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054B1 - 입좌식 패들링 보트 - Google Patents

입좌식 패들링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054B1
KR101757054B1 KR1020150132398A KR20150132398A KR101757054B1 KR 101757054 B1 KR101757054 B1 KR 101757054B1 KR 1020150132398 A KR1020150132398 A KR 1020150132398A KR 20150132398 A KR20150132398 A KR 20150132398A KR 101757054 B1 KR101757054 B1 KR 10175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eat
backrest
valve
k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003A (ko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정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희 filed Critical 정창희
Publication of KR2017003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4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54Infla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63B2709/00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좌식 패들링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좌식패들링 보트는,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제1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몸체부와,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용골부와, 상기 용골부를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커버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등받이가 접이식으로 형성되고, 제3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좌석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의자가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노를 젓거나 서서 노를 저을 수 있다.

Description

입좌식 패들링 보트{SIT―STAND PADDLING BOAT}
본 발명은 입좌식 패들링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서서 노를 젓거나 앉아서 노를 저을 수 있는 패들링 보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각종 레저 활동 및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서핑(surfing)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서핑으로는 대표적으로 파도타기 또는 윈드 서핑 등이 있다.
서핑을 위해서는 서핑용 보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서핑용 보드는 보드 판재에 사람이 양발로 딛고 올라서기도 하고, 보드판재에 상체를 대고 엎드려서 파도를 타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핑용 보드는 크기가 길이 약 1.5~3.7m, 나비 약 50~60㎝, 두께 약 7~10㎝ 정도여서 상당한 부피를 갖는데, 종래에는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그 무게가 50 kg 이상에 달하였다. 따라서, 보관뿐만 아니라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이 서핑용 보드의 소재로서 소개되었다. 하지만, 서핑용 보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그 무게의 감소에도 한계가 존재하며, 폴리우레탄도 경질 소재이므로, 보관이나 운반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레저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전문적인 파도타기나 윈드서핑 외에도 물놀이 시설이 구비된 놀이공원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서핑도 최근 소개되고 있는데, 종래의 서핑용 보드는 이러한 시설물 내부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604호(2012. 11. 21 공고)는 패들링 스포츠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어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등받이가 본체에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서서 노를 젓거나 누워서 서핑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행동에 제약을 주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자가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노를 젓거나 서서 노를 저을 수 있으며, 벨크로 결합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의자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의자의 좌석끈의 길이 조절을 통해 의자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을 거치시켜 사용자의 모습이나 주변 풍경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의자에 구명조끼를 탈부착시켜 사용자가 쉽게 구명조끼를 착용 또는 보관시킬 수 있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는,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제1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몸체부와,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용골부와, 상기 용골부를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커버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등받이가 접이식으로 형성되고, 제3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좌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는 하부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용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 밸브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양측에 'D'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는 양측에 'D'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리와 상기 제2 고리를 연결하는 연결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부는, 상기 등받이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등받이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내외로 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부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에 구명조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는 브라켓이 상기 몸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몸체부로부터 인출되는 가변로드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부는, 상기 등받이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내외로 기립하되, 상기 등받이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관통공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자가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노를 젓거나 서서 노를 저을 수 있다. 또한, 벨크로 결합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의자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의자의 좌석끈의 길이 조절을 통해 의자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을 거치시켜 사용자의 모습이나 주변 풍경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구명조끼를 탈부착시켜 사용자가 쉽게 구명조끼를 착용 또는 보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몸체부와 좌석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좌석부의 등받이가 접이식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몸체부 중 복수의 좌석부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좌석부가 몸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좌석부가 몸체부 외부로 펼쳐지면서 구명조끼가 노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는 몸체부(110), 용골부(120), 커버부(130) 및 좌석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제1 밸브(11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된다. 몸체부(110)는 전단과 후단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밸브(111)를 통해 몸체부(11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다. 관통공(112)은 후술하는 용골부(120)의 제2 밸브(121)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통로이다. 관통공(112)의 상부는 천이나 벨크로(113)를 이용하여 폐쇄시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크로(113)가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113)는 후술하는 좌석부(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좌석부(140)가 벨크로(113)를 통해 탈부착될 수 있으며, 그 위치와 방향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110)의 벨크로(113)가 형성되어 좌석부(140)를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고리(114)가 형성된다. 제1 고리(114)는 'D'자 형의 고리로, 연결끈(115)을 이용하여 좌석부(140)에 형성된 'D'자 형의 제2 고리(144)와 연결하여 좌석부(140)를 몸체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좌석부(140)는 몸체부(110)의 벨크로(113)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되고, 몸체부(110)의 제1 고리(114)와 연결되어 2차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좌석부(140)가 몸체부(110)로부터 이탈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용골부(120)는 내측이 이중공간지 또는 PVC 보트지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용골부(120)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의 세로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이다. 용골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부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용골부(120)는 전술한 몸체부(110)의 관통공(1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밸브(121)가 형성된다. 제2 밸브(12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골의 내부로 유입된다. 용골부(120)는 몸체부(110)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관통공(112)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시킬 수 있다.
