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34B1 - 폴딩 단말 - Google Patents

폴딩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34B1
KR102088934B1 KR1020187019935A KR20187019935A KR102088934B1 KR 102088934 B1 KR102088934 B1 KR 102088934B1 KR 1020187019935 A KR1020187019935 A KR 1020187019935A KR 20187019935 A KR20187019935 A KR 20187019935A KR 102088934 B1 KR102088934 B1 KR 10208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member
flexible screen
slide
scree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054A (ko
Inventor
위구이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폴딩 단말(100, 200)로서, 본체(1)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를 포함하고; 본체(1)는 제1 구조 부재(11, 211), 제2 구조 부재(12, 212)와 커플링 어셈블리(13, 213)를 포함하고; 커플링 어셈블리(13, 213)는 고정 부재(131, 2131)와 2개의 슬라이드 바(132, 2132)를 포함하며; 2개의 슬라이드 바(132, 2132)의 제1단(1321)은 각각 고정 부재(131, 2131)의 2개의 백투백인 측벽(1313)에 회전 연결되고, 2개의 슬라이드 바(132, 2132)의 제2단(1322, 21322)은 각각 상기 제1 구조 부재(11, 211)와 상기 제2 구조 부재(12, 212)에 연결되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본체(1)의 제1 측표면(1a)에 설치되고, 고정 부재(131, 2131)와 마주하는 구부림 구역을 포함한다. 폴딩 단말(100, 200)은 슬라이드 바(132, 2132)의 제2단(1322, 21322)을 슬라이드 캐비티(111a, 121a, 2111a, 2121a)의 밑부분에 점차적으로 접근시키는 것을 통하여 본체(1)의 제2 측표면(1b)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폴딩 단말(100, 200)이 펼쳐지는 것을 구현한 경우, 본체(1)의 제2 측표면(1b)은 평평하고 곧은 표면이며, 주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폴딩 단말
본 발명은 2015년 12월 29일 제출한 발명 명칭이 "폴딩 단말”이고 출원번호가 201511026509.4인 사전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술한 사전 출원의 내용은 인입의 방식으로 본 원본에 합병된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 단말에 관한 것이다.
플랙서블 스크린(flexible screen)을 전통적인 스크린과 비교할 때, 플랙서블 스크린은 우세가 분명한 바, 체적상에서 더욱 얇고 가벼울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상에서도 고유의 소자 보다 낮아, 기기의 연속 동작 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그의 벤딩 가능하고, 유연성이 좋은 특성에 기반하여, 그의 내구 정도도 이전의 스크린보다 크게 높아, 기기의 뜻밖의 손상의 확률을 낮춘다.
기존기술에서는 플랙서블 스크린을 단말에 응용하여 폴딩 가능한 폴딩 단말을 획득한다. 발명자는 기존의 폴딩 가능한 단말을 사용할 경우, 단말이 구부려질 경우의 외표면과 내표면에 반경차가 존재하고, 외표면이 구부러진 위치에서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에, 단말이 평평하게 펼쳐진 경우, 단말의 구부러진 위치에 주름이 나타나기 쉬운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폴딩 단말을 제공하며,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제1 구조 부재, 제2 구조 부재와 커플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단부에는 제1 슬라이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조 부재의 단부에는 제2 슬라이드 캐비티가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와 2개의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각각 상기 고정 부재의 2개의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2단은 각각 상기 제1 슬라이드 캐비티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캐비티에 슬라이드 연결되며;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하는 구부림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측표면 및 제2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구조 부재와 상기 제2 구조 부재가 각자를 향해 폴딩될 경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구부림 구역의 맞받임하에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과 백투백인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을 향해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1 구조 부재와 상기 제2 구조 부재가 각자에 상대하여 펼쳐질 경우, 상기 고정 부재의 2개의 백투백인 측벽은 각각 상기 제1 구조 부재와 상기 제2 구조 부재의 단부와 서로 접근하여, 상기 본체의 상기제2 측표면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하나의 폴딩 단말을 더 제공하며,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2개의 구조 부재와 2개의 상기 구조 부재 사이에 연결된 커플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와 2개의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각각 상기 고정 부재의 대향인 2개의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2단은 각각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에 슬라이드 연결되며; 및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하는 구부림 구역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상기 2개의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구조 부재는 서로 접근하여 상기 본체를 폴딩할 경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구부림 구역의 맞받임하에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드하고; 2개의 상기 구조 부재가 서로 멀어져 상기 본체를 평평하게 펼 경우, 상기 고정 