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93B1 - 레저용 조립식 보트 - Google Patents

레저용 조립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93B1
KR102078593B1 KR1020180078954A KR20180078954A KR102078593B1 KR 102078593 B1 KR102078593 B1 KR 102078593B1 KR 1020180078954 A KR1020180078954 A KR 1020180078954A KR 20180078954 A KR20180078954 A KR 20180078954A KR 102078593 B1 KR102078593 B1 KR 10207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ortion
hull
connec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97A (ko
Inventor
김재흥
Original Assignee
김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흥 filed Critical 김재흥
Priority to KR102018007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63B2017/026Rigid awnings, or sunroofs
    • B63B2739/00
    • B63B2747/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가 튜브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시에 공기를 뺀 상태에서 접어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고 접철식밀착체가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 시 접어 보관 및 이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이나 운반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할 때 튜브형 선체에 공기를 주입한 후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조립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 내구성은 물론 견고한 지지성을 얻을 수 있으며 물놀이는 물론 의자에 앉아 낚시를 즐길 수 있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레저용 조립식 보트{foldable boat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이나 운반 시에 공간을 크게 차지 않아 공간활용성이 좋고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물에 부유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람을 태우거나 물건을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작은 크기의 배들은 물놀이나 낚시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작은 크기의 보트는 낚시를 즐기거나 단순히 물놀이를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트는 물가에서 배를 임대하는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아니면 개인적으로 배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라 하여도, 보트 운반용 트레일러에 보트를 싣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되는 바, 이는 작은 크기의 보트라 하여도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여야 보트가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보트의 몸체에 약간의 균열이라도 생기게 되면 물에서 부유될 때 균열부분으로 물이 스며들 수 있어 자칫 침몰될 우려가 있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운반용 트레일러에 보트를 고정시킨 후 운반용 차량의 뒤에 연결하여 운반해야 하는 바, 작은 보트라 하여도 거대한 크기이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아주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식 보트가 이용되고 있으며,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보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해된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여 보관에 따른 공간을 크게 차지 않도록 하고, 차량에 탑재하여 이송되며, 필요한 때에 레저 현장에서 즉시 조립되어 낚시 등의 레저에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 조립식보트는, 사용자가 타는 상판이 수면과 접촉하여 있어 물결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분리된 상태에서도 부력체와 상판 등의 부피 때문에 전체적 체적이 비교적 크고 무거워서 통상의 승용차량으로는 이송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조립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 분해 및 조립의 작업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10-0404836호인 조립식 고무보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선체의 둘레에 반원형으로 요입된 수용홈이 구비되고 이 수용홈에 원통형의 고무 튜브가 장착되는 조립식 튜브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측벽의 중앙에 접착되어 튜브의 내측면과 수용홈 사이를 방수하는 방수부재와, 상기 선체의 후방 양측에 내측으로 당기면 튜브를 조여 고정시키고, 외측으로 당기면 튜브를 풀어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튜브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 선체의 내/외측에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성하여, 튜브의 내측면과 수용홈 사이를 완전히 폐쇄시켜 선체의 수용홈과 튜브사이를 견고하게 방수되도록 함과 아울러 선체의 둘레에 튜브를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선체가 고무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이동 시에 길이가 긴 선체에 의해 차량에 적재하기 어렵고 보관할 때에도 역시 공간을 크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04836호(2003.10.28.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00426호(2000.08.08. 등록)
