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387A - 낚시용 보트 - Google Patents

낚시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387A
KR20190093387A KR1020180012966A KR20180012966A KR20190093387A KR 20190093387 A KR20190093387 A KR 20190093387A KR 1020180012966 A KR1020180012966 A KR 1020180012966A KR 20180012966 A KR20180012966 A KR 20180012966A KR 20190093387 A KR20190093387 A KR 2019009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body
fishing
bo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해경
Original Assignee
권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해경 filed Critical 권해경
Priority to KR102018001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387A/ko
Publication of KR2019009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5Accessories, e.g. sticks for water wal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035/7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와 튜브를 연결하는 바닥이 없과 관련 구성품들을 최소화 하기 때문에 보트 자체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보트를 이용하여 수면에서의 낚시는 물론 연안에서의 좌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공기주입으로 팽창하고 공기배출로 수축되고 양단에 콘부를 형성한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의 상면에 고정하는 노걸이 및 노고정구와, 튜브본체의 측면에 형성하는 로프와, 상기 튜브본체의 전방과 후방위치 상면에 엔드연결구를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게 부착하는 엔드위치결정구와, 엔드위치결정구 사이의 튜브본체 내측면에 미들연결구를 결합할 수 있게 고정하는 미들연결레일를 가지고 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튜브와; 상기 튜브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엔진이나 가이드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장착할 수 있도록하는 튜브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연결구와; 상기 튜브 사이를 연결하여 튜브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낚시와 휴식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판과 텐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미들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보트{FISHING BOAT}
본 발명은 낚시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안에서 좌대낚시는 물론 연안에서 이격된 원거리 포인트로 이동하여 수면위에 정박한 상태에서 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트를 접고 펼치는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개선한 낚시용 보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강이나 저수지, 댐과 같이 포인트의 연안에 낚시대를 편성하여 수행하게 되는 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낚시인의 요구에 부응하여 편안하게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원하는 포인트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진입한 포인트에서 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낚시용 보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1은, 에어가 주입된 튜브형 보트(1)에 부착된 좌대(4)와 낚시대 고정판(7) 및 보트(1)의 양측면에 부착된 폴대고정구(5)와 이에 삽입결합되는 폴대(6), 보트(1)의 양측면에 부착된 로프고정구(2)와 이에 끼워지는 구조용 로프(3)를 포함하며, 상기 보트(1)의 탑승부위 양측단 중간부위 적소에 부착되어 골조(12)의 사용각도가 변용조절되는 골조연결장치(20)와, 상기 골조연결장치(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골조(12)와, 상기 각골조(12)에 씌워지며 보트(1)의 구조용 로프(3)에 연결되게 그 외주연 끝단에 다수 봉착된 로프삽입림(13)을 포함하는 텐트(1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문헌 2는, 상부 전방에 고정돌출부(110)가 결합된 고정받침대(100); 상기 고정돌출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111); 상기 홀(111)에 결합된 다수개의 낚시대 홀더(120); 상기 홀(111)의 후방에 상기 고정돌출부(110)의 전체에 걸쳐 부착된 낚시걸이 고무판(113); 고무보트(90)와 상기 고정받침대(100)가 고정되는 고정수단; 양측에 한쌍의 보조받침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받침대(200); 상기 고정돌출부(110)와 상기 고정받침대(100)의 결합부 양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된 한쌍의 일방향 기어(140); 및 일측은 상기 이동받침대(200)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일방향 기어(140)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받침대(200)가 상기 고정받침대(100)에 결합된 상기 일방향 기어(140)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문헌 3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2이상의 배수구(101)가 형성된 판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체결보(201)에 의해 연결되고 그 하부에는 반구형상의 부구(20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전의자(203)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조어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부착구(301)에 의해 설치되고 프레임(303)에 의해 연결되는 조타장치(310)와 동력발생장치(320)가 구비된 동력부(300)와,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부착구(401)에 의해 설치된 권취기(402)에 권취되는 한 쌍의 로프(403)(403')와 체결되는 닻(400)으로 구성하고 있다.
문헌 4는, 합성수지제로 선체(1)를 구성하여 선체전면(1a)과 덮개(11)에 이르도록 발포수지부력재(1b)를 내장하고 선체후미에 부력재장치대(12a)를 끼울 수 있게 연결관(12)을 구비하여 부력재장치대(12a)를 끼워 고정시킨 후 부력재 장치대 양측에 발포수지부력재(2')가 충진된 동일형상의 측면부력재(2)를 착탈가능케 결합하여 선체(1)의 앞과 양측이 부력재에 의하여 균형이 유지되게 구성하고 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 20 - 0204956 - 0000 호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21125 - 0000 호 (문헌 3)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23487 - 0000 호 (문헌 4) 특허 제 10 - 0564395 - 0000 호
없음.
