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810B1 - 차량용 로어암 - Google Patents

차량용 로어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810B1
KR102083810B1 KR1020180116064A KR20180116064A KR102083810B1 KR 102083810 B1 KR102083810 B1 KR 102083810B1 KR 1020180116064 A KR1020180116064 A KR 1020180116064A KR 20180116064 A KR20180116064 A KR 20180116064A KR 102083810 B1 KR102083810 B1 KR 10208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ower arm
extension
fram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완수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8011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로어암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프레임과 힌지연결되는 로어암부와, 상하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과 로어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부가 로어암부와 연결되는 완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로어암{LOWER A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로어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구비되는 차량용 로어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 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ber), 스테빌라이져, 차륜의 너클(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캐리어'라 한다)을 통해 들어오는 차량의 전후방향 하중과 내외방향 하중을 지지하며 강성을 갖는 로어 암(lower arm)과 어퍼 암(upper arm) 등으로 구성된다. 로어암은 쇽업소버와 스프링을 지지하며, 캐리어와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링크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프링의 불규칙한 반복하중에서 오는 굽힘, 선회시 발생되는 원심력에의한 비틀림 뿐만 아니라 차량의 하중을 지지해야하므로 내피로성과 내강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120801호(2012.02.20 등록, 발명의 명칭: 스프링시트 일체형 리어 로어암 상판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금속재가 아닌 다른 복합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기존의 코일 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로어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힌지연결되는 로어암부; 및 상하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로어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로어암부와 연결되는 완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연장프레임부; 상기 연장프레임부의 단부를 상기 로어암부와 힌지연결하는 로어암연결부; 및 상기 연장프레임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연장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암부과 상기 완충연장부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암부는, 연장암부; 상기 연장암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힌지연결되는 프레임연결부; 상기 연장암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휠과 결합되는 캐리어와 연결되는 캐리어연결부; 및 상기 연장암부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연장부와 연결되는 회동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완충부는, 상기 완충연장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바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암부가 회동 시 상기 바연결부가 유동가능한 여유공간부를 형성하는 완충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완충부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연장부는, 중간부에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과 접하게 설치되는 완충아치부; 및 상기 완충아치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암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은, 아치 형상의 완충연장부를 프레임과 로어암부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완충연장부의 작용에 의해 로어암부의 유동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받은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현가장치에 구비되던 코일 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을 생략함에 따른 경량화와 공간활용도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어암부와 완충연장부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여 적용가능하므로, 로어암부와 완충연장부의 소재로서 금속재가 아닌 다른 차량용 복합소재를 적용하는 경우, 로어암을 금속재만으로 제작, 적용하던 기존과 비교해 동일한 강성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보다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암보강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1)은 프레임(100), 로어암부(200), 완충연장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캐리어(2)를 매개로 하여 좌우측 한 쌍의 휠과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한 쌍의 로어암부(200)를 지지하는 장치부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로어암부(200)는 좌우측 한 쌍이 구비되어, 프레임(100)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연결된다. 완충연장부(300)는 상하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100)과 로어암부(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로어암부(200)와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연장프레임부(110), 로어암연결부(120), 바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연장프레임부(110)는 프레임(100)의 주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로어암연결부(120)는 로어암부(200)와 힌지연결되는 장치부로, 연장프레임부(110)의 좌우측 양단부에 로어암부(200)를 향해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로어암연결부(120)는 연장프레임부(110)의 좌측단부, 우측단부 각각에 형성됨에 있어서, 전후단부에 한 쌍이 마주하는 형태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어암연결부(120) 각각에는 축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가 형성되고, 로어암부(200) 상에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연결부(220)가 홀부의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축부재에 연속하여 끼워짐으로써 상호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로어암연결부(120)에 의해 로어암부(200)와, 로어암부(200)와 연결된 완충연장부(300)가 상호 연결, 결속된다.