부재는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와 서로 접근하여,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2개의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며, 설명된 하기의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중 일부일 뿐,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노력을 기여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들에 따라 기타의 도면들을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한 폴딩 단말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딩 단말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폴딩 단말이 펼쳐진 상태일 경우의 내부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폴딩 단말이 다른 하나의 구부려진 상태일 경우의 내부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폴딩 단말이 또 다른 하나의 구부려진 상태일 경우의 내부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한 폴딩 단말의 개략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폴딩 단말은 임의의 통신 및 저장 기능이 있는 기기이며, 예를 들어, 태블릿 PC, 휴대폰, 전자책 리더기, 리모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 컴퓨터, 차량용 장치, 네트워크 TV, 웨어러블 장치 등 네트워크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용어 "내측 회전”, "외측 회전”, "종방향”, "횡방향”, "두께”, "상”, "하”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 지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에 따라 구성 및 동작해야 한다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바,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폴딩 단말(100)은, 본체(1)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를 포함하며,
본체(1)는 제1 구조 부재(11), 제2 구조 부재(12)와 커플링 어셈블리(13)를 포함하고;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는 커플링 어셈블리(13)를 통해 함께 연결되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본체(1)의 제1 측표면, 예를 들어 본체(1)가 구부림 상태일 경우, 본체(1)의 폴딩 내측표면(1a)에 설치된다.
여기서, 커플링 어셈블리(13)는 고정 부재(131)와 2개의 슬라이드 바(132)를 포함하며;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을 고정 부재(131)의 측벽(1313)에 회전 연결하고,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을 각각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에 슬라이드 연결하는 것을 통해, 고정 부재(131)가 제1 구조 부재(11) 및 제2 구조 부재(12)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한 변위가 구비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본체(1)가 점차적으로 펼쳐지는 것에 따라,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은 각각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의 밑부분에 점차 접근하여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즉 제2 측표면)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폴딩 단말(100)의 펼쳐짐을 구현한 경우,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이 평평하고 곧은 표면으로 되어, 주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이 고정 부재(131)에 접촉하기에,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에 부재의 고른 지지가 있도록 하여,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의 누름 감도를 향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는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보드는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에 설치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메인 보드는 제1 구조 부재(11)에만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구조 부재(12)에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의 외부 구조는 대체로 같고,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내부에 설치된 전자 소자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조 부재(11)는 백투백으로 설치된 제1 내단면(111)과 제1 외단면(112), 및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마주하는 측표면 및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백투백인 다른 하나의 측표면, 예를들면, 상기 본체가 구부림 상태일 경우 백투백으로 설치된 제1 내표면(113)과 제1 외표면(114)을 포함하며, 제1 구조 부재(11)의 내부에는 제1 내단면(111)에서 제1 외단면(112)까지의 방향을 따른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가 형성되고,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의 개구는 제1 내단면(111)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구조 부재(12)는 백투백(back-to-back)으로 설치된 제2 내단면(121)과 제2 외단면(122), 및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마주하는 측표면 및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백투백인 다른 하나의 측표면, 예를 들면, 상기 본체가 구부림 상태일 경우 백투백으로 설치된 제2 내표면(123)과 제2 외표면(124)을 포함하고, 제2 구조 부재(12)의 내부에는 제2 내단면(121)에서 제2 외단면(122)까지의 방향을 따른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가 형성되고,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의 개구는 제2 내단면(121)에 위치한다.
