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594B1 -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 Google Patents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94B1
KR102089594B1 KR1020190090759A KR20190090759A KR102089594B1 KR 102089594 B1 KR102089594 B1 KR 102089594B1 KR 1020190090759 A KR1020190090759 A KR 1020190090759A KR 20190090759 A KR20190090759 A KR 20190090759A KR 102089594 B1 KR102089594 B1 KR 10208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ss
ventilation
seed
back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2013/086Combination of synthetic and natural gr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기성을 가지며 일면에 잔디씨앗이 포설되어 있고 상하 관통된 뿌리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통기 백킹층,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백킹층의 타면과 결합되어 있는 시트층, 녹말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씨앗 고정층, 상기 씨앗 고정층과 연결되어 있는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에 심겨 있는 파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잔디씨앗은 상기 시트층 및 상기 씨앗 고정층에 의해 상기 통기 백킹층에 고정되며,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은 분해되며 상기 잔디씨앗의 발아로 생장한 잔디새싹은 분해된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 그리고 상기 기포층을 관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Turf structures for entire surface ventil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ultiv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항상 푸름을 유지하고 환경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음으로 시공 후 관리가 쉽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보다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유지관리의 편의성,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인조잔디 구장은 천연잔디보다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높지만, 하절기에 온도가 상승하여 화상의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인조잔디 구장은 천연잔디 구장과는 다른 이질감을 주고, 인조잔디에 포설한 충진재가 소실되어 주기적으로 충진재를 충진해야 한다.
이에, 인조잔디와 천연잔디가 결합된 복합잔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복합잔디는 천연잔디가 식재된 공간에 인조잔디 파일을 심어서 형성한다. 그러나 부분적 손상이나 병충해 발생 시 부분적 보식에 한계와 더불어 과다한 보수비용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조잔디 매트 내 파일 사이에 잔디씨앗을 심고 흙을 배토한 후 잔디씨앗을 생장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조잔디의 백킹부와 파일부 사이에 통기 구조에 한계가 있으며, 씨앗이 심어지는 공간이 인조잔디 파일 사이에 한정되어 천연잔디 뿌리가 안착되지 못하고 떠 있는 현상이 발생하여 디봇(divot) 강도 향상 및 이를 통한 사용일수 증대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아울러 주기적인 시비와 관수 작업의 실행이 불가피하여 유지관리 차원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5797호 (2019.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555호 (2012.03.09.)
본 발명은 인조잔디와 천연잔디의 복합화를 통하여 천연잔디 생장점을 강화하고 천연잔디 생장 후 뿌리가 인조잔디 파일과 얽히어 디봇강도를 향상시키고, 인조잔디의 백킹부는 전체적으로 통기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는, 통기성을 가지며 일면에 잔디씨앗이 포설되어 있고 상하 관통된 뿌리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통기 백킹층,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백킹층의 타면과 결합되어 있는 시트층, 녹말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씨앗 고정층, 상기 씨앗 고정층과 연결되어 있는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에 심겨 있는 파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잔디씨앗은 상기 시트층 및 상기 씨앗 고정층에 의해 상기 통기 백킹층에 고정되며,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은 분해되며 상기 잔디씨앗의 발아로 생성된 새싹은 분해된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 그리고 상기 기포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통기 백킹층은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층은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디씨앗은 분해되는 상기 씨앗 고정층 및 상기 시트층을 영양분으로 하여 상기 통기 백킹층에서 발아되고, 발아된 천연잔디의 뿌리는 상기 뿌리통공을 통해 지면으로 뿌리를 내리고, 천연잔디의 줄기는 상기 기포층을 관통하여 이웃한 상기 파일부의 사이로 생장할 수 있다.
