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92B1 -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92B1
KR102086492B1 KR1020180157196A KR20180157196A KR102086492B1 KR 102086492 B1 KR102086492 B1 KR 102086492B1 KR 1020180157196 A KR1020180157196 A KR 1020180157196A KR 20180157196 A KR20180157196 A KR 20180157196A KR 102086492 B1 KR102086492 B1 KR 10208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ailway vehicle
unit
ice making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윤
문영배
강정훈
윤차중
이준구
허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to KR102018015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철도차량의 통과시 연속적인 제빙단계를 거쳐 철도차량 하부에 부착된 설빙을 제거함과 동시에 동절기 설빙으로 인한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피해를 효율적으로 예방함을 제공하도록, 주행레일 중 제빙영역에 진입한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화학적 제빙을 위한 고압의 제빙액을 분사하는 유체분사장치와; 철도차량의 주행레일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철도차량의 주행시 차륜이 접촉될 수 있게 형성하여 물리적 제빙을 위한 진동 및 충격을 가하는 진동롤링장치와; 상기 유체분사장치 및 상기 진동롤링장치를 거쳐 이동한 철도차량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여 비경질 설빙을 제거하는 열풍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Passing Type Continuously Deicing System for Railway}
본 발명은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철도차량의 통과시 연속적인 제빙단계를 거쳐 철도차량 하부에 부착된 설빙을 제거함과 동시에 동절기 설빙으로 인한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피해를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나 지하철 등의 철도차량은 구조상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많은 사람이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교통수단으로 열차와 승객의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최근 고속열차의 개통과 기존선의 고속화 및 고밀화로 인하여 철도차량의 안전성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 관리 등의 작업에 대한 기술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철도차량의 안전 및 유지보수, 관리와 관련된 작업 중 겨울철에는 철도차량의 하부 표면에 부착상태로 생성되는 설빙으로 인하여 철도차량 및 시설물 즉 고속차량 유리창, 주행장치 구성품, 궤도 구성품, 신호보안장치 등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빙을 제거하는 제빙작업이 요구된다.
한편, 제빙작업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제빙기술로는 형상설계기술, 재료특성기술, 전열기술, 화학처리기술 등이 있다. 여기서, 형상설계기술은 철도차량의 구조체 형상을 변경하여 착설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기술이며, 재료특성기술은 초발수표면 및 방빙페이트 등 착설 방지를 위한 다양한 물질을 구조체에 도포하는 형태의 기술이고, 전열기술은 구조체에 배치된 전선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전기 충격이나 지속적인 전열을 공급하는 기술이며, 화학처리기술은 구조체에 형성된 설빙을 녹이기 위한 화학물을 구조체에 직접적으로 분사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형상설계기술은 철도차량의 기존 사용중인 구조체에 적용하기 어려우면서 본래의 용도에 맞는 특성과 함께 착설 방지를 위한 설계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재료특성기술의 경우 발수 및 방빙을 위한 재료의 지속효과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전열기술은 지속적인 전기 및 전열 공급으로 전력소모가 매우 크고, 마지막으로 화학처리기술의 경우에는 물질의 독성에 따른 인체 유해성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던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WO 2012/051717 (발명명칭: Mechanical Vibration De-icing System and Method)에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제빙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대상체의 표면에 이격되어 있는 보호층에 부착된 압전소자가 전기를 공급받아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이 보호층을 변형시킴으로써 제빙효과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압전소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대상체와 이격된 보호층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보호층의 큰 진동량 확보를 위해 유연한 재료를 사용해야만 하며, 설빙까지의 에너지 전달거리가 길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설빙 제거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제빙기술은 철도차량의 운행을 정지한 정차상태에서 제빙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설빙을 제거하기 위한 제빙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차량회전율이 취약하며 차량운행지연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PCT 공개특허WO 2012/0517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제빙작업 형태를 통과식으로 적용하면서 철도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한 3단계 순차적 제빙방식으로 구성하므로, 제빙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철도차량의 정차시간을 제거하고, 설빙제거를 위한 제빙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은 주행레일 중 제빙영역에 진입한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화학적 제빙을 위한 고압의 제빙액을 분사하는 유체분사장치와; 철도차량의 주행레일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철도차량의 주행시 차륜이 접촉될 수 있게 형성하여 물리적 제빙을 위한 진동 및 충격을 가하는 진동롤링장치와; 상기 유체분사장치 및 상기 진동롤링장치를 거쳐 이동한 철도차량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여 비경질 설빙을 제거하는 열풍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분사장치는, 내부에 제빙액을 저류 상태로 수용하여 공급가능하게 형성하는 유체공급유닛과,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유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제빙액을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유닛과, 상기 분사노즐유닛을 통해 분출된 제빙액을 회수하여 보관하는 유체회수유닛을 구성한다.
