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69Y1 - 창호틀 - Google Patents

창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69Y1
KR200394869Y1 KR20-2005-0018156U KR20050018156U KR200394869Y1 KR 200394869 Y1 KR200394869 Y1 KR 200394869Y1 KR 20050018156 U KR20050018156 U KR 20050018156U KR 200394869 Y1 KR200394869 Y1 KR 200394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volume ratio
frame
buri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식
Original Assignee
김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식 filed Critical 김권식
Priority to KR20-2005-0018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69Specific material characteristics
    • E06B2003/26372Specific material characteristics with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호연결부와 매설부로 구분되는 창호틀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의 공간에, 표면에 시멘트 15 내지 40 부피비, 물 40 내지 80 부피비 및 수지바인더 5 내지 20 부피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갖는 발포수지체가 상기 매설부의 공간에 맞게 재단되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단시간내에 현장에서 바로 작업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인건비가 크게 감소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기밀을 충분히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단열, 방음, 불연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의 창호틀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창호틀로 이용 가능한 창호틀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틀 {FRAME FOR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창호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시간내에 현장에서 바로 창호틀의 건물로의 조립을 위한 사춤작업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기밀을 충분히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부가하여 사춤재질이 불연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의 창호틀 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창호틀로도 이용이 가능한 사춤이 이루어지는 창호틀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창호틀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틀의 제작 및 이를 건물에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창호틀 매설부의 빈 공간 및 창호틀과 건물간의 빈 공간을 메우는 작업을 사춤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사춤에는 종래에 1) 시멘트와 모래를 배합하여 공간에 충진하는 몰탈사춤, 2) 암면을 적당한 규격으로 뜯어 공간에 메우는 암면사춤, 3) 폴리에틸렌 발포 폼을 충진하고 이를 내부에서 발포시켜 공간을 메우는 백업재 사춤, 4) 시멘트, 모래 및 경량발포체 알갱이를 배합하여 적당한 규격의 폼으로 공간을 메우는 단열몰탈사춤, 5) 기타 유리섬유나 신문지 등을 이용하여 단순히 공간을 메우는 기타재료 충진 사춤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들의 경우는 작업성이 떨어져 인건비가 많이 들거나, 사용된 재료들의 대부분이 열전도율이 높거나 밀도가 낮아 단열 효과가 적으며 에너지 손실이 많고, 특히, 몰탈 시공의 경우는 작업자가 약간 과다하게 충진했을 때엔 각 문틀의 배가 불러 문틀을 뜯어내어 재시공하는 등 역시 많은 경비를 낭비하게 되며, 각 문틀의 틈새를 충분히 메우지 못해 마감후 균열이나 결로 등이 생기고, 이로 인해 문틀 프레임 내부가 녹스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몰탈 시공의 경우는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춤재료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창호틀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작업성이 떨어지고, 양생기간이 필요하므로 많은 작업기간을 요함에 따라 높은 인건비가 발생하며, 작업에 필요한 준비 작업(사춤의 혼합이 번거롭다)이 많아 불편하고, 이로 인해 한번에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비용발생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단시간내에 소규모의 인력으로도 사춤작업이 가능하도록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기밀 및 불연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창호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호연결부와 매설부로 구분되는 창호틀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의 공간에, 표면에 시멘트 15 내지 40 부피비, 물 40 내지 80 부피비 및 수지바인더 5 내지 20 부피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갖는 발포수지체가 상기 매설부의 공간에 맞게 재단되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창호틀(1)에 관한 것으로 창호연결부(2)와 매설부(3)로 구분되는 창호틀(1)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3)의 공간(4)에, 표면에 시멘트 15 내지 40 부피비, 물 40 내지 80 부피비 및 수지바인더 5 내지 20 부피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10)을 갖는 발포수지체(20)가 상기 매설부의 공간(4)에 맞게 재단되어 충진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통상의 창틀 또는 문틀인 창호틀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이나 창문인 창호가 연결되는 창호연결부(2)와 건물과 연결되어 그 일부가 매설되는 매설부(3)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부분은 프레임(5)에 의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프레임(5)의 재질로는 공지의 다양한 창호틀에 사용되는 재질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철재 프레임이 방화기능 및 강도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수행하는 측면에서 좋다.
