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52B1 - 복층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52B1
KR101716852B1 KR1020140059760A KR20140059760A KR101716852B1 KR 101716852 B1 KR101716852 B1 KR 101716852B1 KR 1020140059760 A KR1020140059760 A KR 1020140059760A KR 20140059760 A KR20140059760 A KR 20140059760A KR 101716852 B1 KR101716852 B1 KR 10171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head
reinforcing
bolt
bol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352A (ko
Inventor
정희석
Original Assignee
하나이앤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이앤디(주) filed Critical 하나이앤디(주)
Priority to KR102014005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홀부가 형성된 보강유리와, 내측홀부가 형성된 내측유리를 접합필름에 의해 접합하여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와, 내측홀부와 보강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볼트헤드를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와, 볼트헤드와 보강홀부간의 간극을 기밀부재로 충진하는 단계와, 보강유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외측유리가 스페이서에 의해 내측유리와 이격되고, 외측유리와 내측유리간의 공간에 아르곤가스를 충진하여 복층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와, 볼트바디를 볼트헤드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으면서 복층유리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층건물의 외벽 마감방식은 의장, 구조, 시공면 등에서의 잇점을 최대로 살려 커튼-월(Curtain wall) 방식을 중심으로 한 전면 혹은 부면 유리건물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들은 대부분 유리 자체가 경쾌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 미관을 한층 깨끗하고 생동감 있게 해준다.
최근의 전면유리 혹은 횡으로 길게 뻗은 연속 창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창틀 방식에서 눈에 띄던 창틀들의 갯수나 크기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창틀을 가능한 한 유리 배면에 은폐시키려는 시도들도 엿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포인트 글레이징 시스템 등으로 발전되고 있다.
한편 건축물에 요구되고 있는 다양한 기능과 성능 중에 에너지 절감은 건축물의 사용기간 중 아주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특히 건축물은 여러 가지 건축재료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서는 각각의 건축재료와 구성방법에 있어서 독립적인 에너지 절감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건축물의 외장재는 에너지 절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축재료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유리는 사용 부위와 유리 자체의 물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에너지 절감 방법 중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복층유리는 유리의 사양과 복층 내부에 사용되는 기체의 종류에 따라 효과적인 에너지 절감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건축자재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복층유리는 힌지볼트를 내부 접합유리 사이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접합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가공 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의 무게가 힌지볼트의 회전중심에 작용하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복층유리에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발생되어 복층유리의 접합면간의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구조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2028호(2006 02. 06. 공개, 발명의 명칭 : 복층 유리의 스페이서 형성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은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으면서 복층유리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 방법은: 보강홀부가 형성된 보강유리와, 내측홀부가 형성된 내측유리를 접합필름에 의해 접합하여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내측홀부와 상기 보강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볼트헤드를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보강홀부간의 간극을 기밀부재로 충진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외측유리가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내측유리와 이격되고,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간의 공간에 아르곤가스를 충진하여 복층유리를 제작하는 단계; 및 볼트바디를 상기 볼트헤드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유리와 상기 내측유리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평평한 면을 이룬다.
상기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유리와 상기 내측유리는 상기 보강홀부의 중심과 상기 내측홀부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볼트헤드의 헤드판과 상기 내측유리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와셔부가 개재되어 상기 헤드판과 상기 내측유리간의 간극을 밀봉한다.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측유리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헤드의 헤드기둥의 외측면에는 오링부가 장착되어 상기 헤드기둥과 상기 내측홀부간의 간극을 밀봉한다.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기둥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내측유리에 밀착된다.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링부는 상기 내측유리에 밀착된 상기 너트부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유리의 내측면은 상기 헤드기둥과 상기 너트부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내측유리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헤드의 헤드기둥의 외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부싱부가 장착되어 상기 헤드기둥과 상기 내측홀부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기밀부재로 충진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밀부재는 실런트(seala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볼트헤드에 체결된 상기 너트부를 둘러싼다.
