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40A - 부품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40A
KR20100013640A KR1020080075252A KR20080075252A KR20100013640A KR 20100013640 A KR20100013640 A KR 20100013640A KR 1020080075252 A KR1020080075252 A KR 1020080075252A KR 20080075252 A KR20080075252 A KR 20080075252A KR 20100013640 A KR20100013640 A KR 2010001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hook
hook
component
jaw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482B1 (ko
Inventor
석상식
황의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부품(50)에는 걸림돌기(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부품(60)에는 상기 걸림돌기(52)에 걸어지는 걸이턱(66)이 형성되는 탄성후크(6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52)에는 상기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의 이동궤적에 일단부가 위치하는 간섭방지부(55)와 상기 걸이턱(66)의 이동궤적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56)로 구성되는 걸림턱(54)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후크(62)에는 상기 걸림돌기(52)가 위치되는 안착부(6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64)의 일측 내면에 상기 걸림턱(54)에 걸어지는 걸이턱(66)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56)는 상기 간섭방지부(55)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의 체결을 위한 걸림돌기(52)의 걸림턱(54)과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진동에 의한 소음이 줄어들고 부품사이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부품, 결합, 탄성변형, 궤적

Description

부품결합장치{Parts 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품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부품을 서로 결합함에 있어서 일측이 탄성변형하여 타측에 걸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품결합장치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서로 결합되는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에서 서로 결합되는 부분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부품(10)에는 걸림돌기(1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2)는 상기 제1부품(10)의 일측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2)의 일측면은 걸림턱(14)으로 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턱(24)이 걸어진다. 상기 걸림턱(14)은 그 표면 전체가 상기 제1부품(10)의 표면에 대해 직교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품(20)에는 탄성후크(2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22)는 상기 제1부품(10)의 걸림돌기(12)가 형성된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22)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후크(22)에는 상기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의 결합이 완성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12)가 위치되는 안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4)는 상기 탄성후크(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24)중 그 일측 내면은 상기 걸림돌기(12)의 걸림턱(14)이 걸어지는 걸이턱(26)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품결합장치에서 상기 탄성후크(22)는 상기 걸림돌기(12)를 타고 넘어서 걸림턱(14)에 걸이턱(26)이 걸어지도록 되어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이 서로 체결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후크(22)가 상기 걸림돌기(12)에 걸어졌을 때, 상기 걸림돌기(12)의 걸림턱(14)과 탄성후크(22)의 걸이턱(26)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후크(22)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2)를 타고 넘을 때, 그 복원되는 궤적이 상기 걸림턱(14)의 초입(14')을 지나야 하기 때문이다.
즉,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후크(22)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복원되려면, 최소한 상기 초입(14')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완전히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4)과 걸이턱(26)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격이 상기 걸림턱(14)과 걸이턱(26) 사이에 형성되면,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이 상기 유격만큼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두 부품(10,20)사이에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돌기와 탄성후크를 사용한 부품체결장치에서 탄성후크의 탄성변형의 궤적에 따른 유격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부품과 제2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탄성후크가 각각 구비되는 부품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탄성후크의 걸이턱의 이동궤적에 일단부가 위치하는 간섭방지부와 상기 걸이턱의 이동궤적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로 구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후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위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 내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간섭방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간섭방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일정 구간은 곡면으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부품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으로 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탄성후크를 관통하거나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하기 위해 탄성후크가 상대 이동할 때 마주보는 탄성후크와 걸림돌기의 각각의 면에는 각각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에서는, 두 개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와 탄성후크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턱의 표면을 탄성후크의 탄성변형에 따른 이동궤적에 맞춰 형성하였다. 따라서, 걸림돌기와 탄성후크의 길이턱 사이에 유격이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아 두 부품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걸림돌기의 걸림턱 표면의 형상을 탄성후크의 탄성변형궤적을 따라 형성하면 걸림턱의 표면이 부품의 표면에 직교하지 않도록 되므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금형에서 사용하는 코어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어 코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는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은 예를 들면 서로 결합되는 암커넥터와 숫커 넥터 또는 정션박스의 메인몸체와 커버 등이 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상기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 나타난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부품(50)의 일측 표면에는 걸림돌기(5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52)는 상기 제1부품(50)의 일측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2)중 상기 제2부품(60)의 탄성후크(62)가 진입해 오는 방향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안내경사면(53)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53)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후크(62)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상기 안내경사면(53)의 반대쪽 측면에는 걸림턱(5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4)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걸림턱(54)은 간섭방지부(55)와 스페이서부(56)로 구성된다.
상기 간섭방지부(55)는 상기 걸림돌기(52)의 상면(52')과 직교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간섭방지부(55)와 상기 상면(52')이 서로 만나는 지점, 즉 간섭방지부(55)의 일단부는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탄성변형에 대한 복원시에 지나가는 궤적에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56)는 상기 걸림돌기(52)에 탄성후크(62)가 걸어졌을 때, 걸림돌기(52)와 탄성후크(62) 사이의 유격을 채워주는 부분으로, 걸이턱(66)의 이동궤적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부(56)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탄성변형에 대한 복원시에 지나가는 궤적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걸림돌기(52)의 걸림턱(54)과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부(56)가 전체적으로 곡면이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상기 스페이서부(56)에 밀착되어 유격이 전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부품(60)에는 탄성후크(6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62)는 상기 제1부품(50)의 걸림돌기(52)가 형성된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62)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후크(62)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돌기(52)의 안내경사면(53)과 대응되게 안내경사면(6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62)의 안내경사면(62)은 상기 걸림돌기(62)의 안내경사면(53)과 협력하여 상기 탄성후크(62)의 탄성변형을 만들어낸다.
상기 탄성후크(62)에는 상기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의 결합이 완성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52)가 위치되는 안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64)는 상기 탄성후크(6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64)중 그 일측 내면은 상기 걸림돌기(52)의 걸림턱(54)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걸이턱(66)이다. 상기 걸이턱(66)은 그 표면이 상기 탄성후크(62)의 인접한 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6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후크(62)를 반드시 관통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요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3에서 설명될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도면부호는 100단위로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부(155)의 구성이 달리된다. 상기 스페이서부(155)가 간섭방지부(155)와 인접한 부분에서는 곡면이나, 실질적으로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과 접촉하는 부분은 제1부품(150)의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된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걸림턱(154)에 걸어지도록 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 및 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걸림턱(54)의 스페이서부(56)에 압입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하지 않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걸이턱(66)와 걸림턱(54) 사이의 유격이 조금 있을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이 결합할 때에는, 상기 탄성후크(62)가 상기 걸림돌기(52)의 안내경사면(53)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이 상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후크(62)의 안내경사면(63)이 상기 걸림돌기(52)의 안내경사면(53)을 따라 이동하여 탄성후크(62)가 상기 제1부품(5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후크(62)의 안착부(64)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걸림돌기(52)의 상면(52') 끝 부분을 넘는 순간부터 상기 탄성후크(62)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탄성후크(62)가 계속하여 전진하도록 상기 제1부품(50)과 제2부품(60) 이 상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후크(62)의 안착부(64)에 상기 걸림돌기(52)가 위치되면서 상기 탄성후크(62)가 걸림돌기(52)에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턱(66)은 상기 걸림돌기(52)의 걸림턱(54)에 있는 스페이서부(56)에 밀착되면서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54)과 걸이턱(66)의 사이에는 유격이 없게 되어 제1부품(50)과 제2부품(60) 사이에 상대 이동이 없어지게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이 최소화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스페이서부(155)의 존재에 의해 걸림턱(154)과 걸이턱(66) 사이에 유격이 최소화되면서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후크(62)를 상기 걸림돌기(52)에서 분리하는 것은, 상기 탄성후크(62)의 선단을 작업자가 잡고 탄성후크(62)가 제1부품(50)의 표면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변형시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후크(62)의 걸이턱(66)이 상기 간섭방지부(55)에 안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부품(50)에 대해 제2부품(6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이턱(66)이 간섭방지부(55)에 걸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후크(62)와 걸림돌기(52)가 제1부품(50)과 제2부품(60)의 여러 곳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매우 유익하다. 왜냐하면, 상기 다수개의 탄성후크(62)가 각각 걸림턱(54)의 스페이서부(56)에서는 분리된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제1부품(50)에 대해 제2부품(60)이 분리되게 조금만 힘을 더 가하면 상기 탄성후크(62)들이 걸림돌기(52)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부품(50)에 걸림돌기(52)가 형성되고, 제2부품(60)에 탄성후크(62)가 형성되었으나, 반대의 위치에 걸림돌기(52)와 탄성후크(6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제1부품 52: 걸림돌기
52': 상면 53: 안내경사면
54: 걸림턱 55: 간섭방지부
56: 스페이서부 60: 제2부품
62: 탄성후크 63: 안내경사면
64: 안착부 66: 걸이턱