상기 유체분사장치의 제빙액은 친환경 화학성분을 갖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상기 진동롤링장치는, 주행레일의 연장 직선경로에 대응하여 제빙구간을 형성하는 제빙레일과, 상기 제빙레일의 상면에 등반 및 낙하 경로를 갖게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돌기를 구성한다.
상기 열풍분사장치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풍속 30~40m/s의 풍력을 생성시키는 블로워유닛과, 상기 블로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50~70℃의 열풍을 생성시키는 가열유닛과,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가열유닛을 거친 열풍을 분출하는 노즐댐퍼유닛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빙영역의 진입부에 설치하고 주행레일을 따라 제빙영역 내 진입한 철도차량 측면 및 하부의 착설 및 착빙 상태를 감지하는 착설검지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착설검지장치는, 주행레일을 따라 진입중인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 전면을 구분 촬영하는 영상비젼유닛과, 상기 영상비젼유닛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착설 여부를 자동 감지하고 착설 상태를 파악하는 연산처리유닛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에 의하면 철도차량이 제빙영역을 통과함과 동시에 제빙액 분사 및 물리적 진동, 열풍분사에 의한 연속 제빙작업을 일괄적으로 구현하므로, 제빙에 소요되는 정차시간을 제거하면서 차량지연현상을 방지하고, 제빙효율을 극대화하여 동절기 철도차량의 운행에 따른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피해를 예방하면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은 화학적 제빙을 위한 제빙액에 친환경 화학성분을 사용하므로, 친환경적 제빙작업에 의해 침출수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은 철도차량의 착설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므로, 착설 면적 및 분포 연산에 따른 지능형 제빙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작업의 고효율화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유체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진동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열풍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착설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주행레일 중 제빙영역에 진입한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화학적 제빙을 위한 고압의 제빙액을 분사하는 유체분사장치와; 철도차량의 주행레일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철도차량의 주행시 차륜이 접촉될 수 있게 형성하여 물리적 제빙을 위한 진동 및 충격을 가하는 진동롤링장치와; 상기 유체분사장치 및 상기 진동롤링장치를 거쳐 이동한 철도차량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여 비경질 설빙을 제거하는 열풍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분사장치(100)와, 진동롤링장치(200)와, 열풍분사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분사장치(100)는 화학적 제빙을 위한 제빙액을 분사하여 경질 설빙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체분사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레일(R) 중 제빙영역에 진입한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고압의 제빙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유체공급유닛(110) 및 분사노즐유닛(120), 유체회수유닛(130)을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빙영역 내 진입한 철도차량은 주행상태를 유지하며 통과하는 통과식 구조를 이루되, 상기 유체분사장치(100)를 비롯한 상기 진동롤링장치(200) 및 상기 열풍분사장치(300)로부터 충분한 제빙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2~5Km/hr의 시속으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공급유닛(110)은 내부에 일정량의 제빙액을 저류 상태로 수용하며,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을 향해 제빙액이 공급될 수 있게 제빙액의 공급경로를 갖는 유체공급관(115)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은 상기 유체공급유닛(110)의 유체공급관(115)이 연결되어 상기 유체공급유닛(110)으로부터 공급된 제빙액을 분출시킨다. 즉,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은 철도차량의 착설부위를 향해 일정압의 제빙액을 착설면적에 고르게 분사하므로,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에 따른 분사압과 함께 제빙액의 화학적 작용으로 제빙처리한다.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은 철도차량의 대차부 중 측면 및 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를 구비토록 설치한다.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은 철도차량의 측면에 대응하여 제빙액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하는 측면분사노즐(121)과, 철도차량의 하부에 대응하여 제빙액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하는 하부분사노즐(123)을 구분 배치된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측면분사노즐(121)은 철도차량의 측면을 향한 직선방향으로 제빙액이 분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하부분사노즐(123)은 주행레일(R)을 따라 진입하는 철도차량을 향해 상향 경사방향으로 제빙액을 분출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철도차량의 앞쪽 전면 하부를 포함한 철도차량의 전체적인 하부를 제빙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체분사장치(100)의 제빙액은 친환경 화학성분을 갖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은 무색 투명한 차진 흡습성 액체로서 부식성과 독성이 없기 때문에 식품 동결용으로도 사용되며, 경구용 의약품을 포함 주사 용액에도 사용되고, FDA가 승인한 식품 첨가제로 안전한 물질로 분류되고 있는 친환경적 화학성분을 한 기초물질이다. 특히, 프로필렌글리콜은 어는점을 영하로 낮출 수 있어 얼음 상태의 눈을 빠르게 녹이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유체회수유닛(130)은 상기 분사노즐유닛(120)을 통해 분출된 제빙액을 회수하여 보관한다.
