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13B1 - 버켓 - Google Patents
버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913B1 KR102080913B1 KR1020190115723A KR20190115723A KR102080913B1 KR 102080913 B1 KR102080913 B1 KR 102080913B1 KR 1020190115723 A KR1020190115723 A KR 1020190115723A KR 20190115723 A KR20190115723 A KR 20190115723A KR 102080913 B1 KR102080913 B1 KR 1020809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lug
- tooth
- attack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플레이트(10)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일단에 설치되며, 굴삭 작업시 토사 및 암석과 접촉되어 토사 및 암석을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 측으로 안내하는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을 폐쇄하는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용접 결합되어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한 쌍의 러그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72)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를 보호하는 어택플레이트 보호부재(70)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투스모듈(74);를 포함하는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면부에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굴삭 작업시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버켓의 파손에 따른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투스모듈의 투스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스의 파손 및 마모에 따른 교체 시간 및 수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면부에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굴삭 작업시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버켓의 파손에 따른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투스모듈의 투스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스의 파손 및 마모에 따른 교체 시간 및 수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켓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에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러그 플레이트 고정부위에 별도의 러그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어, 러그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용접 작업을 통해 버켓의 상측에 러그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버켓과 러그 플레이트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버켓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양을 굴삭하는 장비로서 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작업장치에 의하여 클램셀(clam-shell), 셔블(shovel), 헤머(hammer), 크랴샤, 데몰리션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특히, 굴삭기는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 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다양한 작업들은 주로 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버켓 등을 작업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가능하다.
종래의 굴삭기용 버켓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7-0049840과 10-2012-007369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용 버켓은, 상부에 상방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러그를 갖는 버킷 몸체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핀과 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한 쌍의 제2러그를 가지며 제2러그의 외면이 제1러그의 내면에 맞닿도록 제1러그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굴삭기 버켓은 버켓몸체(1)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러그 어셈블리(2)가 설치된다. 상기 러그 어셈블리(2)는 상기 버켓몸체(1)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러그 어셈블리(2)와 상기 버켓몸체(1)의 결합부위를 따라 용접 작업이 이루어져 버켓몸체(1)에 러그 어셈블리(2)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버켓몸체(1)의 상부면에 상기 러그 어셈블리(2)가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접촉부위를 따라 단지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됨으로써 작업 중에 버켓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장시간 버켓을 사용하는 경우에 러그 어셈블리(2)가 버켓몸체(1)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러그 어셈블리(2)는 도 1 내지 도 3와 같이, 상기 러그 어셈블리의 하부면 전방측에 걸림단(4)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6)의 선단측에 걸림 고정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상측플레이트(6) 선단의 수평 돌출 부위에 상기 러그 어셈블리(2)의 걸림단(4)이 걸림 고정되는 경우 상기 상측플레이트(6)와 상기 러그 어셈블리(2)의 고정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구조 해석(도 4 참조)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버켓에 응력분포도를 나타낸 그림으로 러그 어셈블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프론트 어택플레이트(8)에 25톤의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러그 어셈블리(2) 및 상기 상측플레이트(6)에 가해지는 응력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상기와 같은 응력 분포 해석결과 버켓의 사용시 상기 러그 어셈블리와 상측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러그 어셈블리(2)에 굴삭기의 아암이 연결되어 버켓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상기 러그 어셈블리(2)의 걸림단(4)과 상기 상측플레이트(6)의 선단측 고정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6)의 걸림단(4) 고정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에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러그 플레이트 고정부위에 별도의 러그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어, 러그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용접 작업을 통해 버켓의 상측에 러그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버켓과 러그 플레이트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버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굴삭 작업시 토사 및 암석과 접촉되어 토사 및 암석을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저장공간 측으로 안내하는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측을 폐쇄하는 상측플레이트와,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어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한 쌍의 러그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어택플레이트 보호부재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투스모듈를 포함한다.