본 발명은 접은 상태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관이나 운반할 때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단하여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레저용 보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레저용으로 사용할 때 내구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저용 조립식 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는,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와 마주보는 제2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 일측과 제2측벽부 일측을 연결하는 선미부와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 및 선미부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바닥부와 제1측벽부 타측과 제2측벽부 타측을 연결하는 받침부를 갖는 튜브형 선체와; 상기 선체의 제1측벽부 내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체와; 상기 선체의 제2측벽부 내면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와; 상기 제1연결체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제1측벽부 내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1접철식밀착체와; 상기 제2연결체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제2측벽부 내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2접철식밀착체와; 상기 선체의 바닥부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와 제2접철식밀착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 지지체와; 상기 복수개 지지체 상단 양측에 각각 안착되는 보강체와;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와 제2접철식밀착체 상단을 연결하는 의자연결체와; 상기 의자연결체에 안착되어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의자체와; 상기 받침부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측벽부 상면에 구비되는 제1가림막연결체와; 상기 제2측벽부 상면에 구비되는 제2가림막연결체와; 상기 제1가림막연결체에 일측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가림막연결체에 타측 하단이 연결되는 가림막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선체가 튜브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시에 공기를 뺀 상태에서 접어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고 접철식밀착체가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 시 접어 보관 및 이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이나 운반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할 때 튜브형 선체에 공기를 주입한 후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조립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 내구성은 물론 견고한 지지성을 얻을 수 있으며 물놀이는 물론 의자에 앉아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구성요부 연결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의자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보강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동력전달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측벽부(11)와 상기 제1측벽부(11)와 마주보는 제2측벽부(12)와 상기 제1측벽부(11) 일측과 제2측벽부(12) 일측을 연결하는 선미부(13)와 상기 제1측벽부(11)와 제2측벽부(12) 및 선미부(13)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바닥부(14)와 상기 제1측벽부(11) 타측과 제2측벽부(12) 타측을 연결하는 받침부(15)를 갖는 튜브형 선체(10)와,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내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체(20)와,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내면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20a)와, 상기 제1연결체(20)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내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상기 제2연결체(20a)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내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2접철식밀착체(30a)와, 상기 선체(10)의 바닥부(14)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30a)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제2접철식밀착체(30a)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 지지체(40)와, 상기 복수개 지지체(40) 상단 양측에 각각 안착되는 보강체(50)와,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제2접철식밀착체(30a) 상단을 연결하는 의자연결체(60)와, 상기 의자연결체(60)에 안착되어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돌기(61a)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의자체(60a)와, 상기 받침부(14)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동력전달체(70)와, 상기 제1측벽부(11) 상면에 구비되는 제1가림막연결체(80)와, 상기 제2측벽부(12) 상면에 구비되는 제2가림막연결체(80a)와, 상기 제1가림막연결체(80)에 일측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가림막연결체(80a)에 타측 하단이 연결되는 가림막체(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선체(10)는 투브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할 때 선체(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선체(10)를 부풀려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선체(10)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어 보관 및 운반한다.