문헌 1은, 일반적인 주지의 고무보트에 낚시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좌대와 낚시대고정판을 구비하고 이용자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텐트를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이며, 문헌 2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주지의 고무보트에 낚시대를 받쳐줄 수 있도록 고정받침대와 이동받침대를 구비하도록 하는 구성이며, 문헌 3의 경우에는, 본체의 사방에 부구를 설치하여 그 상방에 의자를 가지는 조어부를 설치한 구성이며, 문헌 4의 경우에는 좌대와 받침구장치대를 가지는 선체의 양측에 측면부력재를 더 가지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문헌 1,2는 고무보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기를 주입하여 펼치고 공기를 빼내어 접는 것이 가능하므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고 스용차의 트렁크에도 수납이 가능하여 포인트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문헌 3,4의 경우에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동과 보관 및 설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문헌 1,2의 경우에도 문헌 3,4에 비하여서는 휴대와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으나, 보트의 크기가 제한적(길이가 대략 200mm에서 300mm)에 이르는 소형 고무보트이고, 이러한 고무보트에서 튜브의 직경을 제외하고 나면 실질적으로 보트의 내부면적은 1명이 겨우 앉을 수 있는 공간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공간에 낚시를 위한 받침틀과 의자, 기타 부속품들을 보관하고 낚시자가 편안하게 앉지 못하는 것은 물론, 1박 2일 이상의 장기간 낚시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낚시자가 편안하게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다리를 편하게 뻗을 수 있는 공간조차 나오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른다.
그리고, 고무보트를 구성하는 튜브의 격실이 많고 고무보트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트를 펼치는 작업은 물론 접는 작업이 쉽지 않고, 접은 상태에서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혼자서 쉽게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연안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무보트를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좌대를 설치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낚시를 하는 데 고무보트와 좌대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가정이나 사무실에 낚시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큰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공기주입으로 팽창하고 공기배출로 수축되고 양단에 콘부를 형성한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의 상면에 고정하는 노걸이 및 노고정구와, 튜브본체의 측면에 형성하는 로프와, 상기 튜브본체의 전방과 후방위치 상면에 엔드연결구를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게 부착하는 엔드위치결정구와, 엔드위치결정구 사이의 튜브본체 내측면에 미들연결구를 결합할 수 있게 고정하는 미들연결레일를 가지고 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튜브와;
상기 튜브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엔진이나 가이드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장착할 수 있도록하는 튜브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연결구와;
상기 튜브 사이를 연결하여 튜브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낚시와 휴식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판과 텐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미들연결구를 포함하여;
낚시용 보트를 구성하는 튜브와 튜브를 연결하는 바닥이 없으면서 관련 구성품들을 최소화 하기 때문에 보트 자체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보트를 이용하여 수면에서의 낚시는 물론 연안에서의 좌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낚시용 보트를 펼치고 접는 작업을 신속하게 하면서 공지의 고무보트에 비하여 무게를 현저하게 줄여 혼자서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낚시를 수행하는 데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낚시용 보트를 이용하여 연안에서의 좌대낚시는 물론 포인트 내부로 진입하여 수면에서의 낚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낚시인들이 많은 장비를 구비할 필요없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면서 충분한 공간활용을 통하여 편안한 레저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를 도시한 일부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엔드연결구를 발췌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엔드연결구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미들연결구를 발췌한 파절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미들연결구를 발췌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엔드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엔드연결구를 도시한 횡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엔드연결구를 도시한 종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미들연결구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미들연결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를 도시한 일부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엔드연결구를 발췌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엔드연결구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미들연결구를 발췌한 파절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미들연결구를 발췌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엔드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엔드연결구를 도시한 횡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엔드연결구를 도시한 종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미들연결구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다른예의 미들연결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낚시용 보트(100)는, 공기주입으로 팽창하고 공기배출로 수축되도록 길이가 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엔진이나 가이드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장착할 수 있도록하는 튜브(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연결구(130)와, 상기 튜브(110) 사이를 연결하여 튜브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낚시와 휴식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판(105)을 위치시킬 수 있는 미들연결구(150)로 구성한다.
