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457B1 -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457B1
KR102079457B1 KR1020180125228A KR20180125228A KR102079457B1 KR 102079457 B1 KR102079457 B1 KR 102079457B1 KR 1020180125228 A KR1020180125228 A KR 1020180125228A KR 20180125228 A KR20180125228 A KR 20180125228A KR 102079457 B1 KR102079457 B1 KR 102079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pper
gasket
mwcnt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룡
이동규
이주형
이유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산업
Priority to KR102018012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4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foil, film, plating coating, electro-deposition, vapour-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성체 코어; 상기 탄성체 코어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브릭을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고분자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구리층이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위에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도성 코팅층을 포함하여 굽힘성 및 유연성을 증가시키며, 가볍고, 400℃에서 열 변형이 없으며, 구리의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Gasket for mounting electronic circuit board coated with conductive nano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
본 발명은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제품 및 기기의 발전, 무선 정보통신 산업의 눈부신 발전과 더불어 최근 가전제품 및 산업용 전자장치와 유/무선 정보통신기기는 더욱더 고주파화,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으며, 소형화, 경량화, 슬림화 및 회로의 고집적화가 이뤄지면서 전자파 노이즈로 인한 상호간섭 및 오작동, 쇼트 불량 등의 문제점이 점차 증가하게 되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전자회로기판 표면 실장 소자(Surface Mount Device;SMD) 가스켓은 전기전도성 패브릭을 전기절연성 실리콘, 고무 및 우레탄 폼과 같은 탄성체 코어에 감싼 형태의 전기전도성 패브릭 가스켓인데, 여기에 사용된 전기전도성 패브릭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패브릭나 나일론에 니켈, 구리, 은 또는 금으로 무전해 도금하여 전기전도성 패브릭을 제조(도 1)하기 때문에 도금된 원단, 도금 표면의 내산화성 및 내약품성이 약하여 표면이 쉽게 산화되며, 원단 재단시 올 풀림 및 버(Burr)가 발생되고 도금된 금속입자가 이탈 즉, 섬유 및 금속 가루가 날리는 등의 단점들이 있어왔다.
또한, 전자기기의 고집적화로 인해 전자기기 내부의 열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기기 부품의 내부 부식 및 가스켓에 사용된 전도전도성 패브릭에서의 접착력 약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전자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가스켓의 내부식성 향상 및 표면 실장 후 높은 접착력, 열적 내구성이 우수한 가스켓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75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리층의 내부식성 향상 및 열적 내구성이 우수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리층과 전도성 나노 복합체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체 코어; 상기 탄성체 코어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브릭을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고분자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구리층이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위에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극성 유기용매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혼합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용액을 폴리아믹산(PAA)과 혼합하여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구리 금속층이 형성된 기재에 코팅하는 단계; 70 ~ 100℃에서 60 ~ 180분간 소프트 베이킹(soft baking) 처리하는 단계; 및 150 ~ 350℃에서 60 ~ 180분간 하드 베이킹(hard baking)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의 코팅으로 가스켓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존 구리의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니켈, 주석 및 금 등을 도금 또는 증착하는 방법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의 코팅 후 열처리를 통하여 폴리이미드화 시킴으로써 굽힘성 및 유연성이 증대되어 적용되는 기재의 형태와 크기에 구속받지 않으며, 가볍고, 400℃에서 열 변형이 없으며, 고온고습 및 염수분무 상황에서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없어 구리층의 부식 방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요철 및 요철과 유기막을 가진 구리층을 형성하여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WCNT의 함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서 기존의 니켈, 주석 및 금 등을 이용하는 것보다 면저항 값 및 전기 저항값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용도에 응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전도성 패브릭 가스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WCNT-PAA 전도성 나노복합체가 코팅된 MWCNT-PI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요철 및 유기막을 형성시킨 Cu 층에 MWCNT-PI 전도성 층이 코팅된 가스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a)PAA 수용액, (b)85℃에서 150분동안 소프트 베이킹한 후, (c)250℃에서 60분동안 하드 베이킹한 후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PAA와 PI에서 FT-IR 피크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250℃에서 60분동안 하드 베이킹한 후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a)PI, (b)PI/1wt% MWCNT, (c)PI/5wt% MWCNT, (d)PI/10wt% MWCN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TGA 