상기 어택플레이트 보호부재는,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면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투스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어댑터몸체와, 상기 어탭터몸체의 후면부에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면부가 삽입되는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과, 상기 어댑터몸체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며, 전면과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어댑터몸체의 전면부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되는 투스고정돌기와, 상기 투스고정돌기의 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안내홈을 가지는 투스어댑터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투스몸체와, 상기 투스몸체의 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투스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투스고정홈과, 상기 투스몸체)의 후면 양측에 각각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홈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기 투스고정돌기의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투스와, 상기 어댑터몸체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고정핀삽입홀과, 상기 고정핀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투스어댑터의전방측에 결합된 상기 투스를 고정시키는 투스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러그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러그고정홀이 더 구비된다.
상기 상측플레이트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측 끝단의 굽힘각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연장되며, 상기 수용부의 선단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의 끝단에는, 상기 배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러그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어 응력 집중을 최소화시키는 응력분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러그플레이트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러그바디와, 상기 러그바디의 측면 전후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아암 장착핀이 삽입 고정되는 핀고정홀과, 상기 러그바디의 하부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러그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상기 러그바디를 고정하는 러그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러그고정홀의 내부에는, 상기 러그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비드가 충진되어 상기 러그고정홀의 내부에 상기 러그플레이트가 고정된다.
상기 러그고정홀의 내부에는, 상기 러그플레이트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러그플레이트의 외측에 용접 작업이 이루어져,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상기 러그플레이트가 고정된다.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양측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 또는 상기 러그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러그플레이트를 상기 상측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보강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각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전방측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1강도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후방측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2강도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전면부에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굴삭 작업시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버켓의 파손에 따른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투스모듈의 투스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스의 파손 및 마모에 따른 교체 시간 및 수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측플레이트의 러그고정홀 내부에 상기 러그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삽입 고정하고, 추가적인 용접작업을 통해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상기 러그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고정된 러그 플레이트의 결속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결속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러그 플레이트에 굴삭기의 아암이 장착되어 버켓의 조작위해 가해지는 힘을 방향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은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러그 플레이트에 발생되는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응력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에 러그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상측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상측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러그고정홀에 삽입되어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러그고정홀에 관통되어 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러그 플레이트에 발생되는 응력 분포을 나타내는 응력분포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2는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러그 플레이트에 굴삭기의 아암이 장착되어 버켓의 조작위해 가해지는 힘을 방향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은 종래의 굴삭기 버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러그 플레이트에 발생되는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응력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에 러그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상측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상측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러그고정홀에 삽입되어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러그고정홀에 관통되어 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러그 플레이트에 발생되는 응력 분포을 나타내는 응력분포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플레이트(10)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을 폐쇄하는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용접 결합되어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한 쌍의 러그플레이트(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 도 5와 같이 좌,우측과, 전방측이 개방된 형태로 만곡 형성된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는 내부에 토사 또는 암석이 담겨지는 저장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는 각각 측면플레이트(12)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2)는 사이드판(14)과 사이드어택판(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판(14)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후방측에 라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판(14)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측면을 따라 용접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판(14)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측면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판(14)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에 토사 또는 암석이 담겨지는 경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으로 토사 또는 암석이 흘려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판(14)의 전방측에는 사이드어택판(16)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어택판(16)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사이드판(14)의 전면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어택판(16)의 후방면은 상기 사이드판(14)과 용접 결합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전방측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어택판(16)은 상기 사이드판(14) 보다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져, 토사 및 암석의 굴삭 작업시 토사 및 암석과 접촉되어 토사 및 암석을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사이드어택판(16)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에 각각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굴삭 작업시 땅을 파거나, 암석의 굴착시 암석이 굴착되도록 충돌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어택판(16)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판(14)보다 더욱 두꺼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전방측에는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끝단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 보다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져, 토사 및 암석의 굴삭 작업시 토사 및 암석과 접촉되어 토사 및 암석을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전방측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굴삭 작업시 땅을 파거나, 암석의 굴착시 암석이 굴착되도록 충돌되는 부분이다.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에 러그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상측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상측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러그고정홀에 삽입되어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러그플레이트가 러그고정홀에 관통되어 용접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는 상측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상측플레이트(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굽힘각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부(22)와, 상기 결합부(22)의 일측에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22)의 선단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24)와, 상기 수용부(24)의 일측에 연장되며, 상기 수용부(24)의 선단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부(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2)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 끝단을 따라 좌우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 끝단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 끝단과 동일한 각도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 일부분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22)의 전방측에는 수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4)는 직사각형 판재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의 전방 끝단을 따라 좌우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4)는 상기 결합부(22)의 전방 끝단에 절곡 형성되며,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4)는 상기 결합부(22)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폐쇄한다.
