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56B1 - 복층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56B1
KR102089956B1 KR1020190128113A KR20190128113A KR102089956B1 KR 102089956 B1 KR102089956 B1 KR 102089956B1 KR 1020190128113 A KR1020190128113 A KR 1020190128113A KR 20190128113 A KR20190128113 A KR 20190128113A KR 102089956 B1 KR102089956 B1 KR 10208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space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근
홍경표
홍소희
Original Assignee
홍종근
홍경표
홍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근, 홍경표, 홍소희 filed Critical 홍종근
Priority to KR102019012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1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tructural provisions for holding drying agents, e.g. packed in special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39Working the edges of already assembled units
    • E06B3/67343Filling or covering the edges with synthetic hardenabl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을 사각판으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을 세척수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사이에 삽입 배치할 스페이서를 바 형태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 (D) 상기 바 형태로 절단된 스페이서의 내부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단계; (E) 상기 흡습제가 충진된 스페이서를 조립하여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스페이서조립체를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에 위치시켜 상호간 접착하는 단계; (G) 상기 스페이서와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의 외곽을 실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 각각에 대해 네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구조로 형성시켜 취성을 낮출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흡습제를 충진하기 위한 흡습제충진공간부 및 흡습제충진공간부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고 외면에 결합홈을 갖는 돌출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1스페이서의 돌출플레이트부로 결합 고정함에 의해 제1스페이서와의 사이에 단열재충진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E)단계에서는 스페이서에 대해 결속구를 사용하여 조립함에 의해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구는 장방형 몸체를 갖는 결속지지본체와, 상기 결속지지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고 스페이서 측 단열재충진공간부로 삽입 고정되는 한쌍의 쐐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유리 자체에 대해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갖는 우수한 품질의 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간 조립성을 높여 내구성 있는 복층유리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되는 유리판 측 취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하면서 스페이서와의 탄성 접합을 갖게 하는 등 내진 구조설계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해 유리판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복층유리 자체에 대한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중공층을 두어 단열성 및 방음성을 높인 유리를 말하며, 판유리가 갖는 결점을 보안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외측 유리와 내측 유리가 구비되고 그 사이에 스페이서가 삽입 설치되어 외측 유리와 내측 유리가 간격 배치되게 하는데,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 공간에는 흡습제가 충진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1차 접착제에 의해 측면부가 외측 유리 및 내측 유리와 접착되고 하면에는 2차 접착제가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는 일반 판유리에 비해 단열과 방음 및 결로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서 최근 건축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이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창을 통해 빠져나가는 열손실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복층유리는 건축물에 있어서 단열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므로 그 적용이 큰 폭으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창호 측 단열성 향상 구조 등을 비롯하여 복층유리 자체에 대한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부연하여, 복층유리는 2장의 판유리를 스페이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흡습제를 봉입하여 밀봉한 것으로서, 스페이서에서는 흡습제가 봉입되어 공기층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고 있어 이 밀폐된 공기층의 열저항에 의해 단열효과를 갖게 되며, 2장의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 1장의 유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2배 이상의 단열성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냉난방부하를 경감시켜주어 에너지 절약에 탁월하고 이와 더불어 내외부 공기차에 의한 결로발생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에 복층유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로이복층유리, 가스주입단열유리 등 고기능성 유리의 적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최근 복층유리를 적용함에 있어 더욱 높은 품질 수준을 요구하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68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85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간 조립성을 높여 내구성 있는 복층유리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되는 유리판 측 취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하면서 스페이서와의 탄성 접합을 갖게 하는 등 내진 구조설계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해 