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616A - 철도 레일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616A
KR20180029616A KR1020160117921A KR20160117921A KR20180029616A KR 20180029616 A KR20180029616 A KR 20180029616A KR 1020160117921 A KR1020160117921 A KR 1020160117921A KR 20160117921 A KR20160117921 A KR 20160117921A KR 20180029616 A KR20180029616 A KR 2018002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ail
groove
railwa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246B1 (ko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102016011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01B5/08Composite rails; Compound rails with dismountable or non-dismount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사장치 즉, 모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열차의 기동 및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 레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은, 저부, 복부 및 레일헤드로 이루어진 철도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헤드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적어도 개방된 상면(이하, '제1 개방면'이라 함)을 포함하는 패드홈; 및 상기 패드홈에 삽입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레일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RAILWAY RAIL}
본 발명은 철도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의 기동 및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 레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도 레일은 열차를 운전할 때 직접 차륜을 지지하여 차륜의 주행저항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긴 강재이다. 철도 레일은 궤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강성이 높고 끊어질 위험이 없으며 차량주행에 따른 마모가 적어야 한다. 철도 레일의 단면 모양·크기·재질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보통 레일은 'I'형 단면의 레일을 사용하고 있다.
철도 레일은 차륜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차륜은 차축에 압입되어 일체화된 형태이나 차륜의 답면에 구배가 있기 때문에, 윤축은 회전방향과 직각인 방향, 즉, 축방향에 대하여 근소한 운동을 하는 축사행동과 자기조타 기능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처럼, 철도 레일과 차륜의 재질(즉, 금속), 차륜의 답면 구배 및 축사행동 등 특성에 의해, 기존의 고속 및 일반열차에서 기관차가 출발 시 기동 토오크에 의한 차륜이 철로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철도 레일에는 살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살사장치는 기관차의 바퀴가 헛돌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레일 위에 모래를 뿌리는 장치이다.
이처럼 살사장치에 의해 레일 상에 모래를 흩뿌리면 마찰력이 높아져 열차의 기동 및 제동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나, 모래는 규사와 같은 성분이 철 성분의 차륜과 철로를 손상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 사용빈도에 따라 철로 및 차륜을 삭정 및 교체를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사장치 즉, 모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종래 대비 열차의 기동 및 제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철도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은, 저부, 복부 및 레일헤드로 이루어진 철도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헤드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적어도 개방된 상면(이하, '제1 개방면'이라 함)을 포함하는 패드홈; 및 상기 패드홈에 삽입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레일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홈은 개방된 일측면(이하, '제2 개방면'이라 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드홈에 삽입 고정된 레일패드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에 의하면, 철로의 구조 중 차륜이 접촉되는 부분의 구조를 변경하여 종래와 같이 모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지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철로와 차륜의 접촉에 따른 표면 손상 내지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철로 및 차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특히 종래 살사장치 대비 열차의 기동 및 제동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후면도.
도 6은 도 3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패드를 구비하는 철도 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길이방향(K1)'이란 철도레일 내지 레일헤드의 장축방향을 지칭하고, '직교방향'이란 상기 길이방향(K1)에 수직한 방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패드를 구비하는 철도 레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은 저부(11), 복부(13), 레일헤드(15)로 이루어지는 레일부(10)와 이 레일부(10)에 형성되는 패드홈(20) 그리고 패드홈(20)에 삽입고정되는 레일패드(3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레일부(10)의 저부(base)(11)는 철도 레일의 아래쪽 수평 부재로서 금속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침목 위에 부착 고정된다.
레일부(10)의 복부(web)(13)는 저부(11)의 중심부에 판형 기둥 모양으로 돌출되는 수직 부재로서 금속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이음매 판이 부착된다.