바고정부(130)는 완충연장부(300)를 설정위치에 구속하기 위한 장치부로, 연장프레임부(110)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바고정부(130)는 연장프레임부(110)의 전후단부에 한 쌍이 마주하는 형태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완충연장부(300)의 전후단부와 접하면서 완충연장부(300)의 전후방향 유동, 이동을 구속함과 동시에 상하방향 유동,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로어암부(200)과 완충연장부(300)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제작, 형성된다. 로어암부(200)와 완충연장부(300)의 소재로는, 나노복합소재, 섬유복합소재(예를 들어,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 등), 탄소복합소재(예를 들어, 탄소섬유강화수지 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로어암부(200)과 완충연장부(300)의 소재로는, 금속재와 비교해 현저히 경량의 성질을 가지면서도 금속에 준할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즉 금속을 대체하여 사용가능한 일명 '차량용 복합소재' 내지 '초경량 고강도 복합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로어암부(200)과 완충연장부(300)의 소재로는, 상기와 같이 금속재와 비교해 경량을 가지면서, 차량에 요구되는 강성 조건을 만족가능하다면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로어암부(200)과 완충연장부(300)에 적용하기 적합한 소재를 '차량용 복합소재'라 통칭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암보강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어암부(200)는 연장암부(210), 프레임연결부(220), 캐리어연결부(230), 회동완충부(240), 업소버연결부(250)를 포함한다.
연장암부(210)는 로어암부(200)의 주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연장암부(210)는 차량의 하중과,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작용하게 되는 불규칙한 반복하중, 휠의 선회에 따른 굽힘, 비틀림 등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암부(210)는 암본체부(211)와 암보강부(212)를 포함한다.
암본체부(211)는 차량용 복합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동완충부(2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암보강부(212)는 암본체부(211)와 다른 소재,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암본체부(211)를 커버링하며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암보강부(212)는 암본체부(211)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접하는 한 쌍의 측면보강부와, 한 쌍의 측면보강부를 연결하고 암본체부(211)의 상면부와 접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암보강부(212)는 금속재 판재를 암본체부(211)의 외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암보강부(212)는 프레임연결부(220)에서 캐리어연결부(230)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암보강부(212)에 의해 암본체부(211) 중 프레임(100), 쇽업소버(3), 캐리어(2)와의 연결부의 강성이 보강되고, 축부재, 부쉬부재, 체결부재 등을 이용한 프레임(100), 쇽업소버(3), 캐리어(2)와의 조립, 체결, 힌지 연결 등이 보다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중, 굽힘, 비틀림이 암본체부(211)와 암보강부(212)에 함께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암본체부(211)와 암보강부(212)를 구성하는 이종 소재가 서로의 강성, 탄성력 등을 보완하게 되므로, 연장암부(210)를 단일 소재로만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암본체부(211)를 커버링함에 따라 마모력, 충격력 등이 암보강부(212)에 주요하게 작용하게 되는데, 암보강부(212)만을 교체함으로써 연장암부(210)의 보수, 수리가 용이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연결부(220)는 프레임(100)의 로어암연결부(120)와 힌지연결되는 부분으로, 연장암부(210)의 일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프레임연결부(220)의 내부에는 부쉬(221)가 삽입된다. 부쉬(221)는 금속재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금속재 파이프의 외주부에 고무재가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축부재를 로어암연결부(120)와, 프레임연결부(220)에 결합된 부쉬(2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100)과 로어암부(200)를 상호 힌지연결할 수 있다.
캐리어연결부(230)는 휠(2)과 결합되는 캐리어(2)와 힌지연결되는 부분으로, 연장암부(21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캐리어연결부(230)는 캐리어(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자형 평면 형상을 가지며, 홀부가 전후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축부재를 캐리어연결부(230)의 홀부와, 캐리어(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캐리어(2)와 로어암부(200)를 상호 힌지연결할 수 있다.
회동완충부(240)는 완충연장부(300)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연장암부(210)의 중간부에, 즉 프레임연결부(220)와 캐리어연결부(230)의 사이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완충부(240)는 바연결부(241), 완충공간부(242), 탄성조절부재(245)를 포함한다.
바연결부(241)는 완충연장부(300)의 단부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충연결부(320)(이하 설명)와 일체로 연결된다. 완충공간부(242)는 바연결부(241)가 유동가능한 여유공간부를 형성하는 장치부로, 바연결부(24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공간부(242)는 제1완충공간부(243)와 제2완충공간부(244)를 포함한다.
도 6 상에서 제1완충공간부(243)는 바연결부(241)의 좌측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제2완충공간부(244)는 바연결부(241)의 우측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캐리어(2)의 상향 이동 시 연장암부(210)는 프레임연결부(220)를 중심으로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바연결부(241)는 제1완충공간부(243)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되고, 제1완충공간부(243)의는 너비가 축소되는 변형을 하게 된다. 캐리어(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 바연결부(241)는 초기 위치로 탄성 복귀되고, 제1완충공간부(243)의 너비 또한 초기 너비로 복원된다
캐리어(2)의 하향 이동 시 연장암부(210)는 프레임연결부(220)를 중심으로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바연결부(241)는 제2완충공간부(244)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되고, 제2완충공간부(244)는 너비가 축소되는 변형을 하게 된다. 캐리어(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 바연결부(241)는 초기 위치로 탄성 복귀되고, 제2완충공간부(244)의 너비 또한 초기 너비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제1완충공간부(243)와 제2완충공간부(244)는 연장암부(210)의 회동에 연동하여 너비가 신축되는 변형을 하게 된다.
