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31B1 -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31B1
KR102089231B1 KR1020197014658A KR20197014658A KR102089231B1 KR 102089231 B1 KR102089231 B1 KR 102089231B1 KR 1020197014658 A KR1020197014658 A KR 1020197014658A KR 20197014658 A KR20197014658 A KR 20197014658A KR 102089231 B1 KR102089231 B1 KR 10208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dhesive layer
adhesive
resin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710A (ko
Inventor
시게토모 야마모토
히로카즈 오키
아츠시 다가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편면에 점착층을, 반대면에 이형층을 공압출에 의해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과 부타디엔계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3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이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과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합이 점착층 성분 중 35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이다.

Description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SELF-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광학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즘 시트 등의 부재, 합성 수지판(예를 들어, 건축 자재용), 스테인리스판(예를 들어, 건축 자재용), 알루미늄판, 화장 합판, 강판, 유리판, 가전 제품, 정밀 기계, 및 제조 시의 자동차 보디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물품을 적층하거나 보관하거나 수송하거나 제조 공정에서 반송할 때의 흠집 발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및 물품을 2차 가공할(예를 들어, 굽힘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 때의 흠집 발생으로부터 보호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종래부터 피복체의 표면 보호를 목적으로 한 점착 필름은 건축 자재나 전기, 전자 제품, 자동차 등의 가공, 보관, 수송 시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착 필름은 양호한 점착성을 가짐과 함께, 사용 후는 각 표면을 점착제로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피복체는 최근들어 그의 다양화가 진행되어, 피복면이 평활한 것뿐만 아니라 표면 요철을 갖는 것도 다수 볼 수 있다. 표면 요철을 갖는 피복체로서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형의 렌즈부 등을 들 수 있다. 프리즘 시트와 같은 표면 요철을 갖는 피복체에 대하여, 사용상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접촉 면적이 작아도 점착력이 얻어지도록 점착층의 점착력을 높이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점착층의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지로서 높은 점착력을 나타내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주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지만, 점착층의 점착력을 높이면,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다가, 그 후 필름을 풀어낼 때에 블로킹이 발생하여,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대책으로서, 기재층에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 참조)나, 초고분자 폴리디메틸실록산(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등 참조), 포화 지방산 비스아미드(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등 참조)를 첨가하는 등의 검토가 행하여지고 있지만, 모두 롤 상태로 보관할 때에 점착층으로 이들 수지가 이행될 가능성이 있어, 점착력을 저하시키거나, 피복체를 오염시키는 등의 우려를 씻어낼 수 없다.
또한, 점착층에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첨가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지만(예를 들어,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등 참조), 모두 프리즘에 대한 점착력과,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다가, 그 후 필름을 풀어낼 때의 상기 문제를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15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0855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650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평) 제08-738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6188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복체에 대하여 강한 점착력을 나타내고, 다양한 피복체에 사용 가능하면서,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다가, 그 후 필름을 풀어낼 때에도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 필름의 가공 적성이 우수한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점착층에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배합비를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편면에 점착층을, 반대면에 이형층을 공압출에 의해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과 부타디엔계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과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이며,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며, 상기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3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이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과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합이 점착층 성분 중 35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체에 대하여 강한 점착력을 나타내고, 다양한 피복체에 사용 가능하면서,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다가, 그 후 필름을 풀어낼 때에도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려워, 필름의 가공 적성이 우수한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점착층에 사용하는 에틸렌계 수지의 굽힘 탄성률은 10MPa 이상 90MPa 미만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중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MFR(190℃, 2.16kgf)이 0.5 내지 8g/10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MFR(230℃, 2.16kgf)이 0.5 내지 8g/10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중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MFR(230℃, 2.16kgf)이 1.0 내지 15g/10분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필름은, 피복체에 대하여 강한 점착력을 나타내고 다양한 피복체에 사용 가능하면서,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다가, 그 후 필름을 풀어낼 때에도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려워, 필름의 가공 