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935B1 -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935B1
KR100811935B1 KR1020060106093A KR20060106093A KR100811935B1 KR 100811935 B1 KR100811935 B1 KR 100811935B1 KR 1020060106093 A KR1020060106093 A KR 1020060106093A KR 20060106093 A KR20060106093 A KR 20060106093A KR 100811935 B1 KR100811935 B1 KR 10081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module
support
housing
support shaf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타입 전후방향 트레일링암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멀티 링크 리어 서스펜션 모듈을 차체에 조립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트레일링암을 한꺼번에 조립 정위치로 정확히 보정할 수 있고, 특히 이 과정에서 종래의 유압 기구를 사용하거나 강제적 방법으로 조립하는 방식에 비하여 조립시간 단축, 비용 절감, 조립품질도 향상, 작업편의성 향상, 조립인원 축소 등의 장점을 제공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106093
차량, 서스펜션, 지그, 트레일링암, 서포트 기구

Description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Jig apparatus for assembling suspension module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링크 리어 서스펜션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도 3b, 도 3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지그 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에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듈 6 : 트레일링암
7 : 부시 11 : 부시 장착부
100 : 지그 장치 110 : 하부 플레이트
111 : 고정블록 112 : 장착 플레이트
121, 122, 123 : 서포트 기구 124 : 하우징
127 : 지지축 128 : 고정용 브라켓
본 발명은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타입 전후방향 트레일링암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멀티 링크 리어 서스펜션 모듈을 차체에 조립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suspension) 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는 크게 프론트 서스펜션 장치와 리어 서스펜션 장치로 분류되며, 그중 리어 서스펜션 장치에는 보통 3 내지 5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액슬의 위치를 결정하는 멀티 링크 리어 서스펜션 장치가 차종에 따라 적용되기도 한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링크 리어 서스펜션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서스펜션 장치(모듈)(1)가 서브 프레임(2), 리어 어퍼암(3), 프론트 어퍼암(4), 로어암(5), 트레일링암(6), 캐리어(9), 쇽업소버(10)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트레일링암(6)의 끝단부(11)에는 부시(7)가 장착되며, 도면부호 8은 차체에 결합되는 볼트를 나타낸다.
한편, 도시한 바의 서스펜션 모듈(1)은 차량의 차체에 조립할 때에 리바운드 상태에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타입의 트레일링암(6) 구조를 가지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1)은 리바운드 상태에서 좌우 트레일링암(6)의 스팬(도 1에서 'L'로 표시됨)이 서스펜션 특성상 공차시보다 일반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차량의 중량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리바운드 상태)에서는 휠 트레드(tread)가 줄어들고 액슬 및 트레일링암(6)이 내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발생한다.
즉, 좌, 우측의 트레일링암(6)이 차체와의 조립 정위치보다 안쪽으로 틀어져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리바운드 상태에서 리어 서스펜션 모듈(1)을 조립할 때 트레일링암 부시(7)의 마운팅 위치가 차체 마운팅 위치와 불일치하게 되며(도면부호 8인 트레일링암 볼트의 위치와 차체 체결홀 위치가 맞지 않음), 결국 실제 조립시에는 조립 정위치 상에 놓이도록 좌, 우측의 트레일링암(6)을 바깥쪽으로 약간 벌려주는 횡방향 위치 보정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횡방향 위치 보정 방법으로는 별도의 유압 지그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강제로 정위치시키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압 공구의 사용은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실제 구성시에 유압라인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또한 공구를 사용하는 방법은 작업자에게 무리한 힘과 노력을 요하며, 위치를 정확히 보정하는데 많은 애로점이 있고, 좌측과 우측을 각각 분리하여 위치를 보정해야 하므로 조립 인원 및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링크 리어 서스펜션 모듈을 차체에 조립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지그 장치로서, 좌우 트레일링암을 한꺼번에 조립 가능한 위치로 정확히 보정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종래의 유압 기구를 사용하거나 강제적 방법으로 조립하는 방식에 비하여 조립시간 단축, 비용 절감, 조립품질도 향상, 작업편의성 향상, 조립인원 축소 등의 장점을 제공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모듈이 차체와 조립되는 동안 얹혀져 거치되는 지그 장치로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트레일링암을 포함한 상기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각 부를 지지하게 되는 다수개의 서포트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서포트 