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036B1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036B1
KR102082036B1 KR1020177007307A KR20177007307A KR102082036B1 KR 102082036 B1 KR102082036 B1 KR 102082036B1 KR 1020177007307 A KR1020177007307 A KR 1020177007307A KR 20177007307 A KR20177007307 A KR 20177007307A KR 102082036 B1 KR102082036 B1 KR 10208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terminal
contact surface
disc brak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860A (ko
Inventor
다케루 가네다
가즈모토 사노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31/00Overall arrangement of the actuators or their elements, e.g.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84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모터에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하니스의 일단에 고정되는 접합 단자(256)가, 각 돌출부(265) 및 한 쌍의 가압부(26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가, 그 폭 방향 및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가압부(264)에 의해,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 단자(256)의 돌출부(265)에 의해, 커넥터 단자(255)의 단부(258A)와 접촉면부(263)의 단부(268A)를 일치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각각의 단부(258A, 268A)를 걸치는 것과 같은 용접부(266)를 형성할 수 있어, 강고히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를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속 구조에 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에 이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에는, 주차 브레이크 시 등에 전동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4-2919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커넥터 단자와 모터 배선의 접합 단자의 접합이 탄성 결합으로 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 시의 진동에 의해 전동 모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동 모터에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캘리퍼에 수용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를 작동시켜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캘리퍼에 부착되고 상기 모터를 수용함과 함께 덮개 부재로 폐색되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선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평판면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모터를 접속시키는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의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합되는 접합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합 단자는, 상기 배선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에 대향하는 접촉면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의 이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촉면부가 상기 커넥터 단자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커넥터 단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에 걸쳐 형성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하면, 전동 모터에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하우징 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 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단자에 접합 단자를 조립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단자에 접합 단자를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단자에 접합 단자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회전 직동 변환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접합 단자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접합 단자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접합 단자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접합 단자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접합 단자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디스크 브레이크(1)에는, 차량의 회전부에 부착된 디스크 로터(D)를 사이에 두고 축 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와, 캘리퍼(4)가 설치되어 있다. 본 디스크 브레이크(1)는, 캘리퍼 부동형(浮動型)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와, 캘리퍼(4)는, 차량의 너클 등의 비회전부에 고정된 브래킷(5)에 디스크 로터(D)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우측을 일단측으로 하고, 좌측을 타단측으로 하여 적절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캘리퍼(4)의 주체인 캘리퍼 본체(6)는, 차량 내측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기단측에 배치되는 실린더부(7)와, 차량 외측의 외측 브레이크 패드(3)에 대향하는 선단측에 배치되는 갈고리부(爪部; 8)를 갖고 있다. 실린더부(7)에는, 내측 브레이크 패드(2)측이 개구되는 대직경 개구부(9A)가 되고, 그 반대측이 구멍부(10)를 갖는 바닥벽(11)에 의해 폐쇄된 바닥이 있는 실린더(15)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5) 내의 바닥벽(11)측에는, 대직경 개구부(9A)와 연속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 개구부(9A)보다 소직경이 되는 소직경 개구부(9B)가 형성된다. 실린더(15)는, 그 대직경 개구부(9A)의 내주면에 피스톤 시일(16)이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18)은, 바닥부(19)와 원통부(20)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18)은, 그 바닥부(19)가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도록 실린더(15)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18)은, 피스톤 시일(16)에 접촉한 상태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린더(15)의 대직경 개구부(9A)에 내장되어 있다. 이 피스톤(18)과 실린더(15)의 바닥벽(11) 사이는, 액압실(21)로서 피스톤 시일(1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액압실(21)에는, 실린더부(7)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포트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나 액압 제어 유닛 등의 도시하지 않은 액압원으로부터 액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18)의 내주면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복수의 회전 규제용 세로 홈(22)(도 6 참조)이 형성된다.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타단면의 외주측에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5)는, 내측 브레이크 패드(2)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26)와 걸어 맞춰져 있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피스톤(18)은, 실린더(15), 나아가서는 캘리퍼 본체(6)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규제된다. 또한, 피스톤(18)의 바닥부(19)측의 외주면과 실린더(15)의 대직경 개구부(9A)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실린더(15) 내로의 이물의 진입을 막는 더스트 부츠(27)가 개재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캘리퍼 본체(6)의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에는, 내부에 모터 기어 어셈블리(29)가 수용되는 하우징(30)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30)의 일단에는, 개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30A)에는, 기밀적으로 폐색하는 커버(36)(덮개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하우징(30)의 개구부(30A)는, 커버(36)(덮개 부재)로 폐색되어 있다. 하우징(30)과 실린더부(7) 사이에는 시일 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0) 내부는, 이 시일 부재(37)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실린더(15)의 바닥벽(11)의 외주를 덮도록 하여, 후술하는 평치(平齒)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부(31)와, 제1 하우징부(31)로부터 일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모터(200)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제2 하우징부(32)에 의해, 캘리퍼 본체(6)와 나란히 서도록 배치한 모터(2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부(31)는, 후술하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를 수용하는 수용실(31E)을 커버(36)와 함께 둘러싸는 외벽부(31F) 및 저면부(31G)와, 실린더(15)의 바닥벽(11)의 일부를 수용하고 후술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의 베이스 너트(75)의 다각형 축부(81)가 삽입 관통되는 부착 개구부(31A)와, 부착 개구부(31A)의 주위에 돌출 형성되는 내측 환상 벽부(31B)와, 상기 내측 환상 벽부(31B)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외측 환상 벽부(31C)와, 상기 외측 환상 벽부(31C)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걸어맞춤 홈(31D)(도 2 참조)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31) 및 제2 하우징부(32)에 걸치도록, 내부에 2개의 접속 단자(33)를 갖는 커넥터부(34)가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접속 단자(33)는, 제1 하우징부(31) 내에 배치되는 각 커넥터 단자(25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커넥터 단자(255)는, 제1 하우징부(31) 내에서 커넥터부(34)측의 외벽부(31F)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 단자(255)는, 하우징(30)의 개구부(30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각 접속 단자(33)와 각 커넥터 단자(255)는, 각각 1개의 금속선으로 되어 있고, 하우징(30)에 몰드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 1개의 금속선은, 일단이 커넥터부(34) 내로 돌출되는 접속 단자(33)가 되고, 타단이 제1 하우징부(31)의 저면부(31G)로부터 개구부(30A)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넥터 단자(255)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255)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각 커넥터 단자(255)는, 개구부(30A)측에 위치하는 협폭 부위(258)와, 협폭 부위(258)로부터 모터(200)측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광폭 부위(259)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협폭 부위(258) 및 광폭 부위(259)는, 정면시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 위 설명에 있어서는, 각 커넥터 단자(255)와 후술하는 접합 단자(256)의 접촉면을 정면이라고 칭하고, 상기 정면시란 커넥터 단자(255)의 정면을 나타내고 있다. 협폭 부위(258) 및 광폭 부위(259)는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각 커넥터 단자(255)의 양측면(258C)에는, 협폭 부위(258)와 광폭 부위(259) 사이에 단차면(260)이 각각 형성된다. 각 커넥터 단자(255)의 협폭 부위(258)에는,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접합 단자(256)측과 반대측의 면에, 단부(258A)를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는 안내 테이퍼면(258B)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단자(255)의 외벽부(31F)에 가까운 쪽의 면이 벽측 평면(255A)이 되고, 이 벽측 평면(255A)의 반대측이 후술하는 접합 단자(256)의 접촉면부(263)와 밀착되는 평판면(255B)으로 되어 있다. 또, 평판면(255B)을 기준으로 하면, 벽측 평면(255A)이 평판면의 이면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캘리퍼 본체(6)에는, 모터(200)에 의한 구동력을 증강하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와, 피스톤(18)을 추진함과 함께 추진한 피스톤을 제동 위치에 유지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가 구비되어 있다. 감속 기구로서의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는, 하우징(30)의 제1 하우징부(31) 내부가 되는 수용실(31E)에 수용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는, 피니언 기어(46)와, 제1 감속 기어(47)와, 비감속 평기어(48), 제2 감속 기어(49)를 갖고 있다. 제1 감속 기어(47), 비감속 평기어(48) 및 제2 감속 기어(49)는, 금속, 혹은, 섬유 강화 수지 등의 수지이다.