적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측정 시료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기재층)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통상의 압출 성형 등에서 사용하는 n-헵탄 불용성의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에는 프로필렌 단위가 60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단위가 60질량% 미만이면 필름에 탄력감이 없어져,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프로필렌 단위량을 60질량% 미만으로 하거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면 필름이 유연하여 늘어나기 쉬워져, 필름을 풀어낼 때에도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여기서, n-헵탄 불용성이란,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을 지표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1982년 2월 후생성 고시 제20호에 의한 n-헵탄 불용성(25℃, 60분 추출했을 때의 용출분이 150ppm 이하〔사용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것은 30ppm 이하〕)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α-올레핀, 예를 들어 에틸렌 또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C4 이상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에 상술한 α-올레핀을 1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얻어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 유속(MFR(melt flow rate): 230℃, 2.16kgf)은 1.0 내지 15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10.0g/10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필름을 제품 가공할 때에 나온 부스러기 필름을 회수 원료로서 재조립하여, 기재층에 첨가할 수도 있다. 회수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착층)
본 발명에 관한 점착층은, 높은 점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점착력과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繰出)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점착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점착면측으로부터 이형면에 대한 박리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점착층에는 점착력의 컨트롤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폴리에틸렌계 수지 이외의 점착 부여 수지, 연화제, 폴리스티렌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량은, 높은 점착력의 발현과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점착층 성분 100질량%에 대하여, 3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35질량% 미만이면 점착력이 저하되어, 필요로 하는 점착력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량은 바람직하게는 38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A-B-A형 블록 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A-B형 블록 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등의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수소 첨가체는, 부분 수소 첨가체일 수도 있고, 완전 수소 첨가체일 수도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성분은, 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질량% 미만이면 레진 제작 시의 조립이 곤란해지고, 40질량% 초과이면 점착력이 저하되어, 필요로 하는 점착력을 얻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의 범위이며, 1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은, 1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또한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에틸렌 성분량이 많은 경우에는 조출성의 개선 효과가 커지기 쉬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은 점착력의 발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에틸렌 성분량이 70질량%를 초과하면, 점착층의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에는 부틸렌 성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틸렌 성분이 50질량% 이상이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첨가한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용융 유속(MFR: 230℃, 2.16kgf)은, 제막성의 면에서 0.5 내지 8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7.0g/10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 중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량은, 높은 점착력의 발현과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1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점착층 중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량이 65질량%를 초과하면 점착력이 저하되어, 필요로 하는 점착력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점착층 중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량은,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밀도 폴리에틸렌, 특히 LLDPE라고 하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VLDPE라고 하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점착력을 유지하면서, 필름의 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들은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에틸렌쇄에 단쇄 분지를 도입한 것이며, α-올레핀의 종류나 공중합량에 의해,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층에 있어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과 에틸렌계 수지의 합은, 점착층 성분 중 35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에틸렌 성분과 에틸렌계 수지의 합이 점착층 성분 중 70질량%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저하되어,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지지 않는다. 에틸렌 성분과 에틸렌계 수지의 합이 점착층 성분 중 35질량% 미만이면 필름 점착층의 이형층에 대한 박리력이 높아져 버린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성분과 에틸렌계 수지의 합은 점착층 성분 중 40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성분과 에틸렌계 수지의 합은 점착층 성분 중 45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성분과 에틸렌계 수지의 합은 점착층 성분 중 45질량% 이상 63질량% 이하이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굽힘 탄성률은 10MPa 이상 90MP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0MPa 미만이면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성이 저하되고, 90MPa 이상이면 점착층이 단단해져 버려,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굽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5MPa 내지 80MPa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Pa 내지 70MPa의 범위이다.
