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084B1 -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084B1
KR102081084B1 KR1020190075586A KR20190075586A KR102081084B1 KR 102081084 B1 KR102081084 B1 KR 102081084B1 KR 1020190075586 A KR1020190075586 A KR 1020190075586A KR 20190075586 A KR20190075586 A KR 20190075586A KR 102081084 B1 KR102081084 B1 KR 10208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traction force
support
clamp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일
Original Assignee
박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일 filed Critical 박흥일
Priority to KR102019007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B62H2700/005Stands or support attached to bicycle pedals, stands or supports in combination with locking devices, stands to be used as luggag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은, 직립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바퀴를 간섭한 상태로 잠그도록 클램프부가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부의 단부가 중첩되면 양측 클램프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에 와이어를 통해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력 제공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입된 자전거 앞바퀴의 가압에 의해 잠금부재의 제1, 2 클램프부를 작동시켜 제1, 2 클램프부에 지지된 앞바퀴가 견인력 제공부재의 자체 무게에 의한 견인력에 의해 지지대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직립 상태의 자전거 견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BICYCLE LIFT RACK FOR SEPERATION AND COMBINATION}
본 발명은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적은 힘으로도 직립하게 거치 가능한 리프트 랙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소득의 증가에 따라 레저 활동이 증가하고, 환경이 수려한 수변 영역에 자전거 길이 통하게 되며, 도심에서 교통 혼잡이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를 사용하는 인구와 자전거 생산 및 대수가 급속하게 증가되었다.
한편, 아파트나 대단지 빌라 등에는 자전거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보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자전거의 보관 또는 거치가 어렵지 않지만, 일반 주택 단지 등에는 이러한 자전거 보관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전거의 보관 또는 거치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일반 주택에서는 마당이나 현관문 앞에 자전거를 세워 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눈이나 비에 의해 자전거가 쉽게 부식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자전거의 손상 방지를 위한 자전거 거치대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7432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7470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는 자전거를 수평하게 거치시켜 눈 및 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자전거의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새들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7432호(2015.06.0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7470호(2013.06.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자전거를 직립시켜 보관 가능한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은, 직립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바퀴를 간섭한 상태로 잠그도록 클램프부가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부의 단부가 중첩되면 양측 클램프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에 와이어를 통해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력 제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전면 양측에 상하 대향된 상태로 연결 돌기부가 구비되면서 상기 연결 돌기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출몰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연결 돌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자전거 바퀴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도록 결속돌출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클램프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 일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몰공을 관통하면서 중첩된 상기 클램프부의 관통홀에 단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클램프부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 타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견인력 제공부재의 견인력 발생을 저지하고 있다가 상기 클램프부가 상기 자전거의 바퀴를 잠그면 견인력 발생 저지를 해제시키는 견인력 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에는 양측에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롤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는 대향되게 경사 배치된 바퀴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에는, 회전된 상기 견인력 저지부의 단부를 간섭하도록 구비된 간섭부와, 상기 잠금부재의 하강시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켜 상기 클램프부들의 중첩 관통홀에 결합된 잠금돌기가 이탈하도록 결속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력 제공부재는 자체 무게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견인력을 제공하는 무게 제공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구동력에 의해 당기거나 풀어주는 구동모터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자전거 바퀴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잠금부재 및 견인력 제공부재는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보관함 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고, 상기 잠금장치가 사용요금접수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입된 자전거 앞바퀴의 가압에 의해 잠금부재의 제1, 2 클램프부를 작동시켜 제1, 2 클램프부에 지지된 앞바퀴가 견인력 제공부재의 자체 무게에 의한 견인력에 의해 지지대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직립 상태로 자전거 견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 자전거를 거치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서 잠금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서 잠금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이 보관함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이 보관된 보관함이 한개 또는 다수개 나열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 자전거를 거치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서 잠금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에서 잠금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이 보관함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이 보관된 보관함이 한개 또는 다수개 나열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10)은 지지대(100), 잠금부재(200) 및 견인력 제공부재(300)를 포함한다.
지지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상에 직립 설치되어 자전거(10)가 직립 상태로 거치된다.
더욱이, 지지대(100)는 상단에 와이어 롤러(112)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110)가 결합되고, 전면에 후술할 잠금부재(200)가 설치된다. 롤러 지지부(110)는 와이어(310)에 의해 회전되면서 와이어(3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한편, 잠금부재(200)가 설치되는 지지대(100)의 전면에는 잠금부재(200)의 안내 롤러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높이 방향으로 통과 절개부(102)가 형성되어 통과 절개부(102)를 통해 베이스부(220)의 양단부가 지지대(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지지대(100)는 전방 벽면과 후방 벽면과의 폭이 안내 롤러부(260)의 직경과 대응되어 안내 롤러부(260)가 틈 없이 상하 이동 가능하다.