커브를 나타낸 것으로, PI, PI/1wt% MWCNT, PI/5wt% MWCNT, PI/10wt% MWC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DTG 커브를 나타낸 것으로, PI, PI/1wt% MWCNT, PI/5wt% MWCNT, PI/10wt% MWCNT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PMDA-ODA(Poly(pyromellitic dianhydride-co-4,4′-oxydianiline)의 폴리아믹산(PAA)을 이용하여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고, 이를 가스켓의 구리층에 코팅하고 열처리를 통해 폴리이미드화 시킴으로써 가스켓의 굽힘성 및 유연성을 증가 시켰으며, 가볍고, 400℃에서 열 변형이 없으며, 구리의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탄성체 코어; 상기 탄성체 코어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브릭을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고분자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구리층이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위에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 코어는 실리콘, 고무 및 우레탄 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리층은 무전해 또는 전해 습식 도금 및 구리박(Copper foil)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구리 표면에 코팅할 때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구리층은 요철을 형성하거나 요철과 유기막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데, 금속 연마제 분말을 분사시키는 제트연마를 하거나, 브러쉬 및 요철드럼으로 처리하여 요철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하거나, 무기산, 산화제, 구리착화물 혼합 용액을 분사(spray) 또는 침적(dip) 처리하는 화학연마를 통해 요철 및 유기막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연마에서 무기산은 질산, 황산 및 염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수, 구리착화합물은 테트라졸류, 이미다졸류, 트리아졸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테트라졸류는 1H-테트라졸, 5-아미노-1H-테트라졸, 5-메틸-1H-테트라졸, 5-페닐-1H-테트라졸, 5-메르캅토-1H-테트라졸 및 이의 화합물이 사용되고, 이미다졸류는 2-에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및 이의 화합물이 사용되며, 트리아졸류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나트륨 톨릴트리아졸, 톨리트리아졸 나트륨 및 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산-산화제-구리착화합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무기산 중 질산 및 황산은 각각 1 ~ 20 wt% 비율로 혼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고, 무기산 중 염산은 상기 무기산 투입량 대비 0.0001 ~ 1 wt%,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수는 1 ~ 15 wt%, 구리착화합물인 아졸류 화합물은 0.1 ~ 10 wt% 비율로 혼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연마처리로 구리 표면에 미세한 요철과 유기막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기막은 구리착화합물인 아졸류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구리 표면의 부식방지(anti-corrosion) 기능과 전도성 나노 복합체와의 화학적 접착력 증진을 위한 프라이머(primer)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코팅층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PMDA-ODA(Poly(pyromellitic dianhydride-co-4,4′-oxydianiline)의 폴리아믹산(PAA) 및 극성 용매를 혼합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WCNT는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도성 나노 복합체 내에서 분산성 및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MWCNT의 표면을 카르복실기(-COOH), 아미노기(-NH2) 등으로 개질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극성 용매는 N-methylpyrrolidone(NMP), N, N’-dimethylformamide(DMF) 및 N, N’-dimethylacetamide(DMAc)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극성 유기용매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혼합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용액을 폴리아믹산(PAA)과 혼합하여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구리 금속층이 형성된 기재에 코팅하는 단계; 70 ~ 100℃에서 60 ~ 180분간 소프트 베이킹(soft baking) 처리하는 단계; 및 150 ~ 350℃에서 60 ~ 180분간 하드 베이킹(hard baking)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건을 벗어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가 형성된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금속층의 부식 방지, 열적 안정성 및 유연성의 효과가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리층은 무전해 또는 전해 습식 도금 및 구리박(Copper foil)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연마제 분말을 분사시키는 제트연마를 하거나, 브러쉬 및 요철드럼으로 처리하여 요철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하거나, 무기산, 산화제, 구리착화물 혼합 용액을 분사(spray) 또는 침적(dip) 시켜 요철 및 유기막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무기산은 질산, 황산 및 염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수이고, 상기 구리착화물은 테트라졸류, 이미다졸류 및 트리아졸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구리 금속층에 코팅하는 방법은 컨베이어 또는 롤투롤 라인에서 자동 이송시키면서 스프레이(spray), 바코터(bar coater), 침지(dip) 및 슬릿 다이(slit die)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코팅 처리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의 제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MWCNT, NC7000)는 나노씰(Nanocyl)에서 구매하였으며, PMDA-ODA(Poly(pyromellitic dianhydride-co-4,4′-oxydianiline)의 폴리아믹산(Poly-amic acid;PAA) 및 N-methylpyrrolidone(NMP)는 씨그마 알드리치로부터 구매하였다.