커버부(13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용골부(120)를 감싸면서 몸체부(1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커버부(130)는 다층구조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몸체부(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130)의 외표면에는 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표면에 세로 방향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30)의 크기, 형상, 종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좌석부(140)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등받이(142)가 접이식으로 형성된다. 좌석부(140)는 사용자가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에서 입식으로 노를 저을 경우 좌석부(140)의 등받이(142)를 접어서 사용하고, 보트에서 좌식으로 노를 저을 경우 좌석부(140)의 등받이(142)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좌석부(140)는 받침판(141)에 벨크로(113)가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벨크로(113)에 고정될 수 있다. 등받이(142)는 받침판(1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등받이(142)에는 제3 밸브(143)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다.
또한, 좌석부(140)는 양측에 하나 이상의 제2 고리(144)가 형성된다. 제2 고리(144)는 'D'자 형의 고리로, 제1 고리(114)와 함께 연결끈(115)에 의해 고정된다. 다시 말해, 바닥판에 형성된 벨크로(113)에 의해 1차적으로 몸체부(110)에 결합하고, 제2 고리(144)에 의해 2차적으로 몸체부(110)에 고정된다. 제2 고리(144)의 개수 및 형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좌석부(140)는 좌석끈(145) 및 길이조절부(146)를 포함한다. 좌석끈(145)은 등받이(142)가 받침판(141)으로부터 전개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길이조절부(146)를 통해 좌석끈(145)의 길이를 줄이면 몸체부(110)로부터 기립하는 등받이(142)의 각도가 줄어들고, 길이조절부(146)를 통해 좌석끈(145)의 길이를 늘리면 몸체부(110)로부터 기립하는 등받이(142)의 각도가 늘어난다. 예를 들어, 등받이(142)는 받침판(141)으로부터 90° 내지 130°의 범위로 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는 지지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5)는 몸체부(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용골부(12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두 개가 형성되며, 원통형 또는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등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35)는 각각 밸브를 구비하고 있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지지부(135)는 몸체부(110)의 양 측면 또는 커버부(130)의 양쪽 외측에 용골부(120)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으며 본드 접착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부(135)는 사용자가 서서 노를 젓는 경우에 몸체부(110)가 수면 위에서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잡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패들링 보트(100)는 물 위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몸체부와 좌석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좌석부의 등받이가 접이식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의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벨크로(113)에 의해 좌석부(140)의 받침판(141)이 고정된다. 이 경우, 좌석부(140)의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벨크로(113) 상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몸체부(110)의 양측에는 제1 고리(114)가 형성되고, 좌석부(140)의 양측에는 제2 고리(144)가 형성된다. 제1 고리(114)와 제2 고리(144)는 연결끈(115)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벨크로(113)에 의해 좌석부(140)가 몸체부(110)에 고정되고, 2차적으로 연결끈(115)에 의해 좌석부(140)가 몸체부(110)에 고정된다.
좌석부(140)의 좌석끈(145)은 등받이(142)가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좌석끈(145)을 '||'자 형으로 형성하거나, 'X'자 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석끈(145)을 'X'자 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받침판(141)과 등받이(142) 간의 각도 조절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좌석부(140)에 고정시키는 벨트역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석끈(145) 중 받침판(141)과 연결되는 일단은 분리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의 좌석부(140)의 등받이(142)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판(141) 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입식으로 노를 젓는 경우에 등받이(142)를 접어 움직이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좌석부(140)를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립하여 노를 저을 수 있다. 좌석부(140)의 등받이(14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바람 등에 의해 등받이(142)가 다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석끈(145)을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받침판(141)에 등받이(142)를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몸체부 중 복수의 좌석부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의 몸체부(110)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크로(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113) 상에는 하나 이상의 좌석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벨크로(113)는 좌석부(140)의 하부와 기 설정된 결착력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좌석부(140)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좌석부(140)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중 한 명은 앉아서 노를 저을 수 있으며, 다른 한 명은 서서 노를 저을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는 파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50)는 브라켓(151) 및 가변로드(152)를 포함한다. 브라켓(151)은 휴대용 단말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은 카메라, 핸드폰 등의 거치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 브라켓(151)은 휴대용 단말을 고정하여 파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방식으로든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51)에는 방수팩(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변로드(152)는 길이 확장형으로 몸체부(110)의 내부에 인입되어 수용되거나,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가변로드(152)는 브라켓(151)과 연결되어 브라켓(151)에 고정된 휴대용 단말이 기 설정된 높이에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모습이나 주변의 풍경을 휴대용 단말을 통해 촬영할 수 있다. 가변로드(152)는 수동형으로 외력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될 수도 있으나,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입좌식 패들링 보트 중 좌석부가 몸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좌석부가 몸체부 외부로 펼쳐지면서 구명조끼가 노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의 좌석부(140)는 몸체부(110)의 수용부(116)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좌석부(14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에 기 설정된 깊이의 홈으로 구성된 수용부(116)를 형성하여 좌석부(140)를 보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시에는 좌석부(140)를 수용부(116)로부터 인출시켜 몸체부(110)와 기 설정된 각도로 기립하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좌석부(140)를 수용부(116)로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16)는 좌석부(14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앉아서 노를 저을 때는 좌석부(140)를 수용부(116)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하고, 서서 노를 저을 때는 좌석부(140)를 수용부(116)로 인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서서 노를 저을 때 좌석부(140)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좌식 패들링 보트(100)의 좌석부(140)에는 구명조끼(1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명조끼(160)는 좌석부(140)의 내측에 형성되어 좌석부(140)를 수용부(116)에 보관시에는 수용부(116)에 함께 보관되고, 좌석부(140)를 노출시키면 구명조끼(160)도 함께 노출될 수 있다. 구명조끼(160)는 좌석부(140)와 벨크로(113)로 연결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구명조끼(160)를 입음으로써 좌석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좌석끈(145)은 좌석부(140)와 몸체부(1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X'자 형태로 교차시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를 좌석부(140)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좌석부(140)가 펼쳐지면서 몸체부(110)의 관통공(112)을 폐쇄시킬 수 있다. 좌석부(140)가 수용부(116)에 수용된 경우에는 관통공(112)이 노출되고, 좌석부(140)를 전개시키면 관통공(112)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구명조끼(160)를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입좌식 패들링 보트
110 : 몸체부
111 : 제1 밸브
112 : 관통공
113 : 벨크로
114 : 제1 고리
115 : 연결끈
116 : 수용부
120 : 용골부
121 : 제2 밸브
130 : 커버부
135 : 지지부
140 : 좌석부
141 : 받침판
142 : 등받이
143 : 제3 밸브
144 : 제2 고리
145 : 좌석끈
146 : 길이조절부
150 : 파지부
151 : 브라켓
152 : 가변로드
160 : 구명조끼

