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923B1 - 음식물 가열 포트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열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923B1
KR102085923B1 KR1020180095742A KR20180095742A KR102085923B1 KR 102085923 B1 KR102085923 B1 KR 102085923B1 KR 1020180095742 A KR1020180095742 A KR 1020180095742A KR 20180095742 A KR20180095742 A KR 20180095742A KR 102085923 B1 KR102085923 B1 KR 10208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food
temperature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267A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9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923B1/ko
Priority to CN201910180799.XA priority patent/CN110236406B/zh
Publication of KR2020002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 제공이 가능한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열 또는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온도 가변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유동하는 유동로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로부는,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는 밸브부;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유로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가변 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며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가열 포트{POT}
본 발명은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 제공이 가능한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열 또는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온도 가변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유동하는 유동로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로부는,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는 밸브부;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유로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가변 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며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가열 포트는 사용자에게 가열된 음용수 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가열 포트는 물 등을 저장하는 내통부와, 내통부에 저장된 물 등이 유동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배관부를 갖는다.
음식물 가열 포트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소정의 온도로 신속하게 가열한 후, 음식물을 배출시킬 때, 음식물 가열 포트 내의 각 부분에 따라서 온도가 다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온도의 음식물 공급을 위해서, 소정의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빠르게 음식물을 식힌 후 공급시킬 때에도, 각 부분의 음식물의 온도가 다름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고온 또는 저온의 음식물이 공급되거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한 음식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음식물이 정확한 온도로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유아용 음식물 가열 포트의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정확한 온도를 갖는 물, 또는 분유가 제공되지 아니하여 유아가 화상을 입거나,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가열 포트가 필요하다.
등록실용신안 01243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열 또는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온도 가변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유동하는 유동로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로부는,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는 밸브부;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유로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가변 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며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가열 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열 또는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온도 가변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유동하는 유동로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로부는,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는 밸브부;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유로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가변 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며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가변부는,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열을 제공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음식물을 냉각시키도록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밸브부가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배출 모드, 및 상기 밸브부가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하도록 하는 순환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즐부를 통해 음식물을 배출할 때, 상기 순환 모드를 선택하여 소정 시간 동안 순환을 실시한 후, 상기 배출 모드를 선택하여 배출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통부 내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통부 내의 각 부의 위치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복수 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내통부 내의 각 부의 위치의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일 때, 상기 순환 모드를 선택하여 소정 시간 동안 순환을 실시한 후, 상기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 이하일 때 상기 배출 모드를 선택하여 배출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로는 상기 내통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내통부의 상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통부는, 바닥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상부 부분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 관통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 관통공과 수평하게 위치하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제2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 유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부는, 상기 노즐부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내통부 내의 음식물을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고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음식물의 배출을 실시하기 전에 순환을 실시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온도를 갖는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밸브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작동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밸브부(42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 및 유체 등이 수용되는 내통부(200), 열 또는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온도 가변부(300), 상기 내통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유동하는 유동로부(400); 및 제어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로부(400)는, 상기 내통부(200)와 연결되며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로(410), 상기 배출로(41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서 제어되는 밸브부(420), 일 단이 상기 밸브부(420)와 연결되는 노즐부(430), 및 상기 바디부(100)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유로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밸브부(420)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200)와 연결되는 순환 유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내통부(200) 내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을 유동시키도록 소정의 펌프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음식물 가열 포트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내통부(200)가 수납될 수 있는 메인 바디(110), 및 상기 메인 바디(110)를 개폐할 수 있는 캡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내통부(200)가 내부에 탑재될 수 있는 탑재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 내부에는 온도 가변부(300), 배출로(410), 밸브부(420), 노즐부(430), 순환 유로(440), 및 제어부(300)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일 측 상부에는 노즐부(430)가 노출될 수 있는 노즐 바디(112)가 마련되며, 상기 노즐 바디(112)의 하부에는 물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지지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부(1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탑재 공간 내의 내통부(200)를 덮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캡부(1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내통부(200)는 상기 메인 바디(110) 내에 탑재된다. 내통부(200)는 내부에 음식물 및 세척액 유체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을 갖는다. 내통부(200)는 온도 가변부(300)에서 발생한 열 또는 냉기가 전달되어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기에 적합하도록 열 전달율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세균 번식이 방지되기에 적합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통부(200)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배출로(410)와 연결되는 소정의 제1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내통부(200)의 상부 일 측부분에는 후술하는 순환 유로(440)와 연결되는 제2 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있다.
온도 가변부(300)는 메인 바디(110) 내에 내장된다. 온도 가변부(300)는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소정의 열을 제공하는 가열 장치와,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냉각하도록 소정의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와 냉각 장치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한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다.