레일부(10)의 레일헤드(head)(15)는 복부(13)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금속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이 레일헤드(15) 상에 열차의 바퀴가 지지되며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철도 레일의 레일부(10)는 저부(11), 복부(13) 및 레일헤드(15)가 'I'자형 단면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패드홈(20)은 레일헤드(15)의 길이방향(K1)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영역에 오목한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레일패드(30)가 삽입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영역"이란, 도 ?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하면,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영역에 해당하는 레일헤드 부위를 지칭한다. 따라서, 패드홈(20)의 가로방향 폭은 레일헤드(15)의 가로방향 폭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방향 폭'이란 레일헤드(15)의 길이방향(K1)의 직교방향을 지칭한다.
패드홈(20)은 적어도 개방된 상면(이하, '제1 개방면(21)'이라 함)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측면(이하, '제2 개방면(22)'이라 함)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방면(21)은 레일헤드(15)의 상면(17) 중 일부 영역을 개방 형성함으로써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패드홈(20)의 저면(23)과 대향하는 면에 해당한다.
제2 개방면(22)은 레일헤드(15)의 일측면 중 일부 영역을 개방 형성함으로써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패드홈(20)의 제1 측면(24)과 대향하는 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패드홈(20)은 레일헤드(15)에 오목하게 패여 있는 구조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저면(23), 제1 측면(24), 제2 측면(25) 및 제3 측면(26)을 갖는 요홈 구조로 구성된다.
패드홈(20)의 저면(23)은 레일헤드(15)의 길이방향(K1)으로 형성되는 밑면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평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드홈(20)의 제1 측면(24)은 저면(23)의 내측 길이방향(K1) 변과 접하며 레일헤드(15)의 길이방향(K1)으로 형성되는 측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평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저부내지 지면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홈(20)의 제2 측면(25)은 그 하변은 저면(23)의 직교방향 변과 접하고, 그 세로변(즉, 높이방향 모서리)은 제1 측면(24)의 세로변과 접하도록 형성된 측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평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드홈(20)의 제3 측면(26)은 그 하변은 저면(23)의 또 다른 하나의 직교방향 변과 접하고, 그 세로변(즉, 높이방향 모서리)은 제1 측면(24)의 또 다른 하나의 세로변과 접하도록 형성된 측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평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측면(25)과 제3 측면(26)은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저부 내지 지면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홈(20)의 저면(23)은 패드홈(20)의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환언하면, 패드홈(20)의 저면(23)은 패드홈(20)의 외측 방향으로는 상향 경사진 구조가 된다. 그리고, 제1 측면(24)을 저부 내지 지면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하면, 저면(23)과 제1 측면(24) 간의 사이각(θ1)은 90°미만의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레일패드(30)를 패드홈(20)에 삽입시 레일패드(30)의 무게가 레일헤드(15)의 중심축(즉, 내측)으로 편향되도록 함으로써 레일패드(30)가 레일헤드(15)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패드홈(20)은 제1 개방면(21), 제2 개방면(22), 저면(23), 제1 내지 제3 측면을 포함하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패드(30)는 패드홈(20)에 삽입 고정되어 해당 레일헤드(15) 상에 진입한 차륜에 높은 마찰력을 부여하여 열차의 기동 및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
레일패드(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고무, 수지 및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패드(30)는 패드홈(20)에 삽입 고정시 적어도 일부 영역이 패드홈(20)의 제1 개방면(21)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패드(30)의 상면은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부(35)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 곡면부(35)의 적어도 중심부 영역이 패드홈(20)의 제1 개방면(21)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패드(30)는 패드홈(20)에 삽입 고정시 또 다른 일부 영역이 패드홈(20)의 제2 개방면(22)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경우, 레일패드(30)의 일측면(즉, 외부를 향하는 측면)은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부(36)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 곡면부(36)의 적어도 중심부 영역이 패드홈(20)의 제2 개방면(22)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패드(30)는 트렌치(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렌치(37)는 레일헤드(15)의 길이방향(K1)의 직교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치(37)는 직교방향으로 