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895B1 -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895B1
KR101736895B1 KR1020160139213A KR20160139213A KR101736895B1 KR 101736895 B1 KR101736895 B1 KR 101736895B1 KR 1020160139213 A KR1020160139213 A KR 1020160139213A KR 20160139213 A KR20160139213 A KR 20160139213A KR 101736895 B1 KR101736895 B1 KR 10173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igment
tool
pattern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글라스
Priority to KR102016013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3/00Other substrates
    • B05D2203/30Other inorganic substrates, e.g. ceramics, silicon
    • B05D2203/35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3Anti-reflective coating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샌드 블라스팅 공법으로 상기 제1유리의 상면에 경사면인 받침면 및 작용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공구의 일측이 상기 받침면에 받쳐지고, 상기 공구의 타측이 상기 작용면에 접촉되어 상기 공구의 힘이 작용되도록 상기 홈에 상기 공구가 접촉되는 단계,상기 제1유리의 상면이 상기 공구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어 상기 홈과 연결된 패턴부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간봉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유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간봉의 일측에 제2유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에 의해 유리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부에 도포된 칼라안료에 의한 난반사가 발생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층유리의 제조방법{Nanufacturing method for Pair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부에 도포된 칼라안료에 의한 난반사가 발생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단열효과를 위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복층유리가 한국공개실용 제1992-001963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복층유리는 얇은 유리(1)와 두꺼운 유리(2)의 둘레 안쪽에 테두리유리(3)를 대어 유리접면부를 유리질 무기 접착제층(4)으로서 용융접착하여 진공부(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테두리유리(3)는 간봉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간봉의 두께는 6, 8, 10, 12... 24mm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복층유리는 양측의 마주보는 유리가 모든 면이 평평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난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빛이 복층유리를 그대로 투과하여 단순히 단열효과만 나타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2-00196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부에 도포된 칼라안료에 의해 난반사가 발생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칼라안료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난반사가 발생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칼라안료의 도포가 쉬운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샌드 블라스팅 공법으로 상기 제1유리의 상면에 경사면인 받침면 및 작용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공구의 일측이 상기 받침면에 받쳐지고, 상기 공구의 타측이 상기 작용면에 접촉되어 상기 공구의 힘이 작용되도록 상기 홈에 상기 공구가 접촉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상면이 상기 공구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어 상기 홈과 연결된 패턴부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간봉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유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간봉의 일측에 제2유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료 도포 단계는, 상기 칼라안료가 상기 패턴부에만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료 도포 단계는, 상기 칼라안료가 상기 일면과 상기 패턴부에 전부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안료를 도포한 후, 안료가 도포된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추가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가 패턴부 형성 단계는, 안료가 도포된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패턴시트를 부착하거나, 샌드 블라스팅 공법이나, 실크인쇄를 통해 추가 패턴부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리와 상기 간봉 사이에서 상기 제1유리면에 보조유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빛이 제1유리를 통과하면 난반사가 발생됨과 동시에 난반사된 빛은 도포된 안료의 색을 띄게 되므로, 시각적인 효과 또한 발생된다.
또한, 제1실시 예와 제3실시 예는 안료가 유리의 패턴부에만 도포되므로 안료를 절감하면서도 난반사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제3실시 예와 제4실시 예는 제2유리를 통과한 빛은 제2유리의 패턴부에 의해 난반사되어 이동하다가 제1유리의 패턴부를 통과하면서 다시 난반사되어 제1유리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1실시 예나 제2실시 예와는 다른 형태의 난반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독특한 무늬가 나타난다.