이해할 수 있듯이,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의 수량은 커플링 어셈블리(13)의 슬라이드 바(132)의 수량과 서로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31)는 긴 직사각형이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에 고른 지지를 제공하는데 편리하고; 고정 부재(131)는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마주하는 측표면 및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백투백인 다른 하나의 측표면, 예를들면, 상기 본체가 구부림 상태일 경우 백투백으로 설치된 내측표면(1311)과 외측표면(1312), 백투백으로 설치된 2개의 측벽(1313), 백투백으로 설치된 상단면(1314)과 하단면(1315)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단면(1314)으로부터 하단면(1315)까지의 방향은 종방향으로 정의되고, 고정 부재(131)의 종방향의 길이와 제1 내단면(111)의 종방향의 길이가 같음으로써,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의 임의의 부위의 눌림이 모두 고른 지지가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슬라이드 바(132)는 대칭되게 설치되어, 커플링 어셈블리(13)의 구조를 진일보로 최적화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각각 고정 부재(131)의 종방향을 에돌며 2개의 측벽(1313)에 회전 연결되는 바, 즉 하나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고정 부재(131)의 종방향을 에돌며 2개의 측벽(1313) 중의 하나에 회전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고정 부재(131)의 종방향을 에돌며 2개의 측벽(1313) 중의 다른 하나에 회전 연결되어, 2개의 슬라이드 바(132) 사이의 개폐 각도가 180도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은 각각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에 슬라이드 연결되고, 각각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에 위치하는 바,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은 제1 구조 부재(11)에 슬라이드 연결되고,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은 제2 구조 부재(12)에 슬라이드 연결되고,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에 위치하며; 여기서, 제2단(1322)은 직사각형 블록이고, 그의 사이즈는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의 개구의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2개의 제2단(1322)이 각각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에서만 위치할 수 밖에 없고, 벗어날 수 없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2단(1322)은 구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형, 등일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2개의 슬라이드 바(132)는 측벽(1313)에 비 대칭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슬라이드 바(132)는 하나가 위에 다른 하나가 아래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1)의 제1 측표면은 적어도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마주하는 제1 구조 부재(11)의 측표면 및 제2 구조 부재(12)의 측표면을 포함하고, 본체(1)의 제2 측표면은 적어도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백투백인 제1 구조 부재(11)의 측표면 및 제2 구조 부재(12)의 측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구조 부재(11)의 제1 외표면(114), 고정 부재(131)의 외측표면(1312), 제2 구조 부재(12)의 제2 외표면(124)은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을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 사이의 협각이 0도일 경우,제1 구조 부재(11)의 제1 내표면(113)과 제2 구조 부재(12)의 제2 내표면(123)은 본체(1)의 폴딩 내측표면(1a)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본체(1)의 폴딩 내측표면(1a)에 설치되고, 여기서,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의 연결 부분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이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은 고정 부재(131)에 접촉하여, 본체(1)의 폴딩 각도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의 곡률이 점차 커지도록 하여, 구부림 구역(2a)이 고정 부재(131)의 내측표면(1311)에 맞붙을 때까지 고정 부재(131)의 내측표면(1311)에 계속해서 접근하며, 고정 부재(131)를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맞받아,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의 길이를 크게 하여, 제1 구조 부재(11)가 제2 구조 부재(12)에 맞붙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폴딩 단말(100)의 폴딩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가 평평하게 펴진 상태 또는 폴딩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고정 부재(131)에 시종 맞붙어져 있는 바, 즉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고정 부재(131)의 내측표면(1311) 사이에는 간극이 없으며, 이에 따라 본체(1)가 폴딩될 경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고정 부재(131)에게 주는 맞받는 힘이 더욱 크도록 하여, 나아가 폴딩 단말(100)의 폴딩을 보장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본체(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고정 부재(131)의 내측표면(1311) 사이에는 간극을 구비하고, 본체(1)가 점차적으로 폴딩될 경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고정 부재(131)의 내측표면(1311)은 양자가 접촉할 때까지 계속해서 접근한다.