상기 복층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은 이격기밀부재로 둘러싸여 상기 스페이서가 개재되는 상기 내측유리와 상기 외측유리 부위로 아르곤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볼트바디를 상기 볼트헤드에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볼트바디의 회전중심과 상기 복층유리의 무게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필름이 접합될 보강유리와 내측유리의 일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므로 접합필름과 보강유리, 접합필름과 내측유리 사이에 기포가 생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접합필름과 보강유리, 접합필름과 내측유리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복층유리의 빛 투과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셔부, 오링부, 기밀부재 등을 통해 힌지볼트장치와 접합유리간의 다중으로 밀봉하므로 외측유리와 내측유리의 공간 상에 충진된 아르곤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기둥과 너트부가 보강유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므로 복층유리의 제작 시에 접착 등의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헤드가 내측유리와 외측유리 사이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복층유리가 제작되므로 복층유리와 힌지볼트장치를 포함한 전체 구조의 무게중심과 힌지볼트장치의 회전중심이 일치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국부적인 응력 발생에 의한 복층유리의 구조적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헤드와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헤드와 너트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헤드와 보강홀부간의 간극에 기밀부재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의 회전에 의해 복층유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반대 방향으로 힌지볼트장치의 회전에 의해 복층유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헤드와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헤드와 너트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헤드와 보강홀부간의 간극에 기밀부재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볼트장치의 회전에 의해 복층유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반대 방향으로 힌지볼트장치의 회전에 의해 복층유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강유리(10)에는 보강홀부(11)가 구비된다. 보강홀부(11)는 타공장치에 의해 보강유리(10)가 타공되면서 형성된다. 내측유리(20)에는 내측홀부(21)가 구비된다. 내측홀부(21) 역시 타공장치에 의해 내측유리(20)가 타공되면서 형성된다. 후술할 볼트헤드(110)는 내측홀부(21)와 보강홀부(1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는 박막의 접합필름(15)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렇게 접합된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를 합쳐 접합유리라 칭한다.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는 보강홀부(11)의 중심과 내측홀부(21)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서로 접합된다. 이에 따라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가 일측으로 편향되어 접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평평한 면을 이룬다. 도 1을 기준으로 보강유리(10)의 좌측면과 내측유리(20)의 우측면은 평평한 면을 이루므로 그 사이에 개재되는 접합필름(15)과의 접합 시에, 보강유리(10)와 접합필름(15) 사이 및 내측유리(20)와 접합필름(15)의 사이로 공기가 침투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복층유리를 이루는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는 대체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보강유리(10)와 접합필름(15) 사이 및 내측유리(20)와 접합필름(15)의 사이에 기포가 잔존하는 경우 복층유리의 심미감까지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접합필름(15)과 접착되는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의 일면이 각각 평평한 면을 이룬다는 것은 심미감의 향상이라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접합필름(15)과 접착되는 보강유리(10)가 단일의 평평한 면을 가지고 맞은편의 내측유리(20) 역시 단일의 면을 가지므로, 종래와 같이 접합필름과 접착되는 부위가 단차를 가지는 복수의 면을 이룸에 따라 접합필름과 유리간의 접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유리(10)와 내측유리(20)가 전구간에서 접합필름(15)과 고르게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접합력이 일부 구간에서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합유리가 제작된 후, 볼트헤드(110)는 내측홀부(21)와 보강홀부(1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너트부(120)는 볼트헤드(110)의 헤드기둥(113)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의 체결에 의해 볼트헤드(110)는 접합유리 상에 위치 고정된다.
볼트헤드(110)의 헤드판(111)과 내측유리(20)의 사이에는 와셔부(130)가 개재되어 헤드판(111)과 내측유리간(20)의 간극을 밀봉한다. 더욱이 와셔부(13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되므로,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가 체결됨에 따라 헤드판(111)이 내측유리(20)측으로 접근할 때 헤드판(111)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와셔부(13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헤드판(111)과 와셔부(130), 그리고 와셔부(130)와 내측유리(20)간의 밀착력은 더욱 향상된다. 이를 통해 헤드판(111)과 내측유리(20) 사이로 아르곤가스 등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내측유리(20)를 관통하는 볼트헤드(110)의 헤드기둥(113)의 외측면에는 오링부(140)가 장착되어 헤드기둥(113)과 내측홀부(21)간의 간극을 밀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링부(1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가 체결됨에 따라 헤드기둥(113)이 내측홀부(21)와 나란하게 배치되면 오링부(140)는 헤드기둥(113) 및 내측홀부(21)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오링부(14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헤드기둥(113)과 오링부(140), 그리고 오링부(140)와 내측홀부(21)간의 밀착력은 더욱 향상된다. 이를 통해 헤드기둥(113)과 내측홀부(21) 사이로 아르곤가스 등이 누설되는 것을 재차 차단할 수 있다.