상기 수용부(24)는 상기 결합부(22)의 전방 끝단에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측으로 토사 및 암석의 투입 및 배출을 안내한다.
상기 수용부(24)의 끝단에는 배출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4)의 전방 끝단을 따라 좌우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6)는 상기 수용부(24)의 전방 끝단에 절곡 형성되며,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6)는 상기 수용부(24)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폐쇄한다.
상기 배출부(26)는 상기 수용부(24)의 전방 끝단을 따라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측으로 토사 및 암석의 투입 및 배출을 안내한다.
즉,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결합부(22)와 수용부(24) 그리고 배출부(26)는 일체로 형성되며, 절곡 가공을 통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2)와 수용부(24) 그리고 배출부(26)는 절곡 과정을 통해 형성됨에 따라 평평한 형태의 상측플레이트(20)에 비해 구조적으로 강도가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4)와 배출부(26)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설치 각도가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굴삭 작업시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 내부로 토사 및 암석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26)의 끝단에는 응력분산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응력분산부(28)는 상기 배출부(26)의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응력분산부(28)는 후술할 러그플레이트(40)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어 응력 집중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응력분산부(28)는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러그플레이트(40)의 하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아암의 작동에 의해 버켓에 가해지는 작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걸림 고정되어 응력 집중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는 러그고정홀(30)이 형성된다. 상기 러그고정홀(30)은 도 8과 같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좌,우측에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러그고정홀(30)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전,후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술할 러그고정돌기(4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적용되는 상기 러그고정홀(30)은 단일의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렬로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러그고정홀(30)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좌우측에는 각각 한 쌍의 러그플레이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러그플레이트(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러그바디(42)와, 상기 러그바디(42)의 측면 전후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아암 장착핀(8)이 삽입 고정되는 핀고정홀(44)과,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부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삽입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바디(42)를 고정하는 러그고정돌기(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러그바디(42)는 도 10과 같이, 직사각 형태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러그바디(42)의 측면 상측에는 핀고정홀(44)이 형성된다. 상기 핀고정홀(44)의 상기 러그바디(42)의 측면 전,후 측에 각각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핀고정홀(44)의 내부에는 굴삭기의 아암이 장착되는 아암 장착핀(8)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부면에는 러그고정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러그고정돌기(46)는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단부를 따라 전후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러그고정돌기(46)는 상기 러그바디(4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러그고정돌기(46)는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버디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러그고정홀(30)과 상기 러그고정돌기(46)의 접촉부위에 용접작업을 실시하여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바디(42)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고정하는 방식은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된다.