이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 선체(10) 내부 공기를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선체(10)를 접어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어 차량의 트렁크에 실어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게 되어 보관이나 운반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연결체(20)는,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띠(21)와, 상기 제1연결띠(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에 밀착되는 제1연결보강띠(22)와,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와 상기 제1연결띠(21) 및 상기 제1연결보강띠(22)를 체결하는 제1체결구(23)와, 상기 제1체결구(23) 끝단에 구비되는 제1탄성연결편(2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는, 복수개 자바라형 제1접철구(31)와, 상기 제1접철구(31)에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연결편(24)에 탄성끼워져 체결되는 제1탄성고정편(3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체(20)에 구비되는 제1체결구(23)의 제1탄성연결편(24)에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의 제1탄성고정편(32)을 끼워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를 제1연결체(20)에 연결하고 제1접철식밀착체(30)에 의해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가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물론, 제1연결체(20)로부터 제1접철식밀착체(30)를 분리할 경우에는 탄성 끼움 체결된 상기 제1탄성연결편(24)으로부터 상기 제1탄성고정편(32)을 분리하면 쉽게 제1연결체(20)와 제1접철식밀착체(3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연결체(20a)는,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연결띠(21a)와, 상기 제2연결띠(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에 밀착되는 제2연결보강띠(22a)와,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와 상기 제2연결띠(21a) 및 상기 제2연결보강띠(22a)를 체결하는 제2체결구(23a)와, 상기 제2체결구(23a) 끝단에 구비되는 제2탄성연결편(24a)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30a)는, 복수개 자바라형 제2접철구(31a)와, 상기 제2접철구(31a)에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연결편(24a)에 탄성끼워져 체결되는 제2탄성고정편(32a)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2연결체(20a)에 구비되는 제2체결구(23a)의 제2탄성연결편(24a)에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30a)의 제2탄성고정편(32a)을 끼워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30a)를 제2연결체(20a)에 연결하고 제2접철식밀착체(30a)에 의해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가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물론, 제2연결체(20a)로부터 제2접철식밀착체(30a)를 분리할 경우에는 탄성끼움 체결된 상기 제2탄성연결편(24a)으로부터 상기 제2탄성고정편(32a)을 분리하면 쉽게 제2연결체(20a)와 제2접철식밀착체(30a)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접철구(31)에는 제1보강걸이편(33)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접철구(31a)에는 제2보강걸이편(33a)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체(40)는, 상기 제1접철구(31) 하단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연결대(41)와, 상기 제1연결대(41)의 타측에 일측이 끼움 수용되되 제1스프링(421)이 밀착되도록 수용되고 상단에 제1지지대(422)가 구비되는 제1지지구(42)와, 상기 제1지지구(42) 타측에 일측이 끼워지는 왼나사봉(43)과, 상기 제1지지대(422)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접철구(31)의 제1보강걸이편(33)에 걸어지는 제1지지걸이편(44)과, 상기 제2접철구(31a) 하단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2연결대(45)와, 상기 제2연결대(45)의 타측에 일측이 끼움 수용되되 제2스프링(461)이 밀착되도록 수용되고 상단에 제2지지대(462)가 구비되는 제2지지구(46)와, 상기 제2지지구(46) 타측에 일측이 끼워지는 오른나사봉(47)과, 상기 제2지지대(462)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2접철구(31a)의 제2보강걸이편(33a)에 걸어지는 제2지지걸이편(48)과, 상기 왼나사봉(43)과 오른나사봉(47)이 각각 일측과 타측에 나사체결되는 조절구(4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왼나사봉(43)과 오른나사봉(47)은 상기 조절구(49)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조절구(49)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절구(49)측으로 인입되거나 조절구(49)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왼나사봉(43)이 조절구(49)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왼나사봉(43)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지지구(42)가 제1접철구(31)측으로 밀어지면서 상기 제1지지대(422)에 하단이 힌지연결된 상기 제1지지걸이편(44)의 상단이 승강되고, 상기 제1지지걸이편(44) 상단이 승강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접철구(31)에 구비되는 제1보강걸이편(33)에 승강된 제1지지걸이편(44) 상단이 강하게 밀착되면서 제1접철구(31)를 선체(10)의 제1측벽(11) 내면에 강하게 밀착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접철구(31)가 선체(10)의 제1측벽(11) 내면에 강하게 밀착 지지되는 것에 의해 선체(10)의 제1측벽(11)에 대한 내구성은 물론 견고성 및 지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구(49)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오른나사봉(47)이 조절구(49)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오른나사봉(47)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2지지구(46)가 제2접철구(31a)측으로 밀어지면서 상기 제2지지대(462)에 하단이 힌지연결된 상기 제2지지걸이편(48)의 상단이 승강되고, 상기 제2지지걸이편(48) 상단이 승강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접철구(31a)에 구비되는 제2보강걸이편(33a)에 승강된 제2지지걸이편(48) 상단이 강하게 밀착되면서 제2접철구(31a)를 선체(10)의 제2측벽(12) 내면에 강하게 밀착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2접철구(31a)가 선체(10)의 제2측벽(12) 내면에 강하게 밀착 지지되는 것에 의해 선체(10)의 제2측벽(12)에 대한 내구성은 물론 견고성 및 지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체(50)는, 제1개방부(511)를 갖는 제1보강판(51)과, 상기 제1보강판(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되 상기 제1보강판(51)의 제1개방부(511)로부터 인출되거나 제1개방부(511)측으로 인입되고 제2개방부(521)를 갖는 제2보강판(52)과, 상기 제2보강판(52)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되 상기 제2보강판(52)의 제2개방부(521)로부터 인출되거나 제2개방부(521)측으로 인입되는 제3보강판(5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보강체(50)는 