너트부(120)가 헤드기둥(113)에 체결이 완료되면, 너트부(120)에서 내측유리(20)에 대향되는 면은 내측유리(20)에 밀착된다. 이때 너트부(120)는 부싱부(112)와 함께 헤드기둥(113)과 내측홀부(21) 사이에 개재된 오링부(120)를 추가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오링부(140)의 탄성 변형 정도가 더 커지게 됨에 따라 헤드기둥(113)과 오링부(140), 그리고 오링부(140)와 내측홀부(21)간의 밀착력은 더 향상된다.
볼트헤드(110)는 헤드판(111), 헤드기둥(113), 그리고 부싱부(112)를 포함한다. 헤드판(111)은 내측유리(20)의 외측(도 2 기준 좌측)에 배치되도록 내측홀부(2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헤드판(111)의 중앙부에는 너트부(12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헤드기둥(113)이 형성된다. 헤드기둥(113)의 외측면에는, 구체적으로 오링부(140)보다 헤드판(111)에 보다 근접한 외측면에는 부싱부(112)가 장착된다. 부싱부(112)는 헤드기둥(113)과 내측홀부(21) 사이에 개재되면서 너트부(120)와 헤드기둥(113)과의 체결시 오링부(140)를 너트부(120)와 함께 가압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부(112)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측홀부(21)와 부싱부(112) 사이의 간극을 기밀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볼트헤드(110)와 너트부(120)가 체결된 후, 볼트헤드(110)와 보강홀부(11)간의 간극을 기밀부재(150)로 충진한다. 너트부(120)는 내측유리(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우 보강홀부(11)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볼트헤드(110)의 헤드기둥(113)과 보강홀부(11)간에는 간극이 생성되며, 이러한 간극에 기밀부재(150)를 충진함으로써 헤드기둥(113)과 보강홀부(11) 사이로 아르곤가스 등이 누설되는 것을 또 다시 차단할 수 있다.
기밀부재(150)는 실런트(seala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런트란 토목, 건축,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부재 상호간 창틀 등의 접합부, 빈틈에 사용되어 기밀, 수밀의 기능 외에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고무상의 물질 또는 연질 혹은 고점도의 액상 고무 조성물을 의미한다. 기밀부재(150)는 헤드기둥(113)에 체결된 너트부(120)를 둘러싸도록 충진되므로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 그리고 너트부(120)와 내측유리(20) 사이로 아르곤가스 등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밀부재(150)가 충진된 후, 스페이서(25)에 의해 보강유리(10)의 반대측, 바꿔 말해 내측유리(20)의 외측에 외측유리(30)가 내측유리(20)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보강유리(10), 내측유리(20), 외측유리(30)를 포함하여 복층유리라 칭하며, 복층유리는 내측(도 4 기준 우측)부터 보강유리(10), 내측유리(20), 외측유리(30)순으로 배치된다. 스페이서(25)에 의해 이격된 내측유리(20)와 외측유리(30)의 공간(S)에는 아르곤가스가 충진된다. 스페이서(25)의 외측(도 4 기준 상측과 하측)은 이격기밀부재(26)로 둘러싸여 스페이서(25)가 개재되는 내측유리(20)와 외측유리(30) 부위로 아르곤가스 등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격기밀부재(26)는 실런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유리(10)의 내측면(도 4 기준 우측면)은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보다 내측(도 4 기준 우측)으로 더 돌출된다. 바꿔 말해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는 보강유리(10)의 내측면에 비해 덜 돌출된다. 따라서 복층유리의 제작 시에 외측유리(30)와 스페이서(25), 그리고 스페이서(25)와 내측유리(20)간의 접착 과정에서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헤드기둥(113)과 너트부(120)가 보강유리(10)의 내측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보강유리(10)의 내측면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어 외측유리(30)와 스페이서(25), 그리고 스페이서(25)와 내측유리(20)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층유리가 제작된 후, 볼트바디(160)를 볼트헤드(110)에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볼트장치(100)는 볼트헤드(110), 너트부(120), 와셔부(130), 오링부(140), 기밀부재(150), 볼트바디(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볼트헤드(110)는 헤드기둥(113)이 내측홀부(21)와 보강홀부(11)를 관통한 상태에서 헤드판(111)이 내측유리(20)의 외측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헤드판(111)과 내측유리(20)의 사이에는 와셔부(130)가 개재되고, 너트부(120)는 헤드기둥(113)와의 나사 결합을 통해 볼트헤드(110)를 접합유리상에 위치 고정시킨다. 볼트헤드(110)와 너트부(120)의 결합 시에 오링부(140)는 내측홀부(21)상에 배치되어 볼트헤드(110)와 내측홀부(21), 그리고 너트부(120)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오링부(140)가 설치되는 지점에서 아르곤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볼트바디(160)는 볼트헤드(110)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한 탈부착을 위해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디체결부(161)와, 바디체결부(161)를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바디체결부(161)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바디플랜지부(162)와, 바디체결부(1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샤프트(163)와, 바디샤프트(163)에 결합되는 바디와셔(164)와 조절너트(165)를 포함한다.