도 14과 같이,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완전히 관통시킨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통해 상측플레이트(20)에 러그플레이트(40)를 고정할 수도 있으며, 도 15와 같이,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러그고정돌기(46)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용접비드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플레이트(40)를 고정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러그고정돌기(46)의 삽입방식은 버켓의 사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고정하는 방식은 상기의 2가지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러그고정홀(30) 내부에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일부분을 삽입 고정하고, 추가적인 용접작업을 통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플레이트(40)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고정된 러그플레이트(40)의 결속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결속 강도가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단부 전,후측에는 각각 제1,2걸림턱(48,50)이 형성된다. 상기 제1,2걸림턱(48,50)은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단부 전,후측에 각각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러그고정돌기(46)의 삽입시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제1,2걸림턱(48,50)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걸림되어,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삽입되는 상기 러그고정돌기(46)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단부 전방측에는 응력분산부(28)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5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2)은 도 10과 같이, 상기 응력분산부(28)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소정 깊이 만큼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2)의 내부에는 상기 응력분산부(28)가 삽입되어, 용접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양측에는 보강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각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판(62)과, 상기 보강판(62)의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전방측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1강도보강판(64)과, 상기 보강판(62)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후방측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2강도보강판(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상기 보강판(62)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제1,2강도보강판(64,66)이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보강플레이트(6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측면플레이트(12)와 러그플레이트(40) 및 서로 다른 러그플레이트(40)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단이 각각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측면에 용접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60)의 전,후측단부는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러그플레이트(40)를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5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6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7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켓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플레이트(10)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일단에 설치되며, 굴삭 작업시 토사 및 암석과 접촉되어 토사 및 암석을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 측으로 안내하는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을 폐쇄하는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용접 결합되어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한 쌍의 러그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72)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를 보호하는 어택플레이트 보호부재(70)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투스모듈(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에는 보호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부재(70)는 도 21과 같이, 상기 보호부재(70)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재(70)의 후면부에는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와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는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72)의 내부에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가 삽입되어, 상기 보호부재(70)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72)의 내부에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이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에 상기 보호부재(7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70)는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이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굴삭작업시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호부재(70)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됨에 따라 굴삭 작업시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에는 투스모듈(74)이 설치된다. 상기 투스모듈(74)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투스모듈(74)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에 용접 고정되며, 굴삭작업시 단단한 지면에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지면에 박혀 있는 암석을 긁어내는 작업 등에 사용된다.
상기 투스모듈(74)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어댑터몸체(80)와, 상기 어댑터몸체(80)의 후면부에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가 삽입되는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과,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며, 전면과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82)과,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전면부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되는 투스고정돌기(83)와,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과 연통되는 안내홈(84)을 가지는 투스어댑터(76)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투스몸체(90)와,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투스고정돌기(8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투스고정홈(91)과,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면 양측에 각각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92)와; 상기 가이드돌기(92)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홈(82)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84)을 따라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돌기(93)를 가지는 투스(89)와,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과 연통되는 고정핀 삽입홀(87)과, 상기 고정핀 삽입홀(87)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투스어댑터(76)의 전방측에 결합된 상기 투스(89)를 고정시키는 투스고정핀(9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스어댑터(76)는, 어댑터몸체(80),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 가이드홈(82), 투스고정돌기(83), 안내홈(8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댑터몸체(80)는 도 23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몸체(80)의 후면부에는 후면부에는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와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는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의 내부에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가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몸체(80)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의 내부에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이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에 상기 어댑터몸체(8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몸체(80)는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이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후술할 투스(89)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8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82)은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측면에 측면과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사각 박스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82)의 내부에는 후술할 투스(89)의 가이드돌기(9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전방측에는 투스고정돌기(83)가 형성된다. 