또한, 제2실시 예와 제4실시 예는 안료를 유리의 일면 중 일부분에만 도포하기 위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시 번거로움이 없고, 제조가 빠르게 이루어지거나 재료의 낭비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복층 유리의 일부를 절결표시한 전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 예와 제4실시 예의 제1유리 일면 전체에 안료가 도포된 제1유리 부분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 예와 제3실시 예의 패턴부에 안료가 도포된 제1유리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제1실시 예의 플로어 차트.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중 유리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중 공구가 홈에 접촉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패턴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유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 토대로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 제1실시 예 ========================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샌드 블라스팅 공법으로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경사면인 받침면(241) 및 작용면(242)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공구(T)의 일측이 받침면(241)에 받쳐지고, 공구(T)의 타측이 작용면(242)에 접촉되어 공구(T)의 힘이 작용되도록 홈에 공구(T)가 접촉되는 단계와, 제1유리(100)의 일면(110)이 공구(T)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어 홈과 연결된 패턴부(113)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안료(300)를 도포하는 단계와,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간봉(S)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1유리(10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봉(S)의 타측에 제2유리(40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료(300)는 색채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리(400)를 직선으로 통과한 빛이 제1유리(100)를 통과하면서 불규칙하고 울퉁불퉁한 일면, 특히 패턴부(113)에 의해 방향이 각기 달라지고, 이와 동시에 빛은 일면에 도포된 안료(300)를 투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빛이 제1유리(100)를 통과하면 난반사가 발생됨과 동시에 난반사된 빛은 도포된 안료(300)의 색을 띄게 되므로, 시각적인 효과 또한 발생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서 제1유리(100)와 제2유리(400)는 직육면체의 판형상의 유리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안료(300) 도포 단계는, 안료(300)가 패턴부(113)에만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패턴부(113)에만 안료(300)를 도포하여 안료(300)를 절감하면서도 난반사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안료(300)는 열차단제, 유기, 무기,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안료(300)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세라믹안료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유리(100)의 일면(110)이나 타면(120)에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제2유리(400)의 일면(410)이나 타면(420)에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6b,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리(100)에 형성되는 홈은 작용면(242)과 받침면(24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작용면(242)의 타측 단부와 받침면(241)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V'자 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 제1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순서 ===================
이하에서는 도 5의 플로어 차트를 토대로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가공할 제1유리(100)를 준비한다(S110).
이후, 샌드 블라스팅 공법으로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경사면인 받침면(241) 및 작용면(242)을 갖는 홈을 형성한다(S120). 샌드 블라스팅이란 분사 가공의 일종으로, 경도가 큰 소립자를 고속으로 가공면에 분사하는 가공법이다.
이후, 공구(T)의 일측면이 받침면(241)에 접촉되게 하고, 하단의 일측 모서리가 작용면(242)에 닿게 한다.(S130)
이후, 제1유리(100)의 일면(110)이 공구(T)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어 홈과 연결된 패턴부(113)가 형성되게 한다. 즉 복수개의 절취부(111)에 의해 패턴부(113)가 형성된다.(S140)
이후,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안료(300)를 도포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안료(300)가 패턴부(113)에만 도포되게 한다.(S210)
이후,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간봉(S)을 위치시킨다.(S220)
이후, 제1유리(10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봉(S)의 일측에 제2유리(40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230) 이때 제2유리(400)의 타면(420)이 간봉(S)의 일측과 맞닿으며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이 완료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간봉(S)은 제1유리(100)의 테두리와 제2유리(400)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한편,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유리(100)의 일면(110)을 기준으로, 받침면(241)이 작용면(242)보다 덜 가파르게 형성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용면(242)이 받침면(241)보다 더 가파르게 형성되게 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 예에서 받침면(241)은 일면(110)으로부터 45도 각도로 경사져 있고(a1), 작용면(242)은 일면(110)으로부터 45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다(a2).
또한 받침면(241)과 작용면(242)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용면(242)의 상하단의 길이가 받침면(241)의 상하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유리(100)를 도 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받침면(241)만 보이고 작용면(242)은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홈이 제1유리(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홈(210)과, 테두리홈(210)에 양측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직선홈(230)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테두리홈(210)과 직선홈(230) 모두 복수개를 형성한다.