피니언 기어(46)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터(200)의 회전축(201)에 압입 고정되는 구멍부(50)와, 외주에 형성되는 기어(51)를 갖고 있다. 제1 감속 기어(47)는, 피니언 기어(46)의 기어(51)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대기어(53)와, 대기어(53)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소직경의 소기어(5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감속 기어(47)는 샤프트(52)에 의해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59) 및 홀더(2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52)는, 그 일단이 커버(36)에 근접한 지지 플레이트(59)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홀더(205)에 지지된다.
제1 감속 기어(47)의 소기어(54)는 비감속 평기어(48)와 맞물려 있다. 비감속 평기어(48)는 샤프트(55)(도 2 참조)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59) 및 홀더(2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55)는, 그 일단이 커버(36)에 근접한 지지 플레이트(59)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홀더(205)에 지지된다. 제2 감속 기어(49)는, 비감속 평기어(48)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대기어(56)와, 대기어(56)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소직경의 선 기어(5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 기어(57)는, 후술하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제2 감속 기어(49)에는, 그 중심에 구멍(49A)이 형성되고, 샤프트(58)가 삽입 관통된다. 샤프트(58)는, 일단이 커버(36)에 근접하여 설치한 지지 플레이트(59)에 압입 고정된다. 제2 감속 기어(49)는, 샤프트(5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2 감속 기어(49)의 대기어(56)의 원환상 벽부에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스토퍼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는, 제2 감속 기어(49)의 선 기어(57)와,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플래네터리 기어(60)와, 인터널 기어(61)와, 캐리어(62)를 갖는다. 각 플래네터리 기어(60)는, 제2 감속 기어(49)의 선 기어(57)에 맞물리는 기어(63)와, 캐리어(62)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핀(6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구멍부(64)를 갖고 있다. 각 플래네터리 기어(60)는, 캐리어(62)의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플래네터리 기어(60)의 타단측에는, 원환상 플레이트(66)가 배치된다.
캐리어(62)는,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다각형 구멍(68)이 형성된다. 캐리어(62)의 외경은, 각 플래네터리 기어(60)의 공전 궤적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캐리어(62)의 외주측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핀용 구멍부(69)가 형성되어 있다. 각 핀용 구멍부(69)에 핀(65)이 각각 압입 고정되어 있다. 각 핀(65)은, 각 플래네터리 기어(60)의 구멍부(64)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어(62)의 다각형 구멍(68)과, 후술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의 베이스 너트(75)의 다각형 축부(81)가 감합됨으로써, 캐리어(62)와 베이스 너트(75)에서 서로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터널 기어(61)는, 각 플래네터리 기어(60)의 기어(63)가 각각 맞물리는 내치(71)와, 상기 내치(71)의 커버(36)측의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플래네터리 기어(60)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 벽부(72)와, 내치(71)로부터 실린더(15)의 바닥벽(11)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형상 벽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인터널 기어(61)는, 통형상 벽부(73)가 제1 하우징부(31)의 내측 환상 벽부(31B)와 외측 환상 벽부(31C) 사이의 환상 공간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하우징(30)에 고정된다. 인터널 기어(61)의 내부에는, 원환상 플레이트(66)가 배치된다. 원환상 플레이트(66)는, 인터널 기어(61)의 내치(71)의 단부면과 제1 하우징부(31)의 내측 환상 벽부(31B) 사이에 협지된다. 이에 따라, 각 플래네터리 기어(60)는, 인터널 기어(61)의 환상 벽부(72)와 원환상 플레이트(66) 사이에 배치되고,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인터널 기어(61)의 외주면의 타단측에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74)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돌기부(74)는, 제1 하우징부(31)에 형성한 각각의 걸어맞춤 홈(31D)에 걸어 맞춰진다. 인터널 기어(61)는, 그 각각의 돌기부(74)가 제1 하우징부(31)의 각각의 걸어맞춤 홈(31D)에 삽입 걸어맞춤됨으로써, 회전 불가능하게 제1 하우징부(31) 내에 지지된다. 또한, 인터널 기어(61)는, 그 환상 벽부(72)의 커버(36)측에, 제2 감속 기어(49)의 대기어(56)에 형성한 환상의 스토퍼부(56A)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도 이동 불가능하게 제1 하우징부(31) 내에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200)는, 그 플랜지부(202) 상에 배치된 홀더(205)에 의해 지지된다. 홀더(205)는, 모터 지지부(206)와 링형상 지지부(207)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모터 지지부(206)는, 제1 감속 기어(47) 및 비감속 평기어(48)와 모터(200)의 플랜지부(202)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2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링형상 지지부(207)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의 인터널 기어(61)의 주위에, 인터널 기어(6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모터 지지부(206)에는, 모터(200)의 회전축(201)에 압입 고정된 피니언 기어(46)가 삽입 관통되는 회전축용 삽입 관통공(208)이 형성된다. 회전축용 삽입 관통공(208)의 주위에는, 모터(200)의 각 모터 단자(203)가 삽입 관통되는 단자용 삽입 관통공이 2개 위치에 형성된다. 각 단자용 삽입 관통공은 회전축용 삽입 관통공(208)의 직경 방향 양측에 한 쌍 형성된다.
홀더(205)의 모터 지지부(206)에는, 회전축용 삽입 관통공(208)의 주위에서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측과는 반대측에, 홀더측 제1 볼록부(211), 홀더측 제2 볼록부(212) 및 홀더측 제3 볼록부(213)가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이들 홀더측 제1 볼록부(211), 홀더측 제2 볼록부(212) 및 홀더측 제3 볼록부(213)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커버(36)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모터 지지부(206)에는 체결 구멍(216)이 2개 위치에 형성된다. 각 부착 볼트(215)가, 모터(200)의 플랜지부(202)의 각 관통공(202A)을 통해 모터 지지부(206)의 체결 구멍(216)에 체결된다. 이 체결에 의해, 모터(200)는, 홀더(205)의 모터 지지부(206)에 지지된다. 링형상 지지부(207)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의 인터널 기어(61)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각 돌기부(74)의 상방에 배치된다.