상기 투스고정돌기(83)는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좌,우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된다. 상기 투스고정돌기(83)는 후술할 투스(89)의 투스고정홈(9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측면에는 도 24와 같이 안내홈(8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84)은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84)은 내부에는 후술할 투스(89)의 걸림돌기(93)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82)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홈(84)의 우측 끝단에는 핀삽입홈(85)이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홈(85)은 상기 가이드홈(82)의 끝단에 상하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홈(85)은 후술할 고정핀 삽입홀(87)과 연통되며, 내부에 후술할 투스고정핀(9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핀삽입홈(85)의 우측에는 걸림돌기 수용홈(8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86)은 상기 가이드홈(8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의 내부면에 후술할 걸림돌기(9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86)의 내부에는 후술할 투스(89)의 걸림돌기(93)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상부면에는 고정핀 삽입홀(8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 삽입홀(87)은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상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삽입홈(85)과 연통된다. 상기 고정핀 삽입홀(87)의 내부에는 후술할 투스고정핀(96)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82) 측으로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상부면 중앙에는 어댑터연결링(88)이 설치된다. 상기 어댑터연결링(88)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연결링(88)의 내부에는 고중량의 물건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의 후크 등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연결링(88)이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설치됨에 따라 고중량의 어댑터몸체(80)의 운반시 상기 어댑터몸체(80)에 운반장치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투스어댑터(76)의 전방측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스(89)가 결합된다. 상기 투스(89)는, 도 25와 같이, 투스몸체(90), 투스고정홈(91), 가이드돌기(92), 걸림돌기(9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스몸체(90)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투스몸체(90)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된다. 상기 투스몸체(90)는 상기 투스어댑터(76)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굴삭작업시 암석을 파쇄하거나 암석을 지면의 외측으로 긁어내고, 단단한 지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면에는 투스고정홈(91)이 형성된다. 상기 투스고정홈(91)의 도 27과 같이,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면부에 상기 투스고정돌기(8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투스고정홈(91)의 내부엔느 상기 투스고정돌기(8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방 좌,우측에는 각각 가이드돌기(9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92)는 도 25와 같이, 상기 투스몸체(90)의 배면 양측에 각각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92)는 상기 가이드홈(8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투스어댑터(76)에 상기 투스몸체(90)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홈(82)에 장착되어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92)의 측면에는 걸림돌기(9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93)는 사각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홈(8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92)는 상기 안내홈(84)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86)에 삽입되며, 후술할 투스고정핀(96)에 의해 상기 투스어댑터(76)에 걸림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투스몸체(90)의 상부면에 중앙에는 투스연결링(95)이 형성된다. 상기 투스연결링(95)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투스몸체(9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투스연결링(95)의 내부에는 고중량의 물건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의 후크 등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투스연결링(95)이 상기 투스몸체(90)에 설치됨에 따라 고중량의 투스몸체(90)의 운반시 상기 투스몸체(90)에 운반장치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삽입홀(87)의 내부에는 투스고정핀(96)이 설치된다. 상기 투스고정핀(96)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 삽입홀(87)을 통해 어댑터몸체(80)의 핀삽입홈(85)에 삽입된다. 상기 투스고정핀(96)은 상기 투스어댑터(76)에 상기 투스(89)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핀삽입홈(85)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86)에 삽입된 걸림돌기(93)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투스고정핀(96)에 의해 상기 투스어댑터(76)에 상기 투스(89)가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투스어댑터(76)에 상기 투스(89)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스어댑터(76)에 장착된 투스(89)가 일정량 이상으로 마모되거나, 심하게 손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스어댑터(76)의 외측으로 상기 투스고정핀(96)을 분리시켜 상기 투스어댑터(76)와 상기 투스(89)를 결합을 손쉽게 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버켓의 제작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27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5와 같이, 작업자는 상측플레이트(20)에 러그고정홀(30)을 형성하는 러그고정홀 형성단계(S100)를 실시한다. 상기 러그고정홀 형성단계(S10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러그고정홀(30)을 관통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양측에 전후로 길게 러그고정홀(30)을 관통 형성한다.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한 쌍의 러그고정홀(30)의 관통 형성되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러그플레이트(40)를 고정하는 러그플레이트 고정단계(S110)를 실시한다. 상기 러그플레이트 고정단계(S110)는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러그고정홀(30)에 러그고정돌기(46)를 삽입한다.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응력분산부(28)를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삽입홈(52)에 삽입한다.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러그플레이트(4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결합부위를 따라 용접을 실시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플레이트(4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러그고정돌기(46)를 삽입하는 방식은 도 14 같이,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관통하여 용접 고정하는 방식과, 도 15와 같이,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상기 러그고정돌기(46)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용접비드를 충진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일부분을 삽입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을 실시함으로써 종래의 러그플레이트(40) 고정방식에 비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결속력 및 결속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러그플레이트(4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보강플레이트 고정단계(S120)를 실시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3개가 설치된다. 상기 러그플레이트(40) 사이와 서로 다른 러그플레이트(4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보강판(62)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전후측에 각각 제1,2강도보강판(64,66)이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60)와 러그플레이트(40)의 맞닿는 부위와, 상기 보강플레이트(6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맞닿는 부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기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러그플레이트(40)에 상기 보강플레이트(6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 고정단계(S120)가 완료되면, 바디플레이트 고정단계(S130)를 실시한다.