힌지볼트장치(100)는 볼트헤드(110)와 바디플랜지부(162)에 의해 복층유리를 지지한다. 즉, 도 6을 참조할 때 볼트헤드(110)가 내측유리(20)의 외측면(도 6 기준 하측면)을 지지하고, 바디플랜지부(162)가 보강유리(10)의 내측면(도 6 기준 상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복층유리는 힌지볼트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바디플랜지부(162)는 바디체결부(161)가 볼트헤드(110)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볼트헤드(11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바디체결부(161)와 볼트헤드(110)간의 나사 결합이 완료되면, 바디플랜지부(162)는 보강유리(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보강유리(1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보강유리(10)와 바디플랜지부(162)와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완충부가 개재될 수 있다.
힌지볼트장치(100)는 바디체결부(161)와 바디샤프트(163)간에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바디체결부(161)는 도 6의 L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바디샤프트(163)에 대해 회전된다. 이에 따라 힌지볼트장치(100)에 의해 지지된 채로 설치된 복층유리는 바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뱌디샤프트(163)에 대해 바디체결부(161)가 회전하면서 복층유리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볼트장치(100)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힌지볼트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유리는 외력에 대해 유연하게 그 위치가 조정되면서 외력에 의한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헤드(110)가 내측유리(20)와 외측유리(30)의 사이까지 삽입된 채로 복층유리가 제조된다. 따라서 힌지볼트장치(100)의 회전중심(L)과 복층유리의 무게중심(W)이 일치하게 되므로, 복층유리에 국부적인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복층유리의 무게중심(W)과 힌지볼트장치(100)의 회전중심(L)이 일치함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평상시의 경우에 복층유리의 자체 하중에 의해 복층유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해 복층유리의 무게중심(W)과 힌지볼트장치(100)의 회전중심(L)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라면, 복층유리는 자체 하중에 의해 힌지볼트장치(100)의 회전중심(L)을 기준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힌지볼트장치(100)가 장착되는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여러 개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복층유리는 각 유리간의 접합력이 저하됨은 물론, 이에 기인하여 여러 가지 구조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층유리의 무게중심(W)과 힌지볼트장치(100)의 회전중심(L)이 일치함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물론 평상시에도 힌지볼트장치(100)가 설치되는 부위에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복층유리의 구조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70은 복층유리의 설치시 사용되는 스파이더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보강유리 11 : 보강홀부
15 : 접합필름 20 : 내측유리
21 : 내측홀부 25 : 스페이서
26 : 이격기밀부재 30 : 외측유리
100 : 힌지볼트장치 110 : 볼트헤드
111 : 헤드판 112 : 부싱부
113 : 헤드기둥 120 : 너트부
130 : 와셔부 140 : 오링부
150 : 기밀부재 160 : 볼트바디

Claims (12)

  1. 보강홀부가 형성된 보강유리와, 내측홀부가 형성된 내측유리를 접합필름에 의해 접합하여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내측홀부와 상기 보강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볼트헤드를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보강홀부간의 간극을 기밀부재로 충진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외측유리가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내측유리와 이격되고,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간의 공간에 아르곤가스를 충진하여 복층유리를 제작하는 단계; 및
    볼트바디를 상기 볼트헤드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유리의 내측면은 상기 볼트헤드의 헤드기둥과 상기 너트부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볼트바디는 상기 볼트헤드와 나사 결합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디체결부와, 상기 바디체결부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샤프트와, 상기 바디샤프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바디와셔와 조절너트와, 상기 바디체결부를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와셔 측으로 향하는 상기 바디체결부의 단부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바디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체결부의 회전중심은 상기 볼트헤드의 헤드판을 향해 가장 돌출된 상기 바디샤프트의 부분에 대향되는 부위이며, 상기 복층유리의 무게중심과 서로 일치하고,