홀더(205)에는, 모터 지지부(206)와 링형상 지지부(207) 사이에 원통형 지지부(217, 217)가 간격을 두고 2개 위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 원통형 지지부(217) 상에 지지 플레이트(59)가 배치되고, 각 부착 볼트(218)가 지지 플레이트(59)를 통해 홀더(205)의 각 원통형 지지부(217)에 체결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9)가 홀더(205) 상에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된다.
커버(36)의 내면에는, 커버측 제1 원통형부(221), 커버측 제2 볼록부(222) 및 커버측 제3 볼록부(223)가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들 커버측 제1 원통형부(221), 커버측 제2 볼록부(222) 및 커버측 제3 볼록부(223)는, 홀더(205)에 형성한 홀더측 제1 볼록부(211), 홀더측 제2 볼록부(212) 및 홀더측 제3 볼록부(213)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36)의, 커버측 제1 원통형부(221), 커버측 제2 볼록부(222) 및 커버측 제3 볼록부(223)와, 홀더(205)의, 홀더측 제1 볼록부(211), 홀더측 제2 볼록부(212) 및 홀더측 제3 볼록부(213) 사이에는, 탄성 부재인 러버(rubber; 230)가 개재된다.
러버(230)는, 제1 컵부(231)와, 제2 컵부(232)와, 제3 컵부(233)와, 이들 제1 컵부(231), 제2 컵부(232) 및 제3 컵부(233)의 개구측 단부를 일체적으로 접속시키는 판상의 베이스부(234)로 구성된다.
그리고, 러버(230)의 제1 컵부(231)를 홀더(205)의 홀더측 제1 볼록부(211)에 감합하고, 러버(230)의 제2 컵부(232)를 홀더(205)의 홀더측 제2 볼록부(212)에 감합하고, 러버(230)의 제3 컵부(233)를 홀더(205)의 홀더측 제3 볼록부(213)에 감합하여, 러버(230)를 홀더(205)에 유닛화한 상태로 한다. 그 후, 커버(36)의 커버측 제1 원통형부(221)를, 러버(230)의 제1 컵부(231)에 감합하고, 또한 커버(36)의 커버측 제2 볼록부(222)를, 러버(230)의 제2 컵부(232)에 접촉시키고, 또한 커버(36)의 커버측 제3 볼록부(223)를, 러버(230)의 제3 컵부(233)에 접촉하도록 하여, 커버(36)를 씌우게 된다. 러버(230)의 베이스부(234) 위를 따라, 모터(200)의 각 모터 단자(203)로부터 연장되는 하니스(250, 251)가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0) 내에, 전술한 러버(230)와는 별도의 복수 종류의 러버(281, 282, 283)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205)의 모터 지지부(206)측의 단부에 단면 コ자형 지지부(28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단면 コ자형 러버(281)가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홀더(205)의 링형상 지지부(207)에서, 각 원통형 지지부(217)에 근접하는 위치의 외주면과 제1 하우징부(31)의 내벽면 사이에 블록형 러버(282)가 각각 배치된다. 모터(200)의 본체측 단부와 제2 하우징부(32)의 바닥벽부 사이에 원통형 러버(283)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200),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 러버(230, 281, 282, 283)가 홀더(205) 및 지지 플레이트(59)에 조립됨으로써 모터 기어 어셈블리(29)를 구성한다. 모터 기어 어셈블리(29)는, 러버(230, 281, 282, 283)에 의해 하우징(30) 및 커버(36)에 대하여 공중에 매달린 상태, 소위 플로팅(floating) 상태로 부착된다. 바꿔 말하면, 모터 기어 어셈블리(29)는, 홀더(205)가 하우징(30) 및 커버(36)에 접촉하지 않고, 러버(230, 281, 282, 283)를 통해 하우징(30) 및 커버(36)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 기어 어셈블리(29)가 러버(230, 281, 282, 283)를 통해 하우징(30) 및 커버(36)에 고정됨으로써, 모터(200),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하우징(30) 또는 커버(36)에 전달하는 것이 억제되어, 진동에 따르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25)을 추진하는 회전력을 얻기 위해, 모터(200)에 의한 구동력을 증강하는 감속 기구로서의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를 채용했지만,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만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사이클로이드 감속 기구나 파동 감속기 등, 다른 공지 기술에 의한 감속기를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와 조합해도 좋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200)의 각 모터 단자(203)와, 제2 하우징부(32) 내에 설치한 각 커넥터 단자(255)가, 이들을 접속시키는 배선인 각 하니스(250, 25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하니스(250, 251)의 일단에는, 커넥터 단자(255)와 접속되는 접합 단자(256)가 설치된다. 각 하니스(250, 251)의 타단은, 모터(200)의 각 모터 단자(203)에 접속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니스(250, 251)는, 가는 금속선의 연선(撚線)으로 구성되고, 가요성을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접합 단자(256)는, 고정부(262)를 제외하고는 전체로서 판상으로 형성된다. 접합 단자(256)는, 커넥터 단자(255)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접합 단자(256)는, 주로, 고정부(262), 접촉면부(263), 가압부(264), 돌출부(265), 용접부(266)를 갖고 있다. 고정부(262)에는, 각각의 하니스(250)(251)가 고정된다. 고정부(262)는, 상기 고정부(262)의 내부에 하니스(250)(251)의 일단이 파지된 상태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부(263)는, 고정부(26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커넥터 단자(255)의 평판면(255B)에 대향하여 밀착된다. 가압부(264)는, 접촉면부(263)의 측면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의 벽측 평면(255A)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접촉면부(263)가 커넥터 단자(255)의 평판부(255B)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265)는, 가압부(264)로부터 이격된 위치, 즉 가압부(264)보다 선단측이 되는 접촉면부(263)의 측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커넥터 단자(255)의 단차면(260)에 접촉했을 때에, 접촉면부(263)의 선단이 되는 단부(268A)와 커넥터 단자(255)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58A)의 단부면끼리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용접부(266)는, 접촉면부(263)의 선단이 되는 단부(268A)와 커넥터 단자(255)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58A)에 걸쳐 형성된다.
