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699A -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 Google Patents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699A
KR20120073699A KR1020100135534A KR20100135534A KR20120073699A KR 20120073699 A KR20120073699 A KR 20120073699A KR 1020100135534 A KR1020100135534 A KR 1020100135534A KR 20100135534 A KR20100135534 A KR 20100135534A KR 20120073699 A KR20120073699 A KR 2012007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bucket
lugs
lug assembly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구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KR102010013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699A/ko
Publication of KR2012007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12Component parts, e.g. bucket troughs
    • E02F3/14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 E02F3/141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핀의 직경이나 핀 간 거리가 달라져야만 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버킷을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버킷에 다양한 사양의 러그 어셈블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은, 상부에 상방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러그를 갖는 버킷 몸체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핀과 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한 쌍의 제2러그를 가지며 제2러그의 외면이 제1러그의 내면에 맞닿도록 제1러그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Bucket for excavator with improved lug assembly}
본 발명은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암과의 체결을 위해 구비되는 러그 어셈블리가 개선된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에는 땅을 파거나 깎기 위해 버킷이 장착되는데, 버킷은 굴삭기의 아암에 체결된다.
도 1은 종래 버킷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버킷은 바디(1)와, 바디(1)의 상부에 형성되고 각각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러그(2)와, 양단이 각각 러그(2)에 형성된 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너트(4)로 고정되는 핀(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굴삭기의 아암(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는 버킷과의 체결을 위한 홀이 러그(2)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버킷과 아암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러그(2) 사이에 아암 및 컨트롤 로드가 위치하도록 버킷을 밀착시킨 후, 핀(3)을 러그(2), 아암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 버킷은 핀(3)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굴삭기용 버킷은 용량(capacity)과 깊이(width)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는데, 그 사양에 따라 핀의 직경이나 핀 간의 거리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버킷은 각 버킷별로 한 가지 사양의 러그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종래 버킷으로는 핀의 직경이나 핀 간의 거리에 대한 변경이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없었고, 필요한 직경과 거리로 핀이 구비된 버킷을 별도로 제작하여야만 했다. 즉, 대다수의 버킷은 핀의 차이에 따라 별도로 다양한 사양별로 제작 및 관리되어야 했다.
결국, 종래 버킷은 러그의 공용화가 이루어질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설계 효용성 저하, 재고관리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핀의 직경이나 핀 간 거리가 달라져야만 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버킷을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버킷에 다양한 사양의 러그 어셈블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상방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러그를 갖는 버킷 몸체;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핀과 상기 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한 쌍의 제2러그를 가지며 상기 제2러그의 외면이 상기 제1러그의 내면에 맞닿도록 상기 제1러그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러그가 상기 버킷 몸체의 제1러그에 용접부착됨으로써 상기 버킷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러그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러그가 상기 제1러그에 채움용접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버킷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러그가 상기 제1러그에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버킷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에 의하면, 버킷 몸체에 형성된 제1러그 사이에 필요로 하는 사양의 핀이 구비된 러그 어셈블리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핀의 직경이나 핀 간 거리가 달라져야만 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버킷을 제작할 필요없이 러그 어셈블리만 제작하면 되며, 이에 따라 설계와 관리 효율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굴삭기용 버킷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용 버킷은 버킷 몸체(10)와 러그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버킷 몸체(10)는 다수의 투스(tooth)(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가지며, 상부에 상방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러그(12)를 갖는다. 제1러그(12)는 러그 어셈블리(20)가 버킷 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제1러그(12)는 버킷 몸체(10)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하거나 제1러그(12)를 별도로 제작한 후 버킷 몸체(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러그 어셈블리(20)는 버킷 몸체(10)에 고정되어 버킷 몸체(10)를 아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러그 어셈블리(20)는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복수의 핀(22)과 한 쌍의 제2러그(24)를 갖는다.
여기에서, 러그 어셈블리(20)의 핀(22)은 대략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제2러그(2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핀(22)의 양단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 어셈블리(20)는 핀(22)과 제2러그(24)가 고정되어 일체로 됨으로써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러그 어셈블리(20)는 핀(22) 사이의 거리별 및/또는 핀(22)의 직경별로 다양한 사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사양에 맞추어 러그 어셈블리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버킷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러그의 공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별도로 버킷 자체를 제작하여야만 했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러그 어셈블리(20)를 버킷 몸체(10)에 고정하는 것은 용접에 의할 수 있다. 즉, 러그 어셈블리(20)는 제2러그(24)의 외면이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의 내면에 맞닿도록 제1러그(12) 사이에 삽입되는데, 이 경우 제2러그(24)와 제1러그(12)가 맞닿은 테두리를 따라 용접함으로써 러그 어셈블리(20)가 버킷 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용접의 용이성과 견고한 고정을 위해 러그 어셈블리(20)의 제2러그(24)는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결국, 버킷 몸체(10)를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하고, 러그 어셈블리(20)는 핀(22) 사이의 거리별 및/또는 핀(22)의 직경별로 다양한 사양으로 제작한 후, 필요한 사양에 맞는 러그 어셈블리(20)를 버킷 몸체(10)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양 변경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굴삭기용 버킷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굴삭기용 버킷과 고정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각 굴삭기용 버킷은 제1러그(12)를 갖는 버킷 몸체(10)와, 복수의 핀(22) 및 복수의 제2러그(24)를 갖는 러그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점은 동일하지만, 러그 어셈블리(20)를 버킷 몸체(10)에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굴삭기용 버킷은 채움용접을 이용한 것이다. 즉,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에는 다수의 홀(14)이 형성되며, 러그 어셈블리(20)는 제2러그(24)가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에 맞닿도록 삽입된 후 홀(14)을 통한 채움용접으로 버킷 몸체(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굴삭기용 버킷은 볼트체결을 이용한 것이다. 즉,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와 러그 어셈블리(20)의 제2러그(24)에는 각각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러그 어셈블리(20)는 제2러그(24)가 버킷 몸체(10)의 제1러그(12)에 맞닿도록 삽입된 후 체결공을 통한 볼트체결로 버킷 몸체(1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굴삭기용 버킷은 볼트체결에 의하는 것이기 때문에 러그 어셈블리(20)의 탈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러그 어셈블리(20)가 버킷 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그 고정방법으로 용접, 채움용접, 볼트체결이 한꺼번에 적용될 수도 있다.
10 : 버킷 몸체
12 : 제1러그
20 : 러그 어셈블리
22 : 핀
24 : 제2러그