상기 통기 백킹층과 상기 기포층은 생장하는 상기 천연잔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은 분말 비료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 비료는 질소 10~15 중량%, 인산 10∼15 중량%, 칼륨 10∼15 중량%, 효소 65∼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는, 상기 기포층의 일면에서 상기 기포층, 상기 통기 백킹층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기포층의 일면과 접하는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백킹층을 관통하는 니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부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부로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에는 물이 수용되어 상기 파일부로 증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시공 방법은, 기포층에 파일부를 심는 터프팅 단계, 시트층과 뿌리통공이 형성된 통기 백킹층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시트층이 위치하지 않은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잔디씨앗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잔디씨앗이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녹말액을 살포하여 상기 잔디씨앗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시트층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통기 백킹층을 설치 현장에 펼치는 단계, 상기 통기 백킹층에 상기 파일부가 심어진 상기 기포층을 펼치는 단계 및 분해성분으로 상기 씨앗 고정층 및 상기 시트층을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시공방법은, 고정클립으로 상기 기포층 및 상기 통기 백킹층을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고정클립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백킹층과 기포층 사이에서 천연잔디가 생장하면서 통기 백킹층과 기포층을 관통하게 되므로 통기 백킹층과 기포층이 천연잔디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에 화학접착제, 용융과정 없이 친환경적으로 통기 백킹층과 기포층을 결합할 수 있어 화학성분 등에 의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연잔디의 뿌리가 통기 백킹층의 뿌리통공을 통해 지면에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잔디 구조체가 지면에 고정된다. 이에 천연잔디의 뿌리가 통기 백킹층 상에 떠 있지 않고 지면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어 잔디 구조체는 지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부의 주변에 천연잔디가 위치하므로 파일부의 온도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천연잔디가 완충 역할을 하게 되어 규사, 탄성칩 따위의 충진재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잔디가 통기 백킹층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잔디의 응집력이 높아질 수 있으며 떼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떼가 찢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고품질의 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의 시트층과 씨앗 고정층이 분해되고 잔디가 생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고정클립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에 따른 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진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잔디씨앗이 발아되어 생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7의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에 따른 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의 시트층과 씨앗 고정층이 분해되고 잔디가 생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1)는, 통기 백킹층(10), 시트층(20), 씨앗 고정층(30), 기포층(40) 및 파일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1)는 잔디씨앗(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통기형 진다 구조체(1)는 통기홀을 갖는 통기 백킹층(10) 및 망체의 기포층(40)에 의해 통기성을 갖는다.
기포층(40)은 메쉬를 포함하는 것으로 횡사와 종사를 갖는다. 횡사와 종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웃한 횡사들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이웃한 종사들 또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에 기포층(40)의 종사들, 횡사들 사이에 줄기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줄기통공(41)에 의해 기포층(40)은 통기성을 갖는다.
파일부(50)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따위로 만들어진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부(5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니들에 의해 기포층(40)에 터프팅되어 있다. 파일부(50)의 하단은 기포층(40)과 융착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단은 기포층(40)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노출되어 있다. 파일부(50)를 이루는 파일사는 길이가 다른 파일사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일사들의 길이는 같을 수 있다. 이웃한 파일부(50)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시트층(20)은 수용성 고분자 필름으로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필름을 포함한다. 시트층(20)은 물에 녹을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필름의 세부적인 사항은 공지된 수용성 고분자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층(20)은 통기 백킹층(10)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60 내지 80㎛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층(20)의 두께가 60㎛ 미만인 경우 잔디 구조체(1)의 운반 중 찢어질 수 있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 분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통기 백킹층(1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따위로 이루어진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통기 백킹층(10)에는 이웃한 섬유들 사이로 통기홀들이 형성된다.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통기 백킹층(10)은 기계적 강도와 내후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에 의해 장기간 설치하여도 변형 및 물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통기 백킹층(10)은 우수한 투수성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배수 효과가 있다.