Claims (8)

  1.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제1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몸체부;
    내측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용골부;
    상기 용골부를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커버부; 및
    제3 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좌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등받이;
    일단이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와 연결되는 좌석끈; 및
    상기 좌석끈 상에 구비되며, 상기 좌석끈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받침판과 상기 등받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는,
    하부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용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 밸브에 공기가 주입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양측에 'D'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는,
    양측에 'D'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리와 상기 제2 고리를 연결하는 연결끈에 의해 고정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상기 등받이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등받이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내외로 기립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에 구명조끼가 형성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7. 제1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는 브라켓이 상기 몸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몸체부로부터 인출되는 가변로드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입좌식 패들링 보트.
  8. 삭제
KR1020150132398A 2015-09-10 2015-09-18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101757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8515 2015-09-10
KR1020150128515 2015-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003A KR20170031003A (ko) 2017-03-20
KR101757054B1 true KR101757054B1 (ko) 2017-07-12

Family

ID=5850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398A KR101757054B1 (ko) 2015-09-10 2015-09-18 입좌식 패들링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7479A1 (en) * 2018-02-14 2019-08-21 Agit Global IP Holding, LLC Water sports board with foldable seat b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84B1 (ko) * 2018-05-31 2020-04-23 김병주 패들보드
CN212829007U (zh) * 2020-07-03 2021-03-30 东辉休闲运动用品(上海)有限公司 一种桨板
KR102620638B1 (ko) * 2021-12-08 2024-01-03 주식회사 휠라인 수상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7479A1 (en) * 2018-02-14 2019-08-21 Agit Global IP Holding, LLC Water sports board with foldable seat 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003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US6929521B2 (en) U-shaped float tube with stabilizing frame
US6971936B2 (en) Collapsible flotation device having support member
US9516949B2 (en) Inflatable crafts with an integral underwater viewing window
US7032531B1 (en) Kayak
US9027501B2 (en) Stand-up paddleboard stool
US6749475B2 (en) U-shaped float tube with stabilizing frame
US5593334A (en) Water walkers
US8696396B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10494067B1 (en) Melloship: personal watercraft for relaxation
US9975611B1 (en) Cockpit assemblies for towables
US11247751B2 (en) Inflatable boat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11638475B2 (en) Pool and spa water hammock device and methods of use
US10442508B1 (en) Kayak with a gap that slides open and closed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US8246407B2 (en) Surf perch
US9776686B2 (en) Modular watercraft with in-line or pontoon-type flotation
KR20110033159A (ko) 물놀이 기구
USRE47021E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KR20190093387A (ko) 낚시용 보트
US20030134549A1 (en) Water hammock
KR200433537Y1 (ko) 수상이동기구
US20140315450A1 (en) Buoyant apparatus system
US7160165B2 (en) Device for rippling of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