극성 유기용매 N-methylpyrrolidone(NMP)와 MWCNT를 혼합하여 온도를 30 ℃ 이하로 유지한 상태에서 호모게나이저로 24,000 rpm으로 1시간 처리 후, 혼(horn) 타입의 초음파 파쇄기를 이용하여 700 W, 20 kHz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MWCNT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분산용액을 폴리아믹산(PAA)과 혼합하여 온도를 30 ℃ 이하로 유지한 상태에서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24,000 rpm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혼(horn) 타입의 초음파 파쇄기를 이용하여 700 W, 20 kHz,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배쓰(bath)타입의 초음파 기기를 사용하여 온도 30 ℃ 이하로 유지한 상태에서 850 W, 60 Hz의 조건으로 초음파를 24시간 처리하여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도 2).
<제조예 2> 화학연마제 제조 및 구리층에 대한 표면 요철 형성
화학연마제는 무기산 중 질산(65%) 1 wt%, 황산(95%) 10 wt%, 염산(35%)은 황산 투입량 대비 0.01 wt%,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수는 5 wt%, 구리착화합물인 아졸류 화합물중 5-아미노-1H-테트라졸을 1 wt%, 나머지는 순수(DI water)를 이용하여 밸런스(balance)를 맞추어 제조하였다.
기계적인 방법으로 브러쉬 또는 요철드럼으로 30초간 처리한 후 제조된 화학연마제를 이용하여 온도 30 ℃, 분사 압력 0.1 Mpa, 처리시간 1분의 조건으로 구리층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한 후 순수로 충분히 세척을 진행하여 요철과 유기막을 형성 시켰다.