더욱이, 지지대(100)는 전면 하부에 결속 해제부(114)와 간섭부(116)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와이어 롤러(112)가 래칫 휠과 폴 등으로 구성된 래칫 어셈블리 구조물에 의해 견인력 제공부재(300)가 하방으로만 이동하고 상방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방향을 제한 가능하다. 다만, 견인력 제공부재(3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폴을 래칫 휠에서 이격시키는 구조 적용 역시 가능하다.
결속 해제부(114)는 자전거(1)를 내려놓을 수 있게 잠금부재(200)를 하강시켜 앞바퀴(2)에서 제1, 2 클램프부(230a, 230b)를 벌리는 과정에서 제1, 2 클램프부(230a, 230b)들의 중첩되는 관통홀(238a, 238b)에 결합된 잠금돌기(242)가 이탈하도록 잠금부(240)를 회전시키게 된다.
간섭부(116)는 측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된 견인력 저지부(250)의 상단을 간섭하도록 구비되며,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제1 클램프부(230a)에 형성된 가압부(238)가 견인력 저지부(250)의 하단을 밀어 견인력 저지부(250)의 상단이 이탈된다.
그리고 지지대(100)는 전면 하단에 자전거(1)의 견인 전에 앞바퀴(2)를 안내하고, 자전거(1)의 견인 후에 뒷바퀴(3)를 안내하도록 이격된 가이드(120)가 구비된다.
잠금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의 사이에 진입된 자전거(1) 앞바퀴(2)의 가압에 의해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앞바퀴(2)를 간섭한 상태로 잠근 후 견인력 제공부재(300)에 의해 자전거(1)를 직립시키게 된다.
이때, 잠금부재(200)는 케이스부(210), 베이스부(220), 제1, 2 클램프부(230a, 230b), 결합돌기(240), 견인력 지지부(250) 및 안내 롤러부(26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210)는 베이스부(220), 제1, 2 클램프부(230a, 230b), 결합돌기(240), 견인력 지지부(25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전후가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케이스부(210)는 바닥면에 견인력 제공부재(300)와 연결되도록 와이어(310)의 단부가 고정된다.
베이스부(220)는 평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양측 상하에 연결 돌기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 돌기부(222)의 사이에 출몰공(224)이 관통 형성되고, 출몰공(224)의 하부에 "×"자 형상의 바퀴 안내부(226)가 구비되고, 전면 안쪽 면에 제1 설치돌기(228a)와 제2 설치돌기(228b)가 상호 대각 위치에 구비되며, 양측면 단부에 롤러 설치공(229)이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부(220)의 단부는 지지대(100)의 절개부(102) 내에 위치되므로 롤러 설치공(229)에 안내 롤러부(260)가 설치되면 안내 롤러부(260)가 지지대(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연결 돌기부(222)는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의 직립한 제1, 2 축부(231a, 231b)의 상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축부(S)가 삽입되도록 홀이 수직동일선 상에 형성된다.
출몰공(224)은 연결 돌기부(222)와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의 제1, 2 회동유도부(236a, 236b)가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바퀴 안내부(226)는 베이스부(220)의 전면에 상하 이격되면서 상부에서 봤을 때 "×" 형태로 배치되어, 자전거(1)의 앞바퀴(2) 단부가 중심에 오도록 안내하게 된다.
제1 설치돌기(228a)는 그 중심이 출몰공(224)과 일치하도록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잠금부(2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설치돌기(228b)는 출몰공(224)의 상부이면서 제1 설치돌기(228a)와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견인력 저지부(2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 설치공(229)은 케이스부(210)를 통과한 베이스부(220)의 단부에 복수 형성되어 안내 롤러부(2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2 클램프부(230a, 230b)는 연결 돌기부(222)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며, 제1, 2 축부(231a, 231b), 제1, 2 결속돌출부(232a, 232b), 제1, 2 연장부(234a, 234b), 제1, 2 회동유도부(236a, 236b) 및 가압부(238)를 포함한다.