또한, 패턴부(113)가 형성되는 단계는, 복수개의 패턴부(113)가 직선홈(230)과 패턴부(113)가 번갈아 형성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 본 실시 예에서 테두리홈(210)은 직선홈(2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나란한 2개의 홈으로, 제1유리(100)를 평면에서 볼 때 테두리홈(210)과 직선홈(230)은 수직을 이룬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홈(210)은 제1유리(100)의 테두리에 가까운 제1경사면(221)과, 제1경사면(221)의 하측 단부와 연결되며 패턴부(113)의 양단을 이루는 제2경사면(222)에 의해 형성된다.
제1경사면(221)은 일면(110)으로부터 45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고(a3), 제2경사면(222)은 일면(110)으로부터 45도 각도로 경사져 있다(a4).
제1경사면(221)과 제2경사면(222)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경사면(221)의 상하단의 길이가 제2경사면(222)의 상하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유리(100)를 도 6(a)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제1경사면(221)은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제1유리(100)는 복수개의 직선홈(230) 중에 양끝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직선홈(230)은 2개의 테두리홈(210)과 연결되므로, 직선홈(230)과 테두리홈(210)은 제1유리(100)의 네 측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공구(T)는 일자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같이 공구(T)는 하측 끝단이 경사진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공구(T)의 하측 끝단의 모서리가 제1유리(100)의 작용면(242)에 점 또는 선 접촉된 상태에서 공구(T)에 가해지는 힘은 공구(T)의 모서리와 접촉된 작용면(242)에 집중되므로 제1유리(100)의 일부가 절취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홈에 공구(T)가 접촉되는 단계에서 공구(T)에는 홈과 접촉된 반대편 쪽, 도 7을 기준으로 공구(T)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이를 지렛대의 원리를 빗대어 설명하자면, 공구(T)와 받침면(241)이 서로 접촉된 부분이 받침점이 되고, 공구(T)의 모서리와 작용면(242)이 서로 접촉된 부분이 공구(T)의 힘이 작용되는 작용점이 되고, 공구(T)에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힘점이 된다.
따라서, 제1유리(100)의 일면(110)이 공구(T)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면 홈과 연결된 패턴부(113)가 형성된다(S140). 이때 패턴부(113)는 제1유리(100)가 절취된 절취부(111)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절취부(111)는 작용면(242)의 일지점으로부터 절취되는데,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되는 지점이나 절취 형상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패턴부(113)가 형성된 제1유리(100)를 평면으로 볼 때, 절취부(111)는 곡선이나 직선이 섞인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패턴부(113)는 불규칙한 조개 껍데기의 패턴을 갖게 되므로, 독특한 패턴을 가져 미려한 효과가 발생된다. 특히 복수개의 직선홈(230)은 각각의 간격이 서로 일정하고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복수개의 패턴부(113)는 각각의 간격은 일정하되 형상은 일정하지 않아 정돈되면서도 독특한 인테리어 효과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복층유리는 패턴부(113)를 통과하는 빛이 제1유리(100)의 반사면이나 절취부(111)에서 굴절되어 난반사되는 것이다.
======================== 제2실시 예 ========================
이하에서는 제2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안료(300) 도포 단계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자세하게 본 실시 예에서 안료(300) 도포 단계는,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안료(300)가 일면과 상기 패턴부(113)에 전부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안료(300)를 유리의 일면 중 일부분에만 도포하기 위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시 번거로움이 없고, 제조가 빠르게 이루어지거나 재료의 낭비가 없으며, 제1유리(100)를 통과하여 난반사되는 모든 빛이 색을 띄게 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 제3실시 예 ========================
이하에서는 도 3을 바탕으로 제3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달리 제1유리(100)와 제2유리(400) 모두에 패턴부(113)가 형성되고, 제1유리(100)의 패턴부(413)와 제2유리(400)의 패턴부(113)에 안료(300)가 도포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실시 예에서 제1유리(100)를 준비하고, 홈을 형성하는 단계, 공구(T)가 접촉되는 단계, 패턴부(113)가 형성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 구성으로 제2유리(400)를 준비하고, 제2유리(400)의 타면(420)에 제1유리(100)의 패턴부(113) 형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부(413)를 형성시킨다.