상기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창호틀(1)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3)의 내부는 빈 공간인 매설부 공간(4)으로 구성이 되므로 이에 대하여 기밀 및 단열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코팅된 발포수지체로 충진하게 된다. 본 고안의 경우는 상기 공간의 충진을 위하여 표면에 시멘트 15 내지 40 부피비, 물 40 내지 80 부피비 및 수지바인더 5 내지 20 부피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10)을 갖는 발포수지체(20)를 상기 공간에 맞게 재단하여 충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멘트 : 물 : 바인더의 부피비는 3 : 6 : 1인 것이 코팅특성 및 강도, 불연성 확보측면에서 좋으며, 상기 코팅층을 통하여 탁월한 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발포수지체(20)의 경우는 불에 닿기만 하여도 녹으면서 유해가스 및 연기를 발생시키지만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시멘트의 단열 및 불연특성에 의하여 불과 직접 닿는 경우에도 바로 타지 않고 장시간 견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10)을 형성하는 혼합물에 사용되는 상기 수지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세라믹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rcryl based resin)는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형의 아크릴 우레탄, 수성 아크릴하이드로졸, 에멀젼 무용제형 아크릴 실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예로 히드록실 부분 및 아미노 부분에서 발견된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및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한 일반적으로 공지된 열경화성 수지가 있다.
상기 세라믹계 수지는 규산에스테르, 이의 가수분해 생성물, 수분산형 실리카졸, 또는 알콜분산형 실리카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이 코팅되는 발포수지체(20)는 발포수지체를 사용하여야 우수한 단열 성능 및 중량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적용한 것이며, 이에는 공지의 다양한 발포수지체가 이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높은 단열효과와 경제적 측면에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포수지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코팅층(10)의 두께는 공지의 일반적인 코팅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0.5 내지 1 ㎜ 인 것이 불연효과를 확보하면서도 창호틀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10)은 상기 혼합물을 발포수지체(20)에 코팅한 후 바로 매설부 공간에 이를 충진하거나, 코팅후 일부만 건조된 반건조상태에서 충진하거나, 코팅층을 완전히 건조한 완전건조상태에서 충진할 수 있다. 이는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건조가 덜 이루어진 상태에서 충진하는 경우에는 충진의 어려움이 있으나 기밀성능을 높일 수 있고,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진 경우에는 충진작업은 용이하나 기밀성능이 낮아지므로 작업환경 및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충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창호틀 제조의 실시예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이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수지체(20)를 막대형으로 하여 상기 창호틀의 각 변의 길이에 해당되게 재단하고 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이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층을 가지는 발포수지체를 준비하고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틀에 대하여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진되어지는 매설부의 방향으로 상기 도2a의 긴 막대형의 발포수지체(이미 코팅이 이루어진)를 매설부 공간(4)에 맞게 충진하게 된다. 이후에 도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밀어 넣어 충진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다. 따라서 1인만으로도 충분히 제작이 가능하며, 별도의 양생공정이 없으므로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가 완료된 본 고안의 창호틀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창호틀에 따르면 별도의 양생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단시간내에 1인 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별도의 부자재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현장에서 바로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하여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점을 가지면서도 코팅층 및 발포수지체의 수축성에 의하여 기밀을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코팅층을 통하여 불연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의 창호틀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창호틀로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외에 충진물의 구성이 발포수지체가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창호틀이 가벼우며, 제조에 자재비 및 인건비의 투입이 적어 경제적으로 창호틀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포수지체를 충진함에 따라 단열 및 방음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창호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창호틀의 일 실시예의 제작단계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창호틀에 대한 일 실시예의 완성된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창호틀 2 : 창호연결부
3 : 매설부 4 : 매설부 공간
5 : 프레임 10 : 코팅층
20 : 발포수지체