상기 유체회수유닛(130)에서는 회수된 제빙액을 다시 상기 유체공급유닛(110)에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 유체분사장치(100)의 자체적인 제빙액 순환기능을 도모하므로 제빙액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체분사장치(100)는 도 1에서처럼 철도차량의 진입하는 제빙영역의 초입에 설치하므로, 유체분사장치(100), 진동롤링장치(200), 열풍분사장치(300)에 의한 제빙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순차적 배치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체분사장치(100)는 상기 진동롤링장치(200)가 장착된 영역에 함께 설치하므로, 유체분사장치(100)와 진동롤링장치(200)에 의한 제빙작업이 중첩되게 이뤄진 후 열풍분사장치(300)에 의한 제빙작업이 이뤄질 수 있는 중첩 배치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진동롤링장치(200)는 철도차량의 주행과정에서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도록 물리적 제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진동롤링장치(200)는 철도차량의 주행레일(R)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철도차량의 주행시 차륜이 접촉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진동롤링장치(20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레일(R)의 연장 직선경로에 대응하여 물리적 제빙을 위한 제빙구간을 형성하는 제빙레일(210)과, 상기 제빙레일(210)의 상면에 등반 및 낙하 경로를 갖게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돌기(220)를 구성한다.
상기 엠보싱돌기(220)는 상기 제빙레일(210) 상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구성하므로, 철도차량의 반복적인 드롭작용에 이은 접촉 충격으로 제빙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엠보싱돌기(220)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원활하게 등반될 수 있게 예각(20~30°)을 갖는 경사면(221)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221)의 최상단은 굴곡진 만곡면(223)을 형성하여 효율적인 진동작용과 함께 차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열풍분사장치(300)는 철도차량에 대한 최종적인 건조기능과 함께 비경질 설빙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분사장치(30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체분사장치(100) 및 상기 진동롤링장치(200)를 거쳐 이동한 철도차량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구성으로서, 블로워유닛(310) 및 가열유닛(320), 노즐댐퍼유닛(330)을 구성한다.
상기 블로워유닛(310)에서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블로워유닛(310)은 공기를 압축 저장하는 에어압축기(311)와 함께 압축공기로부터 풍량을 생성시키기 위한 블로워(313)를 구성하고, 상기 블로워(313)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노즐댐퍼유닛(330)을 향해 공급하기 위한 경로인 에어공급관(315)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블로워(313)는 250㎥/min×450mmAq×37kW의 사양을 적용하여 구성하고, 풍속 30~40m/s의 풍력을 생성시킨다.
상기 가열유닛(320)은 상기 블로워유닛(3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시킨다.
상기 가열유닛(320)에서는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노즐댐퍼유닛(330)을 향해 50~70℃의 열풍을 공급한다.
상기 노즐댐퍼유닛(330)은 상기 가열유닛(320)을 거친 열풍을 철도차량을 향해 분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즉, 상기 노즐댐퍼유닛(330)은 철도차량의 측면에 대응하여 열풍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하는 측면노즐댐퍼(331)와, 철도차량의 하부에 대응하여 열풍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하는 하부노즐댐퍼(333)를 구분 배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측면노즐댐퍼(331)는 열풍이 분출되는 전방 끝단인 노즐단부(N1)가 상하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철도차량의 높이에 대응된 면적으로 열풍 분출을 도모하게 구성하고, 상기 하부노즐댐퍼(333)는 열풍이 분출되는 전방 끝단인 노즐단부(N2)가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철도차량의 폭에 대응된 충분한 면적으로 열풍 분출을 도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노즐댐퍼유닛(330)의 개폐율은 10%를 이루게 설정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블로워유닛(310)의 유량이 1,900㎥/min인 경우 상기 노즐댐퍼유닛(330)의 개폐율은 10%로 각 노즐댐퍼유닛(330) 당 유량 대략 90㎥/min을 이룬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체분사장치(100) 및 상기 열풍분사장치(300)에는 각각 제빙액 및 열풍의 분사유량을 조절 설정할 수 있게 개도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개도제어밸브는 전자신호로부터 개폐 여부는 물론 개도를 설정 자동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에 의하면, 철도차량이 제빙영역을 통과함과 동시에 제빙액 분사 및 물리적 진동, 열풍분사에 의한 연속 제빙작업을 일괄적으로 구현하므로, 제빙에 소요되는 정차시간을 제거하면서 차량지연현상을 방지하고, 제빙효율을 극대화하여 동절기 철도차량의 운행에 따른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피해를 예방하면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화학적 제빙을 위한 제빙액에 친환경 화학성분을 사용하므로, 친환경적 제빙작업에 의해 침출수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빙영역의 진입부에 설치하고 주행레일(R)을 따라 제빙영역 내 진입한 철도차량 측면 및 하부의 착설 및 착빙 상태를 감지하는 착설검지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설검지장치(400)에서는 철도차량의 착설 상태를 자동 감지하고 착설 면적을 분석하여 착설 정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착설검지장치(40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레일을 따라 진입중인 철도차량을 촬영하는 영상비젼유닛(410)과, 상기 영상비젼유닛(41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착설 여부를 자동 감지하고 착설 상태를 파악하는 연산처리유닛(420)을 구성한다.