레일패드(30)의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장요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렌치(37)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 개의 트렌치(37)는 상호 동일한 이격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트렌치(37)는 '∪' 자형 단면 구조 또는 '∨' 자형 단면 구조의 요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패드(30)에 이러한 트렌치(37)가 더 구비될 경우, 차륜에 대한 레일패드(30)의 마찰력 내지 접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겨울에 눈이 내려 레일패드(30) 위에 쌓이더라도 일부는 레일패드(30)의 곡면 구조에 의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트렌치(37) 내로 흘러들어가 결국 차륜과의 접촉면 상에서 모든 눈이 제거되어 눈에 의한 차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레일패드(30)는 다음과 같은 또 다른 특징을 갖도록 구성된다. 레일패드(30)는 패드홈(20)에 삽입 고정시를 기준으로 패드홈(20)의 제1 측면(24)에 대향 또는 접촉하는 제1 패드면(31), 패드홈(20)의 제2 측면(25)에 대향 또는 접촉하는 제2 패드면(33), 패드홈(20)의 제3 측면(26)에 대향 또는 접촉하는 제3 패드면(32) 및 패드홈(20)의 저면(23)에 대향 또는 접촉하는 제4 패드면(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우, 레일패드(30)의 제2 패드면(33)의 최대 높이는 패드홈(20)의 제2 측면(25)의 최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3 패드면(32)의 최대 높이는 제3 측면(26)의 최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더 나아가, 레일패드(30)의 제2 패드면(33)의 최소 높이는 패드홈(20)의 제2 측면(25)의 최소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3 패드면(32)의 최소 높이는 제3 측면(26)의 최소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 따르면, 레일패드(30)의 제2 패드면(33)은 패드홈(20)의 제2 측면(25)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제3 패드면(32)은 제3 측면(26)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레일패드(30)의 제2 패드면(33)은 패드홈(20)의 제2 측면(25) 외부로 돌출되거나 벗어나는 영역이 없게 되고, 제3 패드면(32) 역시 제3 측면(26) 외부로 돌출되거나 벗어나는 영역이 없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레일패드(30)의 제1 패드면(31)의 최대 높이는 패드홈(20)의 제1 측면(24)의 최대 높이보다 작게 형성하고, 제1 패드면(31)의 최소 높이는 제1 측면(24)의 최소 높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 따르면, 레일패드(30)의 제1 패드면(31)은 패드홈(20)의 제1 측면(24)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레일패드(30)의 제1 패드면(31)은 패드홈(20)의 제1 측면(24) 외부로 돌출되거나 벗어나는 영역이 없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레일패드(30) 구조에 따르면, 철도차량이 레일헤드(15)에서 레일패드(30) 위로 진입시 덜컹거림 없이 자연스럽게 레일패드(30) 상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레일패드(30)에 의한 승차감 저하를 방지하고 철도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레일패드(30)를 패드홈(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볼트공(38), 볼트(40) 및 체결홈(27)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볼트공(38)은 레일패드(30)의 직교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볼트공(38)의 내경은 볼트축의 외경보다 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공(38)의 외측 종단의 주연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볼트머리가 레일패드(30)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볼트(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축과 볼트축의 종단에 형성된 볼트머리로 구성되어, 볼트축은 볼트공(38)에 삽입 통과하여 체결홈(27)에 나사 체결되고, 볼트머리는 볼트공(38)의 단차부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볼트(40)를 체결홈(27)에 나사체결시 볼트머리가 레일패드(30) 내부(즉, 단차부)에 삽입되어 레일패드(30)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되고, 이에 의해 차륜과 볼트머리 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체결홈(27)은 패드홈(20)의 제1 측면(24)에 형성되는 나사홈으로서, 볼트공(38)으로 삽입된 볼트축은 체결홈(27)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레일패드(30)를 패드홈(2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철도 레일에 의하면, 철로의 구조 중 차륜이 접촉되는 부분의 구조를 변경하여 종래의 모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지 마찰력은 보다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철로와 차륜의 접촉에 따른 표면 손상 내지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철로 및 차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특히 종래 살사장치 대비 열차의 기동 및 제동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레일부 11: 저부
13: 복부 15: 레일헤드
20: 패드홈 21: 제1 개방면
22: 제2 개방면 23: 저면
24: 제1 측면 25: 제2 측면
26: 제3 측면 27: 체결홈
30: 레일패드 31: 제1 패드면
33: 제2 패드면 32: 제3 패드면
34: 제4 패드면 37: 트렌치
38: 볼트공 40: 볼트

Claims (11)

  1. 저부, 복부 및 레일헤드로 이루어진 철도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헤드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적어도 개방된 상면(이하, '제1 개방면'이라 함)을 포함하는 패드홈; 및