유리판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열가스의 충진 또는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스페이서의 에지부 등지에서 많이 발생되는 열교환현상에 의한 열손실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결로발생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층유리 자체에 대한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은, (A)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을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판으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을 세척수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사이에 삽입 배치할 스페이서를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 (D) 상기 바 형태로 절단된 스페이서의 내부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단계; (E) 상기 흡습제가 충진된 바 형태의 스페이서를 조립하여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스페이서조립체를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에 위치시켜 상호간 접착하는 단계; (G) 상기 스페이서와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의 외곽을 실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 각각에 대해 네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구조로 형성시켜 취성(脆性; brittleness)을 낮출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흡습제를 충진하기 위한 흡습제충진공간부 및 흡습제충진공간부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고 외면에 결합홈을 갖는 돌출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1스페이서의 돌출플레이트부로 결합 고정함에 의해 제1스페이서와의 사이에 단열재충진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E)단계에서는 스페이서에 대해 결속구를 사용하여 조립함에 의해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구는 장방형 몸체를 갖는 결속지지본체와, 상기 결속지지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고 스페이서 측 단열재충진공간부로 삽입 고정되는 한쌍의 쐐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결속구의 결속지지본체에는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관통되는 가스투입홀을 형성함으로써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사이에 단열성을 강화하기 위한 단열가스를 주입하여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스투입홀에 삽입 배치 및 조립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한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투입홀의 내면에 내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는 외나사산을 갖는 볼트형 몸체로 구비하되 헤드부 상면에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마개는 실링(sealing) 기능을 발휘하도록 고무계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열재충진공간부에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단열성 합성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실리카, 경량기포콘크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공성 방음물질 20~60중량부, 경화제 50~80중량부를 포함하는 단열혼합물을 충진하여 단열성과 방음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에지부 측 열교현상을 차단함에 의해 열손실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B)단계와 (C)단계의 사이에는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각각의 내외측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장식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재하며, 상기 장식문양은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각각의 표면을 직접 레이저 가공하여 형성하거나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각각의 표면에 도료를 인쇄하여 단색 또는 다색의 색채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F)단계에서는,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스페이서조립체를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에 위치시켜 상호간 접착 처리함으로써 탄성에 의한 내진 기능을 발휘함과 더불어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깨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는, 부틸 실란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된 1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45~60중량부, EVA수지 10~30중량부, 유리비드 5~20중량부, 점착부여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흡습제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흡습성 광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흡습성을 강화하기 위해 산화칼슘, 무수염화칼슘, 염화칼슘 2수화물 중에서 선택된 1종에 대해 20~50중량부, 흡습제의 형상 유지를 위해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트리에틸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에 대해 10~20중량부, 고흡수성 폴리머인 SAP수지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간 조립성을 높일 수 있고 내구성 있는 양질의 복층유리로 제조할 수 있으며, 조립되는 유리판 측 취성을 낮출 수 있으면서 스페이서와의 탄성 접합을 갖게 하는 내진 구조설계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해 유리판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유리를 완성한 상태에서 단열가스의 충진 또는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며, 기존에 스페이서의 에지부 등지에서 많이 발생되는 열교환현상에 의한 열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결로발생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유리 자체에 대한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층유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있어 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있어 스페이서의 조립에 사용하기 위한 결속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에 있어 