종합하면, 당해 폴딩 단말(100)을 폴딩하고자 할 경우, 각각 내측으로 제1 구조 부재(11) 및/또는 제2 구조 부재(1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 바(132)를 이끌어 고정 부재(131)에 상대하여 회전시켜, 본체(1)의 폴딩 각도가 점차 작아지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의 곡률이 점차 커지도록 하고, 구부림 구역(2a)이 고정 부재(131)의 내측표면(1311)에 계속해서 맞붙으며 고정 부재(131)에 맞받는 외력을 점차 크게 하여, 고정 부재(131)를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맞받아,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의 길이를 크게 하여, 제1 구조 부재(11)가 제2 구조 부재(12)에 맞붙어져 있도록 하여, 폴딩 단말(100)의 폴딩을 구현하며; 당해 폴딩 단말(100)을 펼치고자 할 경우, 각각 외측으로 제1 구조 부재(11) 및/또는 제2 구조 부재(12)를 점차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 바(132)를 이끌어 고정 부재(131)에 상대하여 회전시켜, 본체(1)의 폴딩 각도가 점차 커지고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이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의 밑부분에 점차 접근하도록 하는 바, 즉 하나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이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의 밑부분에 점차 접근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이 제2 슬라이드 캐비티(121a)의 밑부분에 점차 접근하도록 하여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한다. 폴딩 단말(100)의 펼쳐짐을 구현한 경우,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은 평평하고 곧은 표면이고, 주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욱 진일보적인 개선을 위하여, 커플링 어셈블리(13)는 두 그룹의 슬라이드 바(132)를 구비하고, 한 쌍의 슬라이드 바(132)는 하나의 그룹이고, 두 그룹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고정 부재(131)의 종방향을 따라 고정 부재(131)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커플링 어셈블리(13)를 두 그룹의 슬라이드 바(132)로 설치하는 것을 통해, 본체(1)가 폴딩될 경우의 안정성을 더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는 각각 고정 부재(131)와 2개의 연결 부위를 구비하며,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는 각각 2개의 슬라이드 바(132)를 통해 측벽(1313)에 회전 연결되고; 여기서, 하나의 제1 구조 부재(11)는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에 슬라이드 연결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도록, 제1 구조 부재(11)에 2개의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가 형성되어 있어, 제1 구조 부재(11)와 연결된 2개의 슬라이드 바(132)의 제2단(1322)이 각각 2개의 제1 슬라이드 캐비티(111a)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 구조 부재(12)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커플링 어셈블리(13)를 두 그룹의 슬라이드 바(132)로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가 각각 고정 부재(131)와의 연결 강도를 향상함으로써, 본체(1)가 폴딩될 경우의 안정성을 더 보장한다.
더욱 진일보적인 개선을 위하여, 측벽(1313)에는 홈(1313a)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회전축을 통해 홈(1313a)에 회전 연결된다.
회전축을 통해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을 홈(1313a)에 회전 연결하는 것을 통해, 커플링 어셈블리(13)의 구조를 더 최적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31)에는 2개의 제1 회전 구멍(1314a)이 형성되고, 제1 회전 구멍(1314a)의 2개의 개구는 각각 상단면(1314)과 하단면(1315)에 위치하는 바, 다시 말하자면, 제1 회전 구멍(1314a)의 2개의 개구 중의 하나는 상단면(1314)에 위치하고, 제1 회전 구멍(1314a)의 2개의 개구 중의 다른 하나는 하단면(1315)에 위치하며, 측벽(1313)은 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대칭되는 두 그룹의 홈(1313a)을 형성하고, 하나의 그룹의 홈(1313a)은 2개이며, 2개의 홈(1313a)은 각각 고정 부재(131)의 두 측벽(1313)에 위치하는 바, 다시 말하자면, 2개의 홈(1313a) 중의 하나는 고정 부재(131)의 두 측벽(1313)의 중의 하나에 위치하고, 2개의 홈(1313a) 중의 다른 하나는 고정 부재(131)의 두 측벽(1313)의 중의 다른 하나에 위치하고;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홈(1313a)에서 더욱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반원인 이음매이며;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에는 제2 회전 구멍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이 홈(1313a)에 위치하고, 제2 회전 구멍은 제1 회전 구멍(1314a)에 맞춰지며, 이어서 회전축이 제1 회전 구멍(1314a)과 제2회전 구멍을 통과하도록 하여, 제1단(1321)이 고정 부재(131)에 회전 연결되는 것을 구현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바(132)는 하기의 방식을 통해 고정 부재(131)에 회전 연결될 수 있다. 즉 측벽(1313)에는 구형 그루브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볼 이음매(ball joint)이고, 슬라이드 바(132)의 제1단(1321)은 움직일 수 있는 볼(ball) 방식으로 구형 그루브에 연결된다.
더욱 진일보적인 개선을 위하여,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의 단부에는 각각 제1 배플(baffle, 111b)과 제2 배플(121b)을 돌출되게 설치하는 바, 다시 말하자면, 제1 구조 부재(11)의 단부에는 제1 배플(baffle, 111b)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제2 구조 부재(12)의 단부에는 제2 배플(121b)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제1 배플(111b)의 외표면은 제1 구조 부재(11)의 제1 외표면(114)과 가지런하고, 제2 배플(121b)의 외표면은 제2 구조 부재(12)의 제2 외표면(124)과 가지런하며; 커플링 어셈블리(13)는 제1 배플(111b)과 제2 배플(121b)에 의해 가려지도록 구성된다.