상기 상판(105)은 주지된 고압메트리스 또는 알루미늄 또는 카본과 같은 경량재질의 판상부재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판(105)에는 통상의 텐트(106)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낚시를 위한 도구나 용품들을 보관하면서 이용자가 거주하면서 낚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튜브(11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뾰족하거나 라운드 형태의 콘부(111)를 양단에 형성한 튜브본체(112)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본체(112)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격실을 형성하여 공기주입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혹여 하나의 격실에 공기빠짐 현상이 있더라도 다른 격실의 공기로 부력을 발생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튜브본체(112)의 상면에는 노걸이(113)와 노고정구(114)를 고정하고, 튜브본체(112)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로프걸이를 형성하거나 로프(115)를 연결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튜브본체(112)의 전방과 후방위치 상면에는 엔드연결구(130)를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엔드위치결정구(116)를 부착고정하고, 엔드위치결정구(116) 사이의 튜브본체(112) 내측면(두 튜브본체가 마주보는 면)의 상측 또는 상측과 하측에는 미들연결구(1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미들연결레일(117)를 부착고정한다.
상기 엔드위치결정구(116)는, 튜브본체(112)의 전,후방 위치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엔드연결구(130)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튜브(110)와 엔드연결구(130)가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미들연결레일(117)은 튜브본체(112)의 수평방향 중심에서 상측위치 또는 상측과 하측위치에 단면이 원형상인 레일(118)을 튜브원단(119)으로 피복하여 튜브본체(112)에 부착고정한다.
상기 레일(118)을 본 발명에서는 단면이 원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엔드연결구(130)는, 튜브본체(1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튜브홀(131)을 형성한 원형상의 링(132)을 소정의 간격(엔드위치결정구의 폭과 같은 폭)을 유지시켜 연결구(133)로 연결한 한 쌍의 연결링체(135)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링체(135)의 외측위치에는 포인트에 정박한 보트(1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폴(136)을 지면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폴유지대(137)를 고정하고, 연결링체(135)의 내측위치에는 튜브(11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38)를 고정한다.
상기 연결수단(138)은 도 3에서와 같이 링(132)의 내측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브라켓(139)을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139) 사이에는 엔진이나 가이드모터를 장착하는 트랜섬 기능과 튜브본체(112)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연결판(140)을 고정볼트(141)를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수단(138)의 다른 예로서는 도 6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체(135)의 내측위치 상,하측에 접속관(145)을 고정하고, 상기 접속관(145) 사이에 연결관(146)을 결합하여 고정볼트(141)로 탈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관(146) 사이에는 엔진이나 가이드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판상형태의 트랜섬(147)을 개재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미들연결구(150)는, 알루미늄 또는 카본과 같은 경량재질의 연결판(15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판(151)의 양측 저면에는 튜브본체(112)의 내측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미들연결레일(117)과 슬라이딩 결합 및 이탈될 수 있도록 레일결합구(152)를 고정한다.
상기 레일결합구(152)는, 연결판(151)의 양측 저면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53)으로 고정되는 결합구바디(154)의 외측단부에 미들연결레일(117)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레일홈(155)을 외측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레일홈(155)의 상면은 연결판(151)의 외측단부(156)가 위치하여 레일롬(155)은 미들연결레일(117)의 하측을 수용하여 걸림되도록 하고, 미들연결레일(117)의 상측은 연결판(151)의 외측단부(156)가 걸림되어 미들연결레일(117)의 길이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으나 상,하측 방향으로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미들연결구(150)는 상판(105)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를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분산 배치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며, 중앙에 위치하는 두 개의 미들연결구(150)에는 어깨끈을 연결하여 이용자가 쉽게 보트(100)를 어깨에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다른 예로서는 도 9와 10에서와 같이, 미들연결레일(117)을 튜브본체(112)의 상측과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연결판(151)을 상,하측에 연결하여 상판(105)에 이용자가 위치하여 하중이 전도되더라도 튜브(110)가 축중심에 대한 외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지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보트(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낚시용 보트(100)를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튜브(110)를 펼친 후 튜브(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엔드연결구(130)를 