<실시예 1>
구리(Cu)층을 포함하는 표면실장 소자(Surface Mount Device;SMD) 가스켓에 전도성 폴리이미드 필름을 코팅하여 정전기 제어 및 전자파 차폐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MWCNT를 1wt% 첨가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유리기판에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법으로 코팅한 후, 85 ℃에서 150분간 소프트 베이킹(soft baking) 처리하고, 용매 제거 후 250 ℃에서 60분 동안 하드 베이킹(hard baking) 처리를 하여 MWCNT-PI 전도성 층(이하 'PI/MWCNT(1%)')을 제조하였다(도 2).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MWCNT를 5wt% 첨가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MWCNT-PI 전도성 층(이하 'PI/MWCNT(5%)')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1에서 MWCNT를 10wt% 첨가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MWCNT-PI 전도성 층(이하 'PI/MWCNT(1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2에서 표면 요철 및 유기막을 형성시킨 Cu 층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Cu 층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 소자(Surface Mount Device;SMD)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가스켓은 실리콘 코어층, Cu가 도금된 전도성 패브릭층(폴리이미드 필름에 Cu 도금) 및 MWCNT-PI 전도성 층('PI/MWCNT(1%)')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3).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2에서 표면 요철 및 유기막을 형성시킨 Cu 층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Cu 층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 소자(Surface Mount Device;SMD) 가스켓을 제조히였다. 가스켓은 실리콘 코어층, Cu가 도금된 전도성 패브릭층(폴리이미드 필름에 Cu 도금) 및 전도성 MWCNT-PI 전도성 층('PI/MWCNT(5%)')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6>
상기 제조예 2에서 표면 요철 및 유기막을 형성시킨 Cu 층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Cu 층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 소자(Surface Mount Device;SMD) 가스켓을 제조히였다. 가스켓은 실리콘 코어층, Cu가 도금된 전도성 패브릭층(폴리이미드 필름에 Cu 도금) 및 전도성 MWCNT-PI 전도성 층('PI/MWCNT(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MWCNT를 첨가하지 않은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도성 층(이하 'PI')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리콘 코어층, Cu가 도금된 전도성 패브릭층(폴리이미드 필름에 Cu 도금) 및 Au/Ni층으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가스켓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FT-IR 분석
본 발명의 MWCNT-PI 전도성 층의 이미드화 여부는 FT-IR(Thermo Scientific, Nicolet iS5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도 4에서와 같이 폴리아믹산(PAA)과 폴리이미드(PI) FT-IR 피크를 참조하여 (a)PAA 수용액과 (b)85℃에서 150분 동안 소프트 베이킹한 후, (c)250℃에서 60분 동안 하드 베이킹한 후의 FT-IR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a)는 1678cm-1에서 강한 용매 피크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고, 85℃에서 150분 동안 소프트 베이킹한 후에는 용매가 제거되어 1678cm-1 피크가 사라지고, PAA 전구체 특성 피크인 1720, 1654, 1545, 1405cm-1 에서 피크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4b, 도 5). 이 후, 250℃에서 60분 동안 하드 베이킹한 후에는 PAA에서 관찰되던 1654와 1545cm-1 피크가 사라지고, 이미드 특성 피크인 1775, 1719, 1363cm-1 피크가 나타났다(도 4c, 도 5). 이것으로 PMDA-ODA의 PAA가 이미드화 되어 PI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과 같이 MWCNT의 함량이 1wt%에서 10wt%(도 6 b-d)로 증가함에 따라 PAA에서 PI로 변환되는 변환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기 표 1과 같이 1363cm-1/1498cm-1 면적비의 계산 결과, MWCNT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면적비 값이 작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Sample Area ratio(1363cm-1/1498cm-1)
PI(비교예 1) 1.530
PI/MWCNT(1%)(실시예 1) 1.510
PI/MWCNT(5%)(실시예 2) 1.440
PI/MWCNT(10%)(실시예 3) 1.424
<실험예 2> 열적 특성 분석
본 발명의 MWCNT-PI 전도성 층의 열적 안정성 평가는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SCINCO, TGA N-1000)와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을 통해 확인하였다.
TGA를 통한 열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5%와 10% 초기 분해온도는 MWCNT의 투입량이 증가 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00℃에서 열 변형이 없으며, 800℃에서 잔여량이 PI(비교예 1) 보다 높았는데, 이는 MWCNT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잔류량이 더 높아짐을 확인하였다(도 7, 표 2).
또한,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결과 MWCNT 함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질량 감소 지점의 온도는 낮아지다가 MWCNT의 투입량이 증가되면 다시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8, 표 2).
Sample T5% a(℃) T10% b(℃) Tonset c(℃) DTGd(℃) wtR e(%)
PI(비교예 1) 560 603 593 627 49.05
PI/MWCNT(1%)(실시예 1) 557 598 586 620 56.37
PI/MWCNT(5%)(실시예 2) 555 589 577 621 58.96
PI/MWCNT(10%)(실시예 3) 547 575 566 628 59.17
a)5% 질량 감소에서의 온도, b)10% 질량 감소에서의 온도, c)onset 온도, d)최대 질량 감소 지점에서의 온도, e)800℃에서의 질량 % 특성.