제1 구조 부재(11)의 단부에 제1 배플(baffle, 111b)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제2 구조 부재(12)의 단부에 제2 배플(121b)을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의 평탄도를 더 향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플(111b)과 제2 배플(121b)이 고정 부재(131)의 횡방향을 따른 길이의 합은 고정 부재(131)의 외측표면(1312)이 자신의 횡방향을 따른 길이와 같으며, 제1 구조 부재(11)와 제2 구조 부재(12) 사이의 협각이 180도일 경우, 본체(1)의 제2 측표면(1b)은 가지런하고, 고정 부재(131)는 제1 배플(111b), 제2 배플(121b)과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구부림 구역(2a)이 형성한 밀폐 캐비티에 위치하여, 본체(1)의 제2 측표면(1b)의 평탄도를 향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단면(111)에 제1 배플(111b)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제1 내단면(111)과 계단형상을 형성하게 한다. 제2 내단면(121)에 제2 배플(121b)을 돌출되게 설치하며, 제2 내단면(121)과 계단형상을 형성하게 한다. 제1 배플(111b)의 제1 내단면(111)에서 제1 외단면(112)까지의 방향을 제1 배플(111b)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며, 제2 배플(121b)은 유사하다. 고정 부재(131)의 하나의 측벽(1313)에서 다른 하나의 측벽(1313)까지의 방향을 고정 부재(131)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여기서, 고정 부재(131)의 폭은 제1 배플(111b)과 제2 배플(121b)의 폭의 합이며, 본체(1)가 180도로 펼쳐진 경우, 본체(1)의 폴딩 외측표면(1b)은 틈새가 없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배플(111b)과 제2 배플(121b)이 고정 부재(131)의 횡방향을 따른 길이의 합은 고정 부재(131)의 외측표면(1312)이 자신의 횡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하나의 폴딩 단말(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첫 번째 폴딩 단말(100)과 대체로 같고, 그의 다른 점은, 제1 슬라이드 캐비티(2111a)는 제1 슬라이드 캐비티(2111a)의 개구와 마주한 제1 밑벽을 구비하고, 제2 슬라이드 캐비티(2121a)는 제2 슬라이드 캐비티(2121a)의 개구와 마주한 제2 밑벽을 구비하며, 커플링 어셈블리(213)는 2개의 탄성 부재(214)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탄성 부재(214)는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과 제1 밑벽 사이에 탄성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 부재(214)는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과 제2 밑벽 사이에 탄성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더욱 좋은 변형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부재(214)는 스프링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과 제1 밑벽 사이에 탄성 부재(214)를 탄성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과 제2 밑벽 사이에 탄성 부재(214)를 탄성 연결하는 것을 통해,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도 외력을 제공하여 고정 부재(2131)를 맞받아, 폴딩 단말(200)의 개폐 신뢰성을 향상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14)는 실리카겔일 수도 있다.
폴딩 단말(200)을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 사이의 협각이 0도가 될 때까지 폴딩하고자 할 경우, 내측으로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를 각각 점차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 바(2132)를 이끌어 고정 부재(2131)를 상대하여 회전시켜, 본체의 폴딩 각도가 점차 작아지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의 곡률이 점차 커지도록 하고, 구부림 구역이 고정 부재(2131)의 내측표면에 계속해서 맞붙으며, 고정 부재(2131)를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맞받아, 본체의 폴딩 외측표면의 길이를 크게 하여, 제1 구조 부재(211)가 제2 구조 부재(212)에 맞붙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폴딩 단말(200)의 폴딩을 구현한다.