아울러, 통기 백킹층(10)의 두께는 0.1 내지 5mm일 수 있다. 통기 백킹층(10)의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 통기성은 우수하나 가공 작업성, 완제품 형태 불안정 및 장기 내구성이 저하된다. 이와 반대로 통기 백킹층(10)의 두께가 5mm를 초과할 경우 통기성이 저하되어 통기 백킹층(10)의 중량이 증가하여 운송이 어려움이 발생하여 잔디 구조체(1)의 시공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통기성 백킹층(10)은 지면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어 노면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통기 백킹층(10)은 30 내지 70g/m2 에서 340 내지 350cc/cm2 /sec의 통기성을 갖는다. 통기성이 350cc/cm2/sec 미만인 경우 공기 및 유체 등이 배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통기 백킹층(10)에는 상하 관통된 뿌리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뿌리통공(11)은 통기 백킹층(10)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뿌리통공(11)의 지름은 3 내지 6mm일 수 있다. 뿌리통공(11)의 지름이 3mm 미만인 경우 잔디뿌리가 뿌리통공(11)을 관통할 수 없으며, 6mm를 초과할 경우 뿌리통공(11)을 통과하는 잔디뿌리와 뿌리통공(11)의 둘레에 간격이 발생하여 뿌리와 통기 백킹층(10)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잔디씨앗(71)은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포설되어 배치되어 있다. 잔디씨앗은 통기 백킹층(10)의 1㎡에 15 내지 25g이 뿌려질 수 있다. 잔디씨앗이 25g을 초과할 경우 천연잔디의 생장 간격이 조밀하여 밀집성이 높아 생장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15g 미만인 경우 천연잔디의 밀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잔디씨앗(71)은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톨 훼스큐 그래스(Tall Fescue Grass),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버뮤다 그래스(Bermudagrass), 조이시아그래스(Zoysiagrass) 및 들잔디(Zoysia japonica)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잔디씨앗은 잔디 구조체(1)가 시공되는 현장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기 백킹층(10)의 하면이 시트층(20)과 연결되어 있어 뿌리통공(11)이 막힌 상태가 되므로 포설되는 잔디씨앗은 뿌리통공(11)을 통해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살포된 녹말액이 경화되어 형성된 씨앗 고정층(30)에 의해 잔디씨앗(71)은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층(20)과 씨앗 고정층(30)에 의해 잔디씨앗(71)은 통기 백킹층(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잔디씨앗(71)이 살포된 통기 백킹층(10) 운반 시 잔디씨앗(71)이 통기 백킹층(1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씨앗 고정층(30)은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잔디씨앗(71)을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고정하면서 기포층(40)과 통기 백킹층(10)을 연결한다. 씨앗 고정층(30)은 살포한 녹말액이 경화되어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된다. 경화된 씨앗 고정층(30)은 잔디씨앗(71)을 통기 백킹층(10)에 고정할 수 있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씨앗 고정층(30)의 두께는 시트층(20)의 두께보다는 얇다. 녹말은 식물의 씨, 뿌리, 줄기, 알뿌리ㅇ열매 등에 함유된 중요한 저장물질의 하나이다. 녹말은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고등동물에서도 영양원으로서 중요한 물질이다. 살포되는 녹말액은 점성을 가지며 씨앗 고정층(30)은 점성에 의해 기포층(40)과 연결되어 있다.
잔디 구조체(1)가 시공된 상태에서 분해성분이 뿌려지면 경화된 씨앗 고정층(30)은 분해되어 잔디씨앗(71)을 통기 백킹층(10)에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분해성분은 물일 수 있다. 그리고 시트층(20) 또한 분해될 수 있다. 아울러, 분해성분에는 녹말을 포함하는 씨앗 고정층(30)을 분해하기 위한 분해물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시트층(20)과 씨앗 고정층(30)은 분말 비료를 포함한다. 분말 비료는 질소 10~15 중량%, 인산 10∼15 중량%, 칼륨 10∼15 중량%, 효소 65∼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 비료를 포함하는 시트층(20) 및 씨앗 고정층(30)은 분해되어 생장하는 잔디새싹의 영양분이 될 수 있다.
시트층(20), 통기 백킹층(10), 잔디씨앗(71), 씨앗 고정층(30), 기포층(40) 및 파일부(50)로 이루어진 잔디 구조체가 시공된 상태에서 분해성분이 파일부(50) 위에 뿌려지면 기포층(40), 씨앗 고정층(30), 통기 백킹층(10) 및 시트층(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씨앗 고정층(30)과 시트층(20)은 분해될 수 있다. 분해된 씨앗 고정층(30)과 시트층(20)은 잔디씨앗(71)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제공된다. 잔디씨앗은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의 사이에서 생장한다. 이때 잔디새싹의 뿌리는 뿌리통공(11)을 통해 통기 백킹층(10)을 관통하여 지면에 뿌리를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잔디새싹의 줄기는 기포층(40)의 줄기통공(41)을 통해 기포층(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웃한 파일부(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잔디줄기는 이웃한 파일부(50)를 지지하며 파일부(50)의 온도저감 효과가 있다.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 사이에서 천연잔디(80)가 생장하면서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을 관통하게 되므로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이 천연잔디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에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을 결합하기 위한 화학접착제 사용과 용융과정을 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잔디(80)의 뿌리가 통기 백킹층의 뿌리통공(11)을 통해 지면에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잔디 구조체가 지면에 고정된다. 이에 잔디 구조체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파일부(50)의 주변에 천연잔디가 위치하므로 파일부(50)의 온도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천연잔디가 완충 역할을 하게 되어 규사, 탄성칩 따위의 충진재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더불어 고정클립을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2)의 고정클립(60)은 헤드부(61) 및 니들부(62)를 포함하며, 잔디 구조체(1)를 지면에 더욱 견고히 고정한다.