굽힘 탄성률을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의 에틸렌 성분을 조정하는 것이 하나의 방책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의 에틸렌 성분은 7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에틸렌 성분은 7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에틸렌 함유량은 98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6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4질량% 이하이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의 에틸렌 성분이 70질량% 미만이면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성 개선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의 에틸렌 성분이 70질량% 이상인 폴리에틸렌 수지의 예로서는, 스미토모 가가꾸사제의 CX3007이나 VL10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밀도는 850kg/㎥ 내지 920kg/㎥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860kg/㎥ 내지 910kg/㎥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는 870kg/㎥ 내지 908kg/㎥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80kg/㎥ 내지 906kg/㎥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점착성과 조출성을 양립시키기 쉬워진다.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용융 유속(MFR: 190℃, 2.16kgf)은 0.5g/10분 내지 8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8g/10분 내지 7.0g/10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각 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 제막이 행하여지기 쉬워진다.
점착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의 공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이 수지는, 일반적으로 소량 배합하는 것만으로도 점착력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스티렌계 수지, 로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분자량이 작아지면 점착층으로부터의 피복체에 대한 물질 이행이나 중박리화 등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고, 한편 분자량이 커지면 접착력의 향상 효과가 부족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점착 부여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0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표준 물질: 폴리스티렌)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점착층 중의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점착층 성분 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을 20질량% 초과로 하면, 점착 부여 수지는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용융 점도가 극단적으로 낮아져, T다이 등을 사용한 공압출 제막을 행할 때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기재층과의 적층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점착층이 끈적거리게 되어, 롤 상태로부터의 필름 조출성이 개선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층 중의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이 5질량% 미만이면 배합해도 점착층의 점착력 변화에 기여하기 어렵다. 따라서,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상 15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점착층 중으로의 점착 부여 수지의 첨가에 의해 용융 점도가 내려가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점착층에 폴리스티렌 수지를 1질량% 내지 15질량% 정도 첨가함으로써,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의 용융 점도차가 개선되어, 적층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 수지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12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다.
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저분자량의 디엔계 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이나 그들의 유도체, 폴리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연화제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분자량이 작아지면, 점착층으로부터의 피복체에 대한 물질 이행이나 중박리화 등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고, 한편 분자량이 커지면 접착력의 향상 효과가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연화제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0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은, 점착 부여 수지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에 사용하는 점착 부여 수지나 연화제는, 종류에 따라서는 액체나 분체이며, 압출 시에 압출기를 더럽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점착 부여 수지나 연화제를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마스터 뱃치화하여 사용함으로써 개선된다. 따라서, 점착 부여 수지나 연화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마스터 뱃치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점착층)의 점착력은 23℃에 있어서, 아크릴판에 대하여 200cN/25㎜ 내지 1000cN/25㎜의 범위인 것이, 다양한 피복체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점착력이 200cN/25㎜ 미만이면 피복체에 따라서는 보호할 때에 넘겨짐 등이 발생하여,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한편, 점착력이 1000cN/25㎜ 초과이면 피복체로부터 필름을 박리할 때에 원활하게 박리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23℃에 있어서, 프리즘 시트에 대하여 2cN/25㎜ 내지 20cN/25㎜의 범위인 것이,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점착력이 2cN/25㎜ 미만이면 보호할 때에 넘겨지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여,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한편, 점착력이 20cN/25㎜ 초과이면 필름을 박리할 때에 원활하게 박리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점착력은 점착층의 수지 조성이나 두께 등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층에는,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제, 블로킹 방지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내충격 개량제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단, 이들 성분은 비교적 분자량이 낮아, 점착층 표면에 블리드 아웃하여, 점착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점착층 표면의 저분자량 물질량이 1㎎/㎡미만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표면의 저분자량 물질의 측정은, 다음 수순으로 실시하였다. 