면 양단에는 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내에 형성된 커버공간의 입구는 상기 홀더몸체의 표면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KR1020100085973A 2010-09-02 2010-09-02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KR20120022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73A KR20120022400A (ko) 2010-09-02 2010-09-02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73A KR20120022400A (ko) 2010-09-02 2010-09-02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00A true KR20120022400A (ko) 2012-03-12

Family

ID=4613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973A KR20120022400A (ko) 2010-09-02 2010-09-02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2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244A (ko) * 2014-11-11 2016-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KR101985483B1 (ko) * 2018-02-05 2019-06-03 주식회사 신진화학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244A (ko) * 2014-11-11 2016-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KR101985483B1 (ko) * 2018-02-05 2019-06-03 주식회사 신진화학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US10759273B2 (en) 2018-02-05 2020-09-01 Sinjin Plastics Co., Ltd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JP5012634B2 (ja) ケースの閉鎖保持機構
US20140165339A1 (en) Reversible cable tie
US6659792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150036564A (ko) 커버 제거 고정구
KR20110117937A (ko) 차량용 박스
KR2012002240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 블록용 홀더
US20130017012A1 (en) Attaching structure of banding band
JP2011103714A (ja) バンドクリップ
KR100970274B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6907043B2 (ja) 電気接続箱
JP5412997B2 (ja) 電気接続箱
KR20100122257A (ko) 박스의 결합장치
JP649096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8594Y1 (ko) 박스용 커버결합장치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0773836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2090130B1 (ko) 체결장치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20100010712U (ko) 박스
KR101376333B1 (ko) 커넥터
KR100944013B1 (ko) 박스
KR20100013640A (ko) 부품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