헤드부(61)와 니들부(62)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헤드부(61)의 넓이는 니들부(62)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61)는 기포층(40)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 플레이어와 접촉 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헤드부(61)는 실리콘 따위와 같이 연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니들부(62)는 헤드부(61)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니들부(62)는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강도를 갖는 니들부(62)는 기포층(40), 씨앗 고정층(30), 통기 백킹층(10) 및 시트층(20)을 관통하여 지면에 삽입될 수 있다. 니들부(62)가 지면에 삽입될 때 삽입성을 높이기 위하여 니들부(62)의 외부 둘레에는 스크류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홈에 의해 고정클립(60)은 회전하면서 지면에 삽입될 수 있다.
니들부(62)의 내부는 헤드부(61)의 상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수공간(621)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61)의 개방된 상면에는 저수공간(621)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메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메쉬는 미세 기공을 가지며 유체 따위는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클립(60)은 천연잔디와 더불어 잔디 구조체(1)를 지면에 더욱 견고히 고정한다. 저수공간(621)에 저장된 물은 증발할 수 있으며, 증발한 물과 천연잔디는 함께 파일부의 온도저감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도면 도 6을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터프팅 단계(S10), 시트층과 통기 백킹층 결합단계(S20), 잔디씨앗 포설단계(S30), 잔디씨앗 고정단계(S40), 통기 백킹층 설치단계(S50), 기포층 설치단계(S60) 및 시트층 및 씨앗 고정층 분해단계(S70)를 포함한다.
네트 구조의 기포층(40)에 파일사들을 터프팅하여 파일부(50)를 심는다(S10). 파일부(50)의 하단과 기포층(40)에 열을 가하여 파일사들을 용융시켜 파일부(50)를 기포층(40)에 결합한다. 이때 기포층(40)은 용융되지 않고 파일사만 용융된다.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시트층(20)과 복수의 뿌리통공(11)이 형성된 통기 백킹층(10)을 결합한다(S20). 시트층(20)은 통기 백킹층(10)의 하면에 결합되며, 뿌리통공(11)을 막는다.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잔디씨앗을 포설한다(S30). 이때 통기 백킹층(10)의 1㎡에 15 내지 25g이 잔디씨앗을 뿌린다. 잔디씨앗은 통기 백킹층(10) 상면 및 뿌리통공(11)에 위치한다. 뿌리통공(11)에 위치한 잔디씨앗은 시트층(20)이 뿌리통공(11)을 막고 있어 뿌리통공(11)에서 빠지지 않는다.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녹말액을 살포하여 씨앗 고정층(30)을 형성한다(S40). 씨앗 고정층(30)은 얇게 형성되며 포설된 잔디씨앗을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고정한다. 시트층(20)과 씨앗 고정층(30)에 의해 포설된 잔디씨앗은 통기 백킹층(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잔디 구조체 운반 시 잔디씨앗이 통기 백킹층(1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잔디씨앗이 고정된 통기 백킹층(10)을 설치 현장에 펼쳐 설치한다(S50). 여기서, 시트층(20)은 지면과 접하도록 통기 백킹층(10)을 지면에 배치한다.
펼쳐진 통기 백킹층(10) 위에 파일부(50)가 형성된 기포층(40)을 맞추어 설치한다(S60).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이 설치된 상태에서 분해성분을 잔디 구조체(1)의 위에 살포할 수 있다. 분해성분은 씨앗 고정층(30), 통기 백킹층(10) 및 시트층(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씨앗 고정층(30)과 시트층(20)은 분해될 수 있다. 분해된 씨앗 고정층(30)과 시트층(20)은 잔디씨앗(71)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제공된다. 잔디씨앗은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의 사이에서 생장한다.
