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345A -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345A
KR20160065345A KR1020140168832A KR20140168832A KR20160065345A KR 20160065345 A KR20160065345 A KR 20160065345A KR 1020140168832 A KR1020140168832 A KR 1020140168832A KR 20140168832 A KR20140168832 A KR 20140168832A KR 20160065345 A KR20160065345 A KR 2016006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uspension
lower arm
vehicle
wheel carri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345A/ko
Publication of KR2016006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having one longitudinal arm and two parallel transversal arms, e.g. dual-link type strut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t least one of the arms itself being resilient, e.g. 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 구조의 리어 서스펜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캐리어와, 상기 휠캐리어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어퍼 암과, 휠 캐리어의 전측 부분과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암을 갖는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 일측과 상기 휠 캐리어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 일측과 차체 사이에 구비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Structure of rear suspension integrated with coil spring and lower arm}
본 발명은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휠 및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장치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적재된 수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무리한 충격에 의해 차체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휠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하여 주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코일스프링(4)과 로워암(3)이 별개로 구성된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1)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코일스프링(4)과 로워암(3)이 별개로 구성된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1)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좌굴 방지를 위한 리어서스펜션(1)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5)와, 상기 휠 캐리어(5)의 하측부와 크로스 멤버(2)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된 로워암(3)과, 상기 휠 캐리어(5)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2)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어퍼 암(7)과, 상기 휠 캐리어(5)의 전측부분과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 암(6)과, 상기 로워암(3)의 차체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쇽업쇼버(20) 및 코일 스프링(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1)은 주요구성 중 주요 역할을 하는 부품인 로워암(3)과 코일 스프링(4) 및 쇽업쇼버(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멀티 링크의 리어 서스펜션(1) 구조 중 충격흡수 및 감소의 역할을 하는 주요 구성품은 쇽업쇼버(20)와 코일스프링(4)이며 이를 지지하는 로워암(3)으로 최소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들은 상호간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충격 흡수 및 감소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4), 로워암(3) 및 쇽업소버(20)를 모두 별개의 부품으로 결합시키게 되는 경우, 각 구성품별 개발비용, 개발, 연구기간이 발생되게 되고, 각 부품별 중량으로 인한 차량의 총 중량이 증가하게 되며, 중량 증가에 따른 연비 저하 등의 효율성이 감소되게 되고, 각 부품의 제조, 품질 등의 관리요소가 증대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41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193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23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631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리어 서스펜션 구성의 부품수를 축소 단순화 및 일체화한 구조를 갖는 멀티링크 구조의 리어 서스펜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리어 서스펜션의 스프링과 로워암을 일체화한 구조를 채용하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축소시키고, 부품수 축소에 따른 비용감소, 일정단축, 관리요소 축소가 가능한 멀티링크 구조의 리어 서스펜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캐리어와, 상기 휠캐리어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어퍼 암과, 휠 캐리어의 전측 부분과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암을 갖는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 일측과 상기 휠 캐리어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 일측과 차체 사이에 구비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판재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형 스프링 일단은 상기 크로스 멤버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휠 캐리어의 하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쇽업쇼버는 상기 판재형 스프링의 상면 일측과 차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재형 스프링과 상기 쇽업쇼버에 의해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리어 서스펜션 구성의 부품수를 축소 단순화 및 일체화한 구조를 갖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리어 서스펜션의 스프링과 로워암을 일체화한 구조를 채용하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축소시키고, 부품수 축소에 따른 비용감소, 일정단축, 관리요소 축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스프링과 로워암이 별개로 구성된 리어 서스펜션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프링과 로워암이 별개로 구성된 리어 서스펜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리어 서스펜션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쇽업쇼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스프링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4)과 로워암(3)이 일체화된 리어 서스펜션(1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100) 구조는 통상의 멀티구조와 같이,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캐리어(5)와, 상기 휠캐리어(5)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2)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어퍼암(7)과, 휠 캐리어(5)의 전측 부분과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암(6)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100) 구조는 기존과 달리, 코일스프링(4)과 로워암(3)이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되게 된다. 즉, 요구되는 스프링(4) 특성의 탄성을 갖는 판형 완충부재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캐리어(5)의 하측부와 크로스 멤버(2)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되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쇽업쇼버(20)는 이러한 판형 완충부재와 차체 사이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쇽업쇼버(2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스프링(10)(2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 스프링(10)(20)으로 구성되며, 탄성은 종래 멀티링크의 서스펜션(1) 구조에 적용되는 코일 스프링(4)에 대응되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며, 일단은 휠 캐리어(5)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크로스 멤버(2) 일측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형 스프링(10)(20)은 종래 멀티링크의 서스펜션(100) 구조의 로워암(3)과 코일 스프링(4)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기존의 상하운동을 하는 서스펜션의 동작은 그대도 유지한 채, 종래 노면으로부터의 입력되는 충력, 진동을 흡수, 감쇠하는 코일 스프링(4), 쇽업쇼버(20), 로워암(3) 구조에서, 로워암(3)과 코일스프링(4)이 판재형 스프링(10)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기존 코일스프링(4)과 로워암(3) 구조를 판재형 스프링(10)으로 일원화하게 됨으로써, 서스펜션의 구성부품수를 축소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각 구성품별 개발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부품수 축소에 따른 중량 감소로 연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부품의 제조, 품질 등의 관리요소가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2:크로스 멤버
3:로워암
4:코일스프링
5:휠 캐리어
6:트레일링암
7:어퍼암
10:판재형 스프링
20:쇽업쇼버
100: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Claims (3)

