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896A -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896A
KR20220068896A KR1020210065826A KR20210065826A KR20220068896A KR 20220068896 A KR20220068896 A KR 20220068896A KR 1020210065826 A KR1020210065826 A KR 1020210065826A KR 20210065826 A KR20210065826 A KR 20210065826A KR 20220068896 A KR20220068896 A KR 20220068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lm
manufacturing
elevator
perforat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주) 현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현대기업 filed Critical (주) 현대기업
Priority to KR102021006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896A/ko
Publication of KR2022006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설치 작업이 완료된 경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연 본 발명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측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배면부를 포함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일면에 접착되는 패널 보호용 필름; 및 패널 설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필름을 편리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필름이 패널에 부착 전에 절취선의 수와 동일한 수의 회전형 컷터부에 의하여 상기 필름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tructure of elevator panel}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이 포함된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공개특허 제1996-00007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패널들을 서로 결합하여 제작되고 있다. 상기 패널은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등과 같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용되는 부위에 적합한 형태로 절단 및 절곡하여 해당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엘리베이터 패널의 장식을 위해 그 표면을 부식시켜 패턴을 형성하거나 그 표면에 패턴을 전사하고 보호용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독특한 미감을 제공하는 패널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패널은 먼저 필름이 부착된 금속판을 이용하여 절단 및 절곡하여 필요한 형태로 가공한 후, 엘리베이터 구조물로 조립된다. 또한 패널 표면에 추가의 가공이 필요한 경우, 절단과 표면 가공을 완료한 뒤 별도의 필름을 부착한 후, 절곡 가공을 수행한 후, 엘리베이터 구조물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리베이터 구조물들은 현장으로 이송한 후, 현장 설치를 수행하고, 설치 시 연결 부위 등 필요한 부분에 대해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작업자들은 칼 등을 이용하여 패널과 패널의 접합 부분의 보호 필름을 절단한 후 보호 필름을 당겨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거하며, 패널에 흠집이 우려될 경우 수작업으로 보호 필름을 일일이 젖혀 칼 등으로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칼을 이용하여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 상단을 가압하여 절단하므로, 패널에 흠집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수작업 제거시 보호 필름 제거 작업 자체도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고객 인도전 일정기간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어야 하나, 일정하게 제거되지 못하여 보호 필름이 탈거되거나 패널의 흠집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설치 작업이 완료된 경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연 본 발명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측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배면부를 포함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일면에 접착되는 패널 보호용 필름; 및 패널 설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필름을 편리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필름이 패널에 부착 전에 절취선의 수와 동일한 수의 회전형 컷터부에 의하여 상기 필름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선은 전면부 끝단에서 10mm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전면부와 측면부의 사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측면부와 배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은 벽 구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은 도어용이며, 상기 절취선은 전면부 끝단에서 10mm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와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은 도어용이며, 상기 절취선은 전면부와 측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와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금속판 상단에 절취선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한 후, 절곡 등과 같은 공정에 의하여 패널을 성형하고, 성형된 패널을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적용하여 제작한 후, 필름 제거시 상기 절취선에 따라 용이하게 필름이 절단되어 패널에서 분리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난이도와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패널 표면의 흠집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빌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작업 패널의 단면 형태이며,
도 2는 도 1을 성형한 패널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절취선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들이며,
도 6은 도어용 패널의 실시예이며,
도 7은 벽구조용 패널의 실시예이며,
도 8은 도 4의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금속판(10)과 상기 금속판(10) 상단에 부착되는 필름(20)을 포함하는 재료 패널(30)을 가공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재료 패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이며, 이후 절곡 등과 같은 단면 형상을 변경하는 성형 가공이 추가로 진행되어 실제 엘리베이터 구조물로 적용되는 패널(50)로 가공된다.
한편, 상기 금속판(10)의 재질은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구성되나, 필요한 경우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면은 도금 등과 같은 표면 처리가 사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10) 중 외부에 노출되는 상단 표면에는 미감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무늬들이 레이저 가공 등과 같은 장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20)은 상기 금속판(1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적용되는 것으로,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투명 또는 일부 색이 포함된 반투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10) 표면과 접착제의 의하여 접착되나, 작업자가 필름(20)의 일부를 잡고 상단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쉽게 벗겨질 수 있을 정도의 점착력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료 패널(50)은 성형 가공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51),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부(52) 및 각 측면부(52)에 연장되어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부(53)를 포함하는 패널(50)로 가공된다.
이때 상기 패널(50)은 절곡면이 형성된 부분이 길이 방향이며, 이 길이 방향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널(50)의 상하의 수평부(54)에는 별도의 가공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실제 엘리베이터 구조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측면부(52)가 볼트 등과 같은 결합구에 의하여 다른 패널(50)의 측면부(52)와 결합한다.
믈론 상기 전면부(51), 측면부(52) 및 배면부(53)의 표면에는 필름(20)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100)는 상기 패널(50)에 부착된 필름(20)에 절취선(dotted line, 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선(60)은 상기 필름(20)을 상기 패널(50)에서 분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며, 종래 칼 등과 같은 도구로 패널(50) 표면의 필름(20)을 절단하여 발생하는 표면 흠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61)와 비절단부(6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절단부(61)는 필름(20)이 분리된 부분이며, 절단부(61)와 비절단부(62)의 크기와 비율은 필름(20)의 재질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설정한다.
필름(20)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서 비절단부(62)의 길이(b)는 상기 절단부(61)의 길이(a)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취선(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5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패널(50)의 상하 수평부(54)에는 별도의 절취선(60)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절취선(6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51) 끝단에서 일정거리(c) 이격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취선(60)을 형성하는 경우 이웃하는 패널(50)과 결합하는 측면부(52)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필름(20)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분리되지 않고 잔류하는 필름(20)이 외부로 돌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c는 10mm 내지 30m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필름(20)의 분리성을 최대로 하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필름(20)의 크기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취선(6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51)와 측면부(52)의 경계부분인 모서리부(56)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부(56)에 절취선(60)을 형성하는 경우 이웃하는 패널(20)과 접촉하는 부분의 경계에 해당하므로, 잔류하는 필름(20)의 크기를 최소로 하면서 필름(20)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절취선(6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50)의 측면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선(60)은 측면부(5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절취선(60)은 상기 측면부(52)와 배면부(53) 사이의 모서리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2)는 이웃하는 패널(50)과 접촉하는 부위이므로, 벽 구조용 패널(50)이 아닌 도어용 패널(50)의 측면부(52) 중 외부로 개방되는 부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도어용 패널(50)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측면부(52)에 절취선(60)을 형성하고, 반대편은 전면부(5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벽 구조용 패널(50)의 경우에는 양측면이 이웃하는 패널(50)과 측면부(52)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결합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56) 또는 전면부(51) 또는 조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료 패널(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필름(20)이 부착되며, 이때 필름(20)은 별도의 컷터부(5)에 의하여 필름(20)에 절취선(60)을 형성한다.
즉, 금속판(10)이 이송하고, 필름공급부(1)에서 공급되는 필름(20)은 컷터부(5)와 대응되는 지지부(6)에 의하여 절취선(60)이 형성된 후, 가압부(8)를 통과하여 금속판(10)에 필름(20)이 부착된다.
물론 상기 가압부(8)는 상하 두개의 롤로 구성되며, 상기 롤 사이를 상기 금속판(10)과 필름(20)이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부착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8)는 별도의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한다.
한편, 필요한 경우, 상기 컷터부(5)는 2개 이상을 구비하여 하나의 금속판(10)에 두개 이상의 절취선(6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컷터부(5)는 폭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필름공급부 5: 컷터부
6: 지지부 8: 가압부
10: 금속판 20: 필름
30: 재료패널 50: 패널
51: 전면부 52: 측면부
53: 배면부 56: 모서리부
60: 절취선 61: 절단부
62: 비절단부 100: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