기구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단부에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에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끼워져서 하우징과 핀 결합됨으로써 사용시에는 세워져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용 브라켓을 매개로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미사용시에는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눕힘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핀 홀이, 상기 지지축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롯 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핀 홀과 슬롯 홀에 핀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지지축이 상기 하우징에 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핀이 상기 슬롯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 유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하단부에 원추형의 피봇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저면의 피봇홀 및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장착 플레이트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일링암을 지지하게 되는 서포트 기구의 고정용 브라켓은 초승달 모양의 플레이트 두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두 플레이트 사이로 상기 트레일링암의 부시 장착부 하단부위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두 플레이트가 상단 원호형상부를 통해 상기 부시 장착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측방 돌출된 부위를 각각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축이 눕혀지는 방향의 양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눕힘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도 3b, 도 3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지그 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그리고,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에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a는 서포트 기구(121)의 지지축(127)이 세워진 상태에서 트레일링암(6)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5b는 지지축(127)이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 타입의 트레일링암을 가지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도 1에서 도면부호 1)을 차체에 조립할 때 사용하게 되는 지그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지그 장치(100)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을 조립할 때 차량의 리바운드 상태(차량의 중량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안쪽으로 돌아가 있게 되는 트레일링암(도 1에서 도면부호 6임)을 조립 정위치로 보정하여 차체에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그 장치(100)는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 외에 서스펜션 모듈의 각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 기구(122,123a,123b)를 가지며, 상기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를 포함한 모든 서포트 기구(121,122,123a,123b)들이 사용시에는 각각의 지지축(127)을 수직으로 세워 고정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옆으로 눕혀놓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바, 차종에 따라 필요한 것만 선택하여 지지축(127)을 수직으로 세운 뒤 해당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을 지지시키게 된다.
차종에 따라 서스펜션 모듈의 구조 및 구성이 다르고 서스펜션 모듈의 종류에 따라 지지되는 부분이 상이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서포트 기구에 대해서는 지지축(127)을 눕혀놓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그 장치(100)는, 여러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에 대해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부 서포트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지지축(127)을 수직 고정하고 사용하지 않는 서포트 기구는 지지축(127)을 눕혀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차종 혼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차체와의 조립 공정시에 서스펜션 모듈이 도시한 바의 지그 장치(100) 위에 거치된 상태, 즉 지그 장치 위에 올려져 지지된 상태에서 차량의 차체와 조립되게 된다.
우선,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지그 장치(100)는 하부 플레이트(110),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 상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블록(111), 상기 고정블록(11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장착 플레이트(112), 상기 장착 플레이트(112) 상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 상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서포트 기구(121,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체와 조립되는 동안 서스펜션 모듈이 지그 장치(100) 위에 얹혀져 거치될 수 있도록 각 서포트 기구(121,122,123a,123b)는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암(arm) 부분 등 서스펜션 모듈의 각 부를 지지하는 부분이 된다.