    상기 바디체결부는 외력의 작용시 회전중심으로 상기 바디샤프트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복층유리를 회동시켜 상기 복층유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유리와 상기 내측유리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유리와 상기 내측유리는 상기 보강홀부의 중심과 상기 내측홀부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헤드판과 상기 내측유리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와셔부가 개재되어 상기 헤드판과 상기 내측유리간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측유리를 관통하는 상기 헤드기둥의 외측면에는 오링부가 장착되어 상기 헤드기둥과 상기 내측홀부간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너트부는 상기 헤드기둥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내측유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를 상기 너트부와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링부는 상기 내측유리에 밀착된 상기 너트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리를 관통하는 상기 헤드기둥의 외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부싱부가 장착되어 상기 헤드기둥과 상기 내측홀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로 충진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밀부재는 실런트(seala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볼트헤드에 체결된 상기 너트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은 이격기밀부재로 둘러싸여 상기 스페이서가 개재되는 상기 내측유리와 상기 외측유리 부위로 아르곤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바디를 상기 볼트헤드에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볼트바디의 회전중심과 상기 복층유리의 무게중심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 방법.
KR1020140059760A 2014-05-19 2014-05-19 복층유리 제조 방법 KR10171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60A KR101716852B1 (ko) 2014-05-19 2014-05-19 복층유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60A KR101716852B1 (ko) 2014-05-19 2014-05-19 복층유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52A KR20150133352A (ko) 2015-11-30
KR101716852B1 true KR101716852B1 (ko) 2017-03-16

Family

ID=5486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760A KR101716852B1 (ko) 2014-05-19 2014-05-19 복층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56B1 (ko) 2019-10-16 2020-03-17 홍종근 복층유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832A (ko) * 2011-08-18 2013-02-2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외장유리의 볼트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56B1 (ko) 2019-10-16 2020-03-17 홍종근 복층유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52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33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building windows
KR10212008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JP2001516826A (ja) 一体型断熱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97749A (ja) ガラス要素及び支持構造物間の機械的結合
KR101716852B1 (ko) 복층유리 제조 방법
KR20130019832A (ko) 외장유리의 볼트 체결구조
CN105003172A (zh) 由悬膜内框与整形外框复合调校的悬膜双中空玻璃
CN204037573U (zh) 高速列车车窗安装结构
JP2019509240A (ja) 絶縁ガラス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2007039994A (ja) 合わせ板状部材の支持構造及び支持方法
CN105625876A (zh) 一种防水密封用的止水条及其使用方法
JPH0253596B2 (ko)
JP2000104456A (ja) 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支持構造
KR20110087890A (ko)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CN103277030B (zh) 一种用于门窗幕墙的密封装置
CN110454046B (zh) 一种中空钢化玻璃
KR101484747B1 (ko) 복층유리 도어
CN113982433A (zh) 一种承压密闭空间下采光视窗及其安装方法
JP2663091B2 (ja) 複層ガラスのカーテンウォール
JPS6232977Y2 (ko)
CN110091885A (zh) 一种设有活动式窗框的门扇及制作方法
JP2009249868A (ja) 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付き板状体、サッシ付き板状体、及び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の製造方法
JP2006070574A (ja) 複層ガラス用グレイジングチャンネル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102023596B1 (ko) 볼트 체결형 3중 복층유리
CN117127892B (zh) 一种多层玻璃组合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