점착층 표면을 에탄올 등의 점착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침식하지 않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세정한 후, 그 세정액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증발기 등에 의해 제거한 후, 그 잔사를 칭량하여 구한 수치를 세정한 점착층 표면의 표면적으로 나누어 구하였다. 잔사가 1㎎/㎡ 이상 존재하면, 점착층 표면과 피복체 표면 사이에 이물이 존재하게 되어, 피복체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반데르발스 힘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점착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고분자형 등의 첨가제를 선택하거나, 첨가량 및 첨가 방법을 검토하거나 하여, 저분자량 물질(이물)의 점착층에 대한 이행, 전사가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형층)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기재층의 편면에 적층된 점착층과는 반대면에 이형층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점착 필름끼리 겹쳐도 점착 필름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형층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점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다가, 그 후 필름을 풀어낼 때에도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려워, 가공 적성이 우수한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점착 필름끼리 겹쳐도 점착 필름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형층에 표면 요철을 형성시켜, 점착층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형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약 5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층에, 상기와 같은 표면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비상용(非相溶)인 수지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매트상으로 표면이 거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비상용인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당연히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비상용인 수지를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비상용인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4-메틸펜텐-1계 (공)중합체 등의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그 밖에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4-메틸펜텐-1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형층의 표면을 매트상으로 거칠게 할 뿐만 아니라, 필름 표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내려감으로써, 한층 더 박리성의 향상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층의 수지 조성을 감안하면, 이형층 표면의 삼차원 평균 표면 거칠기 SRa를 0.10㎛ 이상 0.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블로킹성과 피복체의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층의 표면 거칠기가 0.10㎛보다 낮아지면, 필름을 롤 형태로 했을 때의 필름 조출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형층의 표면 거칠기가 0.50㎛보다도 높아지면, 이형층의 표면 요철이 점착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점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이형층의 표면 요철은, 표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 SRa로 0.25㎛ 이상 0.45㎛ 이하로 되는 표면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층 표면의 삼차원 평균 표면 거칠기 SRa란, 표면 거칠기 곡선을 사인 곡선으로 근사했을 때의 중심면에 있어서의 평균 거칠기를 의미하고, 표면 거칠기 측정 장치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본 발명의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의 각 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1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12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00㎛ 이하이다. 필름의 총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취급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강성이 높아져 취급성이 떨어짐과 함께, 비용면에서도 불리한 필름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기재층의 두께는 5㎛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 5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두께가 5㎛ 미만이면 탄력감이 약해져, 보호 필름으로서 피복체에 부착했을 때에 주름 등이 생기기 쉬워, 점착력을 충분히 얻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고, 100㎛ 이상이면 비용면에서 불리한 필름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점착층의 두께는 1㎛ 이상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두께가 1㎛ 미만이면 공압출에 의한 안정 제막이 곤란해지고, 30㎛ 이상이면 비용면에서 불리한 필름으로 된다. 이때, 점착력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그 점성을 고려하여, 점착층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피복체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쉬워진다. 점착층의 두께는 2㎛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4㎛ 이상 8㎛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층의 두께는 1㎛ 이상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두께가 1㎛ 미만이면 공압출에 의한 안정 제막이 곤란해지고, 30㎛ 이상이면 비용면에서 불리한 필름으로 된다. 이형층의 두께는 2㎛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의 점착 필름의 점착면 이형면에 대한 박리력은 23℃에 있어서 250cN/40㎜ 이하의 범위인 것이, 점착 필름을 롤 형태로 했을 때의 필름 조출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박리력이 250cN/40㎜를 초과하면 점착 필름을 롤 형태로 했을 때의 필름 조출에 필름이 부분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cN/40㎜ 이하이다. 또한, 점착 필름의 점착면의 이형면에 대한 박리력의 하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1cN/40㎜ 정도, 나아가 5cN/40㎜ 정도이다.