상기 바디플레이트 고정단계(S13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후방 하단부에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밀착시킨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후방 하단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실시하여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상측플레이(2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바디플레이트 고정단계(S130)가 완료되면 프론트 어택플레이트 고정단계(S140)를 실시한다.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 고정단계(S140)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하부 전방 끝단에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를 밀착시킨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와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가 밀착된 상태에서 접촉부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하부 전방 끝단에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를 고정한다.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 고정단계(S140)가 완료되면, 측면플레이트 고정단계(S150)를 실시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 고정단계(S150)는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측면플레이트(12)를 밀착시킨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측면플레이트(12)가 밀착된 상태에서 접촉부위를 따라 용접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접촉되는 상기 보강플레이트(60)의 측면과 상측플레이트(20)의 접촉부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12)를 상기 바디플레이트(10) 및 상기 상측플레이트(20) 그리고 보강플레이트(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프론트 플레이트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러그 플레이트에 발생되는 응력 집중을 나타내는 응력분포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버켓과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을 비교하면, 종래의 버켓에 대한 응력 해석 기준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러그플레이트(4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에 25톤(t)의 힘을 가하여 버켓의 응력 분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버켓에 대한 응력분포 해석결과는 상기 러그플레이트(4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고정부위에 전체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러그플레이트(40)와 선단측과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고정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약 88kgf의 응력 집중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버켓의 경우에는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하단부를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러그고정홀(30)에 삽입한 후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향 절곡 형성된 응력분산부(28)를 러그플레이트(40)의 삽입홈(52)에 삽입하는 결합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선단측과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고정부위에 약 19kgf의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버켓은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러그플레이트(40)와 상측플레이트(20)의 고정부위가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가짐에 따라 종래의 버켓에 비해 구조적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바디플레이트 12. 측면플레이트
20. 상측플레이트 30. 러그고정홀
40. 러그플레이트 46. 러그고정돌기
52. 삽입홈 60. 보강플레이트
70. 보호부재 74. 투스모듈
76. 투스어댑터 89. 투스
20. 상측플레이트 30. 러그고정홀
40. 러그플레이트 46. 러그고정돌기
52. 삽입홈 60. 보강플레이트
70. 보호부재 74. 투스모듈
76. 투스어댑터 89. 투스
Claims (10)
-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플레이트(10)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일단에 설치되며, 굴삭 작업시 토사 및 암석과 접촉되어 토사 및 암석을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저장공간(S) 측으로 안내하는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을 폐쇄하는 상측플레이트(2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용접 결합되어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한 쌍의 러그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제1어택플레이트 삽입홈(72)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를 보호하는 어택플레이트 보호부재(70)와;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투스모듈(74)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러그고정홀(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하부면에는,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러그고정홀(3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하부면에 관통된 부위에 용접이 이루어져 상기 러그플레이트(40)를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러그고정돌기(4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사이에는 보강플레이트(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상기 러그플레이트(40)에 장착되는 아암 