상기 영상비젼유닛(410)은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 전면을 구분하여 촬영한다. 즉, 상기 영상비젼유닛(410)은 진입 철도차량의 측면 영상을 취득하도록 촬영하는 측면비젼카메라(411)와, 상기 철도차량의 진입과정에서의 전면 및 하부 영상을 취득하도록 촬영하는 하부비젼카메라(413)를 구성한다.
상기 영상비젼유닛(410)에서는 철도차량의 정지영상은 물론 정지영상이미지 및 동영상의 영상파일을 취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산처리유닛(420)에서는 상기 영상비젼유닛(410)으로부터 송신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착설 상태와 함께 그 면적 및 분포를 연산하여 분석하고, 영상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연산처리유닛(420)에서 취득한 데이터들은 관리자의 PC에서 전용프로그램을 통해 확인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연산처리유닛(420)에서는 철도열차의 착설 상황에 대한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분사장치(100) 및 상기 열풍분사장치(300)에 적용되는 적정 유량을 자동으로 설정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철도차량의 착설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므로, 착설 면적 및 분포 연산에 따른 지능형 제빙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작업의 고효율화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유체분사장치 110 : 유체공급유닛
115 : 유체공급관 120 : 분사노즐유닛 121 : 측면분사노즐
123 : 하부분사노즐 130 : 유체회수유닛 200 : 진동롤링장치
210 : 제빙레일 220 : 엠보싱돌기 221 : 경사면
223 : 만곡면 300 : 열풍분사장치 310 : 블로워유닛
311 : 에어압축기 313 : 블로워 315 : 에어공급관
320 : 가열유닛 330 : 노즐댐퍼유닛 331 : 측면노즐댐퍼
333 : 하부노즐댐퍼 400 : 착설검지장치 410 : 영상비젼유닛
411 : 측면비젼카메라 413 : 하부비젼카메라 420 : 연산처리유닛

Claims (7)

  1. 주행레일 중 제빙영역에 진입한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화학적 제빙을 위한 고압의 제빙액을 분사하는 유체분사장치와;
    철도차량의 주행레일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철도차량의 주행시 차륜이 접촉될 수 있게 형성하여 물리적 제빙을 위한 진동 및 충격을 가하는 진동롤링장치와;
    상기 유체분사장치 및 상기 진동롤링장치를 거쳐 이동한 철도차량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여 비경질 설빙을 제거하는 열풍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롤링장치는, 주행레일의 연장 직선경로에 대응하여 제빙구간을 형성하는 제빙레일과, 상기 제빙레일의 상면에 등반 및 낙하 경로를 갖게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장치는, 내부에 제빙액을 저류 상태로 수용하여 공급가능하게 형성하는 유체공급유닛과,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유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제빙액을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유닛과, 상기 분사노즐유닛을 통해 분출된 제빙액을 회수하여 보관하는 유체회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장치의 제빙액은 친환경 화학성분을 갖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장치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풍속 30~40m/s의 풍력을 생성시키는 블로워유닛과, 상기 블로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50~70℃의 열풍을 생성시키는 가열유닛과,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가열유닛을 거친 열풍을 분출하는 노즐댐퍼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빙영역의 진입부에 설치하고 주행레일을 따라 제빙영역 내 진입한 철도차량 측면 및 하부의 착설 및 착빙 상태를 감지하는 착설검지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설검지장치는, 주행레일을 따라 진입중인 철도차량의 측면 및 하부, 전면을 구분 촬영하는 영상비젼유닛과, 상기 영상비젼유닛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착설 여부를 자동 감지하고 착설 상태를 파악하는 연산처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KR1020180157196A 2018-12-07 2018-12-07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KR10208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96A KR102086492B1 (ko) 2018-12-07 2018-12-07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96A KR102086492B1 (ko) 2018-12-07 2018-12-07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492B1 true KR102086492B1 (ko) 2020-03-09

Family