  1.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캐리어와, 상기 휠캐리어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어퍼 암과, 휠 캐리어의 전측 부분과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암을 갖는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 일측과 상기 휠 캐리어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 일측과 차체 사이에 구비되는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판재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형 스프링 일단은 상기 크로스 멤버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휠 캐리어의 하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쇽업쇼버는 상기 판재형 스프링의 상면 일측과 차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재형 스프링과 상기 쇽업쇼버에 의해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KR1020140168832A 2014-11-28 2014-11-28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KR20160065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32A KR20160065345A (ko) 2014-11-28 2014-11-28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32A KR20160065345A (ko) 2014-11-28 2014-11-28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45A true KR20160065345A (ko) 2016-06-09

Family

ID=5613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32A KR20160065345A (ko) 2014-11-28 2014-11-28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10B1 (ko) * 2018-09-28 2020-03-03 (주)화신 차량용 로어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318A (ko) 2005-12-21 2007-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서스펜션 구조
KR20070094182A (ko) 2006-03-16 2007-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좌굴 방지를 위한 리어서스펜션
KR100811935B1 (ko) 2006-10-31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KR20110072385A (ko) 2009-12-22 2011-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318A (ko) 2005-12-21 2007-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서스펜션 구조
KR20070094182A (ko) 2006-03-16 2007-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좌굴 방지를 위한 리어서스펜션
KR100811935B1 (ko) 2006-10-31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KR20110072385A (ko) 2009-12-22 2011-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서스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10B1 (ko) * 2018-09-28 2020-03-03 (주)화신 차량용 로어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6513A3 (en) Vehicle suspensions having leaf springs and alternative clamp groups
CN203995534U (zh) 横置非金属板簧的前独立悬架
CN204354759U (zh) 电动厢式运输车拖曳臂式后悬挂系统
CN203752819U (zh) 一种口型副车架的前悬架总成
KR20160065345A (ko)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CN104527360A (zh) 电动厢式运输车拖曳臂式后悬挂系统
CN206617496U (zh) 一种重型汽车弹簧装置
CN105922819A (zh) 一种减震型婴儿车轮
CN205168087U (zh) 一种悬架控制臂
CN203372344U (zh) 电动三轮车减震装置
CN105889395A (zh) 一种汽车避震器用弹簧的稳定结构
CN103486174B (zh) 一种减震弹簧
CN203161960U (zh) 一种多弹簧组合减震器
CN202201114U (zh) 一种带限位装置的液压悬挂电动三轮车
CN204452756U (zh) 一种车轴
CN104589942A (zh) 扭转梁半独立悬架结构
CN105291744A (zh) 一种房车独立悬挂装置
CN204878494U (zh) 一种大筒双吊环后减震器
CN209776587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平板自卸半挂车厢
CN208558924U (zh) 一种高减震性前后副车架多连杆系统
CN203358262U (zh) 扭转梁后桥横梁
CN102673338A (zh) 一种汽车单横臂式的独立前悬架
CN205417965U (zh) 一种刹车方便的三轮车
CN203198657U (zh) 一种汽车摆臂总成
JP2018108785A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