제1보강판(51)으로부터 제2보강판(52)을 인출하고 제2보강판(52)으로부터 제3보강판(53)을 인출하여 선체(10)의 바닥부(14)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개 지지체(40) 상단 양측에 안착시켜 상기 복수개 지지체(40)가 위치되는 선체(10)의 바닥부(14)를 견고하게 받쳐 지지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보강판(51)으로부터 인출된 제2보강판(52)을 제1보강판(51) 내부측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2보강판(52)으로부터 인출된 제3보강판(53)을 제2보강판(52) 내부측으로 인입하여 보관 및 운반하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접철구(31) 상단에는 제1연결돌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접철구(31a) 상단에는 제2연결돌부(34a)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의자연결체(60)는, 상기 제1연결돌부(34)가 걸어지는 제1걸이부(61)와, 상기 제2연결돌부(34a)가 걸어지는 제2걸이부(62)와, 상기 의자체(60a)의 고정돌기(61a)가 걸어지는 의자걸이부(6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의자연결체(60)의 제1걸이부(61)를 제1접철구(31) 상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돌부(34)에 걸어주고 의자연결체(60)의 제2걸이부(62)를 제2접철구(31a) 상단에 구비되는 제2연결돌부(34a)에 걸어준 다음, 상기 의자걸이부(63)에 의자체(60a)에 구비되는 고정돌기(61a)를 걸어주어 의자체(60a)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물론, 의자체(60a)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의자체(60a) 만을 따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물놀이를 할 때 의자체(60a)를 분리하거나 낚시를 할 때 의자체(60a)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가림막연결체(80)는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단에 제1자석고정부(81)를 갖는 제1가림막고정띠(8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림막연결체(80a)는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단에 제2자석고정부(81a)를 갖는 제2가림막고정띠(82a)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림막체(90)는,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 일측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고정부(81)에 부착되는 제1자석연결부(92)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 타측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자석고정부(81a)에 부착되는 제2자석연결부(93)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를 덮어주는 가림막(9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의 제1자석연결부(92)를 제1자석고정부(81)에 부착하고 제2자석연결부(93)를 제2자석고정부(81a)에 부착하여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를 펼쳐주면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를 덮어주는 가림막(94)이 펼쳐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가림막(94)이 펼쳐짐에 따라 그늘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운 여름철이나 한 낮이 강한 태양빛과 태양열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림막체(90)를 제1가림막연결체(80)와 제2가림막연결체(80a)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자석고정부(81)와 제1자석연결부(92) 및 제2자석고정부(81a)와 제2자석연결부(93)가 자석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기 때문에 가림막체(90)를 쉽고 용이하게 제1가림막연결체(80)와 제2가림막연결체(80a)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할 때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체(70)는, 상기 받침부(15)에 안착되고 일측에 공기주입관(711)이 구비되는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관(711)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팬축(721)에 의해 축설되는 회전팬(72)과, 상기 회전팬축(721)과 제1연결샤프트(731)로 연결되고 끝단부가 상기 하우징(71)의 타측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되는 모터축(732)을 갖는 동력모터(73)와, 상기 동력모터(7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부(74)와, 상기 하우징(71) 타측으로부터 노출되는 모터축(732)에 제2연결샤프트(751)로 연결되는 연동축(75)과, 제1베벨기어부(761)에 의해 상기 연동축(75)과 연결되는 스크류연결부(76)와, 제2베벨기어부(771)에 의해 상기 스크류연결부(76)와 연결되는 스크류(77)와, 상기 제2연결샤프트(751)와 연동축(75)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78)와, 상기 커버(78)와 연결되는 방향키(7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력전달체(70)는, 상기 동력모터(73)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축(732)이 회전되고 상기 모터축(732)과 제2연결샤프트(751)로 연결된 연동축(75)이 연동 회전된다.
또한, 상기 연동축(75)의 회전되면 상기 연동축(75)과 제1베벨기어부(761)에 의해 연결되는 스크류연결부(76) 및 상기 스크류연결부(76)와 제2베벨기어부(771)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스크류(77)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77)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선체(10)의 전진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71)에 구비된 공기주입관(711)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하우징(71)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팬(72)이 회전되는 바, 이와 같은 회전팬(72)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연결샤프트(731)에 의해 회전팬축(721)과 연결된 상기 모터축(732)이 회전되고 상기 모터축(732)과 제2연결샤프트(751)로 연결된 연동축(75)이 연동 회전되며 상기 연동축(75)과 제1베벨기어부(761)에 의해 연결되는 스크류연결부(76) 및 상기 스크류연결부(76)와 제2베벨기어부(771)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스크류(77)가 회전되어 상기 선체(10)의 전진동작이 진행된다.