차종마다 서스펜션 모듈의 구조 및 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그 장치(100) 위에 거치될 때 각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은 차종에 따라 서포트 기구(121,122,123a,123b)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약간씩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 즉 차종에 상관없이 여러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여러 위치에 서포트 기구(121,122,123a,123b)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그 장치(100)에서 각 서포트 기구(121,122,123a,123b)는 사용시에는 각각의 지지축(127)을 수직으로 세워놓을 수 있으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옆으로 눕혀 놓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러 서포트 기구 중에 앞쪽의 좌우 양측에 별도로 설치된 두 개의 서포트 기구(121)는 트레일링암을 지지하는 서포트 기구이며, 뒷쪽의 좌우 양측에 별도로 설치된 두 개의 서포트 기구(122)는 서스펜션 모듈에서 수직으로 길게 세워진 쇽업소버를 측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기구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서포트 기구가 고정블록(111)에 고정된 각각의 장착 플레이트(112) 상면에 설치되고 있으나, 일부 서포트 기구(123b)는 하부 플레이트(11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쇽업소버 지지용 서포트 기구(122)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서포트 기구(121,123a,123b)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옆으로 눕혀 놓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각 서포트 기구(121,123a,123b)의 지지축(127) 상단부에 형성되는 브라켓(123a,123b,128)의 형상은 서스펜션 모듈의 지지하는 부분에 따라 달리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를 도시한 것으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는 지지축(127) 상단부의 형상이 트레일링암 부시 장착부(도 5a와 도 5b에서 도면부호 11임)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서 트레일링암(6)의 안쪽 회전을 막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축(127) 상단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100)에 설치된 모든 서포트 기구(121,123a,123b)의 구성 및 구조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를 예로 들어 지그 장치의 서포트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는 측방으로 길게 설치된 장착 플레이트(112)의 선단부 상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 구(121)의 설치위치는 정확하게는 지지되는 서스펜션 모듈에서 좌우 트레일링암(6)의 끝단부인 부시 장착부(11)가 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축이 눕혀지는 방향으로 양 측면에는 절개부(126)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장착 플레이트(또는 하부 플레이트)(112)에 볼팅되는 하부 플랜지(125)가 형성된 구조의 하우징(124)과, 상기 하우징(124) 내측으로 끼워져 핀 결합구조에 의해 하우징(124)과 조립되고 상기 핀 결합구조를 중심으로(정확히는 도면부호 131인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124)의 절개부(126)를 통해 눕힘이 가능하면서 수직 세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축(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127)은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를 실제 지지하는 부분으로, 하우징(124)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며, 하단부에는 하우징(124) 저면의 피봇홀(124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원추형의 피봇부(127a)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암 고정용 브라켓(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봇부(127a)는 지지축(127)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우징(124) 내부 저면에 형성된 피봇홀(124a)과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장착 플레이트(112)(도면부호 123b로 표시된 서포트 기구의 경우에는 하부 플레이트(110)임)에 형성된 홀(112a)(도면부호 123b로 표시된 서포트 기구의 경우에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홀(110a)임)을 통해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바, 지지축(127)은 피봇부(127a)가 상기 피봇홀(124a) 및 장착 플레이트(112)의 홀(11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4)과 지지축(127)은 핀 결합구조로 결합되며, 하우징(124)에는 핀 홀(124b)이, 지지축(127)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롯 홀(127b)이 형성되어, 핀 홀(124b)과 슬롯 홀(127b)에 핀(131)이 끼워짐으로써 하우징(124)과 지지축(127)이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축(127)의 핀 결합구조는 하우징(124)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핀(131)이 슬롯 홀(127b)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로 유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서포트 기구(121)의 사용시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127)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 피봇부(127a)를 피봇홀(124a)에 밀어넣음으로써 고정시키며, 이렇게 지지축(127)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축(127) 상단부의 브라켓(128)에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는 부시 장착부(11)임)을 지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 홀(127b)의 상하 유격을 이용해 지지축(127)을 위로 당겨 피봇부(127a)를 피봇홀(124a)로부터 빼낸 뒤 하우징(124)의 절개부(126)를 통해 핀(1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127)은 옆으로 눕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암 고정용 브라켓(128)은 트레일링암(6)의 부시 장착부(1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특히 부시 장착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레일링암(6)이 안쪽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부분이 된다.
상기 암 고정용 브라켓(128)은 초승달 모양의 플레이트(129) 두 개가 나란하 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두 플레이트(129)의 상단 원호형상부(129a)에 트레일아암(6)의 부시 장착부(11)가 지지되게 된다.
상기 암 고정용 브라켓(128)의 두 플레이트(129)는 원호형상부(129a)를 통해 부시 장착부(11)에서 좌우 양측으로 측방 돌출된 부위(11a)를 각각 지지하는 바, 두 플레이트(129) 사이로 부시 장착부 하단부위(11b)가 끼워지면서 부시 장착부(11)가 암 고정용 브라켓(128)과 결합되게 된다(도 5a 참조).