장식문양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저 가공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 구비단계(S10), 세척 건조단계(S20), 장식문양 형성단계(S30), 스페이서 구비단계(S40), 흡습제 충진단계(S50), 스페이서 조립단계(S60), 유리판 접착단계(S70), 실링단계(S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리판 구비단계(S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층유리(100)를 제조하기 위해 베이스재료인 제1유리판(111) 및 제2유리판(112)을 사각판으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리판 구비단계(S10)에서는 일정 크기 및 면적을 갖는 사각판으로 절단하여 구비하되, 면취기 등을 사용하여 제1유리판(111) 및 제2유리판(112) 각각에 대해 네 모서리 부분을 면취 가공함으로써 라운드 구조로 형성시켜 취성(脆性; brittleness)을 낮출 수 있도록 가공 처리하며, 이를 통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깨지지 않도록 가공하는 등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 건조단계(S20)는 상기 유리판 구비단계(S10)를 통해 구비된 제1유리판(111) 및 제2유리판(112)을 세척수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 후 물기 제거시에는 열풍 건조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문양 형성단계(S30)는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 각각의 내외측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단계를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식문양은 상기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 각각의 표면을 직접 레이저로 새김 가공하여 형성되게 할 수 있고, 상기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 각각의 표면에 도료를 인쇄하여 단색 또는 다색의 색채 표현을 갖도록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레이저로 새겨 장식문양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가공장치를 사용하는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가공장치는 장식문양의 가공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기(210)와, 상기 레이저발생기(210)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포커스(focus)를 조정하여 Z축방향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기 위한 레이저 높낮이조절기(220)와, 상기 레이저 높낮이조절기(22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된 레이저를 피대상물인 제1유리판 또는 제2유리판을 향해 반사시키는 X축 미러(231) 및 Y축 미러(232)와, 상기 X축 미러(23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X축 위치조절기(241) 및 Y축 미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Y축 위치조절기(242)와, 상기 X축 미러(231) 및 Y 미러(232)를 통해 피대상물인 제1유리판 또는 제2유리판을 향해 반사되는 레이저를 포커싱 처리하는 포커싱 렌즈(250)와, 상기 X축 위치조절기 및 Y축 위치조절기를 정밀하게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260)와, 상기 드라이버(2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장식문양 가공시 에어공급을 통해 냉각기능을 발휘케 함으로써 제1유리판(111) 또는 제2유리판(112) 측 가공부위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발생기(410)는 제1유리판(111) 또는 제2유리판(112)을 가공하므로 가공소재의 재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열적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자외선레이저를 사용토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를 통한 색채 표현으로 장식문양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프린터와 같은 형태의 인쇄기나 실크스크린 인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가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색채 표현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구비단계(S40)는 상기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의 사이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삽입 배치할 스페이서(120)를 유리판의 규격에 맞게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스페이서(120)는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더불어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을 높이기 위한 형태를 갖도록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121)와 제2스페이서(1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121)는 통형 몸체를 갖는 프레임 구조체로서, 흡습제를 충진하기 위한 흡습제충진공간부(121a)를 형성하고 상면에 흡습제충진공간부(121a)와 연결되는 관통홀(121c)이 형성되며, 상기 흡습제충진공간부(121a)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하되 외면에 결합홈을 갖는 수직형 돌출플레이트부(121b)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122)는 상기 제1스페이서(121)의 돌출플레이트부(121b)로 결합 고정하기 위한 상부 개방형 구조를 갖는 커버형 구조체로서, 상기 제1스페이서(121)와의 사이에 단열재충진공간부(123)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122)는 커버형 구조체의 상측 끝단부에 돌출플레이트부(121b) 측 결합홈에 끼움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부가 형성된다.
상기 흡습제 충진단계(S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되 바 형태로 절단된 스페이서(120)의 내부에 흡습제(130)를 충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흡습제(130)는 제1스페이서(121) 측 흡습제충진공간부(121a) 내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를 흡착하여 양질의 건조공기층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흡습제(130)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활성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흡습성 광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흡습성을 강화하기 위해 산화칼슘, 무수염화칼슘, 염화칼슘 2수화물 중에서 선택된 1종에 대해 20~50중량부, 흡습제의 형상 유지를 위해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트리에틸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에 대해 10~20중량부, 고흡수성 폴리머인 SAP수지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흡습성 폴리머인 SAP수지는 