본 발명의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의 각 층으로 구성되고,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를 들어 단축, 2축의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 상태 그대로, 피드 블록형이나 멀티매니폴드형의 T다이에 송출되어, 3층(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이상으로 적층 압출됨으로써 얻어진다. 각 층의 압출기 온도는, 각 층을 용융 상태로 하기 위하여 적절히 각 층에 사용되는 성분의 성형 온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200℃ 내지 260℃의 범위로 조절할 수도 있다. T다이의 온도는, 상기 온도와 마찬가지일 수도 있다. T다이로부터 캐스팅 롤에 대한 인취 속도는, 각 층이 적합한 두께로 되는 속도이면 되는데, 예를 들어 10m/분 내지 200m/분, 바람직하게는 10m/분 내지 100m/분이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롤의 형태로 하는 것이 취급 상에서 적합하다. 필름 롤의 폭 및 권취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취급의 용이함으로부터, 일반적으로는 폭 1.5m 이하, 권취 길이는 필름 두께 40㎛의 경우에 5000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 코어로서는, 통상 3인치, 6인치, 8인치 등의 플라스틱 코어나 금속제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공의 적성 면에서 길이 200m 이상, 폭 450㎜ 이상의 치수로 권취한 필름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광학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즘 시트 등의 부재, 합성 수지판(예를 들어 건축 자재용), 스테인리스판(예를 들어, 건축 자재용), 알루미늄판, 화장 합판, 강판, 유리판, 가전 제품, 정밀 기계, 및 제조 시의 자동차 보디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물품을 적층하거나 보관하거나 수송하거나 제조 공정에서 반송할 때의 흠집 발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및 물품을 2차 가공할(예를 들어, 굽힘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 때의 흠집 발생으로부터 보호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은, 2012년 4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8918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2년 4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89184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하여 원용된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재차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점착성의 평가
JIS-Z-0237(2000) 점착 테이프·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피복체로서,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아크릴라이트(등록 상표) 3㎜ 두께) 50㎜×150㎜과, 프리즘 시트(렌즈부는 삼각 프리즘을 포함하고, 삼각 프리즘의 높이는 25㎛, 삼각 프리즘의 폭은 50㎛) 50㎜×150㎜를 준비하였다. 시험편으로서는, 필름 제조 시의 권취 방향으로 150㎜,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5㎜의 사이즈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질량 2000g의 고무 롤(롤러 표면의 스프링 경도 80Hs, 두께 6㎜의 고무층으로 피복된, 폭 45㎜, 직경(고무층을 포함한다) 95㎜의 것)을 사용하여, 피복체와 시험편을 5㎜/초의 속도로 1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압착 후, 온도 23℃, 상대 습도 65%의 환경 하에서 30분 방치한 것을 (주) 시마즈 세이사꾸쇼제 「오토그래프(등록 상표)」(AGS-J)를 사용하여, 300㎜/분의 속도로 180도 박리했을 때의 저항값을 점착력[cN/25㎜]으로 하였다. 180도 박리란, 박리 시의 저항값을 측정할 때의 아크릴판과 필름의 박리 각도를 180도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 시에는, 측정 시료의 파지 부분으로서 두께 190㎛, 사이즈 25㎜×170㎜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준비하여, 상기 시험편과 아크릴판을 압착한 측정 시료의 시험편측의 끝에, 접착 부분 15㎜의 폭으로 셀로판 테이프에 의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부착하여, 측정 시의 파지 부분으로 하였다. 측정 시료의 모식도를 도 1에 도시한다. 측정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필름으로부터 제작한 3개의 시료에 대하여 실시하고, 그의 평균값을 그 샘플의 점착력으로 하였다. 프리즘 시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2) 박리력의 평가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아크릴라이트(등록 상표) 3㎜ 두께) 50㎜×150㎜의 전체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닛토덴코(주)제)를 부착하고, 양면 접착 테이프의 다른 면에 시험편의 점착면이 오도록 150㎜(필름 제조 시의 권취 방향)×50㎜(필름 제조 시의 권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시험편을 부착하였다.