Claims (6)

  1. 창호연결부와 매설부로 구분되는 창호틀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의 공간에, 표면에 시멘트 15 내지 40 부피비, 물 40 내지 80 부피비 및 수지바인더 5 내지 20 부피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갖는 발포수지체가 상기 매설부의 공간에 맞게 재단되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 물 : 바인더의 부피비는 3 : 6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바인더가 아크릴계 수지, 세라믹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체는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5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체는 막대형으로서 상기 창호틀의 각 변의 길이에 해당되게 재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틀.
KR20-2005-0018156U 2005-06-23 2005-06-23 창호틀 KR200394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56U KR200394869Y1 (ko) 2005-06-23 2005-06-23 창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56U KR200394869Y1 (ko) 2005-06-23 2005-06-23 창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69Y1 true KR200394869Y1 (ko) 2005-09-06

Family

ID=4369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156U KR200394869Y1 (ko) 2005-06-23 2005-06-23 창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6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25B1 (ko) * 2011-09-08 2013-11-11 임정환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KR101596920B1 (ko)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KR101645988B1 (ko) 2016-01-27 2016-08-08 (주)윈가람 건축용 프레임의 내단열재 피팅 방법 및 그에 따른 건축용 프레임
KR20160120193A (ko) 2015-12-28 2016-10-17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및 단열재가 충전된 건축용 프레임
KR101693321B1 (ko) 2016-06-24 2017-01-05 (주)윈가람 단열재가 충전된 건축용 프레임 제조장치
KR101846119B1 (ko) * 2017-02-03 2018-04-05 황운주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25B1 (ko) * 2011-09-08 2013-11-11 임정환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KR101596920B1 (ko)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KR20160120193A (ko) 2015-12-28 2016-10-17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및 단열재가 충전된 건축용 프레임
KR101645988B1 (ko) 2016-01-27 2016-08-08 (주)윈가람 건축용 프레임의 내단열재 피팅 방법 및 그에 따른 건축용 프레임
KR101693321B1 (ko) 2016-06-24 2017-01-05 (주)윈가람 단열재가 충전된 건축용 프레임 제조장치
KR101846119B1 (ko) * 2017-02-03 2018-04-05 황운주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869Y1 (ko) 창호틀
KR101456596B1 (ko) 소수성 단열 방법
CN105669101A (zh) 气凝胶复合材料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4100013B (zh) 空间节约型室内高效隔音系统的施工方法
CN201826405U (zh) 装配式建筑的绿色墙体保温结构
CN101210472B (zh) 防火门
KR20060091214A (ko) 단열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단열 패널과 그제조방법 및 건축물의 층간구조
DE202007013074U1 (de) Mauerwerk mit integrierter Vakuumisolation auf Basis mikroporöser Wärmedämmung
KR200415142Y1 (ko) 건축용 복합보드
KR101438166B1 (ko) 단열몰탈과 방수몰탈을 이용한 습식 단열방수 복합구조 및 이를 적용한 옥상의 외단열 노출방수 복합공법
CN102351471A (zh) 喷涂硬泡聚氨酯外墙外保温系统用抹面砂浆
CN204112508U (zh) 一种现浇混凝土墙体阻燃保温结构
KR101863704B1 (ko) 단열 보완형 복합 방수구조
KR100554718B1 (ko) 점토류 광물을 이용한 불연성 내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0579B1 (ko) 내화구조용 초경량방화방음탈취패널
CN204919862U (zh) 一种建筑保温防火墙体
KR101339858B1 (ko) 발포 콘크리트 조성물, 발포 콘크리트 및 발포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20040073420A (ko) 외단열식 건축물의 표면 외장재 시공방법
KR20120110694A (ko) 팽창 진주암과 메쉬를 구비한 공업용 내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1769B1 (ko) 결로 방지 효과를 가지는 지하 구조물의 마감 공법
KR101932333B1 (ko) 폐석탄회를 이용한 난연보강층의 시공방법
CN220486962U (zh) 侧面带围护结构的保温装饰一体板
CN103046660A (zh) 一种玻化微珠防火隔离带板及其制作施工方法
TWI761922B (zh) 具防火、防爆及隔熱功能之組成物及其製造方法
CN204098277U (zh) 一种填充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