물론, 상기 공기주입관(711)에 공기를 전달하여 주입하는 별도의 콤프레셔 장치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동력전달체(70)는 밧데리부(74)의 전력을 이용하여 동력모터(73)를 구동시켜 선체(10)를 전진시키거나 또는 공기주입관(711)에 공기를 주입하여 선체(10)를 전진시키거나 또는 밧데리부(74)의 전력과 공기주입관(711)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모두 이용하여 선체(10)를 전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선체 11 : 제1측벽부
12 : 제2측벽부 13 : 선미부
14 : 바닥부 15 : 받침부
20 : 제1연결체 21 : 제1연결띠
22 : 제1연결보강띠 23 : 제1체결구
24 : 제1탄성연결편 20a : 제2연결체
21a : 제1연결띠 22a : 제2연결보강띠
23a : 제2체결구 24a : 제2탄성연결편
30 : 제1접철식밀착체 31 : 제1접철구
32 : 제1탄성고정편 33 : 제1보강걸이편
34 : 제1연결돌부 30a : 제2접철식밀착체
31a : 제2접철구 32a : 제2탄성고정편
33a : 제2보강걸이편 34a : 제2연결돌부
40 : 지지체 41 : 제1연결대
42 : 제1지지구 421 : 제1스프링
422 : 제1지지대 43 : 왼나사봉
44 : 제1지지걸이편 45 : 제2연결대
46 : 제2지지구 461 : 제2스프링
462 : 제2지지대 47 : 오른나사봉
48 : 제2지지걸이편 49 : 조절구
50 : 보강체 51 : 제1보강판
511 : 제1개방부 52 : 제2보강판
521 : 제2개방부 53 : 제3보강판
60 : 의자연결체 61 : 제1걸이부
62 : 제2걸이부 63 : 의자걸이부
60a : 의자체 61a : 고정돌기
70 : 동력전달체 71 : 하우징
711 : 공기주입관 72 : 회전팬
721 : 회전팬축 73 : 동력모터
731 : 제1연결샤프트 732 : 모터축
74 : 밧데리부 75 : 연동축
751 : 제2연결샤프트 76 : 스크류연결부
761 : 제1베벨기어부 77 : 스크류
771 : 제2베벨기어부 78 : 커버
79 : 방향키 80 : 제1가림막연결체
81 : 제1자석고정부 82 : 제1가림막고정띠
80a : 제2가림막연결체 81a : 제2자석고정부
82a : 제2가림막고정띠 90 : 가림막체
91 : 가림막연결대 92 : 제1자석연결부
93 : 제2자석연결부 94 : 가림막

Claims (6)

  1. 제1측벽부(11)와 상기 제1측벽부(11)와 마주보는 제2측벽부(12)와 상기 제1측벽부(11) 일측과 제2측벽부(12) 일측을 연결하는 선미부(13)와 상기 제1측벽부(11)와 제2측벽부(12) 및 선미부(13)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바닥부(14)와 상기 제1측벽부(11) 타측과 제2측벽부(12) 타측을 연결하는 받침부(15)를 갖는 튜브형 선체(10)와;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내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체(20)와;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내면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20a)와;
    상기 제1연결체(20)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내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상기 제2연결체(20a)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내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2접철식밀착체(30a)와;
    상기 선체(10)의 바닥부(14)에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30a)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제2접철식밀착체(30a)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 지지체(40)와;
    상기 복수개 지지체(40) 상단 양측에 각각 안착되는 보강체(50)와;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와 제2접철식밀착체(30a) 상단을 연결하는 의자연결체(60)와;
    상기 의자연결체(60)에 안착되어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돌기(61a)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의자체(60a)와;
    상기 받침부(15)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동력전달체(70)와;
    상기 제1측벽부(11) 상면에 구비되는 제1가림막연결체(80)와;
    상기 제2측벽부(12) 상면에 구비되는 제2가림막연결체(80a)와;
    상기 제1가림막연결체(80)에 일측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가림막연결체(80a)에 타측 하단이 연결되는 가림막체(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체(20)는,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띠(21)와; 상기 제1연결띠(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에 밀착되는 제1연결보강띠(22)와;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와 상기 제1연결띠(21) 및 상기 제1연결보강띠(22)를 체결하는 제1체결구(23)와; 상기 제1체결구(23) 끝단에 구비되는 제1탄성연결편(24)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접철식밀착체(30)는,