유동로부(400)는, 배출로(410), 밸브부(420), 노즐부(430), 및 순환 유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로(410)는 상기 내통부(200)와 연결되며,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배출로(410)의 일 단은 상기 내통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21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출로(4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내통부(200)의 측부를 따라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배출로(410)의 타단은 밸브부(420)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부(420)는 가변 밸브로 구성된다. 밸브부(420)는 유입구(422)와, 제1 유출구(424), 및 제2 유출구(426)를 가져서, 1 개의 유입구(422)와, 2 개의 유출구를 갖는다. 따라서, 밸브부(420)의 작동에 따라서, 유입구(4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1 유출구(424) 또는 제2 유출구(426)로 선택적으로 유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부(420)는 상기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부(420)는 노즐 바디(112) 내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노즐부(4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420)는 제2 관통공(220)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부(420)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노즐부(430)는 상기 밸브부(420)의 제1 유출구(424)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430)는 상기 노즐 바디(112)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배출로(410)를 따라서 전달된 유체 등이 상기 노즐부(430)를 통해 하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순환 유로(440)는 일 단이 상기 밸브부(420)의 제2 유출구(426)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부(420)는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순환 유로(440)는 배출로(410)에 비해 비교적 짧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밸브부(420)가 제2 관통공(220)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높이 상에 위치하여, 순환 유로(440)는 수평하게 연장되며 짧은 거리를 갖는 직선형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편의상 순환 유로(440)라고 지칭하였으나, 반드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밸브부(420)의 제2 유출구(426)가 직접적으로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500)는, 온도 가변부(300), 밸브부(420), 및 펌프 장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어부(500)는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센서부(60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온도 가변부(300), 밸브부(420) 및 펌프 장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500)는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밸브부(420) 및 펌프 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거나,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500)는 소정의 작동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후술하는 센서부(600)에서 전달된 내통부(200)의 온도를 이용하여 적절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펌프 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유체의 유동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화살표 형태 외에, 반대 형태의 유동도 가능하다.
센서부(600)는 상기 내통부(20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내통부(200) 내의 각 부의 위치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내통부(200) 의 상부 및 하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각각 제1 센서부(610)와 제2 센서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체는 고온일수록 위에 위치하고 저온일수록 아래에 위치하도록 유동하므로, 내통부(200) 내의 각 위치의 온도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내통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센서부(6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내통부(200)의 온도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펌프 장치(미도시)는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운반시킬 수 있는 펌핑 장치이다. 펌프 장치(미도시)는 제어부(500)의 신호에 따라서 적절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펌프 장치(미도시)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가변시키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제어부(500)는 토출 모드, 및 순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토출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음식물 가열 포트의 동작과 같이,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노즐부(430)를 통해 토출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밸브부(420)를 작동시켜서 밸브부(420)가 배출로(410)와 노즐부(430) 사이를 개방하며, 순환 유로(440)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즉, 밸브부(420)의 유입구(422)로 유입된 유체가 제1 유출구(42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펌프 장치(미도시)가 적절한 시간동안 소정의 펌핑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 모드에서는 내통부(200) 내의 유체는 내통부(200), 배출로(410), 밸브부(420) 및 노즐부(430)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순환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밸브부(420)를 작동시켜서 노즐부(430)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배출로(410)와 순환 유로(440) 사이를 개방시킨다. 즉, 밸브부(420)의 유입구(422)로 유입된 유체가 제2 유출구(42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펌프 장치(미도시)가 적절한 시간동안 소정의 펌핑 압력을 제공하게 한다. 따라서, 순환 모드에서는 내통부(200) 내에 충진된 음식물은 내통부(200)에서 배출로(410), 밸브부(420) 및 순환 유로(440)를 거쳐 다시 내통부(200)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내통부(200) 내의 유체가 폐곡선을 그리며 순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유체가 내통부(200)와 배출로(41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므로,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서로 섞여서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작동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동의 일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이하는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온도의 음식물을 배출하도록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먼저 상기 제어부(500)는, 센서부(600)를 통해 내통부(20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내통부(200)의 온도가 목표 온도와 상이하면, 상기 온도 가변부(300)를 작동시켜서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이어서, 가열 또는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노즐부(430)를 통해 음식물을 배출하기 전에, 상기 내통부(200)의 각 부의 위치의 온도를 상기 센서부(6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부(610)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제2 센서부(620)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센서부(610, 620)에서 감지된 내통부(200)의 각 부의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X℃) 이하일 경우에는, 그대로 배출을 하며, 소정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먼저 상기 순환 모드를 선택하여 소정 시간 동안 순환을 실시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순환을 