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37B1 -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 Google Patents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37B1
KR101149037B1 KR1020110081275A KR20110081275A KR101149037B1 KR 101149037 B1 KR101149037 B1 KR 101149037B1 KR 1020110081275 A KR1020110081275 A KR 1020110081275A KR 20110081275 A KR20110081275 A KR 20110081275A KR 101149037 B1 KR101149037 B1 KR 101149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rail
rail bike
trac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원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이앤지 filed Critical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to KR102011008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레일바이크의 차륜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선로 중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선로본체와,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적층되는 미끄럼방지패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상부면에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미끄럼방지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고무 또는 고경도우레탄으로 제조된다.

Description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ANTISLIP RAIL OF RAILBIKE FOR SLOPE SECTION}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선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레일바이크의 차륜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에 관한 것이다.
철도 노선의 폐쇄나 변경 등의 사정으로 철도 선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폐선로가 생기는데, 이러한 폐선로의 해체 작업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작업 착수가 쉽지 않다.
또한 폐선로는 주로 주거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폐선로 주변에 자연미를 만끽할 수 있는 빼어난 경관을 갖춘 곳이 적지 않은 지리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등 폐선로에 관리 책임이 있는 단체나 공공기관에서는 선로를 해체하는 대신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 중 하나로 선로 상에서 페달을 밟아 주행하면서 주변경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관광용 레일바이크를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선로의 경우 항상 수평구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장소에 따라 부득이하게 경사구간도 존재할 수 밖에 없는데, 철도차량의 경우에는 엔진동력에 의해 주행하므로 경사구간의 주행에 있어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레일바이크는 구조적인 특징상 오로지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하는 수동력에 의존하여 주행하므로 경사구간을 상승주행하는 것이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바이크가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35695호(2011.05.19. 공고)에는 선로를 따라 주행하는 철도차량들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차륜의 전체 둘레면에 고무 재질의 마찰유도용 링을 끼움결합하여 선로와의 마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선로 주행 차량의 출발시 출력의 향상, 제동시 제동거리 감소, 곡선주행시 고속주행속도 유지 및 크랙현상방지에 의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선로와의 마찰력이 향상된 궤도주행 차륜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궤도주행 차륜장치가 레일바이크에 적용될 경우 경사구간에서는 유효하겠지만 일반적인 수평구간에서는 과도한 마찰에 의해 페달의 수동회전에 의한 주행이 더욱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받은 바 있는 한국 등록특허 제 1027464 호(2011.04.06. 공고) 및 한국 등록특허 제 1027464 호(2011.04.06. 공고)의 레일바이크용 휠 구동구조에 공개된 레일바이크용 차륜은 금속재로 제조됨에 따라 금속재로 된 선로 상을 주행함에 있어서 특히 경사구간에서는 금속재들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바이크의 차륜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선로 중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선로본체와,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적층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상부면에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미끄럼방지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고무 또는 고경도우레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접착고정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하측에는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가 삽입고정되는 두부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끼워져서 자체탄성에 의해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지지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에 의하면,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미끄럼방지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고무 또는 고경도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가 선로본체의 두부 상에 적층형성됨에 따라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가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탑승자로 하여금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짐없이 경사구간을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에 의하면, 금속재로 된 레일바이크의 차륜과 금속재로 된 선로 사이에 고무 또는 고경도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가 개재됨에 따라 레일바이크의 주행시 금속재 간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의 단면구조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1, 1')는,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레일바이크(100)의 차륜(110)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일바이크(100)가 주행하는 선로 중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선로본체(10)와, 선로본체(10)의 두부(11: rail head)에 적층되는 미끄럼방지패드(20, 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선로본체(10)는 레일바이크(100)의 주행선로 중 경사구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선로와 마찬가지로 모든 종류의 도상에 고정되는 레일체결구 상에 체결되는 레일로 형성된다. 선로본체(10)는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는 모든 구성이 종래의 선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선로본체(10)의 두부(11)에는 미끄럼방지패드(20, 20')가 적층되는데, 이 미끄럼방지패드(20, 20')는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일바이크(100)의 차륜(110)과 선로본체(10)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고무 또는 고경도우레탄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긴 띠 형상으로 제조된다.
또한 미끄럼방지패드(20, 2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홈(21, 21')이 형성되는데, 이 미끄럼방지홈(21, 21')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패드(20, 20')의 상부면에 요철면을 형성(도면부호 21에 해당)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패드(20, 20')의 상부면에 미세한 스크래치를 형성(도면부호 21'에 해당)함으로써 레일바이크(100)의 차륜(110)에 대한 마찰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일바이크(100)의 주행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패드(20, 20')는 예를 들어 30 내지 45 mm 두께의 띠 형상으로 제조되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착제(23)에 의해 선로본체(10)의 두부(11)에 접착고정(도면부호 20에 해당)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로본체(10)의 두부(11)가 삽입고정되는 두부삽입홈(23')이 형성됨에 따라, 두부삽입홈(23')에 의해 선로본체(10)의 두부(11)를 둘러싸도록 선로본체(10)의 두부(11)에 끼워져서 자체탄성에 의해 지지고정(도면부호 20')에 해당)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두부삽입홈(23')의 내벽에 접착제가 부가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1, 1')의 경우에는, 레일바이크(100)의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미끄럼방지홈(21, 2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고무 또는 고경도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20, 20')가 선로본체(10)의 두부(11) 상에 적층형성됨에 따라, 레일바이크(100)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1, 1')를 따라 경사구간을 올라감에 있어서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레일바이크(100)의 탑승자가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1, 1')의 경우에는, 미끄럼방지패드(20, 20')가 선로본체(10)의 두부(11) 상에 적층형성됨에 따라,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미끄럼방지패드(20, 20')에 의해 레일바이크(100)가 미끄러짐없이 경사구간을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된다.
특히 미끄럼방지패드(20, 20')의 상부면에 레일바이크(100)의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미끄럼방지홈(21, 2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에는, 미끄럼방지홈(21)에 의해 미끄럼방지패드(20, 20')의 상부면에 요철면이 형성되거나, 미끄럼방지홈(21')에 의해 미끄럼방지패드(20, 20')의 상부면에 미세한 스크래치가 형성됨에 따라 레일바이크(100)의 차륜(110)에 대한 마찰력이 배가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레일바이크(100)가 미끄러짐없이 경사구간을 더욱 이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1, 1')의 경우에는, 미끄럼방지패드(20, 20')가 선로본체(10)의 두부(11) 상에 적층형성됨에 따라 금속재로 된 레일바이크(100)의 차륜(110)과 금속재로 된 선로본체(10) 사이에 고무 또는 고경도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20, 20')가 개재됨으로써 레일바이크(100)의 주행시 금속재 간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방지될 수 있어, 탑승자가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없이 주변경관을 만끽할 수 있게 된다.
1, 1' : 본 발명에 따른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10 : 선로본체
11 : 두부
20, 20' : 미끄럼방지패드
21, 21' : 미끄럼방지홈
23 : 접착제
23' : 삽입홈
100 : 레일바이크
110 : 차륜