    상기 패드홈에 삽입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레일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은 개방된 일 측면(이하, '제2 개방면'이라 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홈에 삽입 고정된 레일패드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은 저면, 상기 레일헤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 상호 대향하는 제2 측면과 제3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패드는 상기 패드홈에 삽입 고정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1 패드면,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는 제2 패드면, 상기 제3 측면에 대향하는 제3 패드면 및 상기 저면에 대향하는 제4 패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패드면의 최대 높이는 상기 제2 측면의 최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패드면의 최대 높이는 상기 제3 측면의 최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면은 상기 제2 측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패드면은 상기 제3 측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면은 상기 제1 측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상기 패드홈의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패드는 상기 레일헤드의 길이방향의 직교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트렌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은 상기 레일헤드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헤드의 좌측 또는 우측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패드의 상면은 볼록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패드의 일측면은 볼록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개방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패드는 고무, 수지 및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KR1020160117921A 2016-09-13 2016-09-13 철도 레일 KR10193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21A KR101931246B1 (ko) 2016-09-13 2016-09-13 철도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21A KR101931246B1 (ko) 2016-09-13 2016-09-13 철도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616A true KR20180029616A (ko) 2018-03-21
KR101931246B1 KR101931246B1 (ko) 2018-12-20

Family

ID=6190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21A KR101931246B1 (ko) 2016-09-13 2016-09-13 철도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92B1 (ko) * 2018-12-07 2020-03-09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40B1 (ko) * 2006-06-29 2007-10-04 이보영 열차궤도 고속분기기의 크로싱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166641A (ja) * 2008-01-15 2009-07-30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用部材
KR101149037B1 (ko) * 2011-08-16 2012-05-24 (주)한국에이앤지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92B1 (ko) * 2018-12-07 2020-03-09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운행중인 철도차량의 통과식 연속 제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246B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334B1 (en) Friction shoe for freight car truck
KR950013086B1 (ko) 철도차량의 대차용 측면 베어링
CN104044604B (zh) 稳定的铁路货车转向架
US8893626B2 (en) Wheelset to side frame interconnection for a railway car truck
EP2993104A1 (en) Railway car truck with friction damping
CN108569307A (zh) 铁路车辆转向架的摩擦瓦弹簧组
KR101931246B1 (ko) 철도 레일
CN201427585Y (zh) 铁路货车及其弹性旁承
BR112012027540B1 (pt) Dispositivo de plano de amortecimento inclinado para vagão de carga de ferrovias
CN109367558B (zh) 具有摩擦瓦的铁路车辆转向架
AU2017272323A1 (en) Railway car truck friction shoe
BRPI0402499A (pt) Armação lateral e método para reparar ou manter uma armação lateral para um conjunto roda-truque de vagão ferroviário que suporta um vagão ferroviário
CN204309550U (zh) 一种用于7米空气弹簧后悬架的新型导向臂
US20060042498A1 (en) Side bearing for railway car
CA2995183C (en) Railway car truck friction shoe
CA2995792C (en) Railway car truck friction shoe
KR101332509B1 (ko) 이상마모방지를 위한 공기입타이어
KR101465011B1 (ko) 철도차량용 볼스터의 사이드 베어링 구조
CN110001697A (zh) 一种轴箱橡胶垫、货车转向架以及铁路货车
AU731554B2 (en) Improved friction shoe for freight car truck
CN216514892U (zh) 一种减振扣件系统
CN201006713Y (zh) 常接触减振旁承
US1685160A (en) Antifriction bearing
UA21573U (en) Assembly of support of lateral frame on wheel pair of freight-car truck
AU7159900A (en) Improved friction shoe for freight car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