    복수개 자바라형 제1접철구(31)와; 상기 제1접철구(31)에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연결편(24)에 탄성끼워져 체결되는 제1탄성고정편(3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연결체(20a)는,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연결띠(21a)와; 상기 제2연결띠(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에 밀착되는 제2연결보강띠(22a)와;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와 상기 제2연결띠(21a) 및 상기 제2연결보강띠(22a)를 체결하는 제2체결구(23a)와; 상기 제2체결구(23a) 끝단에 구비되는 제2탄성연결편(24a)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접철식밀착체(30a)는,
    복수개 자바라형 제2접철구(31a)와; 상기 제2접철구(31a)에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연결편(24a)에 탄성끼워져 체결되는 제2탄성고정편(32a)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철구(31)에는 제1보강걸이편(33)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접철구(31a)에는 제2보강걸이편(33a)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40)는,
    상기 제1접철구(31) 하단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연결대(41)와; 상기 제1연결대(41)의 타측에 일측이 끼움 수용되되 제1스프링(421)이 밀착되도록 수용되고 상단에 제1지지대(422)가 구비되는 제1지지구(42)와; 상기 제1지지구(42) 타측에 일측이 끼워지는 왼나사봉(43)과; 상기 제1지지대(422)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접철구(31)의 제1보강걸이편(33)에 걸어지는 제1지지걸이편(44)과; 상기 제2접철구(31a) 하단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2연결대(45)와; 상기 제2연결대(45)의 타측에 일측이 끼움 수용되되 제2스프링(461)이 밀착되도록 수용되고 상단에 제2지지대(462)가 구비되는 제2지지구(46)와; 상기 제2지지구(46) 타측에 일측이 끼워지는 오른나사봉(47)과; 상기 제2지지대(462)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2접철구(31a)의 제2보강걸이편(33a)에 걸어지는 제2지지걸이편(48)과; 상기 왼나사봉(43)과 오른나사봉(47)이 각각 일측과 타측에 나사체결되는 조절구(49)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50)는,
    제1개방부(511)를 갖는 제1보강판(51)과;
    상기 제1보강판(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되 상기 제1보강판(51)의 제1개방부(511)로부터 인출되거나 제1개방부(511)측으로 인입되고 제2개방부(521)를 갖는 제2보강판(52)과;
    상기 제2보강판(52)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되 상기 제2보강판(52)의 제2개방부(521)로부터 인출되거나 제2개방부(521)측으로 인입되는 제3보강판(5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철구(31) 상단에는 제1연결돌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접철구(31a) 상단에는 제2연결돌부(34a)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연결체(60)는,
    상기 제1연결돌부(34)가 걸어지는 제1걸이부(61)와;
    상기 제2연결돌부(34a)가 걸어지는 제2걸이부(62)와;
    상기 의자체(60a)의 고정돌기(61a)가 걸어지는 의자걸이부(6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림막연결체(80)는,
    상기 선체(10)의 제1측벽부(11)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단에 제1자석고정부(81)를 갖는 제1가림막고정띠(8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림막연결체(80a)는,
    상기 선체(10)의 제2측벽부(12)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단에 제2자석고정부(81a)를 갖는 제2가림막고정띠(82a)가 구비되며,
    상기 가림막체(90)는,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 일측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고정부(81)에 부착되는 제1자석연결부(92)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 타측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자석고정부(81a)에 부착되는 제2자석연결부(93)와;
    상기 복수개 가림막연결대(91)를 덮어주는 가림막(9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체(70)는,
    상기 받침부(15)에 안착되고 일측에 공기주입관(711)이 구비되는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관(711)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팬축(721)에 의해 축설되는 회전팬(72)과;
    상기 회전팬축(721)과 제1연결샤프트(731)로 연결되고 끝단부가 상기 하우징(71)의 타측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되는 모터축(732)을 갖는 동력모터(73)와;
    상기 동력모터(7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부(74)와;
    상기 하우징(71) 타측으로부터 노출되는 모터축(732)에 제2연결샤프트(751)로 연결되는 연동축(75)과;
    제1베벨기어부(761)에 의해 상기 연동축(75)과 연결되는 스크류연결부(76)와;
    제2베벨기어부(771)에 의해 상기 스크류연결부(76)와 연결되는 스크류(77)와;
    상기 제2연결샤프트(751)와 연동축(75)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78)와;