제2유리(400)에는 일면(410)이 아닌 타면(420)에 패턴부(413)가 형성되게 해 완성된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유리(100)의 패턴부(113)와 제2유리(400)의 패턴부(413)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안료(300) 도포 단계는, 안료(300)가 제1유리(100)의 패턴부(113)와 제2유리(400)의 패턴부(413)에만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안료(300)가 제1유리(100)의 일면(110)과 제2유리(400)의 타면(420) 전체에 도포되지 않고 패턴부(113, 413)에만 도포되므로 안료(300)를 절감하면서도 난반사 효과를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2유리(400)를 통과한 빛은 제2유리(400)의 패턴부(413)에 의해 난반사되어 이동하다가 제1유리(100)의 패턴부(113)를 통과하면서 다시 난반사되어 제1유리(100)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1실시 예나 제2실시 예와는 다른 형태의 난반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독특한 무늬가 나타난다.
---------------------- 제3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의 순서 ----------------------
이하에서는 제3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가공할 판형상의 제1유리(100)와 제2유리(400)를 준비한다.
이후, 샌드 블라스팅 공법으로 제1유리(100)의 일면(110)과 제2유리(400)의 타면(420) 각각에 경사면인 받침면(241) 및 작용면(242)을 갖는 홈을 형성한다.
이후, 제1유리(100)와 제2유리(400) 모두에 공구(T)의 일측이 받침면(241)에 받쳐지고, 공구(T)의 타측이 작용면(242)에 접촉되어 공구(T)의 힘이 작용되도록 홈에 공구(T)가 접촉되게 한다.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제1유리(100)의 홈에 공구(T)가 먼저 접촉되도 좋다.
이후, 제1유리(100)의 일면(110)과 제2유리(400)의 타면(420) 각각이 공구(T)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어 홈과 연결된 패턴부(113)가 형성되게 한다. 즉 복수개의 절취부(111)에 의해 패턴부(113)가 형성된다.
이후, 제1유리(100)의 일면(110)과 제2유리(400)의 타면(420) 각각에 안료(300)를 도포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안료(300)가 패턴부(113, 413)에만 도포되게 한다.
이후,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간봉(S)을 위치시킨다.
이후, 제1유리(10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봉(S)의 일측에 제2유리(40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2유리(400)의 타면(420)이 간봉(S)의 일측과 맞닿으며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이 완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간봉(S)은 제1유리(100)의 테두리와 제2유리(400)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 제4실시 예 ========================
이하에서는 제4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제3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안료(300) 도포 단계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안료(300) 도포 단계는, 상기 제3실시 예와 달리 안료(300)가 일면과 상기 패턴부(113)에 전부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안료(300)를 제1유리(100)의 일면(110)과 제2유리(400)의 타면(420) 중 일부분에만 도포하기 위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시 번거로움이 없고, 제조가 빠르게 이루어지거나 재료의 낭비가 없으며, 제1유리(100)를 통과하여 난반사되는 모든 빛이 색을 띄게 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3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 제5실시 예 ========================
이하에서는 제5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는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안료(300)를 도포한 후, 안료(300)가 도포된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추가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추가 패턴부 형성 단계는, 안료(300)가 도포된 제1유리(100)의 일면(110)에 패턴시트를 부착하거나, 샌드 블라스팅 공법이나, 실크인쇄를 통해 추가 패턴부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유리(100)와 상기 간봉(S) 사이에서 제1유리(100)면에 보조유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유리(100)에 홈이 생기면 제1유리(10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보강수단으로 보조유리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빛이 제2유리(400)의 일면(410)에서 제1유리(100)의 타면(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토대로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제1유리(100)의 타면(120)에서 제2유리(400)의 일면(4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제1유리 110 : 제1유리의 일면
113 : 패턴부 210 : 테두리홈
221 : 제1경사면 222 : 제2경사면
230 : 직선홈 241 : 받침면
242 : 작용면 300 : 안료
400 : 제2유리 410 : 제2유리의 일면
413 : 패턴부 420 : 제2유리의 타면
T : 공구 S : 간봉

Claims (5)

  1. 제1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샌드 블라스팅 공법으로 상기 제1유리의 상면에 경사면인 받침면 및 작용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공구의 일측이 상기 받침면에 받쳐지고, 상기 공구의 타측이 상기 작용면에 접촉되어 상기 공구의 힘이 작용되도록 상기 홈에 상기 공구가 접촉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상면이 상기 공구에 의해 복수 회 절취되어 상기 홈과 연결된 패턴부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간봉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유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간봉의 일측에 제2유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홈 형성 단계는, 상기 제1유리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면이 상기 작용면보다 덜 가파르게 형성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료 도포 단계는,