Claims (9)

  1.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측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배면부를 포함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일면에 접착되는 패널 보호용 필름; 및 패널 설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필름을 편리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필름이 패널에 부착 전에 절취선의 수와 동일한 수의 회전형 컷터부에 의하여 상기 필름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전면부 끝단에서 10mm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전면부와 측면부의 사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패널의 측면부와 배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벽 구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도어용이며, 상기 절취선은 전면부 끝단에서 10mm 내지 30mm 이격된 위치와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도어용이며, 상기 절취선은 전면부와 측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와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210065826A 2020-11-19 2021-05-21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20220068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826A KR20220068896A (ko) 2020-11-19 2021-05-21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88 2020-11-19
KR1020210065826A KR20220068896A (ko) 2020-11-19 2021-05-21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88 Division 2020-11-19 2020-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96A true KR20220068896A (ko) 2022-05-26

Family

ID=8180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826A KR20220068896A (ko) 2020-11-19 2021-05-21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8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202B2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2009132614A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その装置
US5826396A (en) Double-sided, single pass grooving of countertops and other building structures
KR20220068896A (ko) 엘리베이터용 패널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01186787A (zh) 半胶模切产品加工工艺的改进方法
US10675706B2 (en) Cutting apparatus for cutting flexible material with a first cutting unit and a second cut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laser emitter
ITTV960110A1 (it) Procedimento per il taglio di lastre di vetro e di lastre di vetro stratificato non blindato
US761792A (en) Roller-die.
TWI793304B (zh) 用於加工工件之邊緣的機器和方法
KR101927998B1 (ko) 조립식 경량패널 제조 방법
US20210214933A1 (en) A Flashing Connector
JPS61199526A (ja) バリの残らないプレス加工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5462A (ko) 에지테잎 칩 길이 분할 커팅수단을 갖는 에지벤딩기
EP3569324B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at least one corner region in a metal plate
KR200380347Y1 (ko) 목재패널의 꼭지점 가공장치
CN207289226U (zh) 一种应用于激光机中的新型电杆
JPH05138648A (ja) 石材加工装置
KR20160000768A (ko) 젓가락 제조장치
US166857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 corner strips
KR200340555Y1 (ko) 아크릴거울
KR20220145221A (ko) 테라조타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JPH06285572A (ja) 長尺異形断面板の加工装置
TWM478598U (zh) 刀鋒具有特定角度之滾刀刀具
ITVR950056A1 (it) Procedimento e mezzi per la produzione di marmette preferibilmente in granito o similare con superficie a spacco
US3782433A (en) Method of cutting a joint in a ceiling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