접촉면부(263)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262)로부터 측면시 크랭크형(도 5 참조)을 나타내는 연결부(261)를 통해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261)는, 접촉면부(263)로부터 고정부(262)를 향함에 따라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부(263)는, 커넥터 단자(255)의 협폭 부위(258)에 대응하는 협폭 접촉면부(268)와,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에 대응하는 광폭 접촉면부(269)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협폭 접촉면부(268) 및 광폭 접촉면부(269)는, 정면시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의 접촉면을 정면이라고 칭하고, 상기 정면시란 접합 단자(256)의 정면을 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접촉면부(263)의 양측면에는, 협폭 접촉면부(268)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에 단차부(267)가 각각 형성된다. 광폭 접촉면부(269)의 측면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측을 향하여 가압부(264)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가압부(264)는, 광폭 접촉면부(269)의 양측면(269A)으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가압부(264, 264)로 구성된다. 이들 한 쌍의 가압부(264, 264)는, 광폭 접촉면부(269)에 있어서의 고정부(262)측의 위치에 형성된다. 각 가압부(264, 264)는, 접촉면부(263)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판상 압박부(271, 271)와, 광폭 접촉면부(269)의 측면(269A)으로부터 광폭 접촉면부(269)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지지부(272)로 이루어지는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판상 압박부(271)는, 정면시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각 가압부(264)의 판상 압박부(271, 271)끼리는, 이들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판상 지지부(272)는, 측면시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판상 지지부(272, 272)는,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의 양측면(259A, 259A)을 끼워 넣도록, 즉,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와 거의 동일한 폭이 되는 간격을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부(264)에 의해, 접촉면부(263)는, 커넥터 단자(255)의 평판면(255B)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265)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접합 단자(256)의 협폭 접촉면부(268)에 있어서의 단차부(267)에 근접하는 양측면(268A)으로부터, 협폭 접촉면부(268)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커넥터 단자(255)측이 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성된다. 각 돌출부(265, 265)는, 측면시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각 돌출부(265, 265)는, 각 가압부(264, 264)의 판상 지지부(272)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돌출부(265, 265)의 돌출 길이는, 커넥터 단자(255)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정된다. 각 돌출부(265, 265)는,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가, 접합 단자(256)의 가압부(264)의 판상 압박부(271)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각 돌출부(265, 265)의 광폭 접촉면부(269)측이 되는 측면(265A, 265A)이 커넥터 단자(255)의 각 단차면(260, 260)에 접촉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각 돌출부(265, 265)가 커넥터 단자(255)의 각 단차면(260, 260)에 접촉함으로써, 커넥터 단자(255)에 대하여 접합 단자(256)가 위치 결정된다. 각 돌출부(265, 265)는, 그 대향면이 되는 내면(265B, 265B)이 커넥터 단자(255)의 협폭 부위(258)의 측면(258A, 258A)에 대하여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단자(255)에 접합 단자(256)를 접속하려면, 우선, 접합 단자(256)를, 커넥터 단자(255)의 협폭 부위(258)측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가 접합 단자(256)의 각 가압부(264)의 판상 압박부(271)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삽입하여,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를, 커넥터 단자(255)의 양측면에 형성한 각 단차면(260)에 접촉시킨다. 삽입 시에, 커넥터 단자(255)는, 그 협폭 부위(258)에 형성한 안내 테이퍼면(258B)을 따라, 접합 단자(256)의 각 가압부(264)의 판상 압박부(271)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로 안내된다.
그 결과,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가, 접합 단자(256)의 각 가압부(264)의 판상 압박부(271)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접합 단자(256)의 각 가압부(264)는,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와 접합 단자(256)의 각 판상 압박부(271)를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또한, 접합 단자(256)의 각 가압부(264)는, 접합 단자(256)와 커넥터 단자(255)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가, 커넥터 단자(255)의 선단과 접합 단자(256)의 선단을 일치시킨다. 바꿔 말하면,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가, 접합 단자(256)와 커넥터 단자(255)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하여, 커넥터 단자(255)의 협폭 부위(258)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58A)와, 접합 단자(256)의 협폭 접촉면부(268)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68A)를 일치시킨다.
용접부(266)는, 커넥터 단자(255)의 선단측의 단부(258A)와 접합 단자(256)의 선단측의 단부(268A)를 양자에 걸치도록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용접부(266)는, 커넥터 단자(255)의 협폭 부위(258)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58A)와, 접합 단자(256)의 협폭 접촉면부(268)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68A)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접부(266)는, TIG 용접(텅스텐·이너트·가스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접합 단자(256)의 용접부(266)는, 고정부(262)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에 걸쳐 용접부(266)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를 접합하여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200)와 커넥터 단자(255)를 접속시키는 배선으로서, 가는 금속선의 연선으로 구성되는 하니스(250, 251)를 이용했지만, 배선으로는,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버스 바(bus bar)를 이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를, 도 1 및 도 6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6의 우측을 일단측으로 하고, 좌측을 타단측으로 하여 적절히 설명한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로부터의 회전 운동, 즉 모터(200)의 회전을 직선 방향의 운동(이하, 편의상 직동이라고 함)으로 변환하고, 피스톤(18)에 추력을 부여하여, 상기 피스톤(18)을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로부터의 회전 운동이 전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전달 부재인 베이스 너트(75)와, 베이스 너트(75)의 암나사부(97)에 나사 감합되고, 베이스 너트(75)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직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 부재인 푸시 로드(102)와, 푸시 로드(102)에 나사 감합되어, 상기 푸시 로드(102)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8)에 축 방향으로의 추력을 부여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127)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는, 캘리퍼 본체(6)의 실린더(15)와 피스톤(18) 사이에 수용된다.