새로운 시험편으로서, 필름 제조 시의 권취 방향의 길이가 150㎜,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40㎜의 사이즈인 시험편을 잘라내고, 그 점착면과 아크릴판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해 부착한 시험편의 이형면을 중첩한 후, 질량 2000g의 고무 롤(롤러 표면의 스프링 경도 80Hs, 두께 6㎜의 고무층으로 피복된, 폭 45㎜, 직경(고무층을 포함한다) 95㎜의 것)을 사용하여, 이형면과 시험편을 5㎜/초의 속도로 1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압착 후, 권취 방향으로 100㎜,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0㎜의 합계 면적 4000㎟에 60Kg의 하중을 가하여, 온도 40℃, 상대 습도 6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23℃까지 냉각한 것을 (주) 시마즈 세이사꾸쇼제 「오토그래프(등록 상표)」(AGS-J)를 사용하여, 300㎜/분의 속도로 180도 박리했을 때의 저항값을 박리력[cN/40㎜]으로 하였다.
측정 시에는 측정 시료의 파지 부분으로서, 두께 190㎛, 사이즈 40㎜×170㎜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준비하고, 150㎜×40㎜의 시험편의 끝에, 접착 부분 15㎜의 폭으로 셀로판 테이프에 의해 부착하여, 측정 시의 파지 부분으로 하였다. 측정은 1개의 샘플에 관하여 3회 실시하고, 그의 평균값을 그 샘플의 박리력으로 하였다.
(3) 롤로부터의 조출성
550㎜ 폭, 500m 감기의 권회체를 슬릿으로 얻은 후, 온도 23℃, 습도 75%의 차광 환경 하에서, 7일간 롤 상태로 보관하였다. 보관 후의 필름 롤을, 다른 플라스틱 코어(직경 9㎝)에 300m 되감은 직후에, 필름 단부를 손으로 파지하고 인장하여, 3m 되감았다. 되감았을 때에 필름에 부분적인 신장 또는 변형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부분적인 신장 또는 변형이 없는 것을 ○(양호), 부분적인 신장 또는 변형이 있는 것을 ×(불량)로 하였다.
(4) 레진의 MFR 측정
JIS-K7210에 준거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5) 레진의 굽힘 탄성률 측정
ASTM D747-70에 준거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6)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의 측정
레진 샘플 약 330㎎을 중클로로포름에 용해하여, 13C-NMR(브루커(BRUKER)제, AVANCE500)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량을 동정하였다.
[실시예 1]
(기재층의 제작)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토모 가가꾸사제: FLX80E4, 230℃ MFR: 7.5g/10분) 100질량%를 9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40℃에서 용융 압출하여 기재층으로 하였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4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3.7g/10분, 탄성률: 26MPa) 50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5㎜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이형층의 제작)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닛본 폴리프로필렌제: BC3HF) 90질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우베 고산제: R300) 10질량%를 65㎜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30℃에서 용융 압출하여 이형층으로 하였다.
(필름의 제작)
기재층, 점착층, 이형층 각각이 각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상태 그대로, 245℃의 3층 T다이(피드 블록형, 립 폭 850㎜, 립 갭 1㎜) 내에서 적층 압출을 행하였다. 압출된 필름을 온도 30℃의 캐스팅 롤에 20m/분 속도로 인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기재층 두께가 28㎛, 점착층 두께가 6㎛, 이형층 두께가 6㎛, 필름 폭이 600㎜, 필름 길이가 1100m인 3종 3층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또한 이 필름을, 인취 장력이 40N이고, 고무 롤에 의해 필름 폭에 대하여 50N 접압을 가하면서, 50m/분의 속도로 슬릿함으로써 필름 폭이 550㎜, 필름 길이가 500m인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6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3.7g/10분, 탄성률: 26MPa) 40질량%를 45㎜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실시예 3]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4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VL100, 190℃ MFR: 0.8g/10분, 탄성률: 64MPa) 50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실시예 4]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041, 스티렌 성분비 30질량%, 에틸렌 성분비 49질량%, 230℃ MFR: 5.0g/10분) 85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0.8g/10분, 탄성률: 26MPa) 5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실시예 5]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기재층 두께를 26㎛, 점착층 두께를 8㎛, 이형층 두께를 6㎛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6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3.7g/10분, 탄성률: 26MPa) 40질량%를 45㎜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실시예 6]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기재층 두께를 30㎛, 점착층 두께를 4㎛, 이형층 두께를 6㎛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4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3.7g/10분, 탄성률: 26MPa) 55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5질량%를 45㎜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비교예 1]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7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3.7g/10분, 탄성률: 26MPa) 20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비교예 2]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7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VL100, 190℃ MFR: 0.8g/10분, 탄성률: 64MPa) 20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비교예 3]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20질량%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꾸사제: CX3007, 190℃ MFR: 3.7g/10분, 탄성률: 26MPa) 70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비교예 4]