Claims (5)

  1. 제1부품과 제2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탄성후크가 각각 구비되는 부품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탄성후크의 걸이턱의 이동궤적에 일단부가 위치하는 간섭방지부와 상기 걸이턱의 이동궤적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로 구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후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위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 내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간섭방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간섭방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일정 구간은 곡면으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부품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탄성후크를 관통하거나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하기 위해 탄성후크가 상대 이동할 때 마주보는 탄성후크와 걸림돌기의 각각의 면에는 각각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KR1020080075252A 2008-07-31 2008-07-31 부품결합장치 KR10147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2A KR101473482B1 (ko) 2008-07-31 2008-07-31 부품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2A KR101473482B1 (ko) 2008-07-31 2008-07-31 부품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40A true KR20100013640A (ko) 2010-02-10
KR101473482B1 KR101473482B1 (ko) 2014-12-17

Family

ID=4208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52A KR101473482B1 (ko) 2008-07-31 2008-07-31 부품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119A (ko) * 2017-07-18 2019-01-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소자용 열방출장치 및 그 결합구
KR20190070706A (ko) * 2017-12-13 2019-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9502B2 (ja) 1999-08-24 2004-01-1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119A (ko) * 2017-07-18 2019-01-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소자용 열방출장치 및 그 결합구
KR20190070706A (ko) * 2017-12-13 2019-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482B1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JP5978398B2 (ja) コネクタ
JP5012634B2 (ja) ケースの閉鎖保持機構
JP6946109B2 (ja) クリップ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WO2019131372A1 (ja) コネクタ
JPWO2017134811A1 (ja) バックル
KR20100013640A (ko) 부품결합장치
KR20080000729U (ko) 박스 커버의 체결구조
KR101174826B1 (ko) 파티션 연결구
JP2006234035A (ja) 嵌合構造
TWI730324B (zh) 插扣用的插銷以及插扣
TWI584753B (zh) buckle
JP5990330B2 (ja) コネクタ
JP6597434B2 (ja) コネクタ
JP4790687B2 (ja) 樹脂製クリップ
KR100652199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0773836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100070834A (ko) 커넥터어셈블리
JP2015161330A (ja) クリップ
JP7046353B2 (ja) ファスナ構造
JP5368677B2 (ja) 浴槽エプロンの取付構造
KR20120011297A (ko) 후크결합장치
JP2010153308A (ja) コネクター固定具
KR20230071421A (ko) 딘레일 장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