상기와 같이 부시 장착부(11)가 두 플레이트(129) 사이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트레일링암(6)은 조립 정위치에 놓여진 상태로 안쪽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그 장치(100)의 앞쪽 좌우 양측에 배치된 두 서포트 기구(121)에 트레일링암 부시 장착부(11)를 결합시켜 지지시키게 되면 트레일링암(6)의 횡방향 스팬을 차량의 공차상태에 상당하도록 하여 서스펜션 모듈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되며, 트레일링암의 위치를 조립 정위치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바운드 상태에서 트레일링암의 스팬이 일정한 정도로 축소되어 있으므로, 최초 지그 장치에 안착할 시에 스팬 값 L(도 1에 표시함)의 세팅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트레일링암(6)에 약간이 힘을 가해야 하나, 안착 후에는 모듈 부품의 자중에 의하여 트레일링암이 오무려지려는 힘이 상쇄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트레일링암 부시 마운팅 위치를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위치로 좌, 우측을 한꺼번에 정확히 보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a, 도 5b를 참조하여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도시된 트레일링암 지지용 서포트 기구(121) 외에 나머지 서포 트 기구(123a,123b) 모두가 도 4와 도 5a, 도 5b에 도시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바, 조립하고자 하는 서스펜션 모듈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것들은 각각의 지지축(127)을 수직으로 세워 고정한 뒤 서스펜션 모듈을 지지시키고, 사용하지 않는 것들은 지지축(127)을 옆으로 눕혀 놓게 된다.
특히, 다수개의 서포트 기구(121,123a,123b) 중에 차종별 서스펜션 모듈의 구조 및 구성에 따라 조립시에 사용되는 서포트 기구가 달라지는 바, 지그 장치에 구비된 모든 서포트 기구들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립되는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에 따라 필요한 서포트 기구를 선택하여(필요한 일부만 사용), 사용하지 않는 일부는 눕혀놓고, 사용하는 나머지 일부는 수직으로 세워, 수직으로 세운 일부 서포트 기구를 이용해 서스펜션 모듈을 지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서포트 기구를 선택하여 고정하고 나머지는 눕혀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다차종 혼류 생산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에 의하면, 플레이트 타입 전후방향 트레일링암 구조를 가지는 멀티 링크 리어 서스펜션 모듈을 조립하는데 이용하는 지그 장치로서, 좌우 트레일링암을 한꺼번에 조립 가능한 위치로 정확히 보정할 수 있고, 종래의 유압 기구를 사용하거나 강제적 방법으로 조립하는 방식에 비하여 조립시간 단축, 비용 절감, 조립품질 도 향상, 작업편의성 향상, 조립인원 축소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차종의 서스펜션 모듈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서포트 기구를 선택하여 고정하고 나머지는 눕혀놓을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다차종 혼류 생산이 가능해지게 된다.