베이스 너트(75)는, 원기둥부(76)와, 원기둥부(76)의 타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너트부(77)로 구성된다.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는 와셔(80)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너트(75)의 원기둥부(76)는, 와셔(80)의 삽입 관통공(80A) 및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형성한 구멍부(10) 각각에 삽입 관통된다. 원기둥부(76)의 선단에는 다각형 축부(81)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다각형 축부(81)가 제1 하우징부(31)의 부착 개구부(31A)를 삽입 관통하여 캐리어(62)의 다각형 구멍(68)에 감합된다. 베이스 너트(75)의 너트부(77)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너트부(77)는, 원형상 벽부(82)와, 원형상 벽부(82)의 타단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부(83)로 구성된다. 원형상 벽부(82)의 외주면이 실린더(15)의 소직경 개구부(9B)의 내벽면에 근접한다. 원형상 벽부(82)의 일단면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소직경 원형상 벽부(84)가 돌출 형성된다. 소직경 원형상 벽부(84)의 일단면으로부터 원기둥부(76)가 일단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원기둥부(76)의 외경은, 너트부(77)의 원통부(83)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너트(75)의 너트부(77)에 형성된 소직경 원형상 벽부(84) 주위의 원형상 벽부(82)와 와셔(80)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87)이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너트(75)는 스러스트 베어링(8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지지된다. 베이스 너트(75)의 원기둥부(76)의 외주면과 실린더(15)의 바닥벽(11)의 구멍부(10) 사이에는 시일 부재(88) 및 슬리브(89)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액압실(21)의 액밀성이 유지된다. 베이스 너트(75)의 원기둥부(76)와 다각형 축부(81) 사이에 형성된 환상 홈에 고정 링(90)이 장착되어 있고, 고정 링(90)에 의해 베이스 너트(75)의 실린더(1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베이스 너트(75)의 너트부(77)의 원통부(83)는, 일단측에 배치되는 대직경 원통부(91)와, 타단측에 배치되는 소직경 원통부(92)로 구성된다. 대직경 원통부(91)의 일단이 원형상 벽부(82)에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대직경 원통부(91)의 주벽부(周壁部)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95)이 복수 형성된다. 관통공(95)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너트부(77)의 소직경 원통부(9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97)가 형성된다. 소직경 원통부(92)의 주벽부의 타단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홈(98)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걸림 홈(98)은 4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너트(75)의 소직경 원통부(92)의 각 걸림 홈(98) 중 어느 것에, 일방향으로 회전에 대하여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 클러치(100)의 선단부가 감합된다. 제1 스프링 클러치(100)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선단부로부터 연속하여 한 겹으로 감긴 코일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스프링 클러치(100)의 선단부가 베이스 너트(75)의 소직경 원통부(92)의 각 걸림 홈(98) 중 어느 것에 감합되고, 후술하는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3)의 타단측 외주에 코일부가 휘감겨진다. 제1 스프링 클러치(100)는, 푸시 로드(102)가 베이스 너트(75)에 대하여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릴리스 시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회전 저항 토크를 부여하는 한편, 푸시 로드(102)가 베이스 너트(75)에 대하여 피스톤(18)의 바닥부(19)측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어플라이 시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너트(75)의 너트부(77) 내에 푸시 로드(102)의 일단측이 삽입된다. 푸시 로드(102)의 일단측에는, 베이스 너트(75)의 소직경 원통부(92)의 암나사부(97)에 나사 감합되는 수나사부(103)가 형성된다.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3)와 베이스 너트(75)의 소직경 원통부(92)의 암나사부(97)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는, 피스톤(18)으로부터 푸시 로드(102)로의 축 방향 하중에 의해 베이스 너트(75)가 회전하지 않도록, 그 역효율이 0 이하가 되도록, 즉, 불가역성이 큰 나사 감합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푸시 로드(102)의 타단측에는, 후술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에 형성된 암나사부(162)에 나사 감합되는 수나사부(104)가 형성된다. 여기서도,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4)와 회전 직동 램프(151)에 형성된 암나사부(162)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06)는, 피스톤(18)으로부터 회전 직동 램프(151)로의 축 방향 하중에 의해 푸시 로드(102)가 회전하지 않도록, 그 역효율이 0 이하가 되도록, 즉, 불가역성이 큰 나사 감합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푸시 로드(102)는, 일단측의 수나사부(103)와 타단측의 수나사부(104) 사이에 스플라인 축(108)이 설치된다. 일단측의 수나사부(103)의 외경은, 타단측의 수나사부(104)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일단측의 수나사부(103)의 외경은, 스플라인 축(108)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4)의 타단면은, 피스톤(18)의 바닥부(19)에 대향한다.
베이스 너트(75)의 너트부(77)를 구성하는 원통부(84)의 소직경 원통부(92)의 외주면과 피스톤(18)의 원통부(20)의 내주면 사이에 리테이너(110)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테이너(110)는, 일단측에 원환상 벽부(111)를 갖고, 전체가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리테이너(110)의 외주벽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리테이너(110) 내에는, 일단측부터 순서대로, 일단측 와셔(120), 코일 스프링(121), 타단측 와셔(122), 지지 플레이트(123), 제2 스프링 클러치(124), 회전 부재(125), 스러스트 베어링(126),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스러스트 베어링(128) 및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가 배치되어 있다. 일단측 와셔(120)는 리테이너(110)의 원환상 벽부(111)의 타단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일단측 와셔(120)와 타단측 와셔(122) 사이에 코일 스프링(121)이 개재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1)은 일단측 와셔(120)와 타단측 와셔(122)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리테이너(110)의 주벽부의 타단면에는 소정 깊이의 걸림 홈(132)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걸림 홈(13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위치에 형성된다. 리테이너(110)의 타단부에는, 피스톤(18)의 바닥부(19)를 향하는 복수의 갈고리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갈고리부(136)는, 리테이너(110) 내에, 일단측 와셔(120), 코일 스프링(121), 타단측 와셔(122), 지지 플레이트(123), 제2 스프링 클러치(124), 회전 부재(125), 스러스트 베어링(126),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스러스트 베어링(128) 및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를 수용한 후, 후술하는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의 수용 오목부(171)를 향하여 꺾여 들어감으로써, 전술한 구성 부품을 리테이너(110) 내에 일체적으로 배치하여 어셈블리화할 수 있다.
타단측 와셔(122)의 타단면에 환상의 지지 플레이트(123)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123)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편(137)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기편(137)은 3개 위치에 형성된다. 이 지지 플레이트(123)의 각 돌기편(137)이, 리테이너(110)의 걸림 홈(132)과 피스톤(18)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규제용 세로 홈(22)에 각각 감합된다. 이 결과, 리테이너(110)는, 일단측 와셔(120), 코일 스프링(121), 타단측 와셔(122) 및 지지 플레이트(123)와 함께, 피스톤(18)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테이너(110) 내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123)의 타단측에는 회전 부재(12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부재(125)는, 스플라인 구멍(140)을 갖는 대직경 원환상부(141)와, 대직경 원환상부(141)의 일단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소직경 원통형부(142)로 구성된다. 소직경 원통형부(142)의 일단부가 지지 플레이트(123)의 타단면에 접촉된다. 회전 부재(125) 내에 푸시 로드(102)가 삽입 관통되어, 회전 부재(125)의 대직경 원환상부(141)의 스플라인 구멍(140)과, 푸시 로드(102)의 스플라인 축(108)이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125)와 푸시 로드(102)는, 서로의 회전 토크가 전달되게 된다.