탄성조절부재(245)는 상기와 같이 완충공간부(242)측으로 이동 및 복귀되는 바연결부(241)의 탄성력을, 다른 측면으로는 너비가 신축되는 완충공간부(242)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부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완충공간부(242)에 삽입,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245)는 탄성본체부(246)와 암고정부(247)를 포함한다.
탄성본체부(246)는 고무재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완충공간부(242)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완충공간부(242)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탄성본체부(246)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완충공간부(242)의 내면부에 끼워진다. 암고정부(247)는 체결부재에 의해 연장암부(210)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탄성본체부(246)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체결부재는 암본체부(211)와 암고정부(247)를 연속하여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탄성본체부(246)를 완충공간부(242) 상에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된다.
완충공간부(242)에 탄성조절부재(245)를 설치한 경우, 완충공간부(242)가 중공의 상태를 가지는 경우 보다 강한 회동력이 작용해야 바연결부(241)가 완충공간부(242)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탄성조절부재(245)의 탄성계수가 클수록 보다 강한 회동력이 작용해야 바연결부(241)가 완충공간부(242)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탄성조절부재(245)의 탄성계수를 크게 적용할수록 연장암부(210)의 회동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조절부재(245)의 설치 여부, 탄성조절부재(245)의 탄성계수에 따라, 바연결부(241)와 완충공간부(242)의 탄성력을 증감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245)는 제1완충공간부(243)에 설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2완충공간부(244)에만 설치되거나, 제1완충공간부(243)와 제2완충공간부(244)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업소버연결부(250)는 쇽업소버(3)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장치부로, 연장암부(210) 중 캐리어연결부(230)와 회동완충부(240)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소버연결부(250)는 쇽업소버(3)의 하부가 인입될 수 있게 연장암부(210)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부와, 연장암부(21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홈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홀부를 포함한다. 쇽업소버(3)의 하부를 홈부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축부재를 연장암부(210)의 홀부와 쇽업소버(3)의 하부를 연속하여 관통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쇽업소버(3)를 연장암부(210)에 힌지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쇽업소버(3)는 로어암부(200)의 업소버연결부(250)에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로어암부(200)에는 휠과 연결되는 캐리어(2)와, 차체와 연결되는 쇽업소버(3)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 회동력, 비틀림력을 복합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쇽업소버(3)는 차량의 사양에 따라 캐리어(2)에 결합되거나, 그 설치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어암부(200)에는 업소버연결부(250)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연장부(300)는 완충아치부(310)와 완충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완충아치부(310)는 상하방향으로의 하중을 완충시키는 장치부로, 중간부에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구부러진 막대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100)의 하부에 접하게 설치된다. 프레임(100)의 연장프레임부(11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완충아치부(310)는 연장프레임부(11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완충연결부(320)는 완충아치부(310)의 좌우측 양단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로어암부(200)의 바연결부(241)와 일체로 연결된다. 완충아치부(310)가 상기와 같이 아치형상을 가짐에 따라, 완충연결부(320)에 상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하게 되면, 완충아치부(310)가 탄성부재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완충연결부(320)를 탄성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완충연결부(320)에 작용하는 상향 이동력이 완충아치부(310)의 탄성력보다 강한 경우에만, 연장암부(210)의 상향 회동(도 4 내지 도 6 상에서 시계방향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2)에 작용하는 상향력이 완충아치부(310)와 탄성조절부재(245), 바연결부(241)와 완충연결부(320)의 탄성력보다 강한 경우에만 연장암부(210)의 상향 회동(도 4 내지 도 6 상에서 시계방향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연장암부(210)의 상향 회동 시 상기와 같은 완충아치부(310), 탄성조절부재(245)의 작용에 의해 연장암부(210)의 유동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받은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1)에 의하면, 아치 형상의 완충연장부(300)를 프레임(100)과 로어암부(200)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완충연장부(300)의 작용에 의해 로어암부(200)의 유동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받은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현가장치에 구비되던 코일 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을 생략함에 따른 경량화와 공간활용도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어암부(200)와 완충연장부(300)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여 적용가능하므로, 로어암부(200)와 완충연장부(300)의 소재로서 금속재가 아닌 다른 차량용 복합소재를 적용하는 경우, 로어암을 금속재만으로 제작, 적용하던 기존과 비교해 동일한 강성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보다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로어암 2 : 캐리어