폴딩 단말(200)을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 사이의 협각이 180도가 될 때까지 평평하게 펼치고자 할 경우, 외측으로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를 각각 점차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 바(2132)를 이끌어 고정 부재(2131)를 상대하여 회전시켜, 본체의 폴딩 각도가 점차 커지고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이 제1 슬라이드 캐비티(2111a)와 제2 슬라이드 캐비티(2121a)의 밑부분에 점차 접근하여 본체의 폴딩 외측표면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한다. 폴딩 단말(200)의 펼치짐을 구현한 경우, 본체의 폴딩 외측표면은 평평하고 곧은 표면이며, 주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폴딩 단말(200)은 슬라이드 바(2132)의 제1단(1321)을 고정 부재(2131)의 측벽에 회전 연결하고, 2개의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을 각각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에 슬라이드 연결하는 것을 통해, 고정 부재(2131)가 제1 구조 부재(211)와 제2 구조 부재(212)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한 변위가 구비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본체가 점차적으로 펼쳐지는 것에 따라, 슬라이드 바(2132)의 제2단(21322)은 슬라이드 캐비티(2111a 또는 2121a)의 밑부분에 점차 접근하여 본체의 폴딩 외측표면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폴딩 단말(200)의 펼쳐짐을 구현한 경우, 본체의 폴딩 외측표면은 평평하고 곧은 표면이고, 주름이 존재하지 않으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이 고정 부재(2131)에 접촉하기에,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에 부재의 고른 지지가 있도록 하여,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의 누름 감도를 향상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형태인 바, 반드시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은 전제하에서, 약간의 개선과 윤색을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선과 윤색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 간주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20)

  1. 폴딩 단말에 있어서,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 구조 부재, 제2 구조 부재와 커플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단면에는 제1 슬라이드 캐비티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구조 부재의 단면에는 제2 슬라이드 캐비티가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와 2개의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각각 상기 고정 부재의 2개의 백투백인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2단은 각각 상기 제1 슬라이드 캐비티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캐비티에 슬라이드 연결되며;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한 구부림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측표면 및 제2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폴딩될 경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구부림 구역에 당접되어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과 백투백인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을 향해 슬라이드하고;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측표면 및 제2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펼쳐질 경우, 상기 고정 부재의 2개의 백투백인 측벽은 각각 상기 제1 구조 부재와 상기 제2 구조 부재의 단부와 서로 접근하여,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캐비티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캐비티의 개구와 마주한 제1 밑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캐비티는 상기 제2 슬라이드 캐비티의 개구와 마주한 제2 밑벽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2개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탄성 부재 중의 하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드 바 중의 하나의 제2단과 상기 제1 밑벽 사이에 탄성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탄성 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2개의 슬라이드 바 중의 다른 하나의 제2단과 상기 제2 밑벽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펼쳐질 경우,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마주한 측표면은 상기 구부림 구역에 접촉하여 상기 구부림 구역을 지지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가능한 단말.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림 구역은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마주한 측표면에 맞붙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백투백으로 설치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회전축을 통해 상기 홈에 회전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백투백으로 설치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는 구형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볼 이음매이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상기 구형 그루브에 움직일 수 있는 볼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단부에는 제1 배플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구조 부재의 단부에는 제2 배플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제1 배플의 표면은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제1 구조 부재의 측표면과 가지런하며,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제2 배플의 표면은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제2 구조 부재의 제2 외표면과 가지런하고;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배플과 상기 제2 배플에 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플과 상기 제2 배플이 상기 고정 부재의 횡방향을 따른 길이의 합은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고정 부재의 다른 하나의 측표면이 자신의 횡방향을 따른 길이와 같고, 상기 제1 구조 부재와 상기 제2 구조 부재 사이의 협각이 180도일 경우,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은 가지런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배플, 상기 제2 배플 및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이 형성한 밀폐 캐비티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보드는 제1 구조 부재 및 제2 구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13. 폴딩 단말에 있어서,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2개의 구조 부재와 2개의 상기 구조 부재 사이에 연결된 커플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와 2개의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1단은 각각 상기 고정 부재의 대향인 2개의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2단은 각각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에 슬라이드 연결되며; 및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부림 구역은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하는 구부림 구역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상기 2개의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구조 부재는 서로 접근하여 상기 본체를 폴딩할 경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구부림 구역에 당접되어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드하고; 2개의 상기 구조 부재가 서로 멀어져 상기 본체를 평평하게 펴서, 상기 본체의 제1 측표면과 백투백인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제2 측표면은 적어도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2개의 구조 부재의 측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백투백으로 설치된 상단면과 하단면을 포함하고, 상단면으로부터 하단면까지의 방향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는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의 길이와 같으며,
    2개의 상기 구조 부재는 모두 서로를 향하는 내단면과 서로 멀어지는 외단면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구조 부재 내에는 모두 상기 내단면에서 상기 외단면까지의 방향을 따라 연신된 슬라이드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의 제2단은 상기 슬라이드 캐비티에 슬라이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여러 쌍의 대칭되게 설치된 상기 슬라이드 바를 구비하고, 여러 쌍의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상단면에서 상기 하단면까지의 방향에서 상기 고정 부재에 이격되어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18. 삭제
  19. 제13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의 내단면에는 각각 하나의 배플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배플의 표면은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백투백인 상기 구조 부재의 표면과 가지런하고, 상기 본체가 평평하게 펼쳐진 경우, 2개의 상기 배플은 서로 접촉 연결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2개의 상기 배플과 상기 구부림 구역에 의해 가려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단말.