밀전분이나 아크릴산을 주원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습제 충진단계(S50)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1스페이서(121)와 제2스페이서(1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재충진공간부(123)로 단열성을 갖는 단열혼합물(140)을 충진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단열재충진공간부(123)로 충진되는 단열혼합물(140)은 단열성과 방음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페이서(120)의 에지부 측 열교환현상을 차단함에 의해 열손실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재충진공간부(123)로 충진되는 단열혼합물(140)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단열성 합성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실리카, 경량기포콘크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공성 방음물질 20~60중량부, 경화제 50~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경화제는 과산화벤조 등의 유기과산화물, 디에틸렌톨루엔디아민 등 아민계 등 시중에서 유통되는 아주 다양한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조립단계(S60)는 상기 흡습제(130) 및 단열혼합물(140)이 충진된 바 형태의 스페이서(120)를 조립하여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페이서 조립단계(S60)에서는 바 형태의 스페이서(120)에 대해 결속구(150)를 사용하여 조립함에 의해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구(15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 몸체를 갖는 결속지지본체(151)와, 상기 결속지지본체의 양측단부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고 스페이서 측 단열재충진공간부(123)로 삽입 고정되는 한쌍의 쐐기편(15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쐐기편(152)은 스페이서(120) 측 단열재충진공간부(123)로 삽입 고정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흡습제충진공간부(121a)로 삽입되는 쐐기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150)는 상기 결속지지본체(151)의 외측면 양측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제1유리판(111) 및 제2유리판(112)의 모서리부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유리판끼움홈(153a)을 갖는 한쌍의 유리판끼움부(15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구(150)에는 결속지지본체(151)에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관통되는 가스투입홀(151a)을 형성함으로써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사이의 내부로 복층유리(100) 측 단열성을 강화하기 위한 단열가스를 주입하여 충진 또는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스투입홀(151a)에 삽입 배치하여 결합하되 조립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한 마개(15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투입홀(151a)의 내면에는 내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154)는 외나사산을 갖는 볼트형 몸체(154a)로 구비하되 헤드부 상면에 체결조정홈(154b)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개(154)는 조립과 더불어 실링(sealing) 기능을 발휘하도록 실리콘 등을 비롯한 고무계 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투입홀(151a)을 통해서는 아르곤이나 크립톤 등의 가스를 주입할 수 있으며,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 측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열교환현상을 막아주어 결로현상 및 냉복사현상을 억제하여주며, 이를 통해 단열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투입홀(151a)을 통해서는 종래 제조공정 상에 필수적으로 수행하던 가스 주입작업을 복층유리를 완성한 이후에도 실시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리판 접착단계(S70)는 상기 결속구(150)를 이용하여 스페이서(120)를 사각틀로 조립하여 구비한 스페이서조립체를 제1유리판(111)과 제2유리판(112)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간 접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1유리판(111)과 스페이서(120)의 사이 및 상기 제2유리판(112)과 스페이서(120)의 사이에 접착층(16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층(160)을 형성하게 되는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는 탄성물질을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탄성에 의한 내진 기능을 발휘함과 더불어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깨짐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160)을 형성하게 되는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는 부틸 실란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된 1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45~60중량부, 탄성 강화를 위한 EVA수지 10~30중량부, 접착성 향상을 위한 유리비드 5~20중량부, 점착부여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틸 실란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EVA수지, 유리비드, 점착부여제는 교반 혼합 및 용융을 통해 혼합되는 혼합물로 사용되며, 이러한 혼합물을 압출성형을 통한 테이프화하거나 또는 액상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점착부여제로는 쿠마론인덴 수지, 로딘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중에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 강화를 위해 VA-VV-EAC(Vinyl Acetate, Vinyl Versatate, Ethylene, Butyl Acrylate) 4원공중합체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더 첨가하거나 또는 상기 EVA수지를 대체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단계(S80)는 상기 유리판 접착단계(S70)까지 마친 상태에 상기 스페이서(120)와 제1유리판(111) 및 제2유리판(112)의 외곽을 실링제를 사용하여 실링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20)와 제1유리판(111) 및 제2유리판(112)의 외곽면으로 실링층(170)이 형성되며, 복층유리(100)를 완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층(170)의 외면으로는 부틸테이프로 테이핑 처리하는 마감작업을 통해 실링층(170)을 보호하면서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방법을 통해서는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간 조립성을 높여 내구성 있는 복층유리로 제조할 수 있고, 조립되는 유리판과 스페이서와의 탄성 접합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유리판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에 복층유리에서 많이 발생되는 열교환현상에 의한 열손실을 절감함은 물론 결로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층유리 자체에 대해 단열성 및 방음성 등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복층유리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복층유리 111: 제1유리판