<실험예 3> 표면 전기 저항 분석
본 발명의 MWCNT-PI 전도성 층의 표면 전기 저항 평가는 4-point probe를 통해 확인하였다.
4-point prob를 통한 표면 전기 저항을 분석한 결과, MWCNT의 투입량이 증가 할수록 전기 저항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I(비교예 1)에서는 전기 저항이 너무 높아서 측정이 불가 하여 부도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MWCNT를 투입하게 되면 전기 전도성을 가지게 되며,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전기 저항이 더 낮아져서 전도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표 3).
Sample Sheet resistance (Ω/□)
PI(비교예 1) OV.LD
PI/MWCNT(1%)(실시예 1) 10.994
PI/MWCNT(5%)(실시예 2) 2.310
PI/MWCNT(10%)(실시예 3) 0.433
<실험예 4> 염수분무시험
염수분무시험은 고내식성 코팅된 샘플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부식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염수를 분무하고 적정온도로 유지함으로서 진행된다. 이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KS D 9502에 의거하여 진행하였으며, 이 규격은 5% NaCl용액을 35℃로 분무, 챔버 내 온도는 35℃로 유지하여 내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염수분무시험 72시간 경과 후 적청발생 면적에 따라 내식성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내용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내식성
◎: 적청발생면적 - 면적의 0% 이하
○ : 적청발생면적 - 면적의 5% 이하
△ : 적청발생면적 - 면적의 15%이하
X : 적청발생면적 - 면적의 15%이상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속을 도금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비교예 2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사용한 실시예들이 내식성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용출 납(Pb) mg/L 0.4 이하 불검출
용출 카드뮴(Cd) mg/L 0.1 이하 불검출
용출 니켈(Ni) mg/L 0.1 이하 불검출
용출 비소(As203로서) mg/L 0.1 이하 불검출
용출 6가 크롬(Cr+6) mg/L 0.2 이하 불검출
상기 표 5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염수분무 테스트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납, 카드뮴, 니켈, 비소 및 크롬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본원 발명의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사용한 가스켓은 녹 또는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는 기재층에 코팅 후 열처리를 통하여 폴리이미드화 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였고, 굽힘성 및 유연성을 증가 시켰으며, 400℃에서 열 변형이 없으며, 염수분무 상황에서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없어 구리의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탄성체 코어;
    상기 탄성체 코어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브릭을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고분자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구리층이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위에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리층은 금속 연마제 분말을 분사시키는 제트연마를 하거나, 브러쉬 및 요철드럼으로 처리하여 요철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하거나, 무기산, 산화제, 구리착화물 혼합 용액을 분사(spray) 또는 침적(dip)시켜 요철 및 유기막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하고,
    상기 전도성 코팅층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PMDA-ODA(Poly(pyromellitic dianhydride-co-4,4′-oxydianiline)의 폴리아믹산(PAA) 및 극성 용매를 혼합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탄소나노튜브(MWCNT)-폴리이미드(PI)의 전도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코어는
    실리콘, 고무 및 우레탄 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층은
    무전해 또는 전해 습식 도금 및 구리박(Copper foil)을 접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은 질산, 황산 및 염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수이고,
    상기 구리착화물은 테트라졸류, 이미다졸류 및 트리아졸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N-methylpyrrolidone(NMP), N, N’-dimethylformamide(DMF) 및 N, N’-dimethylacetamide(DMAc)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
  9. 극성 유기용매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혼합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용액을 폴리아믹산(PAA)과 혼합하여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MWCNT-PAA 전도성 나노 복합체를 구리 금속층이 형성된 기재에 코팅하는 단계;
    70 ~ 100℃에서 60 ~ 180분간 소프트 베이킹(soft baking) 처리하는 단계; 및
    150 ~ 350℃에서 60 ~ 180분간 하드 베이킹(hard baking)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금속층은
    무전해 또는 전해 습식 도금 및 구리박(Copper foil)을 접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금속층은
    금속 연마제 분말을 분사시키는 제트연마를 하거나, 브러쉬 및 요철드럼으로 처리하여 요철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하거나, 무기산, 산화제, 구리착화물 혼합 용액을 분사(spray) 또는 침적(dip)시켜 요철 및 유기막이 형성된 구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은 질산, 황산 및 염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산화제는 과산화수소수이고,
    상기 구리착화물은 테트라졸류, 이미다졸류 및 트리아졸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가스켓의 제조방법.