제1, 2 축부(231a, 231b)는 직립된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 돌기부(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2 축부(231a, 231b)와 연결 돌기부(222)에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항시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2 결속돌출부(232a, 232b)는 제1, 2 축부(231a, 231b)의 외주면 일측에서 대칭된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자전거(1) 앞바퀴(2)의 림 내에 위치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되며, 단부에 직립된 제1, 2 연질부(232a', 232b')가 구비된다. 제1, 2 연질부(232a', 232b')는 자전거(1) 앞바퀴(2)의 림을 지지하도록 원기둥 형태이면서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제1, 2 연장부(234a, 234b)는 제1, 2 축부(231a, 231b)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자전거(1)가 진입하기 전에는 사잇각을 갖도록 위치되어 있다가 진입된 자전거(1)의 앞바퀴(2)가 가압하게 되면 서로 중첩된 위치로 회전된다.
제1, 2 회동유도부(236a, 236b)는 제1, 2 연장부(234a, 234b)의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제1, 2 축부(231a, 231b)의 회전에 의해 종방향으로 형성된 제1, 2 관통홀(238a, 238b)이 중첩된 상태에서 잠금부(240)의 잠금돌기(242)가 제1, 2 관통홀(238a, 238b)에 결속되면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압부(238)는 제1 연장부(234a)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견인력 저지부(250)가 간섭부(116)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제1 클램프부(230a)의 회전시 견인력 저지부(250)의 하단을 가압하게 된다.
잠금부(240)는 제1 설치돌기(228a)에 횡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 잠금돌기(242)가 직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잠금부(240)는 축에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잠금돌기(242)가 항시 제1, 2 관통홀(238a, 238b)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잠금부(240)는 자전거(1) 앞바퀴(2)가 진입하기 전에는 잠금돌기(242)의 반대 측 단부 저면이 결속 해제부(114)의 선단 모서리 부분에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자전거(1) 앞바퀴(2)가 진입하면서 베이스부(220)의 출몰공(224)을 관통한 제1, 2 회동유도부(236a, 236b)의 제1, 2 관통홀(238a, 238b)이 중첩되면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돌기(242)의 경사면에 점차 접촉되면서 잠금돌기(242)가 제1, 2 관통홀(238a, 238b)에 위치되므로 제1, 2 클램프부(230a, 230b)를 잠금 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잠금부(240)의 잠금돌기(242)가 중첩된 제1, 2 관통홀(238a, 238b)에 위치되면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의 간격이 오므려지고, 잠금돌기(242)가 제1, 2 관통홀(238a, 238b)에서 분리되면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견인력 저지부(250)는 제2 설치돌기(228b)에 횡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이 간섭부(116)에 걸려 견인력 제공부재(300)의 견인력 발생을 저지하고 있다가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오므려지면서 제1 클램프부(230a)에 구비된 가압부(238)가 하단을 밀면 횡축을 기점으로 회전되고 상단이 간섭부(116)에서 이탈된다.
안내 롤러부(260)는 베이스부(220)의 단부에 형성된 롤러 설치공(229)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견인력 제공부재(300)에 의해 잠금부재(200)에 잠금된 자전거(1)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지지대(100)의 내부 양측에서 구름 접촉하게 된다.
견인력 제공부재(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200)에 와이어(310)를 통해 견인력을 제공하며, 자체 무게에 의해 잠금부재(200)에 연결된 와이어(310)를 당겨 견인력을 제공하는 추인 무게 제공부와 동력에 의해 와이어(310)를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구동모터(113)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13)는 와이어 롤러(112)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소형 모터로, 구동력에 의해 와이어 롤러(112)를 당기거나 풀 수 있다. 더욱이, 구동모터(113)에 전원을 충전용 밧데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인가하며, 충전용 밧데리 사용으로 사용자의 자전거를 랙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힘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무게 제공부는 와이어(310)를 통해 잠금부재(200)에 연결되는데, 지지대(100)의 롤러 지지부(110)에 설치된 와이어 롤러(112)에 의해 회전 방향이 안내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잠금부(240)의 회전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잠금/잠금해제 신호 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잠금해제 신호 발생부는 공지의 도어락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여기서, 잠금/잠금해제 신호 발생부는 입력 버튼 및 키 인식부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입력 버튼은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구성이고, 키 인식부는 비밀 번호 초기화 또는 입력 버튼에 의한 번호 입력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방식 외에 키에 의해서도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가능한 구성이다. 더욱이, 입력 버튼에 의해 비밀번호 설정 역시 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10)은 케비넷 형태이면서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보관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원천적인 도난(분실)을 완벽한 방법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도어에는 터치식 잠금장치(22) 부착으로 비밀번호(일예로 4자리) 입력으로 자전거를 보관 및 출차 가능하다. 비밀번호는 1회성으로 사용 후 비밀번호 자동 삭제로 여러명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잠금장치(22)와 연동되면서 사용요금접수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카드, 핸드폰, 큐알 코드 등 사용자 확인 후 간편하게 사용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10)이 설치된 보관함(20)은 1대부터 여러대를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며, 가정 및 공동주택, 유동인구가 밀집된 지하철역사, 철도역사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10)에 자전거(1)를 거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전거(1) 앞바퀴(2)를 가이드(120)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전거(1)를 더 전진시키면, 앞바퀴(2)가 사잇각을 갖도록 경사진 제1, 2 연장부(234a, 234b)의 전면을 밀게 된다. 이때,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의 제1, 2 결속돌출부(232a, 232b)가 벌어진 상태이면서 제1, 2 연장부(234a, 234b)가 사잇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교차된 상태로 구비된다(도 6 참조).