    상기 안료가 상기 패턴부에만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료 도포 단계는,
    상기 안료가 상기 일면과 상기 패턴부에 전부 도포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안료를 도포한 후,
    안료가 도포된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추가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가 패턴부 형성 단계는, 안료가 도포된 상기 제1유리의 일면에 패턴시트를 부착하거나, 샌드 블라스팅 공법이나, 실크인쇄를 통해 추가 패턴부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와 상기 간봉 사이에서 상기 제1유리면에 보조유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60139213A 2016-10-25 2016-10-25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173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13A KR101736895B1 (ko) 2016-10-25 2016-10-25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13A KR101736895B1 (ko) 2016-10-25 2016-10-25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895B1 true KR101736895B1 (ko) 2017-05-18

Family

ID=5904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213A KR101736895B1 (ko) 2016-10-25 2016-10-25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56B1 (ko) 2019-10-16 2020-03-17 홍종근 복층유리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305A (ja) * 2001-05-22 2002-11-27 Shiro Hayashi 装飾型板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4282B1 (ko) * 2014-09-23 2016-01-12 주식회사 씨쓰리 정교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한 장식 복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6179590A (ja) * 2015-03-24 2016-10-1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枠体付窓ガラ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305A (ja) * 2001-05-22 2002-11-27 Shiro Hayashi 装飾型板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4282B1 (ko) * 2014-09-23 2016-01-12 주식회사 씨쓰리 정교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한 장식 복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6179590A (ja) * 2015-03-24 2016-10-1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枠体付窓ガラス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56B1 (ko) 2019-10-16 2020-03-17 홍종근 복층유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353B1 (ko) 에칭된 피쳐를 갖는 강화 유리 제품 및 이의 형성방법
JP5244202B2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CN105054628A (zh) 用于家具件的封边条
AR009351A1 (es) Una superficie de prensado planar para prducir laminados decorativos, una plancha de prensado que comprende tales superficies y metodo para realizar dicha superficie de prensado planar
KR101736895B1 (ko)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CN104148898A (zh) 具有微棱镜阵列结构的反光材料模具的制作方法
CN212046657U (zh) 具有3d立体视觉纹理的光学面板
US20210310259A1 (en) Plastic floor and production apparatus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same
KR100773139B1 (ko) 가공부품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1709592B1 (ko) 인테리어 유리의 제조방법
KR101584282B1 (ko) 정교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한 장식 복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30155718A1 (en) Light-transmitting decorative glass, decorative gla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glass
EP0945411B1 (en) Glass sheet
KR20180043076A (ko) 글라스 라미네이트 절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라미네이트
KR20210064257A (ko) 신규한 장식 재료 및 그 가공 공정
EP0952122A1 (en) Glass
WO2020018250A1 (en) Handheld sheet edge strip s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separating glass sheets
CN207289226U (zh) 一种应用于激光机中的新型电杆
WO2010125603A1 (ja) 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6070455A (ja) 出隅柱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取り加工装置
KR20220068896A (ko)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JP3755409B2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87550Y1 (ko) 가구 표면 장식용 상감 구조
AU3219295A (en) Process for producing flat glass articles with coloured coatings, flat glass articles and composite glass articles
DK1166905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aluminiumark samt aluminiu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