구성하는 연결링체(135)를 결합하는 데, 이 때에는 연결링체(135)를 구성하는 링(132)과 링(132) 사이에 튜브본체(112)에 고정된 엔드위치결정구(116)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튜브(110)와 엔드연결구(1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엔드연결구(130)를 구성하는 연결링체(135)의 내측에 더 구비되는 연결수단(138)을 이용하여 연결판(140)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서 튜브본체(112)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튜브본체(112)의 전방과 후방은 엔드연결구(130)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튜브본체(112)의 전방과 후방에 연결된 엔드연결구(130)의 연결판(140) 또는 트랜섬(147)에는 보트(100)의 주행에 필요한 엔진이나 가이드모터를 장착하여 이용자가 노를 저어 이동하는 번거로움으로 부터 벗어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튜브본체(112)의 전방과 후방에 엔드연결구(130)를 결합한 후에는 튜브본체(112) 내측면에 구비되는 미들연결레일(117)에는 미들연결구(150)를 구성하는 연결판(151)을 슬라이딩 결합시켜 미들연결레일(117)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미들연결레일(117)에 연결판(151)을 연결할 때에는 연결판(151)의 저면 양측에 고정된 레일결합구(152)의 레일홈(155)과 미들연결레일(117)을 일치시킨 후 연결판(151)을 미들연결레일(117)로 밀어넣으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레일홈(115)은 미들연결레일(117)의 저면을 수용하게 되고 연결판(151)의 외측단부(156)은 미들연결레일(117)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형태가 되므로 결국에는 연결판(151)이 미들연결레일(117)과 결합되어 튜브본체(1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결판(151)의 상부에 하중이 전도되더라도 튜브(110)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결판(151)을 튜브본체(112)의 상측에 구비되는 미들연결레일(117)과 하측에 구비되는 미들연결레일(117) 모두에 결합할 경우에는 연결판(151)의 상부에 상판(105)을 밀착시킨 후 이용자 또는 낚시용 도구와 물품 및 텐트(106)를 안치하여 하중이 아래방향으로 전도되더라도 튜브(110)가 축중심에 대하여 외측으로 회전하여 벌어지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110)에 엔드연결구(130)와 미들연결구(150)의 연결이 완료된 후에는 연결판(151)의 상부에 상판(105)을 안치한 후 텐트(106)를 치거나 낚시에 필요한 물품과 도구를 실은 후 연결판(140) 또는 트랜섬(147)에 엔진이나 가이드모터를 장착하여 목적하는 포인트로 이동하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엔드연결구(130)를 구성하는 폴유지대(137)에 폴(136)을 박아 보트(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낚시를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연안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도 좌대를 설치하지 않고 보트(100)를 완성한 후 연안에 정박시킨 후 폴유지대(137)에 폴(136)을 박아 보트(100)를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낚시를 수행하면 된다.
조립이 완료된 낚시용 보트(100)를 수면에 런칭할 때에는 이용자가 장화를 신고 보트(100)의 중앙에 위치한 후 중앙 양측의 미들연결구(150)를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린 후 이동시키거나, 중앙에 위치한 미들연결구(150)를 구성하는 연결판(151)에 구비되는 어깨끈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낚시가 종료된 후에는 순차적으로 텐트(106)와 상판(105)을 보트(100)로부터 이탈시킨 후 엔드연결구(130)와 미들연결구(150)를 분리하고, 튜브(100)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함으로서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해체)된 낚시용 보트(100)의 구성품들은 튜브(110)는 공기를 제거하여 밀착시켜 말거나 접고, 엔드연결구(130)는 연결링체(135)와 연결판(140) 및 연결관(146)과 트랜섬(147)로 분리하여 튜브(110)의 상부에 안치하고, 미들연결구(150) 또한 튜브(110) 위치에 안치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서 부피를 최소화 한 상태에서 수납이 가능하게 되며, 별도의 보자기 또는 가방을 이용하여 가지런한 상태의 정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낚시용 보트를 구성하는 튜브와 튜브를 연결하는 바닥이 없과 관련 구성품들을 최소화 하기 때문에 보트 자체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보트를 이용하여 수면에서의 낚시는 물론 연안에서의 좌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낚시용 보트 105; 상판
110; 튜브 112; 튜브본체
116; 엔드위치결정구 117; 미들연결레일
130; 엔드연결구 132; 링
135; 연결링체 137; 폴지지대
138; 연결수단 139; 브라켓
140; 연결판 145; 접속관
146; 연결관 147; 트랜섬
150; 미들연결구 151; 연결판
152; 레일결합구 154; 결합구바디
155; 레일홈 156; 외측단부

Claims (3)

  1. 공기주입으로 팽창하고 공기배출로 수축되고 양단에 콘부(111)를 형성한 튜브본체(112)와, 상기 튜브본체(112)의 상면에 고정하는 노걸이(113) 및 노고정구(114)와, 튜브본체(112)의 측면에 형성하는 로프(115)와, 상기 튜브본체(112)의 전방과 후방위치 상면에 엔드연결구(130)를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게 부착하는 엔드위치결정구(116)와, 엔드위치결정구(116) 사이의 튜브본체(112) 내측면에 미들연결구(150)를 결합할 수 있게 고정하는 미들연결레일(117)를 가지고 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엔진이나 가이드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을 장착할 수 있도록하는 튜브(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엔드연결구(130)와;
    상기 튜브(110) 사이를 연결하여 튜브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낚시와 휴식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판(105)과 텐트(106)를 위치시킬 수 있는 미들연결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연결구(130)는, 튜브본체(1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튜브홀(131)을 형성한 원형상의 링(132)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연결구(133)로 연결한 한 쌍의 연결링체(135)와;