다음으로, 제1, 2 축부(231a, 231b)가 점차 회전되고 제1, 2 연장부(234a, 234b)의 후면에 형성된 제1, 2 회동유도부(236a, 236b)가 점차 중첩되면서 끝단이 잠금부(240)의 잠금돌기(242) 경사면을 통해 잠금부(240)를 하향 회전시킨다(도 7 참조).
다음으로, 제1 클램프부(230a)에 형성된 가압부(238)가 견인력 저지부(250)의 하단을 밀어 견인력 저지부(250)의 상단이 간섭부(116)에서 이탈된다(도 8 참조).
다음으로, 잠금부(240)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잠금돌기(242)가 중첩된 제1, 2 관통홀(238a, 238b)에 결합되므로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9 참조).
다음으로, 견인력 저지부(250)의 상단이 간섭부(116)에서 이탈되면 견인력 제공부재(300)의 무게에 의해 와이어(310)를 당기고 이에 잠금부재(200)가 상승하게 되므로 잠금부재(200)가 결속된 자전거(1) 앞바퀴(2)가 들리면서 자전거(1)가 세워진다(도 10 참조). 이때, 견인력 저지부(250)는 가압부(238)에 의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잠금부(240)는 잠금돌기(242)가 제1, 2 관통홀(238a, 238b)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후에, 자전거(1)를 사용하기 위해서 자전거(1)를 잡고 당기게 되면 잠금부재(200)가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잠금부재(200)가 더 하강하면서 잠금부(240)가 지지대(100)에 구비된 결속 해제부(114)의 모서리에 닿게 되면 잠금부(240)가 회전되면서 잠금돌기(242)가 제1, 2 관통홀(238a, 238b)에서 분리된다(도 11, 12 참조).
다음으로, 제1, 2 클램프부(230a, 230b)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가압부(238)가 견인력 저지부(250)의 하단에서 이격되면서 견인력 저지부(250)의 상단이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100)에 구비된 간섭부(116)에 결속된다(도 13 참조). 이렇게, 견인력 저지부(250)의 상단이 지지대(100)의 간섭부(116)에 결속되면서 견인력 제공부재(300)의 견인력을 중지시킨다(도 14 참조).
다음으로, 간격이 벌어진 제1, 2 클램프부(230a, 230b)에서 자전거(1) 앞바퀴(2)를 분리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100: 지지대 110: 롤러 지지부
112: 와이어 롤러 114: 결속 해제부
116: 간섭부 200: 잠금부재
210: 케이스부 220: 베이스부
230a, 230b: 제1, 2 클램프부 240: 결합돌기
250: 견인력 지지부 260: 안내 롤러부
300: 견인력 제공부재 310: 와이어

Claims (8)

  1. 직립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바퀴를 간섭한 상태로 잠그도록 클램프부가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부의 단부가 중첩되면 양측 클램프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에 와이어를 통해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력 제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전면 양측에 상하 대향된 상태로 연결 돌기부가 구비되면서 상기 연결 돌기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출몰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연결 돌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자전거 바퀴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도록 결속돌출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클램프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 일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몰공을 관통하면서 중첩된 상기 클램프부의 관통홀에 단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클램프부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 타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견인력 제공부재의 견인력 발생을 저지하고 있다가 상기 클램프부가 상기 자전거의 바퀴를 잠그면 견인력 발생 저지를 해제시키는 견인력 저지부;를 포함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에는 양측에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는 대향되게 경사 배치된 바퀴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에는, 회전된 상기 견인력 저지부의 단부를 간섭하도록 구비된 간섭부와, 상기 잠금부재의 하강시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켜 상기 클램프부들의 중첩 관통홀에 결합된 잠금돌기가 이탈하도록 결속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력 제공부재는 자체 무게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견인력을 제공하는 무게 제공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구동력에 의해 당기거나 풀어주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자전거 바퀴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잠금부재 및 견인력 