    상기 커버(78)와 연결되는 방향키(79)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1020180078954A 2018-07-06 2018-07-06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10207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54A KR102078593B1 (ko) 2018-07-06 2018-07-06 레저용 조립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54A KR102078593B1 (ko) 2018-07-06 2018-07-06 레저용 조립식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97A KR20180084697A (ko) 2018-07-25
KR102078593B1 true KR102078593B1 (ko) 2020-02-20

Family

ID=6305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954A KR102078593B1 (ko) 2018-07-06 2018-07-06 레저용 조립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862B1 (ko) 2021-01-15 2022-06-07 류제구 레저보트의 선실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90B1 (ko) * 2021-09-02 2023-04-27 김대한 전동 제트스키 결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 교환식 전동 제트스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5097A1 (en) 2002-07-12 2003-04-24 Bennington Marine, Inc. Foldable frame for a boat cover
JP2003226287A (ja) 2002-02-04 2003-08-12 Yamaha Motor Co Ltd 船首室付き小型船舶
KR200381765Y1 (ko) 2005-01-18 2005-04-15 원인호 솔라전지지붕으로 된 배
US20080141924A1 (en) 2006-12-13 2008-06-19 Adams Samuel J Water sports boat with retractable speakers
JP2016060475A (ja) 2014-09-18 2016-04-25 剛 松嵜 ボート用セーフティドー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629B2 (ja) * 1992-10-06 2003-06-23 ヤンマー株式会社 小型船舶
KR200200426Y1 (ko) 2000-05-26 2000-10-16 배기만 조립보트
KR100404836B1 (ko) 2000-12-18 2003-11-12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조립식 고무보트
KR20030090952A (ko) * 2002-05-24 2003-12-01 최재현 레저용 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287A (ja) 2002-02-04 2003-08-12 Yamaha Motor Co Ltd 船首室付き小型船舶
US20030075097A1 (en) 2002-07-12 2003-04-24 Bennington Marine, Inc. Foldable frame for a boat cover
KR200381765Y1 (ko) 2005-01-18 2005-04-15 원인호 솔라전지지붕으로 된 배
US20080141924A1 (en) 2006-12-13 2008-06-19 Adams Samuel J Water sports boat with retractable speakers
JP2016060475A (ja) 2014-09-18 2016-04-25 剛 松嵜 ボート用セーフティドー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862B1 (ko) 2021-01-15 2022-06-07 류제구 레저보트의 선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97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871B2 (en) Inflatable kayak
US9969226B2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KR102078593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US5964178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and multi-function chair
US6129034A (en) Accessory cover for a boat
US8393288B1 (en) Water vehicle improvements with connecting means
US20210001956A1 (en) Portable Solar-Electric Watercraft
KR20150002472U (ko) 레저용 카약
JP3958046B2 (ja) カヌー、カヌーのインフレータブルスキン、カヌーのフレーム及びカヌーの組立て方法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102317908B1 (ko) 에어튜브 보트
US8783204B1 (en) Collapsible kayak
US5615634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US10172438B2 (en) Folding hybrid vessel
US3107369A (en) Camping trailer and boat
US20120125251A1 (en) Collapsible Amphibious Hunting Blind
CN109153435A (zh) 变形的多模式个人船只
KR101740232B1 (ko) 휴대용 조립식 보트
EP2340989A1 (en) Yachting unit with improved sun awning structure
WO2017220000A1 (zh) 划水模块装置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KR20130106803A (ko) 견고한 탑승자 공간을 구비한 조립식 카약
US3795926A (en) Boat of the knock-down type
KR100428743B1 (ko) 조립식 보트
US6240872B1 (en) Foldable 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