    상기 연결링체(135)의 외측위치에 고정하여 정박한 보트(1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폴(136)을 지면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폴유지대(137)와;
    상기 연결링체(135)의 내측위치에 고정하여 튜브(11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38)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38)은, 링(132)의 내측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하는 브라켓(139)과, 상기 브라켓(139) 사이에 엔진이나 가이드모터를 장착하는 트랜섬 기능과 튜브본체(112)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고정볼트(141)로 탈부작되게하는 연결판(140)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연결링체(135)의 내측위치 상,하측에 고정하는 접속관(145)과, 상기 접속관(145) 사이에 고정볼트(141)로 탈부착되게 결합하는 연결관(146)과, 상기 연결관(146) 사이에 엔진이나 가이드모터를 장착하도록 개재하는 트랜섬(1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연결구(150)는, 알루미늄 또는 카본과 같은 경량재질로 구비하는 연결판(151)과;
    상기 연결판(151)의 양측 저면에 튜브본체(112)에 고정된 미들연결레일(117)과 슬라이딩 결합 및 이탈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레일결합구(152)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구(152)는, 연결판(151)의 양측 저면에 고정수단(153)으로 고정되는 결합구바디(154)와;
    상기 결합구바디(154)의 외측단부에 미들연결레일(117)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미들연결레일(117)의 하측을 수용하는 레일홈(155)과;
    상기 레일홈(155)의 상면에 위치하여 미들연결레일(117)의 상측과 밀착되는 연결판(151)의 외측단부(15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판(151)은 튜브본체(112)의 상측 또는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는 미들연결레일(117)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보트.
KR1020180012966A 2018-02-01 2018-02-01 낚시용 보트 KR20190093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66A KR20190093387A (ko) 2018-02-01 2018-02-01 낚시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66A KR20190093387A (ko) 2018-02-01 2018-02-01 낚시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87A true KR20190093387A (ko) 2019-08-09

Family

ID=6761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966A KR20190093387A (ko) 2018-02-01 2018-02-01 낚시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33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35U (ko) * 2018-07-25 2019-05-10 박동우 캠핑용 좌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56Y1 (ko) 2000-05-19 2000-12-01 이규중 낚시보트용 텐트
KR200321125Y1 (ko) 2003-04-23 2003-07-23 백승국 고무보트용 낚시대 받침
KR200323487Y1 (ko) 2003-04-12 2003-08-14 성태주 낚싯배
KR100564395B1 (ko) 2004-08-13 2006-03-27 박진현 낚시용 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56Y1 (ko) 2000-05-19 2000-12-01 이규중 낚시보트용 텐트
KR200323487Y1 (ko) 2003-04-12 2003-08-14 성태주 낚싯배
KR200321125Y1 (ko) 2003-04-23 2003-07-23 백승국 고무보트용 낚시대 받침
KR100564395B1 (ko) 2004-08-13 2006-03-27 박진현 낚시용 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35U (ko) * 2018-07-25 2019-05-10 박동우 캠핑용 좌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350B2 (en) Multipurpose accessory bag for multi-mode portable collapsible chair
US6929521B2 (en) U-shaped float tube with stabilizing frame
US6971936B2 (en) Collapsible flotation device having support member
CA2165924C (en) Flexible tube floatation sling
US7987531B2 (en) Portable floating hot tub
CA1318188C (en) Boat, especially a catamaran, with large deck space and collapsible frame
US6173671B1 (en) Portable inflatable floatation device
US5692450A (en) One man fishing vessel
US9027501B2 (en) Stand-up paddleboard stool
US9212497B2 (en) Portable and collapsible pool chair
US8745782B2 (en) Portable hammock
US20110094025A1 (en) Portable hot tub for land and water
US6749475B2 (en) U-shaped float tube with stabilizing frame
US6311632B1 (en) Portable pontoon craft
US6168489B1 (en) Float tube with pontoons
CA2899520C (en) Collapsible watercraft assembly
US6659822B1 (en) Lake raft
US20130052896A1 (en) Decorative Noodle
US4290157A (en) Collapsible boat
US20130160804A1 (en) Collapsible buoyant sun shade
WO2006011971A2 (en) Water swung hammock
KR20190093387A (ko) 낚시용 보트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US10494067B1 (en) Melloship: personal watercraft for relaxation
US6931678B2 (en) Water-swung hamm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