회전 부재(125)의 소직경 원통형부(142)의 외주면에 일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제2 스프링 클러치(124)가 둘러 감겨진다. 제2 스프링 클러치(124)는, 제1 스프링 클러치(100)와 동일하게,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선단부로부터 연속하여 한 겹으로 감긴 코일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스프링 클러치(124)의 선단부가 리테이너(110)의 걸림 홈(132)에 감합되고, 회전 부재(125)의 소직경 원통형부(142)의 외주면에 코일부가 휘감겨진다. 제2 스프링 클러치(124)는, 회전 부재(125)[푸시 로드(102)]가 리테이너(110)에 대하여 피스톤(18)의 바닥부(19)측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어플라이 시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회전 저항 토크를 부여하는 한편,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릴리스 시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스프링 클러치(124)의 어플라이 시에 있어서의 회전 저항 토크는,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3)와 베이스 너트(75)의 암나사부(97)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의 회전 저항 토크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회전 부재(125)의 타단측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26)을 통해 볼 앤드 램프 기구(127)가 배치된다. 회전 부재(125)는 볼 앤드 램프 기구(127)에 대하여 스러스트 베어링(12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볼 앤드 램프 기구(127)는, 고정 램프(150)와, 회전 직동 램프(151)와, 고정 램프(150)와 회전 직동 램프(151) 사이에 개재되는 각 볼(152)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램프(150)는 스러스트 베어링(126)을 통해 회전 부재(125)의 타단측에 배치된다. 고정 램프(150)는, 원판상의 고정 플레이트(154)와, 고정 플레이트(154)의 외주면으로부터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 형성된 볼록부(155)로 구성된다. 고정 플레이트(154)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푸시 로드(102)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공(156)이 형성된다. 고정 램프(150)는, 그 각 볼록부(155)가, 리테이너(110)의 각 걸림 홈(132)에 감합됨과 함께 피스톤(18)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회전 규제용 세로 홈(22)에 감합됨으로써 피스톤(18)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 플레이트(154)의 타단면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원호형으로 연장됨과 함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볼 홈(157)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직동 램프(151)는, 원환상의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와, 상기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의 타단면의 직경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부(161)로 구성된다.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로부터 원통부(161)에 이르는 내주면에는,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4)가 나사 감합되는 암나사부(162)가 형성된다.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에 있어서의 고정 램프(150)의 고정 플레이트(154)와의 대향면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원호형으로 연장됨과 함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볼 홈(1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램프(150)의 각 볼 홈(157), 및 회전 직동 램프(151)의 각 볼 홈(163)은, 주위 방향을 따른 경사의 도중에 패임을 형성하거나, 경사를 도중에서 변화시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볼(152)은, 회전 직동 램프(151)[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의 각 볼 홈(163)과, 고정 램프(150)[고정 플레이트(154)]의 각 볼 홈(157)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직동 램프(151)에 회전 토크를 가하면,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의 각 볼 홈(163)과 고정 플레이트(154)의 각 볼 홈(157) 사이의 각 볼(152)이 전동(轉動)함으로써,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와 고정 플레이트(154) 사이의 회전차에 의해,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와 고정 플레이트(154) 사이의 축 방향의 상대 거리가 변동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직동 플레이트(160)의 원통부(161)의 주위 타단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28)을 통해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가 배치된다.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록부(168)가 돌출 형성된다.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는, 그 각 볼록부(168)가, 리테이너(110)의 각 걸림 홈(132)에 감합됨과 함께 피스톤(18)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회전 규제용 세로 홈(22)에 감합됨으로써 피스톤(18)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는, 스러스트 베어링(12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에 의해 지지된다.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의 타단면이 피스톤(18)의 바닥부(19)에 접촉하여, 피스톤(18)을 압박한다.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의 타단면에는, 각 볼록부(168) 사이의 외주부에, 리테이너(110)의, 내측으로 꺾여 들어간 각각의 갈고리부(136)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71)가 각각 형성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로드(102)의 수나사부(104)의 선단에는 스토퍼 부재(172)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스토퍼 부재(172)는, 푸시 로드(102)와,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 사이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200)에는, 모터(200)를 구동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로 이루어지는 ECU(175)가 커넥터부(34)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ECU(175)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해제를 지시하도록 조작되는 파킹 스위치(17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ECU(175)에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측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파킹 스위치(176)의 조작에 상관없이 작동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브레이크 페달(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한 통상의 액압 브레이크로서의 디스크 브레이크(1)의 제동 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되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액압이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액압 회로(모두 도시 생략)를 거쳐 캘리퍼(4) 내의 액압실(21)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8)이 피스톤 시일(16)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비제동 시의 원위치로부터 전진(도 1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 브레이크 패드(2)를 디스크 로터(D)에 대해 밀어붙인다. 그리고, 캘리퍼 본체(6)는, 피스톤(18)의 압박력의 반력에 의해 브래킷(5)에 대하여 도 1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갈고리부(8)에 부착된 외측 브레이크 패드(3)를 디스크 로터(D)에 대해 밀어붙인다. 이 결과, 디스크 로터(D)가 한 쌍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에 의해 끼워져 마찰력이 발생하고, 나아가서는, 차량의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릴리스하면,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액압의 공급이 중단되어 액압실(21) 내의 액압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8)은, 피스톤 시일(16)의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까지 후퇴하여 제동력이 해제된다. 덧붙여서,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의 마모에 따라 피스톤(18)의 이동량이 증대되어 피스톤 시일(16)의 탄성 변형의 한계를 넘으면, 피스톤(18)과 피스톤 시일(16)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이 미끄러짐에 의해 캘리퍼 본체(6)에 대한 피스톤(18)의 원위치가 이동하며, 패드 클리어런스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용의 일례인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상태로부터 파킹 스위치(176)가 조작되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어플라이)시킬 때에, ECU(175)는, 모터(200)를 구동하여,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를 통해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의 선 기어(57)를 회전시킨다. 이 선 기어(57)의 회전에 의해, 각 플래네터리 기어(60)를 통해 캐리어(62)가 회전한다. 그리고, 캐리어(62)로부터의 회전 토크가 베이스 너트(75)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제2 스프링 클러치(124)에 의한 회전 부재(125)[푸시 로드(102)]의 리테이너(110)[피스톤(18)]에 대한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 저항 토크가, 푸시 로드(102)와 베이스 너트(7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에 의한 회전 저항 토크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 클러치(100)에 의한, 푸시 로드(102)의 베이스 너트(75)에 대한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 너트(75)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나사 감합부(105)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한편, 즉 베이스 너트(75)만이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푸시 로드(102)가 축 방향을 따라 피스톤(18)의 바닥부(19)측을 향하여 전진한다.
그 결과, 푸시 로드(102)와 함께 리테이너(110)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10) 내의 일단측 와셔(120), 코일 스프링(121), 타단측 와셔(122), 지지 플레이트(123), 제2 스프링 클러치(124), 회전 부재(125), 스러스트 베어링(126),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스러스트 베어링(128) 및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의 각 구성 부품이 일체가 되어 축 방향을 따라 피스톤(18)의 바닥부(19)측을 향하여 전진한다. 이들 구성 부품의 전진에 의해,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가 피스톤(18)의 바닥부(19)에 접촉하고, 피스톤(18)이 전진하여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일단면이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접촉한다.
모터(200)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이 더욱 계속되면, 피스톤(18)은, 푸시 로드(102)의 이동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 3)를 통해 디스크 로터(D)를 압박하기 시작한다. 이 압박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이번에는, 그 압박력에 대한 반력이 되는 축력에 의해 푸시 로드(102)와 베이스 너트(7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에 있어서의 회전 저항 토크가 증대되어, 제2 스프링 클러치(124)의 회전 저항 토크보다 커진다. 이 결과, 베이스 너트(75)의 회전에 따라 푸시 로드(102)가 회전 부재(125)와 함께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디스크 로터(D)의 압박력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푸시 로드(102)와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06)에 있어서의 회전 저항 토크도 디스크 로터(D)의 압박력의 반력에 의해 증대되기 때문에, 푸시 로드(102)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 토크가 제2 나사 감합부(106)를 통해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에 전달된다.