  20. 삭제
KR1020187019935A 2015-12-29 2016-12-29 폴딩 단말 KR102088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1026509.4 2015-12-29
CN201511026509.4A CN105549689B (zh) 2015-12-29 2015-12-29 一种折叠终端
PCT/CN2016/113039 WO2017114465A1 (zh) 2015-12-29 2016-12-29 一种折叠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054A KR20180094054A (ko) 2018-08-22
KR102088934B1 true KR102088934B1 (ko) 2020-03-16

Family

ID=5582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35A KR102088934B1 (ko) 2015-12-29 2016-12-29 폴딩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05563B2 (ko)
EP (1) EP3386172B1 (ko)
JP (1) JP6713050B2 (ko)
KR (1) KR102088934B1 (ko)
CN (2) CN107831830B (ko)
WO (1) WO2017114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1830B (zh) 2015-12-29 2020-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CN206584255U (zh) * 2016-11-17 2017-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076171B (zh) * 2016-11-17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组件及移动终端
CN106782091B (zh) * 2016-12-19 2019-06-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设备和便携式终端
CN106559531B (zh) * 2017-01-26 2023-06-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6790829B (zh) * 2017-01-26 2023-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10268245B2 (en) 2017-01-26 2019-04-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10754377B2 (en) 2017-04-05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206918043U (zh) * 2017-04-19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组件及可折叠终端
USD908653S1 (en) * 2017-09-28 2021-01-2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LED display module for a gaming display
WO2019070293A1 (en) * 2017-10-06 2019-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D ASSEMBLIES
CN110741426A (zh) * 2017-11-28 2020-01-3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装置
CN109936648B (zh) * 2017-12-18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动机构及折叠终端
CN110022386B (zh) 2018-01-09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终端设备
CN108572695B (zh) * 2018-01-25 2021-06-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连接件、连接机构、显示器及终端
US10564681B2 (en) * 2018-03-09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208919053U (zh) * 2018-03-12 2019-05-3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弯折组件与柔性显示装置
CN208581409U (zh) * 2018-03-29 2019-03-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连接装置和电子设备
CN110491285B (zh) * 2018-05-14 2021-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屏幕和电子装置
CN109270987B (zh) 2018-08-29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转轴及具有该转轴的电子设备
CN111327731A (zh) * 2018-12-14 2020-06-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终端
KR102624839B1 (ko) * 2018-12-28 2024-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671357B (zh) * 2019-01-08 2020-12-1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装置
JP6758439B2 (ja) * 2019-01-24 2020-09-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1023009B2 (en) * 2019-02-12 2021-06-01 Samsung Display Co., Ltd. F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758442B2 (ja) * 2019-02-26 2020-09-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1337321B2 (en) 2019-02-28 2022-05-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US10761572B1 (en) 2019-03-25 2020-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109922181B (zh) * 2019-04-28 2021-07-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的支撑结构及可折叠显示装置
CN111866235A (zh) * 2019-04-30 2020-10-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0083209A (zh) * 2019-05-08 2019-08-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屏
CN111930177B (zh) * 2019-05-13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KR102172946B1 (ko) * 2019-06-14 2020-11-0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폴딩 장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모듈 및 이동 단말기
CN110286719B (zh) * 2019-06-28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3366927A (zh) * 2019-07-15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0442196A (zh) * 2019-07-30 2019-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动机构、折叠显示终端
USD947147S1 (en) * 2019-10-11 2022-03-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isplay unit
USD942960S1 (en) * 2019-10-11 2022-02-0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isplay unit
USD947148S1 (en) * 2019-10-11 2022-03-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screen
USD947149S1 (en) * 2019-10-11 2022-03-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screen
US11960329B2 (en) 2019-11-17 2024-04-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s with retractable hinges
KR20210072857A (ko) * 2019-12-09 2021-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105712A (zh) * 2019-12-19 2020-05-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014696B (zh) * 2019-12-20 2023-08-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折叠终端结构