기재층, 이형층은 실시예 1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다음의 내용으로 변경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법으로 3종 3층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점착층의 제작)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제: 타프텍(등록 상표) H1221, 스티렌 성분비 12질량%, 에틸렌 성분비 18질량%, 230℃ MFR: 4.5g/10분) 40질량%와 호모 폴리프로필렌(스미토모 가가꾸사제: FLX80E4, 190℃ MFR: 7.5g/10분) 50질량%와 석유 수지(아라까와 가가꾸제: 알콘(등록 상표) P125) 10질량%를 40㎜φ 단축 압출기에 의해 210℃에서 용융 압출하여 점착층으로 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52318036-pat00001
Figure 112019052318036-pat00002
표 2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 의해 얻어진 필름은,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실용상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필름을 롤로부터 풀어냈을 때의 박리성도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얻어진 필름은, 필름을 롤로부터 풀어냈을 때의 박리성이 반드시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및 4에 의해 얻어진 필름은, 피복체에 대한 점착력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렇게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필름은 모두 품질이 떨어져, 실용성이 낮은 것이었다.

Claims (5)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편면에 점착층을, 반대면에 이형층을 공압출에 의해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형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중합체 및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과 부타디엔계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 블록과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체이며,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며,
    상기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3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이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에틸렌 성분과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합이 점착층 성분 중 50.8질량% 이상 70질량% 미만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의 에틸렌 성분은 70질량% 이상 98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10MPa 이상 90MPa 미만인,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중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MFR(melt flow rate; 190℃, 2.16kgf)이 0.5 내지 8g/10분인,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MFR(230℃, 2.16kgf)이 0.5 내지 8g/10분인,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중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MFR(230℃, 2.16kgf)이 1.0 내지 15g/10분인,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KR1020197014658A 2012-04-10 2013-04-02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KR102089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9184 2012-04-10
JPJP-P-2012-089184 2012-04-10
PCT/JP2013/060087 WO2013153990A1 (ja) 2012-04-10 2013-04-02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456A Division KR102020085B1 (ko) 2012-04-10 2013-04-02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710A KR20190058710A (ko) 2019-05-29
KR102089231B1 true KR102089231B1 (ko) 2020-03-13

Family

ID=493275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658A KR102089231B1 (ko) 2012-04-10 2013-04-02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KR1020147025456A KR102020085B1 (ko) 2012-04-10 2013-04-02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456A KR102020085B1 (ko) 2012-04-10 2013-04-02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286856B2 (ko)
KR (2) KR102089231B1 (ko)
CN (3) CN110157350A (ko)
TW (1) TWI599633B (ko)
WO (1) WO2013153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069A1 (ja) * 2013-04-11 2014-10-16 東洋紡株式会社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5129426A1 (ja) * 2014-02-28 2015-09-0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加熱工程用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5194059A1 (ja) * 2014-06-18 2015-12-23 東洋紡株式会社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EP3197969A1 (en) * 2014-09-22 2017-08-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oil wrap with cling properties
US10150896B2 (en) * 2014-12-19 2018-12-11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film
JP6097466B2 (ja) * 2015-02-14 2017-03-15 三菱樹脂株式会社 偏光板製造工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4789143B (zh) * 2015-03-24 2017-08-29 昆山金华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光面专用聚丙烯保护膜