그리고,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가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 볼(152)의 전동에 의해 회전 직동 램프(151)와 고정 램프(150)가 코일 스프링(1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격됨으로써,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가 피스톤(18)의 바닥부(19)를 더욱 압박한다. 이에 따라,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에 의한, 디스크 로터(D)에 대한 압박력이 증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1)에서는, 맨 처음에, 푸시 로드(102)와 베이스 너트(7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가 상대 회전하여 푸시 로드(102)가 전진하고, 피스톤(18)을 전진시켜 디스크 로터(D)에 대한 압박력을 얻는다. 이 때문에, 제1 나사 감합부(105)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의 시간 경과에 따른 마모에 의해 변화되는, 피스톤(18)에 대한 푸시 로드(102)의 원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ECU(175)는, 한 쌍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3)로부터 디스크 로터(D)에 대한 압박력이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예컨대, 모터(200)의 전류치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200)를 구동한다. 그 후, ECU(175)는, 모터(200)의 전류치가 소정치에 도달한 것을 통해, 디스크 로터(D)에 대한 압박력이 소정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모터(200)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그러면,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의 회전에 따르는 직동이 정지된다.
최종적으로, 회전 직동 램프(151)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D)로부터 압박력의 반력이 작용하지만, 푸시 로드(102)와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06)는, 서로 역작동하지 않는 나사 감합부로서 구성되고, 또한, 푸시 로드(102)와 베이스 너트(7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도, 서로 역작동하지 않는 나사 감합부로 구성되고, 나아가서는, 제1 스프링 클러치(100)에 의해, 푸시 로드(102)에는 베이스 너트(75)에 대하여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 저항 토크가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18)이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동력의 유지가 이루어져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릴리스)할 때에는, 파킹 스위치(176)의 파킹 해제 조작에 기초하여, ECU(175)에 의해, 모터(200)가 피스톤(18)을 디스크 로터(D)로부터 이격시키는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가 피스톤(18)을 되돌아가게 하는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캐리어(62)를 통해 베이스 너트(75)에 그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이 전달된다.
이때, 푸시 로드(102)에는, 디스크 로터(D)로부터 압박력의 반력이 작용하고 있고, 바꿔 말하면, 푸시 로드(102)에는, 푸시 로드(102)와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06)의 회전 저항 토크와, 푸시 로드(102)와 베이스 너트(7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의 회전 저항 토크와, 제1 스프링 클러치(100)에 의한, 푸시 로드(102)의 베이스 너트(75)에 대한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 저항 토크가 부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너트(75)로부터의 릴리스 방향의 회전 토크는, 푸시 로드(102)[회전 부재(125) 포함]에 전달됨과 함께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에 전달된다. 그 결과, 회전 직동 램프(151)는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만으로, 회전 방향의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푸시 로드(102)에 대한 반력이 감소하여, 푸시 로드(102)와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06)의 회전 저항 토크가, 제1 스프링 클러치(100)에 의한 베이스 너트(75)에 대한 푸시 로드(102)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 저항 토크에, 푸시 로드(102)와 베이스 너트(7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05)의 회전 저항 토크를 더한 회전 저항보다 작아진다. 그러면, 제2 나사 감합부(106)만이 상대 회전하여,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가 리테이너(110)와 함께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릴리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축 방향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모터(200)가 릴리스 방향으로 더욱 회전 구동되어, 베이스 너트(75)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속되면, 볼 앤드 램프 기구(127)의 회전 직동 램프(151)가 회전 방향 및 축 방향 모두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 후, 푸시 로드(102)와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06)의 나사 결합 위치가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가고, 푸시 로드(102)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베이스 너트(75)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속되면, 푸시 로드(102)가, 제1 스프링 클러치(100)에 의한 베이스 너트(75)에 대한 푸시 로드(102)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 저항 토크에 대항하여,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릴리스 방향)을 향하여 후퇴한다. 그 결과, 푸시 로드(102)와 함께 리테이너(110)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10) 내의 일단측 와셔(120), 코일 스프링(121), 타단측 와셔(122), 지지 플레이트(123), 제2 스프링 클러치(124), 회전 부재(125), 스러스트 베어링(126), 볼 앤드 램프 기구(127), 스러스트 베어링(128) 및 환상 압박 플레이트(129)의 각 구성 부품이 일체가 되어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릴리스 방향)을 향하여 후퇴한다. 그리고, 피스톤(18)은, 피스톤 시일(16)의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까지 후퇴하여 제동력이 완전히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1)에서, 하니스(250)(251)의 일단에 고정되는 접합 단자(256)는, 접합 단자(256)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68A)와, 커넥터 단자(255)에 있어서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58A)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용접부(266)를 갖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접부(266)는, 고정부(262)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부(262)로부터의 하니스(250)(251)의 진동이 용접부(266)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단자(256)는, 돌출부(265)가, 접합 단자(256)와 커넥터 단자(255)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하여, 커넥터 단자(255)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58A)와, 접합 단자(256)의 하우징(30)의 개구부(30A)측의 단부(268A)를 일치시키는 돌출부(265)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용접부(266)가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에 걸친 상태로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 단자(256)의 돌출부(265)가, 커넥터 단자(255)의 양측면에 형성된 각 단차면(260)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1)를 차량에 탑재한 후, 진동에 의한 용접부(266)로의 전단 방향[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가 삽입 방향을 따라 어긋나는 방향]의 힘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의 접속 구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단자(256)는, 접촉면부(263)의 측면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의 벽측 평면(255A)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접촉면부(263)를 커넥터 단자(255)의 평판부(255B)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264)를 갖기 때문에, 접합 단자(256)를 커넥터 단자(255)에 밀착시킨 상태로 용접부(266)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264)가, 디스크 브레이크(1)를 차량에 부착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시의 진동에 의한 용접부(266)로의 인열 방향[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의 접촉면부(263)가 이격되는 방향]의 힘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압부(264)의 한 쌍의 판상 지지부(272, 272)는, 커넥터 단자(255)의 광폭 부위(259)의 양측면(259A, 259A)을 끼워 넣도록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255)에 접합 단자(256)를 부착할 때에, 한 쌍의 판상 지지부(272, 272)가 가이드부가 되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판상 지지부(272, 272)가, 디스크 브레이크(1)를 차량에 탑재한 후, 진동에 의한 용접부(266)로의 전단 방향[커넥터 단자(255)와 접합 단자(256)가 삽입 방향의 직교 방향을 따라 어긋나는 방향]의 힘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접합 단자(256)를 설치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하면, 접합 단자(256)가 돌출부(265), 가압부(264), 및 용접부(266)를 가짐으로써, 모터(200)에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모터와 커넥터 단자를 접속시키는 배선에 강체의 버스 바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터 작동 시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모터 기어 어셈블리를 하우징에 대하여 플로팅 구조로 한 경우, 모터 기어 어셈블리에 고정된 강체의 버스 바에서는, 커넥터 단자와 상대 이동을 흡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 하니스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가요성을 갖는 하니스를 이용하는 경우, 하니스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 단자에 접속할 때의 위치 맞춤이 곤란해져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접합 단자(256)와 같이, 돌출부(265), 가압부(264), 및 용접부(266)를 형성함으로써, 하니스의 접합 단자를 커넥터 단자에 접속할 때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1)에 채용한 접합 단자(256)의 돌출부(265)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7∼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에서,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는, 접촉면부(263)의 양측면에서, 협폭 접촉면부(268)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의 각 단차부(267)의 폭 방향 전역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측으로 역 U자형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커넥터 단자(255)에 접합 단자(256)를 조립하면,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가, 커넥터 단자(255)의 각 단차면(260)을 덮도록 하여 접촉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에서,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는, 접촉면부(263)의 양측면에서, 협폭 접촉면부(268)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의 각 단차부(267)의 폭 방향 전역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측으로 만곡부(275)를 거쳐 접촉면부(263)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돌출부(265)의 돌출 길이는, 커넥터 단자(255)의 두께보다 약간 길게 설정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는, 도 9의 제3 실시형태에서 형성한 만곡부(275)를 제거한 실시형태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5 실시형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접촉면부(263)의 양측면에서,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는, 협폭 접촉면부(268)와 광폭 접촉면부(269) 사이의 각 단차부(267)의 폭 방향 전역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측으로 역 U자형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단자(255)에 접합 단자(256)를 조립하면,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의 선단이, 커넥터 단자(255)의 각 단차면(260)에 접촉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는, 접합 단자(256)의 각 돌출부(265)가, 접합 단자(256)의 광폭 접촉면부(269)의 양측면으로부터 커넥터 단자(255)측으로 광폭 접촉면부(269)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절곡되어 구성된다. 각각의 상기 돌출부(265)는, 각 단차부(267)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각 돌출부(265)는, 각 가압부(264)의 판상 지지부(272)(도 4 참조)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265)의 돌출 길이가, 커넥터 단자(255)의 두께보다 약간 길게 설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만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나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상기 실시형태를 임의로 조합해도 좋다.