Claims (5)

  1.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모듈이 차체와 조립되는 동안 얹혀져 거치되는 지그 장치로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트레일링암을 포함한 상기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각 부를 지지하게 되는 다수개의 서포트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서포트 기구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단부에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에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끼워져서 하우징과 핀 결합됨으로써 사용시에는 세워져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용 브라켓을 매개로 리어 서스펜션 모듈의 해당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미사용시에는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눕힘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핀 홀이, 상기 지지축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롯 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핀 홀과 슬롯 홀에 핀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지지축이 상기 하우징에 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핀이 상기 슬롯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 유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하단부에 원추형의 피봇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저면의 피봇홀 및 장착 플레이트의 홀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암을 지지하게 되는 서포트 기구의 고정용 브라켓은 초승달 모양의 플레이트 두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두 플레이트 사이로 상기 트레일링암의 부시 장착부 하단부위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두 플레이트가 상단 원호형상부를 통해 상기 부시 장착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측방 돌출된 부위를 각각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축이 눕혀지는 방향의 양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눕힘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KR1020060106093A 2006-10-31 2006-10-31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KR10081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093A KR100811935B1 (ko) 2006-10-31 2006-10-31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093A KR100811935B1 (ko) 2006-10-31 2006-10-31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935B1 true KR100811935B1 (ko) 2008-03-10

Family

ID=3939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093A KR100811935B1 (ko) 2006-10-31 2006-10-31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9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94B1 (ko) * 2013-04-16 2014-09-17 티아이씨(주) 프런트액슬 하우징 어셈블리 용접 지그
KR20160065345A (ko) 2014-11-28 2016-06-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CN109823447A (zh) * 2019-03-28 2019-05-31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矿车车架拼点顶紧工装
CN111422282A (zh) * 2020-03-20 2020-07-17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后悬线下调整工装结构
CN111687771A (zh) * 2020-06-15 2020-09-22 广西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双横臂式后独立悬架总成装配工装
CN115674083A (zh) * 2022-11-17 2023-02-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悬架分装平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251A (ja) 1999-11-25 2001-06-05 Daihatsu Motor Co Ltd ワークの加工組立ライン
KR20030006285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생산라인의 대차 공용화 장치
KR20040008800A (ko) * 2002-07-19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용 클램프장치
KR20050005842A (ko) * 2003-07-07 2005-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클램핑 장치
JP2005052880A (ja) 2003-08-07 2005-03-03 Central Motor Co Ltd 多面クランパ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251A (ja) 1999-11-25 2001-06-05 Daihatsu Motor Co Ltd ワークの加工組立ライン
KR20030006285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생산라인의 대차 공용화 장치
KR20040008800A (ko) * 2002-07-19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용 클램프장치
KR20050005842A (ko) * 2003-07-07 2005-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클램핑 장치
JP2005052880A (ja) 2003-08-07 2005-03-03 Central Motor Co Ltd 多面クランパ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94B1 (ko) * 2013-04-16 2014-09-17 티아이씨(주) 프런트액슬 하우징 어셈블리 용접 지그
KR20160065345A (ko) 2014-11-28 2016-06-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스프링과 로워암이 일체화된 차량 멀티링크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
CN109823447A (zh) * 2019-03-28 2019-05-31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矿车车架拼点顶紧工装
CN111422282A (zh) * 2020-03-20 2020-07-17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后悬线下调整工装结构
CN111687771A (zh) * 2020-06-15 2020-09-22 广西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双横臂式后独立悬架总成装配工装
CN115674083A (zh) * 2022-11-17 2023-02-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悬架分装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935B1 (ko) 차량 서스펜션 모듈 조립용 지그 장치
EP1911661A1 (en) Suspension Subassembly
WO2007095198A1 (en) Height adjustment blocks for leaf spring suspension
US5918893A (en) Subframe for a motor vehicle
US20090102152A1 (en) Rear radius arm and rear radius arm mount for improved handling of factory and lifted large-scale suspension strokes and articulations for on and off road vehicles
JP2009166796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1023405Y (zh) 一种汽车下控制臂总成
US6702325B1 (en) Modular trailing arm suspension
US7017941B2 (en) Walking beam assembly
KR20000063026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 구조
GB2387155A (en) A road vehicle suspension uni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suspension unit and fitting the unit to a road vehicle
KR20180066540A (ko) 조립성 향상을 위한 분리형 횡치 리프 스프링
JP4595799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
JP2005041402A (ja) ブラケット構造
CN220096509U (zh) 汽车后副车架与多连杆后悬架的分装装置
CN107839824A (zh) 三轮汽车前悬架系统
KR20030040957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KR102074498B1 (ko)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0474B1 (ko) 리프스프링 적용차량의 휠 얼라인먼트 조절장치
EP1578655B1 (en) Stabilizer
KR20220165077A (ko) 차량용 샤시모듈 장치
CN116766847A (zh) 一种振荡机构及其后悬架系统应力消除方法
CN115257978A (zh) 一种新型商用车驾驶室单扭杆零预偏前悬置翻转系统
WO2001008909A1 (en) Modular trailing arm suspension
JPH0324616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