CN105500859A (zh) * 2015-06-26 2016-04-20 宝丽菲姆保护膜(苏州)有限公司 一种高粘自粘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07922792B (zh) 2015-08-21 2021-05-04 东丽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表面保护膜
CN106221596A (zh) * 2016-07-22 2016-12-14 辽博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光学级自粘性保护膜及其在电子光学组件的应用
CN106281085A (zh) * 2016-08-18 2017-01-04 宁波卓胜新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零配件用自粘气保护胶带及其制备方法
CN107142032B (zh) * 2017-05-03 2020-12-0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自粘保护膜
CN109605886A (zh) * 2018-11-15 2019-04-12 永新股份(黄山)包装有限公司 一种耐高温纳米级自粘性光学保护膜及其生产方法
KR20210104786A (ko) 2018-12-18 2021-08-25 트레데가르 서피스 프로텍션, 엘엘씨 민감성 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킹 필름
WO2021193312A1 (ja) * 2020-03-27 2021-09-3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287A1 (ja) * 2010-03-31 2011-10-0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3519B2 (ja) * 1991-01-31 1998-0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873822A (ja) 1994-09-01 1996-03-19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925465A (ja) * 1995-07-12 1997-01-28 Toray Ind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3560006B2 (ja) * 1995-12-08 2004-09-02 東レ合成フィルム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4566527B2 (ja) * 2003-08-08 2010-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型粘着シート
CN100345678C (zh) * 2004-05-14 2007-10-31 日东电工株式会社 剥离衬及使用它的压敏性粘接带或片
WO2006016480A1 (ja) * 2004-08-10 2006-02-16 Jsr Corporation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5537509B2 (ja) * 2004-12-07 2014-07-02 三井化学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CN101189317A (zh) * 2005-06-06 2008-05-2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表面保护膜
JP2007161882A (ja) 2005-12-14 2007-06-28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4775187B2 (ja) * 2006-08-31 2011-09-21 Jsr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部材
JP5060095B2 (ja) 2006-09-27 2012-10-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308559A (ja) 2007-06-13 2008-12-25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00310B2 (ja) * 2008-04-25 2013-09-25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46369B2 (ja) * 2008-04-30 2014-03-19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JP5519923B2 (ja) * 2008-09-24 2014-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WO2010084832A1 (ja) * 2009-01-21 2012-07-19 Dic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2292655B (zh) 2009-01-26 2014-06-1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棱镜片用表面保护膜、其制造方法以及贴合有该棱镜片用表面保护膜的棱镜片
JP2011042757A (ja) * 2009-08-24 2011-03-03 Mitsui Chemicals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122039A (ja) * 2009-12-10 2011-06-23 Japan Polypropylene Corp 表面保護用フィルム
US20130011614A1 (en) * 2010-03-31 2013-01-10 Toray Advanced Film Co., Ltd. Surface protection film
JP2012087164A (ja) * 2010-10-15 2012-05-10 Dic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5987293B2 (ja) * 2010-12-01 2016-09-07 東洋紡株式会社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6632379B2 (ja) * 2014-12-10 2020-01-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287A1 (ja) * 2010-03-31 2011-10-0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9723B2 (ja) 2019-09-04
KR102020085B1 (ko) 2019-09-09
TWI599633B (zh) 2017-09-21
KR20190058710A (ko) 2019-05-29
WO2013153990A1 (ja) 2013-10-17
JP2013234321A (ja) 2013-11-21
JP6286856B2 (ja) 2018-03-07
CN110157350A (zh) 2019-08-23
JP2018087332A (ja) 2018-06-07
CN104220548A (zh) 2014-12-17
CN110283545A (zh) 2019-09-27
TW201402760A (zh) 2014-01-16
KR20150005519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231B1 (ko)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KR102110863B1 (ko)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TWI443172B (zh) 黏著劑及黏著薄膜
KR101978535B1 (ko) 폴리올레핀계 필름
WO2013065579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TWI621683B (zh) Self-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JP650838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6515917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6196650A (ja)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