본원은, 2014년 12월 26일자로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26501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4년 12월 26일자로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265016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도입된다.
1: 디스크 브레이크, 4: 캘리퍼, 6: 캘리퍼 본체, 18: 피스톤, 30: 하우징, 30A: 개구부, 43: 회전 직동 변환 기구, 200: 모터, 255: 커넥터 단자, 255B: 평판면, 256: 접합 단자, 250, 251: 하니스, 258A: 단부(커넥터 단자측), 260: 단차부, 262: 고정부, 263: 접촉면부, 264: 가압부, 265: 돌출부, 266: 용접부, 268A: 단부(접합 단자측)

Claims (9)

  1. 캘리퍼에 수용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를 작동시켜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캘리퍼에 부착되고 상기 모터를 수용함과 함께 덮개 부재로 폐색되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평판면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선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넥터 단자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모터를 접속시키는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의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합되는 접합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합 단자는,
    상기 배선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에 대향하는 접촉면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의 이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촉면부가 상기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접촉면부를 상기 평판면에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돌출부가 상기 커넥터 단자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커넥터 단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에 걸쳐 형성되는 용접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양측면을 끼워 넣도록 연장되어 한 쌍의 가압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양측면을 끼워 넣도록 상기 접촉면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측면에 대하여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압부보다 상기 커넥터 단자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접촉면부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단자의 평판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77007307A 2014-12-26 2015-12-25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82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5016 2014-12-26
JP2014265016 2014-12-26
PCT/JP2015/086193 WO2016104687A1 (ja) 2014-12-26 2015-12-25 ディスクブレー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860A KR20170102860A (ko) 2017-09-12
KR102082036B1 true KR102082036B1 (ko) 2020-02-26

Family

ID=5615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07A KR102082036B1 (ko) 2014-12-26 2015-12-25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38965B2 (ko)
JP (1) JP6257804B2 (ko)
KR (1) KR102082036B1 (ko)
CN (1) CN107076236B (ko)
DE (1) DE112015005792B4 (ko)
WO (1) WO2016104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7788B2 (ja) * 2019-01-28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US11105386B2 (en) * 2020-01-15 2021-08-31 Chih-Hsien Liao Brake caliper device having automatic pad wear compensation mechanism
US11732767B2 (en) * 2020-12-28 2023-08-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 brake
WO2024056915A1 (de) * 2022-12-08 2024-03-21 Thyssenkrupp Presta Ag Elektromechanische brem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lektromechanischen brems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4445A2 (en) 2002-11-13 2004-05-27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an electrically actuated parking brake
JP2006283822A (ja) 2005-03-31 2006-10-19 Hitachi Ltd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US20070228824A1 (en) 2006-04-03 2007-10-04 Hitachi, Ltd. Electro Mechanical Brake,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2822A (en) * 1922-05-02 1928-03-20 Maurice J Dunne Terminal
US2591009A (en) * 1948-12-20 1952-04-01 Honeywell Regulator Co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US2738485A (en) * 1952-08-28 1956-03-13 Ark Les Switch Corp Electrical connector member with a central longitudinal strip having a supported free end
US4552425A (en) * 1983-07-27 1985-11-12 Amp Incorporated High current connector
JPS63126185A (ja) * 1986-11-15 1988-05-30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の端子部の製造方法
JPH0343479Y2 (ko) * 1987-02-13 1991-09-11
JP3511682B2 (ja) * 1994-08-25 2004-03-29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接続子
JP3311641B2 (ja) * 1997-05-30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及び端子と電線との接続構造
US7021415B2 (en) 2002-02-01 2006-04-04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an electrically actuated parking brake
JP2006019074A (ja) 2004-06-30 2006-01-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導電路及びコネクタ
DE102006009035A1 (de) 2005-02-28 2006-09-07 Yazaki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klemme und durch das Verfahren hergestellte Metallklemme
JP4592460B2 (ja) * 2005-03-23 2010-12-0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DE202008014682U1 (de) 2008-11-05 2009-02-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ische Bremsanlage
DE102009060201A1 (de) * 2009-12-23 2011-06-30 Lucas Automotive GmbH, 56070 Unterbaugruppe für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aktor
JP6029373B2 (ja) 2012-07-31 2016-1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4445A2 (en) 2002-11-13 2004-05-27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an electrically actuated parking brake
JP2006283822A (ja) 2005-03-31 2006-10-19 Hitachi Ltd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US20070228824A1 (en) 2006-04-03 2007-10-04 Hitachi, Ltd. Electro Mechanical Brak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04687A1 (ja) 2017-08-03
JP6257804B2 (ja) 2018-01-10
KR20170102860A (ko) 2017-09-12
DE112015005792B4 (de) 2021-09-09
US20170297434A1 (en) 2017-10-19
US10138965B2 (en) 2018-11-27
CN107076236A (zh) 2017-08-18
DE112015005792T5 (de) 2017-09-21
CN107076236B (zh) 2019-05-10
WO2016104687A1 (ja)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240B2 (en) Disk brake
KR10222803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82036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40042722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15015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1612554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34185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44836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801730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03402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37318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12554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713358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711604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35378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99491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39834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遊星歯車減速機構
US20240157924A1 (en) Disc brake and planetary gear speed reduction mechanism
JP641531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913229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WO2018123562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WO2018139163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713358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