잔디새싹의 뿌리는 뿌리통공(11)을 통해 통기 백킹층(10)을 관통하여 지면에 뿌리를 내며, 잔디새싹의 줄기는 기포층(40)의 줄기통공(41)을 통해 기포층(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웃한 파일부(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 사이에서 천연잔디가 생장하면서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을 관통하게 되므로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이 천연잔디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에 통기 백킹층과 기포층의 용융공정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잔디를 이용하여 통기 백킹층과 기포층을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고정클립 고정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클립(60)의 니들부가 기포층(40)과 통기 백킹층(10)을 관통하여 지면에 삽입되고 헤드부가 기포층(4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클립(60)의 고정과 천연잔디의 생장으로 잔디 구조체는 지면에 더욱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잔디 구조체의 고정력이 증진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이 분리된 상태로 설치된 것으로 하였으나, 통기 백킹층(10)에 씨앗 고정층 형성을 위해 녹말액을 살포할 때 녹말액 경화전에 기포층(40)을 통기 백킹층(10)의 상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녹말액이 경화되면서 통기 백킹층(10)과 기포층(4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3)는 씨앗층(70), 토양층(80) 및 통기 백킹층(10a)을 포함하며, 생장한 천연잔디를 이식할 수 있도록 한다.
씨앗층(70)은 평탄하게 정리된 기초지반(G)에 잔디씨앗(71a)을 살포하여 형성한다. 잔디씨앗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잔디씨앗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토양층(80)은 잔디씨앗(71a)이 살포된 기초지반(G)에 포설되어 잔디씨앗을 덮고 있다. 토양층(80)은 잔디씨앗(71a)을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토양층(80)은 모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토양층(80)은 잔디씨앗의 발아를 높일 수 있는 흙일 수 있다.
통기 백킹층(10a)은 토양층(80)의 위에 시공되어 있다. 통기 백킹층(10a)은 복수의 통기홀이 상하 관통된 부직포 또는 격자 형태의 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통기 백킹층(10a)에는 통기성을 가지며 잔디씨앗의 발아로 생장한 잔디새싹의 줄기가 통과할 수 있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3)는 시트층(2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층(20a)은 잔디씨앗이 기초지반(G)에 살포되기 전에 기초지반(G)에 시공된다. 이에 잔디씨앗은 시트층(20a)의 위에 살포될 수 있다. 시트층(20a)은 분말 비료를 포함하며, 수용성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층(20a)은 뿌려지는 분해성분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시트층(20a)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잔디씨앗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잔디씨앗은 기초지반(G)과 통기 백킹층(10a)의 사이 또는 시트층(20a)과 통기 백킹층(10a)의 사이에서 발아되어 생장한다. 잔디새싹은 기초지반(G)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는 통기 백킹층(10a)을 관통하여 생장한다. 이때 줄기는 통기 백킹층(10a)의 통기홀을 통해 통기 백킹층(10a)의 위로 자란다. 잔디새싹이 자라면 통기 백킹층(10a)을 소정 넓이로 잘라 기초지반(G) 일부와 함께 걷어내어 떼(sod)를 형성한다. 이때 통기 백킹층(10a)을 부분적으로 자르지 않고, 통기 백킹층(10a)을 전체적으로 걷어내어 롤 형태로 말아 운반할 수 있다. 떼는 잔디 구조체의 시공 현장 또는 보수 현장에 옮겨 심을 수 있다.
잔디가 통기 백킹층(10a)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잔디의 응집력이 높아질 수 있으며 떼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떼가 찢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고품질의 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도면 도 9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잔디 구조체의 식생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식생방법은 기초지반 정리단계(S100), 시트층 시공단계(S200), 잔디씨앗 파종단계(S300), 토양 포설단계(S400), 통기 백킹부 시공단계(S500) 및 잔디새싹이 생장하면 백킹부를 걷어내어 옮겨심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잔디씨앗을 살포할 지반을 평탄하게 정리하고 잔디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지반을 정리한다. 정리된 지반에 시트층(20a)을 시공한다. 시트층(20a)은 이후 살포되는 잔디씨앗의 유실을 방지하고 분해되면서 잔디씨앗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시트층(20a)의 시공은 생략할 수 있다.