Claims (4)

  1. 상부에 상방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러그를 갖는 버킷 몸체; 및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핀과, 상기 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한 쌍의 제2러그를 가지며, 상기 제2러그의 외면이 상기 제1러그의 내면에 맞닿도록 상기 제1러그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러그가 상기 버킷 몸체의 제1러그에 용접부착됨으로써 상기 버킷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러그가 상기 제1러그에 채움용접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버킷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제2러그가 상기 제1러그에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버킷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KR1020100135534A 2010-12-27 2010-12-27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KR20120073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34A KR20120073699A (ko) 2010-12-27 2010-12-27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34A KR20120073699A (ko) 2010-12-27 2010-12-27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99A true KR20120073699A (ko) 2012-07-05

Family

ID=467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534A KR20120073699A (ko) 2010-12-27 2010-12-27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6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19B1 (ko) 2019-08-19 2020-02-24 주식회사 건화 버켓
KR102080913B1 (ko) 2019-09-20 2020-02-24 주식회사 건화 버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19B1 (ko) 2019-08-19 2020-02-24 주식회사 건화 버켓
KR102080913B1 (ko) 2019-09-20 2020-02-24 주식회사 건화 버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721B1 (fr) Dispositif antivibratoire
CN105337075B (zh) 用于电插头连接器的壳体部件
CN105051294A (zh) 挖掘机磨损组件
USD803028S1 (en) Padlock
JP2016512918A (ja) 接触要素
KR20120073699A (ko) 개선된 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JP6178652B2 (ja) カバー
US10378182B2 (en) Excavator boom and excavator
US20160222655A1 (en) Brick having complementary ends
EP2775578B1 (fr) Système de verrouillage pour chemin de câbles
US20140000337A1 (en) Bending core
US20120102679A1 (en) Adjustable socket for ferrule rope
JP6359803B2 (ja) チェーン
JP2016000574A (ja) 履帯パッド
EP3076486B1 (fr) Rangée de connecteurs débrochables pour bloc de jonction
JP6637718B2 (ja) ロックボルト用スペーサ
KR200441367Y1 (ko) 모종삽
JP6298733B2 (ja) 切欠き補強部材
JP6321517B2 (ja) 人孔用金蓋のパッキン、分割部材
CA2886832C (en) Bucket of a rope shovel
JP6900710B2 (ja) 車体構造、その製造方法、および補強部材
JP5798859B2 (ja) 竪樋支持具
JP6637719B2 (ja) ロックボルト用スペーサ
JP2018028231A (ja) 連結具
JP4913759B2 (ja) 係止溝付きスペー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