112: 제2유리판 120: 스페이서
121: 제1스페이서 121a:흡습제충진공간부
122: 제2스페이서 123: 단열재충진공간부
130: 흡습제 140: 단열혼합물
150: 결속구 151: 결속지지몸체
151a: 가스투입홀 152: 쐐기편
153: 유리판끼움부 154: 마개
160: 접착층 170: 실링층

Claims (6)

  1. (A)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을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판으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을 세척수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사이에 삽입 배치할 스페이서를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절단하여 구비하는 단계; (D) 상기 바 형태로 절단된 스페이서의 내부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단계; (E) 상기 흡습제가 충진된 바 형태의 스페이서를 조립하여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스페이서조립체를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에 위치시켜 상호간 접착하는 단계; (G) 상기 스페이서와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의 외곽을 실링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 각각에 대해 네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구조로 형성시켜 취성(脆性; brittleness)을 낮출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흡습제를 충진하기 위한 흡습제충진공간부 및 흡습제충진공간부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고 외면에 결합홈을 갖는 돌출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1스페이서의 돌출플레이트부로 결합 고정함에 의해 제1스페이서와의 사이에 단열재충진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E)단계에서는 스페이서에 대해 결속구를 사용하여 조립함에 의해 사각틀의 스페이서조립체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구는 장방형 몸체를 갖는 결속지지본체와, 상기 결속지지본체의 양측단부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고 스페이서 측 흡습제충진공간부 및 단열재충진공간부로 각각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쐐기편과, 상기 결속지지본체의 외측면 양측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의 모서리부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유리판끼움홈을 갖는 한쌍의 유리판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충진공간부에는 폴리스티렌에 의한 단열성 합성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퍼라이트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에 의한 다공성 방음물질 20~60중량부, 과산화벤조 또는 디에틸렌톨루엔디아민에 의한 경화제 50~8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충진하여 단열성과 방음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에지부 측 열교현상을 차단함에 의해 열손실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흡습제는 활성알루미나와 벤토나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되는 흡습성 광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흡습성을 강화하기 위해 무수염화칼슘 또는 염화칼슘2수화물 중에서 선택된 1종에 대해 20~50중량부, 흡습제의 형상 유지를 위해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트리에틸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에 대해 10~20중량부, 고흡수성 폴리머인 SAP수지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의 결속지지본체에는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관통되는 가스투입홀을 형성함으로써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사이에 단열성을 강화하기 위한 단열가스를 주입하여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스투입홀에 삽입 배치 및 조립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한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투입홀의 내면에 내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는 외나사산을 갖는 볼트형 몸체로 구비하되 헤드부 상면에 체결조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마개는 실링(sealing) 기능을 발휘하도록 고무계 소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의 사이에는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각각의 내외측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장식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를 개재하되,
    상기 장식문양은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각각의 표면을 직접 레이저 가공하여 형성하거나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각각의 표면에 도료를 인쇄하여 단색 또는 다색의 색채로 형성하며;
    상기 레이저 가공시에는 장식문양의 가공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기와, 상기 레이저발생기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포커스를 조정하여 Z축방향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기 위한 레이저 높낮이조절기와, 상기 레이저 높낮이조절기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된 레이저를 피대상물인 제1유리판 또는 제2유리판을 향해 반사시키는 X축 미러 및 Y축 미러와, 상기 X축 미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X축 위치조절기 및 Y축 미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Y축 위치조절기와, 상기 X축 미러 및 Y 미러를 통해 피대상물인 제1유리판 또는 제2유리판을 향해 반사되는 레이저를 포커싱 처리하는 포커싱 렌즈와, 상기 X축 위치조절기 및 Y축 위치조절기를 정밀하게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레이저발생기는 제1유리판(111) 또는 제2유리판(112)에 대한 가공소재의 재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열적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자외선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는,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스페이서조립체를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에 위치시켜 상호간 접착 처리함으로써 탄성에 의한 내진 기능을 발휘함과 더불어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깨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갖는 양면테이프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접착제는,