장착핀(8)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평판 형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택플레이트 보호부재(70)는,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모듈(74)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어댑터몸체(80)와, 상기 어댑터몸체(80)의 후면부에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어택플레이트(18)의 전면부가 삽입되는 제2어택플레이트 삽입홈(78)과,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며, 전면과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82)과,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전면부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형성되는 투스고정돌기(83)와,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과 연통되는 안내홈(84)을 가지는 투스어댑터(76)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투스몸체(90)와,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투스고정돌기(8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투스고정홈(91)과, 상기 투스몸체(90)의 후면 양측에 각각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92)와; 상기 가이드돌기(92)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홈(82)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84)을 따라 상기 투스고정돌기(83)의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돌기(93)를 가지는 투스(89)와;
상기 어댑터몸체(80)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과 연통되는 고정핀 삽입홀(87)과;
상기 고정핀 삽입홀(87)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투스어댑터(76)의 전방측에 결합된 상기 투스(89)를 고정시키는 투스고정핀(96);을 포함하는 버켓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레이트(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바디플레이트(10)의 상측 끝단의 굽힘각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부(22)와;
상기 결합부(22)의 일측에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22)의 선단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24)와;
상기 수용부(24)의 일측에 연장되며, 상기 수용부(24)의 선단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부(26);를 포함하는 버켓.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6)의 끝단에는,
상기 배출부(26)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26)의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러그플레이트(40)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어 응력 집중을 최소화시키는 응력분산부(28);를 더 포함하는 버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플레이트(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러그바디(42)와;
상기 러그바디(42)의 측면 전후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아암 장착핀(8)이 삽입 고정되는 핀고정홀(44)과;
상기 러그바디(42)의 하부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러그고정홀(30)에 삽입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상기 러그바디(42)를 고정하는 러그고정돌기(46);를 포함하는 버켓.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양측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2) 또는 상기 러그플레이트(40)에 용접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0)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러그플레이트(40)를 상기 상측플레이트(2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2)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보강플레이트(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6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각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판(62)과;
상기 보강판(62)의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전방측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1강도보강판(64)과;
상기 보강판(62)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플레이트(20)의 후방측 상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2강도보강판(66);을 포함하는 버켓.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723A KR102080913B1 (ko) | 2019-09-20 | 2019-09-20 | 버켓 |
PCT/KR2019/016060 WO2021054524A1 (ko) | 2019-09-20 | 2019-11-21 | 버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723A KR102080913B1 (ko) | 2019-09-20 | 2019-09-20 | 버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913B1 true KR102080913B1 (ko) | 2020-02-24 |
Family
ID=6963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5723A KR102080913B1 (ko) | 2019-09-20 | 2019-09-20 | 버켓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913B1 (ko) |
WO (1) | WO202105452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0921B1 (ko) * | 2021-08-05 | 2022-02-08 | 이강준 | 굴삭기용 버켓 |