ID=698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196A KR102086492B1 (ko) 2018-12-07 2018-12-07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4434A (zh) * 2021-01-22 2021-04-13 鲍怀凤 一种汽车表面除冰器
KR102355372B1 (ko) 2021-08-27 2022-02-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차량 착설 방지 에어 스쿱
KR102355373B1 (ko) 2021-08-26 2022-02-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선로상의 눈을 제거하는 철도차량 부착식 착설 방지 장치
KR20230031045A (ko) 2021-08-26 2023-03-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차량 대차부 후방 착설방지 패드
KR20230031028A (ko) 2021-08-26 2023-03-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차량 착설 방지 측면 플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740A (ja) * 2000-11-15 2002-05-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鉄道車両用自走式融雪装置
JP2003182696A (ja) * 2001-12-25 2003-07-03 Mayekawa Mfg Co Ltd 航空機氷雪除去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051020A (ja) * 2002-07-22 2004-02-19 Chuyu Shoji Kk 鉄道車両下部の着雪防止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281930A (ja) * 2005-03-31 2006-10-19 Asayama:Kk 鉄道車両用床下洗浄装置
JP2016203914A (ja) * 2015-04-28 2016-12-08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両用融雪装置
KR20180029616A (ko) * 2016-09-13 2018-03-21 김민정 철도 레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740A (ja) * 2000-11-15 2002-05-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鉄道車両用自走式融雪装置
JP2003182696A (ja) * 2001-12-25 2003-07-03 Mayekawa Mfg Co Ltd 航空機氷雪除去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051020A (ja) * 2002-07-22 2004-02-19 Chuyu Shoji Kk 鉄道車両下部の着雪防止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281930A (ja) * 2005-03-31 2006-10-19 Asayama:Kk 鉄道車両用床下洗浄装置
JP2016203914A (ja) * 2015-04-28 2016-12-08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両用融雪装置
KR20180029616A (ko) * 2016-09-13 2018-03-21 김민정 철도 레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4434A (zh) * 2021-01-22 2021-04-13 鲍怀凤 一种汽车表面除冰器
KR102355373B1 (ko) 2021-08-26 2022-02-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선로상의 눈을 제거하는 철도차량 부착식 착설 방지 장치
KR20230031045A (ko) 2021-08-26 2023-03-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차량 대차부 후방 착설방지 패드
KR20230031028A (ko) 2021-08-26 2023-03-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차량 착설 방지 측면 플랩
KR102355372B1 (ko) 2021-08-27 2022-02-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차량 착설 방지 에어 스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92B1 (ko)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JPS6318560B2 (ko)
CN108760358B (zh) 一种用于轨道车辆转向架的冰雪风洞系统
CN107022971A (zh) 一种具有除雪融冰功能的中低速磁浮工程作业车
CN106522148A (zh) 一种用于跨座式单轨高架上的除冰雪车辆
CN104594278B (zh) 一种高速公路雾、霾净化系统及净化方法
CN104386086A (zh) 轨道车辆用排障方法及排障装置
CN107021110A (zh) 中低速磁浮工程作业车
CN105804783B (zh) 隧道除尘方法
CN206396698U (zh) 一种用于跨座式单轨高架上的除冰雪车辆
CN109131433A (zh) 携热微砂喷射式高速列车转向架快速除积雪结冰系统及方法
CN206844040U (zh) 冰雪路面清雪车
KR102173566B1 (ko) 철도차량의 영상감지를 이용한 자동화 제빙 시스템
CN108745697A (zh) 一种智能防冰除雪控制系统的喷嘴顺序控制方法
CN105697052A (zh) 一种含抽屉式集尘舱的隧道除尘车及其使用方法
KR20160097896A (ko) 선로 세척 장치
CN106930223A (zh) 冰雪路面清雪车
CN105804784B (zh) 隧道除尘车
NL1043056B1 (en) Railway cleaning system and method
CN207920169U (zh) 一种车辆降温装置
CN207389159U (zh) 动车组融冰除雪喷扫装置
JP3254264B2 (ja) 温水噴射式融雪装置
WO2000044992A1 (en) Rail vehicle
KR101014261B1 (ko) 철도차량의 차륜 보호 장치
CN109763450A (zh) 除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