3 : 쇽업소버 100 : 프레임
110 : 연장프레임부 120 : 로어암연결부
130 : 바고정부 200 : 로어암부
210 : 연장암부 211 : 암본체부
212 : 암보강부 220 : 프레임연결부
221 : 부쉬 230 : 캐리어연결부
240 : 회동완충부 241 : 바연결부
242 : 완충공간부 243 : 제1완충공간부
244 : 제2완충공간부 245 : 탄성조절부재
246 : 탄성본체부 247 : 암고정부
250 : 업소버연결부 300 : 완충연장부
310 : 완충아치부 320 : 완충연결부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힌지연결되는 로어암부; 및
    상하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로어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로어암부와 연결되는 완충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암부는,
    연장암부;
    상기 연장암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힌지연결되는 프레임연결부;
    상기 연장암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휠과 결합되는 캐리어와 연결되는 캐리어연결부; 및
    상기 연장암부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연장부와 연결되는 회동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완충부는,
    상기 완충연장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바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암부가 회동 시 상기 바연결부가 유동가능한 여유공간부를 형성하는 완충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연장프레임부;
    상기 연장프레임부의 단부를 상기 로어암부와 힌지연결하는 로어암연결부; 및
    상기 연장프레임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연장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바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부과 상기 완충연장부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완충부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연장부는,
    중간부에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과 접하게 설치되는 완충아치부; 및
    상기 완충아치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암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
KR1020180116064A 2018-09-28 2018-09-28 차량용 로어암 KR10208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64A KR102083810B1 (ko) 2018-09-28 2018-09-28 차량용 로어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64A KR102083810B1 (ko) 2018-09-28 2018-09-28 차량용 로어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810B1 true KR102083810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64A KR102083810B1 (ko) 2018-09-28 2018-09-28 차량용 로어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8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8918A (en) * 1981-12-24 1984-07-10 Ford Motor Company Rear wheel suspension with a transverse leaf spring
US6189904B1 (en) * 1998-10-16 2001-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wheel suspension with transverse leaf spring and mounts providing a high roll ratio
JP2001047828A (ja) * 1999-08-06 2001-02-20 Araco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60065345A (ko) * 2014-11-28 2016-06-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8918A (en) * 1981-12-24 1984-07-10 Ford Motor Company Rear wheel suspension with a transverse leaf spring
US6189904B1 (en) * 1998-10-16 2001-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wheel suspension with transverse leaf spring and mounts providing a high roll ratio
JP2001047828A (ja) * 1999-08-06 2001-02-20 Araco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60065345A (ko) * 2014-11-28 2016-06-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149B1 (ko) 횡단 컨트롤 암과 상기 횡단 컨트롤 암에 연결된 중앙 리프 스프링을 가진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
EP1987969B1 (en) Shackle assembly
KR101109823B1 (ko)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차륜용 서스펜션 장치 및 방법
KR100319580B1 (ko) 전방서스펜션
KR20150082651A (ko) 차량용 축
US20090085318A1 (en) Vehicle leaf spring suspension with radius arms
US10427481B2 (en)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CN115139714B (zh) 汽车的悬架装置
JP6312731B2 (ja) ダブルウィシュボーン型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083810B1 (ko) 차량용 로어암
KR20230009654A (ko) 차량의 현가장치
US10894455B2 (en) Trailing-arm suspension with leaf springs
EP4101750B1 (en) Tilting two wheel front fork assembly for a vehicle
EP0752934B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2010513115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JP2015123953A (ja) 車軸のラジアスロッド取付構造
US3005641A (en) Suspension mechanism for vehicles
JP4141801B2 (ja) 緩衝装置付きフレーム
US11897304B1 (en) Stabilizer bar support structure of off-road vehicle and off-road vehicle
KR20170077958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장치
KR20090052045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너클
JP2015123952A (ja) トラニオンブラケット
CN216033593U (zh) 一种车辆悬架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220301432U (zh) 一种工程机械用驾驶室防倾翻结构
JPH0999721A (ja) 車両用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