제공부재는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보관함 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고, 상기 잠금장치가 사용요금접수장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KR1020190075586A 2019-06-25 2019-06-25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KR10208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86A KR102081084B1 (ko) 2019-06-25 2019-06-25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86A KR102081084B1 (ko) 2019-06-25 2019-06-25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084B1 true KR102081084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86A KR102081084B1 (ko) 2019-06-25 2019-06-25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57B1 (ko) 2020-06-01 2021-02-19 박흥일 다단식 웨이트를 이용한 자전거 보관대
KR102400404B1 (ko) * 2022-02-07 2022-05-26 주식회사 카이넥스엠 기립형 자전거보관대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163A (ja) * 1997-11-07 1999-05-25 Yokohama Tokushu Senpaku Kk 自転車縦置駐車装置
JP2000255468A (ja) * 1999-03-10 2000-09-19 Yokohama Tokushu Senpaku Kk 施錠手段を具えた自転車縦置駐車装置及び施錠システム
KR100467470B1 (ko) 1996-12-10 2005-01-24 씨씨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0477432B1 (ko) 2002-05-31 2005-03-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캡플라이 기능을 겸비한 타이어 하부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100857413B1 (ko) * 2008-05-09 2008-09-08 제너럴로터(주) 자전거 수직 보관대
KR20120069124A (ko) * 2010-12-20 2012-06-28 김진호 자전거 보관함의 자전거 보관방법 및 그 보관함
KR101945371B1 (ko) * 2018-07-20 2019-02-07 (주)바이콕 미세먼지 저감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470B1 (ko) 1996-12-10 2005-01-24 씨씨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치료제
JPH11141163A (ja) * 1997-11-07 1999-05-25 Yokohama Tokushu Senpaku Kk 自転車縦置駐車装置
JP2000255468A (ja) * 1999-03-10 2000-09-19 Yokohama Tokushu Senpaku Kk 施錠手段を具えた自転車縦置駐車装置及び施錠システム
KR100477432B1 (ko) 2002-05-31 2005-03-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캡플라이 기능을 겸비한 타이어 하부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100857413B1 (ko) * 2008-05-09 2008-09-08 제너럴로터(주) 자전거 수직 보관대
KR20120069124A (ko) * 2010-12-20 2012-06-28 김진호 자전거 보관함의 자전거 보관방법 및 그 보관함
KR101945371B1 (ko) * 2018-07-20 2019-02-07 (주)바이콕 미세먼지 저감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57B1 (ko) 2020-06-01 2021-02-19 박흥일 다단식 웨이트를 이용한 자전거 보관대
KR102400404B1 (ko) * 2022-02-07 2022-05-26 주식회사 카이넥스엠 기립형 자전거보관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084B1 (ko) 탈부착용 자전거 리프트 랙
JP4800984B2 (ja) 二輪車の自動保管システム
US3814462A (en) Anti-theft bicycle frame
JP2022519119A (ja) 電子ロックを備えるスタンドに自転車をロックするための駐輪スタンド
CN213510022U (zh) 一种建筑智能安防用指纹防盗锁
CN108005494A (zh) 一种自行车车锁
CN203142841U (zh) 自行车智能寄存柜
KR20110062472A (ko) 자전거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보관장치
KR100949348B1 (ko) 지하매립형 자전거 보관대
KR100563002B1 (ko) 수직거치용 자전거 주차장치
CN110778232A (zh) 推拉式环网柜门锁结构
JP2011042184A (ja) 駐輪装置及び該駐輪装置が組み込まれた駐輪システム
WO2011136702A1 (en) Locking device
CN210918588U (zh) 一种锁具及车辆
KR101619429B1 (ko) 전자식 록킹장치가 구비된 자전거주차대
CN217924027U (zh) 一种改进型井盖
CN218770384U (zh) 一种放电插头可灵活连接锁定的电池盒
JP3520265B2 (ja) 自動二輪車のロック装置
CN2777054Y (zh) 防盗窨井盖
CN213233544U (zh) 一种防盗井盖
CN209667266U (zh) 一种二轮车停车架
CN208291409U (zh) 一种自行车车架
KR200233335Y1 (ko) 대여물품 무인 반납기
CN110880215B (zh) 回收箱、票据发放机及金融设备
CN219771555U (zh) 一种吊车用承载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