Claims (5)

  1.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선로 중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선로본체; 및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적층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하측에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가 삽입고정되는 두부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끼워져서 자체탄성에 의해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지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상부면에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에 수직으로 미끄럼방지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고무 또는 고경도우레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선로본체의 두부에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5. 삭제
KR1020110081275A 2011-08-16 2011-08-16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KR101149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275A KR101149037B1 (ko) 2011-08-16 2011-08-16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275A KR101149037B1 (ko) 2011-08-16 2011-08-16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037B1 true KR101149037B1 (ko) 2012-05-24

Family

ID=4627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275A KR101149037B1 (ko) 2011-08-16 2011-08-16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198A (ko) * 2016-03-09 2017-09-19 세메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KR101931246B1 (ko) * 2016-09-13 2018-12-20 김민정 철도 레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8921A1 (de) 1995-11-23 1997-05-29 Jinpo Pluls A.S. Verfahren zur aufschweissung der schienen
WO1999020840A1 (fr) 1997-10-20 1999-04-29 Sogerail Rail de chemin de fer a champignon renforce
JP2001334933A (ja) * 2000-05-26 2001-12-04 Yutaka Noguchi サイクリングトレイン
WO2002033173A1 (en) 2000-10-18 2002-04-25 Acoustic Control Ab A railway wheel/rail noise and wear reduction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8921A1 (de) 1995-11-23 1997-05-29 Jinpo Pluls A.S. Verfahren zur aufschweissung der schienen
WO1999020840A1 (fr) 1997-10-20 1999-04-29 Sogerail Rail de chemin de fer a champignon renforce
JP2001334933A (ja) * 2000-05-26 2001-12-04 Yutaka Noguchi サイクリングトレイン
WO2002033173A1 (en) 2000-10-18 2002-04-25 Acoustic Control Ab A railway wheel/rail noise and wear reduction arrang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198A (ko) * 2016-03-09 2017-09-19 세메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KR102469345B1 (ko) 2016-03-09 2022-11-23 세메스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KR101931246B1 (ko) * 2016-09-13 2018-12-20 김민정 철도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889B1 (ko) 산악 철도 궤도의 랙기어 진동 감쇄구조
KR20160005173A (ko) 산악 철도용 궤도 구조
KR20140131224A (ko) 산악 철도차량의 주행 장치
KR101149037B1 (ko) 경사구간용 레일바이크의 미끄럼방지선로
KR100765359B1 (ko) 산악용 모노레일시스템
EP1449751A3 (en) Snowmobile drive track
WO2010002894A3 (en) Propulsion vehicle which travels along a soft, porous track
CN208306644U (zh) 一种可适应极大坡道的多模式驱动跨座式单轨列车
KR102638483B1 (ko) 산악철도차량용 곡선구간 레일 구조
KR20150004447A (ko) 산악 철도차량의 주행 장치
KR200439665Y1 (ko) 모노레일 바이크의 구동륜 구조
US20110042474A1 (en) Trackway for Personal Rapid Transport Systems
CN103510479A (zh) 控制道路通行方向的拦车路障
KR101503267B1 (ko) 급곡선 및 급구배의 운행이 가능한 레일 바이크
CN202989694U (zh) 可抑制波磨的小半径曲线铁路轨道
KR101035695B1 (ko) 선로와의 마찰력이 향상된 궤도주행 차륜장치
CN101076459B (zh) 车辆轮胎
CN204940024U (zh) 一种汽车试驾台
KR101538459B1 (ko)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CN206678990U (zh) 轨道车齿轮驱动结构
CN208290865U (zh) 一种跨座式单轨车辆走行轮轮胎
KR20090001628U (ko) 철도차량을 위한 차륜지
GB2546311A (en) Tram/train flange-groove eliminator
CN108621708B (zh) 一种跨座式单轨车辆走行轮轮胎
US848442A (en) Traction wheel and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