CN113141424B (zh) * 2020-01-19 2022-10-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折叠支撑结构、显示装置和终端
CN111343310B (zh) * 2020-03-06 2021-04-20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13550975A (zh) * 2020-04-23 2021-10-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组件、柔性屏模组和电子设备
CN111968519B (zh) * 2020-08-31 2022-06-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150921B (zh) * 2020-09-16 2022-0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2102729B (zh) * 2020-09-30 2022-05-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20099182A (ko) * 2021-01-05 2022-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056133A (zh) * 2021-03-11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836221B2 (en) * 2021-03-12 2023-12-0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fined object estimation from image data
CN114550584A (zh) * 2022-01-25 2022-05-27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JP7311662B1 (ja) 2022-03-11 2023-07-1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N114576525B (zh) * 2022-03-31 2023-07-21 联想(北京)有限公司 转动连接结构及电子设备
USD1027888S1 (en) * 2022-04-18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377A (ja) 2007-09-14 2009-04-23 Kyocera Corp 電子機器
KR101505457B1 (ko) 2014-04-18 2015-03-25 (주) 프렉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US9173288B1 (en) 2014-09-01 2015-10-27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76213A (zh) 2002-08-12 2004-02-18 浙江华立通信技术有限公司 折叠式手机机壳
KR101148397B1 (ko) * 2010-08-17 2012-05-2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CN103167068B (zh) * 2012-03-26 2016-12-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
KR101958802B1 (ko) * 2012-07-26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8971031B2 (en) *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US8804349B2 (en) *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034585B1 (ko) * 2013-07-09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5855B1 (ko) *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50099677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CN204069046U (zh) * 2014-06-03 2014-12-31 冯振华 双软屏折叠式手机
TWI493517B (zh) * 2014-06-18 2015-07-21 Au Optronics Corp 摺疊式顯示裝置
KR102201928B1 (ko) * 2014-06-24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장치 및 그의 접이 장치
CN107148602B (zh) * 2014-11-18 2020-02-04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4506688B (zh) * 2015-01-19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移动终端
CN107831830B (zh) * 2015-12-29 2020-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CN105491193B (zh) * 2015-12-29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的可折叠终端
CN105549690B (zh) * 2015-12-29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式移动终端
US9848502B1 (en) * 2017-03-24 2017-12-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377A (ja) 2007-09-14 2009-04-23 Kyocera Corp 電子機器
KR101505457B1 (ko) 2014-04-18 2015-03-25 (주) 프렉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US9173288B1 (en) 2014-09-01 2015-10-27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85274A1 (en) 2020-09-10
WO2017114465A1 (zh) 2017-07-06
EP3386172B1 (en) 2021-09-01
EP3386172A4 (en) 2018-12-12
CN105549689B (zh) 2018-01-19
US20180284839A1 (en) 2018-10-04
EP3386172A1 (en) 2018-10-10
CN107831830B (zh) 2020-05-05
JP6713050B2 (ja) 2020-06-24
JP2019507523A (ja) 2019-03-14
CN105549689A (zh) 2016-05-04
CN107831830A (zh) 2018-03-23
KR20180094054A (ko) 2018-08-22
US10705563B2 (en) 2020-07-07
US11199874B2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934B1 (ko) 폴딩 단말
KR102063283B1 (ko) 모바일 단말의 폴더블 메커니즘 및 모바일 단말
US20210311525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US20170142240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RU2683290C2 (ru) Скла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826626B2 (en) Display device
TWM563489U (zh) 連動定位機構及可撓式電子裝置
CN105549690A (zh) 一种折叠式移动终端
CN108766251B (zh) 一种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TWI548967B (zh) 電子組件
CN109058284B (zh) 一种转动组合体、铰链和电子设备
US20220150339A1 (en) In-folding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on
US11973890B2 (en) Hinge element, hinge, and mobile terminal
US20220263931A1 (en) Folding terminal structure
EP1764672A1 (en) Dual-Axis Hinge
TWI598021B (zh) 電子裝置及其樞軸組件
US8150456B2 (en) Mobile phone with camera
US9464470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4217444A (zh) 多段式柔性转轴组件和电子设备
JP6541204B2 (ja) 折り畳み型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の配置方法
KR20140033901A (ko) 양방향 힌지 결합체
WO2018235694A1 (ja) 折り畳み型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の配置方法
KR200352046Y1 (ko) 힌지장치
JP6054903B2 (ja) 電子機器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機器
KR2023007347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