KR1020180125228A 2018-10-19 2018-10-19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9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28A KR102079457B1 (ko) 2018-10-19 2018-10-19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28A KR102079457B1 (ko) 2018-10-19 2018-10-19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457B1 true KR102079457B1 (ko) 2020-02-19

Family

ID=6967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228A KR102079457B1 (ko) 2018-10-19 2018-10-19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4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502A (ko) 2007-12-03 2009-06-08 공병태 전도성 금속의 증착 가스켓 및 전도성 금속의 증착 방법
KR20160048138A (ko) * 2013-09-13 2016-05-03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금속/수지 복합 구조체
KR20160137159A (ko) * 2015-05-22 2016-11-30 박준영 전도성 표면 실장 단자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502A (ko) 2007-12-03 2009-06-08 공병태 전도성 금속의 증착 가스켓 및 전도성 금속의 증착 방법
KR20160048138A (ko) * 2013-09-13 2016-05-03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금속/수지 복합 구조체
KR20160137159A (ko) * 2015-05-22 2016-11-30 박준영 전도성 표면 실장 단자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iu-Ming Yuen 외 3인, Morphology and Properties of Aminosilane Grafted MWCNT/Polyimide Nanocomposites,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Journal of Nanomaterials Volume 2008, Article ID 786405, 15 pages, 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5797B1 (en) Method for roughening copper surfaces for bonding to substrates
KR101593282B1 (ko) 표면 처리 동박
JPH01132772A (ja) 表面上に付着する金属の接着性を改良するためのポリイミド表面の処理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物品
KR20140043133A (ko) 전해 동박, 상기 전해 동박을 사용한 배선판 및 플렉서블 배선판
EP1355518B1 (en)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KR20120023739A (ko) 반도체 패키지 기판용 동박 및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
JP6814028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261786B2 (ja) 銀コート銅粉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で得られた銀コート銅粉、その銀コート銅粉を用いた導電ペースト、及びその導電ペースト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WO2005025857A1 (ja) 樹脂複合フィルム
JP2013229851A (ja) 高周波伝送線路、アンテナ及び電子回路基板
JPWO2020003880A1 (ja) プリント配線板用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KR20210023828A (ko)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KR20210096758A (ko) 절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79457B1 (ko) 전도성 나노 복합체가 코팅된 전자회로기판 실장용 가스켓 및 이의 제조방법
JP5138185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
JP2019172803A (ja) 樹脂組成物、樹脂付銅箔、プリント配線板、及び樹脂付銅箔の処理方法
JP2008109087A (ja) 半導体チップ搭載用基板及び前処理液
KR20180006523A (ko) 무전해 고전도성 니켈 도금 탄소섬유 제조방법
JP5692501B2 (ja) 導電性塗膜の製造方法
KR101199305B1 (ko) 코발트계 환원제를 사용하는 고전도성 탄소섬유의 제조 방법
JP4284658B2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11963308B2 (en) Method for increasing adhesion strength between a surface of copper or copper alloy and an organic layer
JP2015069752A (ja) 導電性ペースト、金属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65610B1 (ko) 고주파 노이즈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232889B2 (ja) 導電性ペースト、金属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