CN117484053A (zh) * | 2023-11-03 | 2024-02-02 | 泰安嘉和重工机械有限公司 | 一种液压挖掘机组件自动焊接机器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08724B (zh) * | 2021-12-07 | 2022-12-27 |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 铲斗及挖掘机 |
CN115522582B (zh) * | 2022-11-10 | 2023-04-28 | 江苏东宇工程机械有限公司 | 一种挖掘机的悬臂结构 |
CN116335220A (zh) * | 2023-04-07 | 2023-06-27 | 山东华星重工机械装备有限公司 | 土层掘进用微型挖斗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3497A (ja) * | 2000-05-19 | 2001-11-22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掘削バケット |
JP2002242222A (ja) * | 2001-02-16 | 2002-08-28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
KR20050107980A (ko) * | 2004-05-11 | 2005-11-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굴삭기 버켓의 탈장착 구조 |
KR20070049840A (ko) | 2005-11-09 | 2007-05-14 | 정무수 | 굴삭기의 버켓 및 암 조인트 용접용 이당재 |
US20090183398A1 (en) * | 2008-01-17 | 2009-07-23 | Caterpillar Inc. | Excavator bucket top assembly |
KR101024445B1 (ko) * | 2001-07-06 | 2011-03-23 | 에스코 코포레이션 | 마모 조립체 |
KR20120073699A (ko) | 2010-12-27 | 2012-07-05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
US20160273185A1 (en) * | 2015-03-16 | 2016-09-22 | Caterpillar Inc. | Bucket with multi-component wrapper |
JP2019124118A (ja) * | 2013-10-21 | 2019-07-25 | エスコ・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 摩耗アセンブリ取外しおよび取付け |
-
2019
- 2019-09-20 KR KR1020190115723A patent/KR1020809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21 WO PCT/KR2019/016060 patent/WO202105452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3497A (ja) * | 2000-05-19 | 2001-11-22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掘削バケット |
JP2002242222A (ja) * | 2001-02-16 | 2002-08-28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
KR101024445B1 (ko) * | 2001-07-06 | 2011-03-23 | 에스코 코포레이션 | 마모 조립체 |
KR20050107980A (ko) * | 2004-05-11 | 2005-11-1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굴삭기 버켓의 탈장착 구조 |
KR20070049840A (ko) | 2005-11-09 | 2007-05-14 | 정무수 | 굴삭기의 버켓 및 암 조인트 용접용 이당재 |
US20090183398A1 (en) * | 2008-01-17 | 2009-07-23 | Caterpillar Inc. | Excavator bucket top assembly |
KR20120073699A (ko) | 2010-12-27 | 2012-07-05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
JP2019124118A (ja) * | 2013-10-21 | 2019-07-25 | エスコ・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 摩耗アセンブリ取外しおよび取付け |
US20160273185A1 (en) * | 2015-03-16 | 2016-09-22 | Caterpillar Inc. | Bucket with multi-component wrapp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0921B1 (ko) * | 2021-08-05 | 2022-02-08 | 이강준 | 굴삭기용 버켓 |
WO2023013925A1 (ko) * | 2021-08-05 | 2023-02-09 | 이강준 | 굴삭기용 버켓 |
CN117484053A (zh) * | 2023-11-03 | 2024-02-02 | 泰安嘉和重工机械有限公司 | 一种液压挖掘机组件自动焊接机器人 |
CN117484053B (zh) * | 2023-11-03 | 2024-04-12 | 泰安嘉和重工机械有限公司 | 一种液压挖掘机组件自动焊接机器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54524A1 (ko) | 2021-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0913B1 (ko) | 버켓 | |
US20200370271A1 (en) | Lip for excavating bucket | |
KR101297529B1 (ko) | 굴착기용 마모 조립체 | |
US6751897B2 (en) | Lip assembly | |
JP5005341B2 (ja) | 掘削機の掘削縁部用の磨耗アッセンブリ | |
USH2020H1 (en) | Tip and adapter for an earthworking bucket | |
KR970001731B1 (ko) | 탄력있는 자물쇠를 갖춘 굴착기의 마모 날 | |
US4231173A (en) | Excavating tooth | |
CA2501697C (en) | Lip assembly including side portions with projections | |
US9605416B2 (en) | Spacer shims for ground engaging tools | |
JP4671964B2 (ja) | 翼付きの掘削歯 | |
KR102080919B1 (ko) | 버켓 | |
EP0866178A2 (en) | Bucket tool for a digger | |
EP3899150B1 (en) | Wear member and wear assembly | |
US20110126434A1 (en) | Angled edge bucket excavation tool | |
KR100666435B1 (ko) | 건설기계의 굴삭 버킷 | |
CA1069960A (en) | Excavating tooth | |
JP3973325B2 (ja) | ショベルローダ用バケット | |
JP2006342664A (ja) | 掘削兼用整地・整形用バケット | |
JP3146193U (ja) | ツース盤及び該ツース盤を具備するショベル機械用のバケット | |
JP2001040692A (ja) | 断面形状くの字型のカッティングエッジを装着した地均し作業を行う建設機械のブレードの構造 | |
CN106930351B (zh) | 用于装载机铲斗的磨耗组件 | |
JP2018115533A (ja) | バ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 | |
JP2018184751A (ja) | バ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 | |
JPH09125440A (ja) | 油圧ショベル用アタッチメ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