수행한 후, 다시 온도를 비교하여, 센서부(610, 620)에서 감지된 내통부(200)의 각 부의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배출 모드를 선택하여 배출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차이 범위 기준은 가변될 수도 있고, 이러한 범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실시 형태는 일 예로서, 배출 실시 전에 강제적으로 순환 모드를 실시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배출을 실시하거나, 또는 배출 실시 전에 강제적으로 순환 모드 실시 후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 이하일 때 배출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밸브부(420) 및 순환 유로(440)를 구비하며, 밸브부(420)의 작동에 따라서 내통부(200) 내의 유체가 노즐부(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순환 유로(440)를 통해 내통부(200) 내로 재 공급되어 순환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서,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순환시켜서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의 온도가 일정하지 아니하여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소정의 온도의 물을 공급할 경우, 내통부(200) 위쪽 또는 냉각 장치의 근처에 위치한 물은 빠르게 식어서 낮은 온도를 가지나, 아래쪽 또는 다른 위치에 위치한 물은 높은 온도를 가져서, 예상하지 못하게 뜨거운 물이 공급되어 화상을 입거나 피부가 손상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순환 모드에서 순환을 실시한 후,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한 후 공급하므로, 정확하게 목표하는 온도의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의 영양과 맛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바디부
110: 메인 바디
112: 노즐 바디
114: 지지부
120: 캡부
200: 내통부
210: 제1 관통공
220: 제2 관통공
300: 온도 가변부
400: 유동로부
410: 배출로
420: 밸브부
422: 유입구
424: 제1 유출구
426: 제2 유출구
430: 노즐부
440: 순환 유로
500: 제어부
600: 센서부
610: 제1 센서부
620: 제2 센서부

Claims (9)

  1. 음식물 가열 포트에 있어서,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열 또는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온도 가변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유동하는 유동로부;
    제어부; 및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로부는,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는 밸브부;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바디부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유로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가변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상기 내통부의 상부, 및 상기 내통부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내통부의 각 부의 온도를 센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부가 상기 배출로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배출 모드, 및
    상기 밸브부가 상기 배출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연결하도록 하는 순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를 통해 음식물을 배출할 때,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내통부 내의 각 부의 위치의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일 때, 상기 순환 모드를 선택하여 소정 시간 동안 순환을 실시한 후, 상기 온도 차이가 소정 범위 이하일 때 상기 배출 모드를 선택하여 배출을 실시하여,
    상기 내통부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며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가열 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가변부는,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열을 제공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음식물을 냉각시키도록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가열 포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내통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내통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음식물 가열 포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바닥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상부 부분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 관통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 관통공과 수평하게 위치하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제2 관통공을 연결하는 직선 유로로 구성되는 음식물 가열 포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노즐부 상에 배치되는 음식물 가열 포트.
KR1020180095742A 2018-03-09 2018-08-16 음식물 가열 포트 KR10208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42A KR102085923B1 (ko) 2018-08-16 2018-08-16 음식물 가열 포트
CN201910180799.XA CN110236406B (zh) 2018-03-09 2019-03-11 食物加热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42A KR102085923B1 (ko) 2018-08-16 2018-08-16 음식물 가열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67A KR20200020267A (ko) 2020-02-26
KR102085923B1 true KR102085923B1 (ko) 2020-03-06

Family

ID=6963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42A KR102085923B1 (ko) 2018-03-09 2018-08-16 음식물 가열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9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4576B2 (ja) 1995-04-05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ポット
JP3485696B2 (ja) * 1995-10-24 2004-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388B1 (ko) 1993-12-29 1997-12-01 우석형 용지정렬장치에서의 고속 용지정렬(jogging) 동작을 위한 제어방법
KR20090085740A (ko) * 2008-02-05 2009-08-10 노한래 추출기용 용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4576B2 (ja) 1995-04-05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ポット
JP3485696B2 (ja) * 1995-10-24 2004-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67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309B1 (en) Regeneration household machine for regenerating packaged cooked and subsequently chilled or frozen portions of food and method carried out by said machine
JP2019076999A (ja) 工作機械の切削液供給装置
CN203987506U (zh) 蒸汽烹饪设备
CN204467809U (zh) 即热即冷装置
JP2017225821A (ja) ミルク−空気エマルジョン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110673B1 (ko) 냉온 정수기
KR101014676B1 (ko) 식초의 제조장치
KR20140109614A (ko) 곡물 로스터
KR102085923B1 (ko) 음식물 가열 포트
JP2022529960A (ja) 容器内で所定量の未処理のパスタを調理するための機械
JP2014016052A (ja) 出湯部湯温調整機能を有する給湯器
CN104665571A (zh) 蒸汽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3262338A (ja) 過熱蒸気調理器及び蒸気発生装置
EP3748237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am
KR20090097048A (ko) 전기압력밥솥
US4140104A (en) Hot water feeding devices
JP5256116B2 (ja) 加熱殺菌装置
JP2004347152A (ja) 加熱調理装置
KR102395739B1 (ko) 오븐
KR20170023573A (ko) 요리 로봇
KR20160118827A (ko) 냉수 제어 장치
KR20140107841A (ko) 스팀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JPH09238836A (ja) 加熱温蔵装置
KR101633687B1 (ko) 냉수공급장치
CN218128058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