시공된 시트층(20a) 위에 잔디씨앗(71a)을 살포하여 씨앗층(70)을 형성한다. 시트층(20a)의 시공이 생략된 경우 잔디씨앗(71a)은 기초지반(G)에 살포한다. 잔디씨앗(71a)은 1㎡에 15 내지 25g이 살포될 수 있다. 잔디씨앗(71a)이 살포된 시트층(20a) 위 또는 기초지반(G) 위에 잔디씨앗(71a)을 고정하기 위한 토양을 포설한다. 토양은 모래 또는 황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초지반(G)에 시트층(20a)을 시공하는 단계가 생략된 경우 토양층(80) 형성 후 토양층(80)에 시트층(20a)을 시공할 수 있다.
토양층(80) 또는 시트층(20a)에 통기홀이 형성된 통기 백킹층(10a)을 시공한다. 통기 백킹층(10a)은 살포된 잔디씨앗(71a)의 유실을 방지하지고 외부 유해 요건으로부터 잔디씨앗(71a)을 보호한다.
이후, 잔디씨앗(71a)이 발아되어 새싹이 자라면 잔디새싹의 뿌리는 기초지반(G)으로 뻗고 줄기는 통기 백킹층(10a)의 통기홀을 통해 통기 백킹층(10a) 위로 자란다. 잔디가 소정크기로 자라면 통기 백킹층(10a)을 기초지반(G)에서 떼어내어 잔디 구조체 시공 현장 또는 보수 현장에 옮겨심는다. 이때 통기 백킹층(10a)은 옮겨 심어지는 잔디 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며 잔디가 기초지반(G)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잔디를 옮겨 심는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잔디 구조체 10, 10a: 통기 백킹층
11: 뿌리통공 20, 20a: 시트층
30: 씨앗 고정층 40: 기포층
41: 줄기통공 50: 파일부
60: 고정클립 61: 헤드부
62: 니들부 621: 저수공간
70: 씨앗층 71, 71a: 잔디씨앗
80: 토양층

Claims (15)

  1. 30 내지 70g/m2에서 340 내지 350cc/cm2 /sec의 통기성을 가지며 일면에 잔디씨앗이 포설되어 있고 지름이 3mm 내지 6mm인 뿌리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가 0.1 내지 5mm인 통기 백킹층,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백킹층의 타면과 결합되어 있는 시트층,
    녹말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씨앗 고정층,
    상기 씨앗 고정층과 연결되어 있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에 심겨 있는 파일부 및
    상기 기포층의 일면에서 상기 기포층, 상기 통기 백킹층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클립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기포층의 일면과 접하는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포층 및 상기 통기 백킹층을 관통하는 니들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부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부로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에는 물이 수용되어 상기 파일부로 증발될 수 있고,
    상기 잔디씨앗은 상기 시트층 및 상기 씨앗 고정층에 의해 상기 통기 백킹층에 고정되며,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은 분해되며 상기 잔디씨앗의 발아로 생장한 잔디새싹은 분해된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 그리고 상기 기포층을 관통하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2. 제1항에서,
    상기 통기 백킹층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3. 제1항에서,
    상기 기포층은 메쉬를 포함하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4. 제1항에서,
    상기 잔디씨앗은 분해되는 상기 씨앗 고정층 및 상기 시트층을 영양분으로 하여 상기 통기 백킹층에서 발아되고, 발아된 천연잔디의 뿌리는 상기 뿌리통공을 통해 지면으로 뻗고, 천연잔디의 줄기는 상기 기포층을 관통하여 이웃한 상기 파일부의 사이로 자라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5. 제4항에서,
    상기 통기 백킹층과 상기 기포층은 생장하는 상기 천연잔디에 의해 결합되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6. 제4항에서,
    상기 시트층과 상기 씨앗 고정층은 분말 비료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 비료는 질소 10~15 중량%, 인산 10∼15 중량%, 칼륨 10∼15 중량%, 효소 65∼70 중량%를 포함하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7. 삭제
  8. 삭제
  9. 기포층에 파일부를 심는 터프팅 단계,
    시트층과 30 내지 70g/m2에서 340 내지 350cc/cm2 /sec의 통기성을 가지며 지름이 3mm 내지 6mm인 뿌리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0.1 내지 5mm인 통기 백킹층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시트층이 위치하지 않은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잔디씨앗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잔디씨앗이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통기 백킹층의 일면에 녹말액을 살포하여 씨앗 고정층을 형성하여 잔디씨앗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시트층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통기 백킹층을 설치 현장에 펼치는 단계,
    상기 통기 백킹층에 상기 파일부가 심어진 상기 기포층을 펼치는 단계
    분해성분으로 상기 씨앗 고정층 및 상기 시트층을 분해하는 단계 및