    부틸 실란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스티렌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된 1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45~60중량부, VA-VV-EAC(Vinyl Acetate, Vinyl Versatate, Ethylene, Butyl Acrylate) 4원공중합체 재유화형 분말수지 10~30중량부, 유리비드 5~20중량부, 점착부여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90128113A 2019-10-16 2019-10-16 복층유리 제조방법 KR10208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13A KR102089956B1 (ko) 2019-10-16 2019-10-16 복층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13A KR102089956B1 (ko) 2019-10-16 2019-10-16 복층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956B1 true KR102089956B1 (ko) 2020-03-17

Family

ID=7000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13A KR102089956B1 (ko) 2019-10-16 2019-10-16 복층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39B1 (ko) 2020-05-11 2021-04-16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기밀성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2157A (ko)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데시칸 복층유리용 흡습성 발포그래뉼 및 이를 구비한 복층유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65A (ja) * 1994-11-29 1996-06-11 Asahi Glass Co Ltd フィルム入り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94235B1 (ko) * 2010-05-11 2010-11-12 문경환 복층 유리
KR20130129754A (ko) * 2012-05-21 2013-11-29 김윤옥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JP2015036354A (ja) * 2013-08-13 2015-02-23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及び複層ガラス窓
KR101716852B1 (ko) 2014-05-19 2017-03-16 하나이앤디(주) 복층유리 제조 방법
KR101736895B1 (ko) 2016-10-25 2017-05-18 주식회사 한솔글라스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1818700B1 (ko) * 2016-09-20 2018-01-16 이재규 유리 다층필름 패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65A (ja) * 1994-11-29 1996-06-11 Asahi Glass Co Ltd フィルム入り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94235B1 (ko) * 2010-05-11 2010-11-12 문경환 복층 유리
KR20130129754A (ko) * 2012-05-21 2013-11-29 김윤옥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JP2015036354A (ja) * 2013-08-13 2015-02-23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及び複層ガラス窓
KR101716852B1 (ko) 2014-05-19 2017-03-16 하나이앤디(주) 복층유리 제조 방법
KR101818700B1 (ko) * 2016-09-20 2018-01-16 이재규 유리 다층필름 패널
KR101736895B1 (ko) 2016-10-25 2017-05-18 주식회사 한솔글라스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39B1 (ko) 2020-05-11 2021-04-16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기밀성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7894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기밀성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2157A (ko)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데시칸 복층유리용 흡습성 발포그래뉼 및 이를 구비한 복층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956B1 (ko) 복층유리 제조방법
JP4020385B2 (ja) 繊維セメント羽目板を製造し設置する方法
WO2011059033A1 (ja) 化粧石板付パネル
CN105732069A (zh) 连接陶瓷泡沫同时维持粘结表面上的结构和物理特性的方法和配方
KR200394869Y1 (ko) 창호틀
PT88236B (pt) Elemento de revestimento com uma placa de rocha natural e processo para a fabricacao desse elemento de revestimento
KR102136755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CN206917016U (zh) 一种用于建筑幕墙保温的单元结构
KR20050081565A (ko) 완충 및 방음기능을 갖는 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805090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コンクリート外壁への複合パネルの外張り施工方法
JP5410891B2 (ja) 建築用ガラスブロック集合体及びガラスブロック組込壁面構造
KR20100067782A (ko)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8457B1 (ko) 외단열 미장마감 시스템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1614683B1 (ko)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제조방법
CN208347194U (zh) 一种单面复合型保温装饰一体板
JP2003097020A (ja) 既存外壁の改修方法
JP3084180U (ja) 外壁用複合パネル
CN212242464U (zh) 一种高强度防刮伤复合玻璃
KR20130088346A (ko)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CN214834257U (zh) 一种强化式硅镁轻质防火板
CN212670983U (zh) 一种内填筋式空心砌块
CN221118816U (zh) 一种弧形建筑保温层结构
KR101036236B1 (ko) 건축 외장재용 복합 판넬
KR102452365B1 (ko)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609971B1 (ko)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합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