    고정클립으로 상기 기포층 및 상기 통기 백킹층을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기포층의 일면과 접하는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포층 및 상기 통기 백킹층을 관통하는 니들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부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부로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에는 물이 수용되어 상기 파일부로 증발될 수 있는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90759A 2019-07-26 2019-07-26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KR10208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59A KR102089594B1 (ko) 2019-07-26 2019-07-26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59A KR102089594B1 (ko) 2019-07-26 2019-07-26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94B1 true KR102089594B1 (ko) 2020-03-16

Family

ID=6994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759A KR102089594B1 (ko) 2019-07-26 2019-07-26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5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512A (ja) * 1995-02-22 1996-09-10 Otsuka Chem Co Ltd 芝等の植物を育成するための植物育成シート構造体及び天然芝シート構造体並びに人工芝構造体
JP2870732B1 (ja) * 1998-02-16 1999-03-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天然芝入り人工芝
KR20000009722A (ko) * 1998-07-28 2000-02-15 서경덕 잔디 발아용 필름 및 그를 이용한 종자 매트
JP2002176852A (ja) * 2000-12-15 2002-06-25 Hirotsuyo Takeuchi 芝苗及びその植生構造と植生方法
KR101127555B1 (ko) 2011-07-14 2012-03-23 김동현 천연잔디와 인조잔디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95797B1 (ko)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512A (ja) * 1995-02-22 1996-09-10 Otsuka Chem Co Ltd 芝等の植物を育成するための植物育成シート構造体及び天然芝シート構造体並びに人工芝構造体
JP2870732B1 (ja) * 1998-02-16 1999-03-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天然芝入り人工芝
KR20000009722A (ko) * 1998-07-28 2000-02-15 서경덕 잔디 발아용 필름 및 그를 이용한 종자 매트
JP2002176852A (ja) * 2000-12-15 2002-06-25 Hirotsuyo Takeuchi 芝苗及びその植生構造と植生方法
KR101127555B1 (ko) 2011-07-14 2012-03-23 김동현 천연잔디와 인조잔디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95797B1 (ko)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674A (en) Sod mats constructed of stable fibers and degradable matrix material and method for propagation
US5344470A (en) Sod mats constructed of stable fibers and a degradable matrix material
KR100876007B1 (ko) 무토양잔디
CN104542220A (zh)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RU2556993C2 (ru) Вегета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зеленения искусственных или естестве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низкими и/или высокими растениями,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егетаци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US6601340B1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or natural surfa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717545B1 (ko) 무토잔디용 생육포
KR20080018826A (ko) 사면 자연녹화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102013765B1 (ko) 육묘매트
RU2759933C1 (ru) Опор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гибридного газона, содержащая слой каменной ваты,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й структуры и биоразлагаемый ящик,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труктуру
KR102089594B1 (ko) 전면 통기형 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식생방법
US5397368A (en) Specialty sod mats constructed of nonwoven fabric
JP3346271B2 (ja) 栽培ベッド形成シート及び高設栽培装置
JP3685850B2 (ja) マルチング材およびマルチング材を用いた種苗植栽方法
JP2001214407A (ja) 天然芝入り人工芝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2253007A (ja) 植生マット
JP2008253244A (ja) 植生シート
JP2003253678A (ja) 植栽用の法面被覆マットと法面の緑化工法
KR200363030Y1 (ko) 잡초의 생육억제 겸용 씨앗발아용 매트
JP2004159513A (ja) 植生土嚢及びこれを用いた植生ユニット
JPH09201127A (ja) 植物育成用基材
JP2019060177A (ja) 緑化工法及び緑化構造
JP2004159652A (ja) 植生マットとその製造方法
BR102023001770A2 (pt) Material fibroso com fita celulósica contendo nutrientes, sementes, substrato, polimeros e herbicidas para plantio de mudas ou revegetação de áreas de solo exposto
Decker Producing sods over plastic in soilless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